아마조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조네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전사 종족으로, 어원은 불분명하나 여러 설이 존재한다. 흑해 연안의 폰토스 지역에 여인 왕국을 건설하고 헤라클레스, 테세우스 등과 대립했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들의 실존을 의심하지 않았다. 아마조네스는 신화뿐만 아니라 역사 속에서도 언급되며, 리키아, 스키타이, 사르마티아 등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한, 예술 작품,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기독교 윤리에 따라 재평가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조네스 - 히폴리테
그리스 신화 속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는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테세우스와의 관계로 알려져 있으며, 황금 허리띠, 납치 또는 아테네 공격 등의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문학 작품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채롭게 묘사된다. - 아마조네스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단성세계 - 에이리언 3
에이리언 3는 엘렌 리플리가 살인범 수감 행성 피오리나 161에 불시착하여 에이리언과 싸우며 웨이랜드-유타니사의 음모에 맞서 희생하는 이야기를 그린 1992년 미국 SF 공포 영화이자 에이리언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 단성세계 - 섹스미션
섹스미션은 1984년 폴란드 영화로, 동면 실험으로 2044년 여성들만 남은 세상에서 깨어난 두 남자가 여성 사회의 비밀을 파헤치며 공산주의와 성별 갈등을 풍자한다. - 모권제 - 아서 에번스
아서 에번스는 영국의 고고학자로서 크레타 크노소스 유적을 발굴하여 미노아 문명을 세상에 알렸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애슈몰린 박물관 학예관을 역임했고, 크노소스에서 발굴된 선문자 A와 B 연구에 기여했지만, 선문자 B 해독을 독점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모권제 - 여왕
여왕은 스스로 왕위를 가진 여성을 뜻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권력을 행사했고 현대에는 국가의 상징으로서 사회 통합과 국가 정체성 유지에 기여하며 여성 지도자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아마조네스 | |
---|---|
아마존 (그리스 신화) | |
![]() | |
어원 | '아마존 (Ἀμαζών)'은 그리스어로 '젖가슴이 없는'을 의미하는 'a-mazos'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설명으로는 'a-mazoi'에서 유래, '빵이 없는' 또는 '곡물 없이 사는'을 의미하는 '곡물 없이 사는 여성'의 의미를 가진다는 설이 있다. |
거주지 | 테르모돈 강 근처 (소아시아) 스키티아 |
특징 | 용감한 여전사 부족 모계 사회 |
신화 속 아마존 | |
기원 | 전쟁의 신 아레스와 하르모니아의 딸들 또는 오트레레와 아레스의 딸들 |
주요 인물 | 안티오페 펜테실레이아 히폴리테 탈레스테리스 |
문화 | 말 타기, 활쏘기, 창 던지기 등 전투 기술 연마 활쏘기를 위해 오른쪽 가슴을 도려냈다는 전설 (일부 학자들은 부정) |
주요 전투 | 벨레로폰과의 전투 프리아모스와의 전투 트로이아 전쟁 참전 (펜테실레이아) 헤라클레스의 12 과업 중 히폴리테의 허리띠 획득 테세우스의 아마존 침공 |
관련 지역 | 테르모돈 강 (튀르키예 북부) 흑해 연안 캅카스 산맥 |
역사적 논쟁 | |
실존 여부 | 아마존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아마존이 단순한 신화적 존재가 아니라, 역사 속 실존했던 여성 전사 부족의 영향을 받아 창조된 이야기라고 주장한다. 고고학적 발견 (여성 전사의 무덤 등)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도 한다. |
대중 문화 속 아마존 | |
등장 작품 | 원더우먼 (DC 코믹스) 다양한 영화, 소설, 게임 등 |
이미지 | 강인하고 독립적인 여성의 상징 모험과 전투를 즐기는 전사 |
2. 어원
‘아마조네스’의 어원은 밝혀져 있지 않다. 고대 이란어군 언어로 전사를 뜻하는 *ha-mazan-에서 비롯됐다는 설[114]과 인도유럽조어로 ‘남자가 없는’을 뜻하는 *ṇ-mṇ-gw-jon-es에서 왔다는 설[115] 등이 있다.
아마조네스는 기원전 12세기 트로이아 전쟁 시기에 흑해 연안의 폰토스 지역에 있었던 여인 왕국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마조네스의 실존을 의심하지 않았지만, 그들의 정확한 고향은 문명화된 세계 너머의 불분명한 땅으로 여겨졌다.[22] 많은 고전 학자들은 아마조네스를 그리스 남성들이 만들어낸 허구적인 인물로 간주하기도 한다.[23]
민간어원 중에는 고대 그리스어 ἀ-|아grc와 μαζός|마조스grc를 결합해 ‘가슴이 없는’을 뜻하는 말에서 왔을 거라는 설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로마 제국 시대의 유니아누스 유스티누스도 아마조네스가 가슴을 자르거나 태워서 없앴다고 주장했을 정도로 이 어원설은 오래된 것이다.[116] 하지만 고대 그리스 예술 작품들은 아마조네스의 가슴이 있는 것으로 표현했다.[117][118] Adrienne Mayor|에이드린 메이어영어는 오히려 민간 어원설 때문에 전설의 내용이 바뀌었을 거라고 추정한다.[118][119]
"아마존"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이란계 민족명인 "*ha-mazan-"('전사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단어는 헤시키우스의 주석 "ἁμαζακάραν· πολεμεῖν. Πέρσαι"|하마자카란 · 전쟁을 하다. 페르시아어grc ()에서 파생된 명사에서 유래한 동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여기서 이 단어는 인도-이란어족 어근 "*kar-"('만들다')와 함께 나타난다.[13]
그리스어 단어 ('남편 없는, 남성이 없는', 부정 접두사 α와 "*man-"에서 유래)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햐르마르 프리스크는 이 설명이 "개연성이 낮다"고 보았다. 이란어 "*ama-janah"('남성 살해')를 어원으로 제시하는 설명도 있다.[14]
고대 그리스인들은 "Amazon"이라는 용어를 ἀμαζός|아마조스el(, '가슴 없는')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는 '-a'('없는')와 ('가슴')의 변형어인 에서 유래한다.[15] 이는 마르쿠스 유스티누스가 주장한 아마존들이 오른쪽 유방을 절단하거나 태웠다는 전승과 관련이 있다.[16] 그러나 고대 예술 작품에는 그러한 관습이 나타나지 않는다.[17] 아마존들은 항상 두 개의 유방을 가지고 묘사되지만, 한쪽은 자주 가려져 있다.[18] 필로스트라투스에 따르면, 아마존의 아기들은 오른쪽 가슴으로만 먹였다.[19] 에이드린 메이어는 이 잘못된 어원이 신화로 이어졌다고 제안한다.[17][20]
헤로도토스는 아마존족을 '남성 살해자'(Ἀνδροκτόνες|안드로크토네스grc) 또는 '남성 파괴자'(Ἀνδρολέτειραι|안드롤레이테라이grc)라고 불렀다. '남성과 동등한 자'(Ἀντιάνειραι|안티아네이라이grc)라고도 불렸으며, 아이스킬로스는 '모든 남성을 혐오하는 자들'(Στυγάνωρ|스티가노르grc)이라고 불렀다.
아마존, 아마조네스는 강한 여성을 의미하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96] 또한,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도 그 유역에 여성만의 부족이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96]
3. 역사
헤로도토스는 리키아, 스키타이, 사르마티아를 역사적 후보로 보았으며,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를 지배했던 사우로마타이(사르마티아인의 선조)가 스키타이인과 아마조네스의 결합에서 생겨났다고 주장했다.[24] 그는 또한 리키아인들이 모계 혈통을 따랐다는 점을 들어 이들이 아마조네스의 후손일 수 있다는 생각을 제시했다.
현대 역사 연구는 흑해에서 몽골까지 스텝 지역의 유목민 무덤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여성 전사들이 스키타이와 사르마티아의 말 중심 생활 방식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이 그리스 신화 속 아마조네스에 영감을 주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25][26]
시인 바퀴리데스(기원전 6세기)와 역사가 헤로도토스(기원전 5세기)는 아마존의 고향을 흑해 남쪽 해안의 폰투스 지방, 수도 테미스퀴라를 현대 테르메 시 근처 테르모돈 강(현대 테르메 강) 유역으로 비정했다. 헤로도토스는 일부 아마존족이 스키타이에 살게 된 경위를 설명하며, 이들이 사르마티아인의 선조인 사우로마타이가 되었다고 한다.[2]
스트라본(1세기 BC)은 아마조네스의 원래 고향이 테르모돈 강 유역 평원이었다고 확인했다. 그러나 그의 생애 동안에는 이미 산으로 후퇴했다고 하며, 다른 저술가들은 아마조네스가 카프카스 산맥 북쪽 기슭에 사는 갈가레아인 부족과 경계를 이루며 재정착했다고 주장한다. 아마조네스와 갈가레아인은 봄 두 달 동안 일 년에 한 번 비밀리에 만나 아이를 낳았으며, 모든 여성은 아마조네스 자신들이 보유했고, 남성은 갈가레아인에게 돌려보냈다.[33]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볼시족 여전사 카밀라 묘사는 아마존 신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필로스트라투스는 ''영웅담(Heroica)''에서 미시아 여성들이 남성들과 함께 말을 타고 싸웠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아마존 여전사들의 모습과 같다. 아마존 여전사들은 아킬레우스의 유골이 테티스에 의해 안치된 레우케 섬을 공격하는 원정을 감행하기도 했다.[18] 베르길리우스는 그의 서사시 아이네이스(기원전 20년경)에서 아마존 여전사들과 그들의 여왕 펜테실레이아에 대해 언급한다.
전기 작가 수에토니우스는 ''카이사르열전''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아마존 여전사들이 한때 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다”고 말했다고 전한다. 아피아누스는 기원전 71년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의 테미스퀴라 공방전에 대한 기록에서 테미스퀴라와 그 요새에 대한 생생한 묘사를 제공한다.[46][47][36] 아마존 신화는 기원전 7세기 이집트의 역사적 인물들과 관련된 두 개의 파편화된 버전으로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아마존족의 전설은 대항해시대의 기반이 된 여러 탐험 기록에도 등장한다.[97]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존 만데빌의 『동방여행기』, 『프레스터 존의 서간』 등에도 아마존족이 등장한다. 신대륙 발견 후 출판된 기사도 소설에는 전설의 “캘리포니아 섬”을 다스리는 아마조네스 여왕과 그녀의 왕국의 보물을 묘사했다. 이 작품이 아마조네스족과 금은 보물을 연결시켰다.[99] 아마존 강을 따라 항해하던 탐험가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는 아마존족과 전투를 벌였다고 한다.[100] 또한 오레야나는 사로잡은 원주민으로부터 아마존족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101] 현대 연구자들에 따르면, 오레야나가 포로로 잡힌 원주민으로부터 들은 아마존족의 어휘와 잉카 제국에서 사용되던 케추아어 어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고 하나,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103] 20세기 초, 탐험가 퍼시 포셋은 아마존 지역의 타파조스 강을 탐험하는 동안 여성 지도자가 이끄는 종족을 실제로 만났다.[104]
3. 1. 신화 속 아마조네스
아마존은 기원전 12세기 트로이 전쟁 시기에 흑해 연안의 폰토스 지역에 있었던 여인 왕국이다. 헤라클레스가 모험 중에 히폴리테 여왕을 욕보인 데다 테세우스가 히폴리테의 동생 안티오페를 납치했기 때문에, 그리스에 대한 적개심을 불태우던 아마조네스 전사들은 그리스 연합군이 트로이를 공격하자 그리스군에 맞서 용맹하게 싸웠다.[120]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마조네스가 실존했거나 실존했었다는 사실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 영웅들은 그들의 무술 사회의 여왕들과 만나 싸웠다. 그러나 그들의 원래 고향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문명화된 세계 너머의 불분명한 땅으로 여겨졌다.[22]
신화에 따르면, 최초의 아마존 여왕인 오트레라는 전쟁의 신 아레스와 님프 하르모니아(아크모니아 숲의) 사이에서 태어난 반신반인이다.[27][28][29]
초기 기록에는 트로이 전쟁 이전(기원전 1250년 이전)에 아마조네스가 등장하는 두 가지 사건이 언급되어 있다.
알렉산더 대왕의 전기 작가들에 의해서도 언급되는데, 그들은 여왕 탈레스트리스가 알렉산더 대왕에게서 아이를 낳았다고 전한다 (''알렉산더 로망스''의 이야기).[43] 그러나 알렉산더의 다른 전기 작가들은, 명성이 높은 플루타르코스를 포함하여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44]
여러 자료에서는 아마존족의 여왕으로 불리는, 심지어 왕조의 수장으로 여겨지는 개별 아마존 여전사들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헤라클레스는 12과업 중 하나로 아마조네스의 여왕 히폴뤼테가 소유한 아레스의 띠를 가져와야 했다. 헤라클레스는 히폴뤼테에게 속았다고 생각하여 변명하는 그녀를 죽이고 띠를 빼앗았다. 나중에 그것이 오해였음을 알았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아마존이 한때 뤼키아 근처까지 세력을 뻗었으나, 벨레로폰과 프리아모스에 의해 격퇴되었다.
트로이 전쟁에서 아마존은 트로이아(이리오스) 측에 붙었다. 이는 여왕 펜테실레이아가 테세우스와의 전투에서 실수로 전 여왕 힙폴뤼테를 죽여, 그 속죄를 위해서였다고 한다. 아마존은 여왕 펜테실레이아의 지휘 아래 용감히 싸웠으나, 여왕은 아킬레우스에게 쓰러진다. 아킬레우스는 죽어가는 펜테실레이아의 아름다움에 반해 사랑에 빠지고, 그녀를 죽인 것을 슬퍼했다고 한다.
3. 2. 역사 속 아마조네스
아마조네스는 기원전 12세기 트로이아 전쟁 시기에 흑해 연안의 폰토스 지역에 있었던 여인 왕국이다. 헤라클레스가 모험 중에 히폴리테 여왕을 욕보인 데다 테세우스가 히폴리테의 동생 안티오페를 납치했기 때문에, 그리스에 대한 적개심을 불태우던 아마조네스 전사들은 그리스 연합군이 트로이를 공격하자 이에 맞서 용맹하게 싸웠다. 아마존 왕국의 강력한 저항에 놀란 그리스 연합군은 후퇴하는 척하다가 목마를 이용한 위장 전술을 성공시켜 겨우 승리했고, 그 와중에 아마존 왕국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20]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마조네스가 실존했거나 실존했었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 영웅들은 그들의 무술 사회의 여왕들과 만나 싸웠으나, 그들의 원래 고향은 문명화된 세계 너머의 불분명한 땅으로 여겨졌다.[22] 많은 고전 학자들은 아마조네스를 그리스 남성들이 “반여성”으로 묘사하거나 페르시아인을 상징하기 위해 만들어낸 허구적인 인물로 간주한다.[23] 헤로도토스는 리키아, 스키타이, 사르마티아를 가장 명백한 역사적 후보로 보았으며, 그의 역사(기원전 5세기)에서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의 땅을 지배했던 사우로마타이(사르마티아인의 선조)가 스키타이인과 아마조네스의 결합에서 생겨났다고 주장한다.[24]
헤로도토스는 소아시아 남서부의 리키아인들이 모계 혈통의 규칙, 덕목, 지위를 따랐다고 하며, 이러한 점이 그에게 이 사람들이 신화 속 아마조네스의 후손이라는 생각을 떠올리게 했다.
현대의 역사 연구는 흑해에서 몽골까지 스텝 지역의 1,000개가 넘는 유목민 무덤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에 의존한다. 무기와 함께 매장된 전투의 흔적이 있는 여성 해골의 발견은 여성 전사들이 스키타이와 사르마티아의 말 중심 생활 방식의 산물이었음을 증명하지만, 이들이 그리스 신화의 아마조네스에 대한 영감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25][26]
시인 바퀴리데스(기원전 6세기)와 역사가 헤로도토스(기원전 5세기)는 아마존의 고향을 흑해 남쪽 해안의 폰투스 지방으로, 수도 테미스퀴라를 현대 테르메 시 근처 테르모돈 강(현대 테르메 강) 유역으로 위치시켰다. 헤로도토스는 일부 아마존족이 스키타이에 살게 된 경위를 설명하며, 테르모돈 강에서 아마존족을 물리치고 귀환하던 그리스 함대에 있던 아마존 포로들이 탈출하여 스키타이 해안에 상륙, 스키타이인들과 동화되어 사르마티아인의 선조인 사우로마타이가 되었다고 한다.[2]
스트라본(1세기 BC)은 테르모돈 강 유역 평원에 아마조네스의 원래 고향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그의 생애 동안에는 이미 사라져 산으로 후퇴했다고 하며, 다른 저술가들은 아마조네스가 카프카스 산맥 북쪽 기슭에 사는 갈가레아인 부족과 경계를 이루며 재정착했다고 주장한다. 아마조네스와 갈가레아인은 봄 두 달 동안 일 년에 한 번 비밀리에 만나 아이를 낳았으며, 모든 여성은 아마조네스 자신들이 보유했고, 남성은 갈가레아인에게 돌려보냈다.[33] 기원전 5세기 시인 마그네스는 아마조네스와의 기병전에서 리디아인의 용감함을 노래했다.[34][35][38]
베르길리우스의 작품 ''아이네이스''에서 볼시족 여전사 카밀라의 묘사는 아마존 신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필로스트라투스는 ''영웅담(Heroica)''에서 미시아 여성들이 남성들과 함께 말을 타고 싸웠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아마존 여전사들의 모습과 같다. 아마존 여전사들은 아킬레우스의 유골이 테티스에 의해 안치된 레우케 섬을 공격하는 원정을 감행하기도 했다.[18] 베르길리우스는 그의 서사시 아이네이스(기원전 20년경)에서 아마존 여전사들과 그들의 여왕 펜테실레이아에 대해 언급한다.
전기 작가 수에토니우스는 그의 작품 ''카이사르열전''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아마존 여전사들이 한때 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다”고 말했다고 전한다. 아피아누스는 기원전 71년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의 테미스퀴라 공방전에 대한 기록에서 테미스퀴라와 그 요새에 대한 생생한 묘사를 제공한다.[46][47][36]
아마존 신화는 기원전 7세기 이집트의 역사적 인물들과 관련된 두 개의 파편화된 버전으로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집트 왕자 '페테콘시스(Petechonsis)'와 동맹을 맺은 아시리아 군대는 인도 국경에 있는 중동의 '여성의 땅(Land of Women)'에 대한 공동 원정을 감행했다. '페테콘시스'는 처음에는 아마존 여전사들과 싸웠지만, 곧 그들의 여왕 '사르포트(Sarpot)'와 사랑에 빠져 침략해 온 인도 군대에 맞서 그녀와 동맹을 맺었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집트에서 독자적으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8][49]
여러 자료에서는 아마존족의 여왕으로 불리는 개별 아마존 여전사들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아마존 여왕들은 다음과 같다.
남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스텝 지대에 있는 쿠르간(kurgans) 매장지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아마존족에 대한 이야기가 현실의 핵심을 담고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수많은 고위급 스키타이와 사르마티아 여성 전사의 무덤에서 발견된 다양한 전쟁 무기 유물은 학자들로 하여금 아마존 전설이 실제 세계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결론을 내리게 했다. 돈 강 하류와 볼가 강 하류의 전사 무덤 중 약 20%는 남성과 유사하게 전투복을 입은 여성의 유해를 포함하고 있었다. 사르마티아 군사 매장지의 최대 25%는 무장한 여성의 유해였다. 러시아 고고학자 베라 코발레프스카야는 스키타이 남성들이 해외에서 싸우거나 사냥을 할 때 여성들이 자신, 가축, 목초지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어야 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79]
20세기 초 미노아 문명 고고학에서 루이스 리처드 파넬과 존 마이어스의 논문에서 미노아 문명에서 아마존의 기원에 대한 이론이 제기되었다. 마이어스에 따르면, 추정되는 아마존 숭배 의식의 증거에 비추어 해석된 전통은 매우 유사했으며, 심지어 미노아 문화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80]
신화에서는 전쟁의 신 아레스(Ares)와 님프 하르모니아(Harmonia)를 조상으로 하는 부족으로, 당시 그리스인들에게는 북방의 미개한 땅 카프카스(카우카소스), 스키타이(스큐티아), 트라키아(트라키아) 북부 등 흑해 연안에 살았다고 여겨졌다.[93]
아마존은 아나톨리아(소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 살았던 실존했던 모계 부족을 그리스인들이 과장하여 묘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란계 유목민족 스키타이(스큐티아)에서는 여성의 지위가 높았고 여성들도 전투 훈련을 받았다.[94] 기원전 4세기경 돈강 동쪽에서 온 사르마타이에게 서쪽으로 밀려났다고 한다.[95] 사르마타이에도 여성 전사가 있었고, 히포크라테스에 따르면, 처녀 시절에는 전사로서 말을 타고 활과 창으로 싸워 적을 세 명이나 베면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다고 한다.[94]
아마존은 말을 길들여 전투에 능한 사냥 부족으로, 최초로 말을 길들였다고도 하며, 기마민족이었던 것 같다. 아마존은 활 외에도 창, 도끼, 스키타이(스큐티아)풍의 반달형 방패로 무장한 기사로서 그리스 신화의 많은 전투에 참여했다.
기본적으로 여성으로만 구성된 사냥 부족이며, 아이를 낳을 때는 다른 부족의 남성과 관계를 맺었다.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죽이거나, 장애를 입혀 노예로 삼거나, 또는 아버지에게 맡기고, 여자아이만 후계자로 키웠다고 한다.
회화에서는, 옛날에는 스키타이풍 레오타드와 같은 민족 의상을 입은 이국인으로 묘사되었지만, 후대에는 도리아인풍의 한쪽 소매가 없는 키톤을 입은 모습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아마존의 어원은, 활 등의 무기를 사용할 때 오른쪽 가슴(주로 오른쪽 가슴)이 방해가 되므로 잘라냈기 때문에, "a" (부정) + "mazos" (가슴) = 가슴이 없는 자라고 불렸다는 설이 있다.[93] 하지만 이것은 최근에는 민간 어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모든 아마존이 오른쪽 가슴을 잘라냈던 것은 아니다.
아마존, 아마조네스는 강한 여성을 의미하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96] 또한,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도 그 유역에 여성만의 부족이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96]
아마존족의 전설은 대항해시대의 기반이 된 여러 탐험 기록에도 등장한다.[97]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따르면, 그들의 왕국은 케스마콜란 왕국의 남쪽에 있다고 한다. 존 만데빌의 『동방여행기』에서는 아마존족의 나라는 바다로 둘러싸인 섬나라라고 설명한다.
전설적인 기독교 군주 “프레스터 존”이 다스리는 동방의 왕국을 상세히 묘사한 『프레스터 존의 서간』이라는 책에도 아마존족이 등장한다.[98]
신대륙 발견 후 출판된 기사도 소설에는 전설의 “캘리포니아 섬”을 다스리는 아마조네스 여왕과 그녀의 왕국의 보물을 묘사했다. 이 작품이 아마조네스족과 금은 보물을 연결시켰다.[99]
아마존 강을 따라 항해하던 탐험가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는 아마존족과 그들이 이끄는 원주민 부대와 전투를 벌여 7명 또는 8명의 아마존족 여성 지도자를 살해했다고 한다.[100] 또한 오레야나는 사로잡은 원주민으로부터 아마존족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아마존 강에서 며칠 동안 내륙으로 들어가면 아마조네스족의 영토가 있으며, 돌로 지은 건물에 살면서 주변 부족들을 지배하고 있다고 한다.[101] 또한 그들의 도시에는 금과 은으로 만든 여성 조각상과 기타 다양한 보물이 보관되어 있는 “태양의 집”이 5채 있다고 한다.[102]
현대 연구자들에 따르면, 오레야나가 포로로 잡힌 원주민으로부터 들은 아마존족의 어휘와 잉카 제국에서 사용되던 케추아어 어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고 하나,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103]
20세기 초, 탐험가 퍼시 포셋은 아마존 지역의 타파조스 강을 탐험하는 동안 여성 지도자가 이끄는 종족을 실제로 만났다.[104]
4. 문화
기원전 550년경부터 항아리에 아마존을 대담한 전사이자 기마 전사로 묘사한 그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 이후 "아마존 전투 - 아마조노마키"는 도자기의 인기 있는 모티브가 되었다. 기원전 6세기까지 공공 및 사적으로 전시된 작품들은 파르테논 신전과 같은 중요한 건물들을 장식한 박공 부조, 석관, 모자이크, 도자기, 보석류, 심지어 기념비적인 조각상에 이르기까지 아마존 이미지를 사용했다. 아마존 모티브는 로마 제국 시대와 후기 고대까지 인기를 유지했다.[69]
아마존의 열정적인 여성성을 적들의 남성성과 대조적으로 표현하려는 예술적 욕구 외에도,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예술에서 아마존의 인기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사회적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한다. 그리스와 로마 사회는 공통적으로 가진 적에 맞서 싸우기 위한 문학적, 예술적 수단으로 아마존 신화를 활용했다. 아마존의 형이상학적 특징은 자연과 종교 모두의 의인화로 여겨졌다. 버질, 스트라보, 플리니우스, 쿠르티우스, 플루타르크, 아리아누스, 파우사니아스와 같은 로마 작가들은 아마존 신화가 로마인의 기원과 정체성 창조에 대한 논의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국가의 위대함을 옹호했다.[70][71][72]
르네상스 유럽에서는 예술가들이 기독교 윤리에 따라 아마존을 재평가하고 묘사하기 시작했다.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여왕은 통치 기간 동안 아마존 전사의 특성과 관련이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묘사되었다. 그러나 빈프리드 슐라이너의 ''Divina Virago''에서 설명된 것처럼, 셀레스트 T. 라이트는 르네상스 시대에 아마존이 가지고 있던 나쁜 평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시했다. 그녀는 엘리자베스 시대 사람들이 여왕을 아마존에 비유한 것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여성의 참정권과 관련된 아마존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을 망설였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것은 경멸할 만한 것으로 여겨졌다.[73]
피터 폴 루벤스와 얀 브뤼겔은 1598년경에 아마존 전투를 묘사했는데, 이는 "가장 극적인 바로크 회화"였으며, 그 뒤를 이어 요한 게오르크 플라처가 그린 "아마존 전투"라는 제목의 로코코 시대 회화가 있다. 19세기 유럽 낭만주의에서 독일의 예술가 안셀름 파이어바흐도 아마존을 다루었다.[75]
중세 시대의 보르지아 벨레트리 지도에는 활과 화살, 창과 방패를 든 여성들의 그림이 있으며, "옛날 저명한 여성들의 땅"이라는 설명과 함께 "에딜루스 플루비우스 막시무스"(볼가 강)의 북쪽(지도 아래쪽)에 위치한다.[76][77] 중세 시대의 프라 마우로 지도에는 라는 지역이 중부 볼가 지역에 위치한다.[78]
1826년 오스만-이집트 마니 침략 중 디로스 전투에서 마니의 여성들은 오스만 군대를 물리쳤고, 이 때문에 '디로스의 아마존 여전사들'이라는 이름을 얻었다.[83] 1936년부터 1939년까지 나치 독일에서는 '아마존의 밤'(''Nacht der Amazonen'')이라는 연례 선전 행사가 뮌헨의 님펜부르크 궁전 공원에서 개최되었다.[84]
러시아의 장군이자 정치가인 그리고리 포템킨은 당시 러시아 여제였던 예카테리나 2세의 총애를 받으며 1787년에 아마존 여단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발라클라바의 그리스 대대 병사들의 아내들과 딸들로 구성되었다.
'''미노'''(Mino) 또는 '''미논'''(Minon)(''우리 어머니들'')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다호메이 왕국(현재 베냉)의 여성으로만 구성된 공식 군대였다. 18세기 초부터 여성들은 전투 배치 시 군대 규모를 늘리기 위해 군대에 합류했지만, 여성들이 전투에서 용감하고 효과적임을 증명하자 정규 부대가 창설되었다. 이 여성들에게서 아마존과 같은 신체적, 정신적 특징을 감지했다고 주장하는 서구 관찰자들은 다호메이 아마존이라는 별명을 붙였다.[90]
1905년부터 1913년까지, 과격한 여권 운동가들은 책과 신문 기사에서 종종 "아마조네스"로 불렸다.[91] 우크라이나에서는 카테리나 타르노프스카가 아스가르다라는 집단을 이끌고 있는데, 이 집단은 자신들을 새로운 아마조네스 부족이라고 주장한다. 타르노프스카는 아마조네스가 우크라이나 여성들의 직계 조상이라고 믿고 있으며, 전투 호팍이라는 다른 형태의 격투를 기반으로 하되 자기 방어에 특히 중점을 둔 여성 전용 무술을 그녀의 집단을 위해 만들었다.[92] 해왕성 트로이군 소행성은 해왕성 궤도의 60° 앞이나 뒤에 위치하며, 각각 그리스 신화의 아마존 여전사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4. 1. 문학
퀸투스 스미르나이우스는 그의 저서 《포스트호메리카》에서 펜테실레이아의 부하 전사들로 클로니에, 폴레무사, 데리노에, 에반드레, 안탄드레, 브레무사, 히포토에, 하르모토에, 알키비에, 데리마케이아, 안티브로테, 테르모도사를 언급한다.[50]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헤라클레스가 히폴리테의 허리띠를 구하는 동안 그에게 도전하여 전사한 아마존 여전사 12명 (아엘라, 필리피스, 프로토에, 에리보이아, 켈라이노, 에우리비아, 포이베, 데이아네이라, 아스테리아, 마르페, 테크메사, 알키페)을 열거하고, 헤라클레스가 멜라니페를 석방한 사실을 언급한다.
디오도로스는 리비아에서 군사 원정을 지휘한 여왕 미리나와 그녀의 여동생 미틸레네를 언급하며, 미리나가 키메, 피타네, 프리에네를 세웠다고 말한다.
유스티누스와 파울루스 오로시우스는 마르페시아와 람페도 여왕, 오리튀이아, 안티오페, 멜라니페, 히폴리테, 펜테실레이아를 언급한다.[51][52][53]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는 히폴리테, 오트레라, 안티오페, 펜테실레이아 외에 오키알레, 디옥시페, 이피노메, 크산테, 히포토에, 라오마케, 글라우케, 아가베, 테세이스, 클리메네, 폴리도라가 언급된다.
아레스의 배우자이자 히폴리테와 펜테실레이아의 어머니인 오트레라 여왕은 에페소스에 아르테미스 신전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54][55]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락쿠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는 에우리알레, 하르페, 뤼케, 메닙페, 토에가 등장한다. 뤼케는 《라틴 안토로지아》에도 등장한다.[56]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헤라클레스와의 전투에서 사망한 아마존 여전사들을 "그들 민족 중 가장 저명한 자들"이라고 묘사하며, 이들을 티바이스라는 지명과 연결시킨다.[57] 스테파누스가 언급한 아마존 여전사들은 키메, 스미르나, 아마스트리스와 같은 소아시아 도시들의 창시자가 되었다.[58][59]
요르다네스는 《게티카》에서 고트족 여성들이 마르페시아의 지휘 아래 아시아를 침략했다고 주장한다. 마르페시아의 여동생 람페도는 고향을 지키기 위해 유럽에 남았다.
12세기 중세 서사시 《디게네스 아크리타스》에서 비잔틴 국경의 영웅은 아마존 여전사 막시모와 싸운다.[60][61]
요한 츠체스는 《포스트호메리카》에서 트로이에서 전사한 20명의 아마존 여전사들을 열거한다. 안티아네이라, 안드로마케, 히포토에를 제외한 17명의 이름은 톡소포네, 톡소아나사, 고르티에사, 이오도케, 파레트레, 안드로, 이옥세이아, 오이스트로페, 안드로다이카, 아스피도카르메, 엔케시마르고스, 크네미스, 토레케, 칼카오르, 에우릴로페, 헤카테, 안키마케이다.[62]
존 만데빌은 그의 책에서 아마존 여전사들을 언급하며, 그들의 왕국에는 여성만 있다고 말한다.[63]
중세 및 르네상스 작가들은 아마존 여전사들에게 전투 도끼의 발명을 돌린다.
아리오스토의 《오를란도 퓨리오소》에는 오론테아 여왕이 통치하는 여성 전사들의 나라가 나온다.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의 "기사의 이야기"에도 아마존 여전사들과 히폴리테 여왕이 언급된다.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는 아마존 강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만난 부족의 이름을 따서 강의 이름을 지었다.[64][65][66][67]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와 월터 롤리의 기록에도 아마존 여전사들이 등장한다.[68]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한여름밤의 꿈》과 《두 명문가의 친족》에 등장한다.
아마존 여왕 펜테실레이아는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희곡 《펜테실레이아》의 중심에 있다.
스티븐 프레스필드의 소설 《마지막 아마존》은 테세우스가 여왕 안티오페를 납치하는 이야기를 다룬다.[85]
윌리엄 멀턴 마스턴은 DC 코믹스의 슈퍼히로인 원더우먼을 통해 아마존을 재해석했다.[86]
릭 리어던의 《올림푸스의 영웅들》에서 아마존들은 아마존 기업의 설립자이자 소유주로 등장한다.
필립 암스트롱의 《투필루리우마 연대기》에서 아마존들은 Am'azzi로 등장한다.
스티그 라르손의 소설 《벌집을 건드린 소녀》에서 아마존들은 전환 주제로 등장한다.
가르시 로드리게스 데 몬탈보는 캘리포니아 섬의 여왕 칼라피아를 창조했다.
아마존 가존가는 월트립 형제가 만든 만화 시리즈이다.
GastroPhobia는 데이지 맥과이어의 웹코믹이다.
4. 2. 게임
2014년 6월 24일 출시된 모바일 액션 RPG 《여신전설 아마조네스》는 요마들의 폭주를 제압하기 위해 승리의 여신 '아마조네스'가 나타나 아카드 왕국을 수호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21][122]아마존은 ''디아블로'', ''히어로즈 언리미티드'', ''에일리언즈 언리미티드'', ''아마존: 이든의 수호자'', ''아마존 여왕의 비행'', ''토탈 워 사가: 트로이'', ''로마: 토탈 워'', ''파이널 판타지 IV'', ''에이지 오브 원더스: 플래닛폴'', ''젤다의 전설'' 시리즈 및 ''유희왕'' 게임과 같은 롤플레잉 및 비디오 게임에 등장한다.
4. 3. 영화 및 TV
카자흐스탄 영화사 "카자흐필름(Kazakhfilm)"은 2019년 말에 영화 토미리스를 개봉했다. 알미라 투르신이 토미리스 역을 맡았다.[87][88] 영화에서 그녀 부족의 여자들은 결혼 허락을 받기 위해 적의 머리를 몇 개 가져와야 했다.여러 타잔 영화 시리즈에는 아마존 부족이 등장한다 (''타잔과 아마존(Tarzan and the Amazons)'', ''정글의 제왕 타잔(Tarzan, Lord of the Jungle)''). 애니메이션 시리즈 ''황금도시의 전설(The Mysterious Cities of Gold)''에서도 아마존 부족이 두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1980년 영화 ''9 to 5''의 후기에는 프랭클린 하트가 브라질 정글에서 컨솔리데이티드 컴퍼니즈 이사회 의장 러셀 틴스워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아마존 부족에게 납치당했다고 언급되어 있다.[89]
아마존족은 ''헤라클레스의 사랑(The Loves of Hercules)'' (1960), ''아마존 전투(Battle of the Amazons)'' (1970), ''전쟁의 여신(War Goddess)'' (1973), ''훈드라(Hundra)'' (1983), ''아마존(Amazons)'' (1986), ''데스스토커 II(Deathstalker II)'' (1987), ''로날 더 바바리안(Ronal the Barbarian)'' (2011), ''헤라클레스(Hercules)'' (2014)와 DC 확장 유니버스 영화: ''원더우먼(Wonder Woman)'' (2017), ''저스티스 리그(Justice League)'' (2017), ''원더우먼 1984(Wonder Woman 1984)'' (2020),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Zack Snyder's Justice League)'' (2021) 등의 영화에 등장한다.
''헤라클레스: 전설의 여정(Hercules: The Legendary Journeys)'', ''젊은 헤라클레스(Young Hercules)'', ''카오스(Kaos)'', ''젠나: 전사 공주(Xena: Warrior Princess)'', ''숨겨진 도시의 전설(The Legend of the Hidden City)'', ''헌틱: 비밀과 추구자들(Huntik: Secrets & Seekers)'', ''슈퍼내추럴(Supernatural)'' 등의 텔레비전 시리즈에서도 아마존족이 등장한다.
4. 4. 기타
오늘날 터키 삼순 주의 삼순시에는 아마존 여전사들의 유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학문적 연구와 관광을 장려하기 위해 '아마존 마을' 박물관이 있다.[81][82]1826년 오스만-이집트 마니 침략 중 디로스 전투에서 마니의 여성들은 오스만 군대를 물리쳤고, 이 때문에 '디로스의 아마존 여전사들'이라는 이름을 얻었다.[83]
1936년부터 1939년까지 나치 독일에서는 '아마존의 밤'(''Nacht der Amazonen'')이라는 연례 선전 행사가 뮌헨의 님펜부르크 궁전 공원에서 개최되었다.[84] '뮌헨-리엠 국제 경마 주간'의 야간 하이라이트로 발표된 이 행사에서는 SS 기병대의 상의를 벗은 쇼걸 2,500명과 국제적인 손님들이 야외 레뷔 공연을 펼쳤다.
러시아의 장군이자 정치가인 그리고리 포템킨은 당시 러시아 여제였던 예카테리나 2세의 총애를 받으며 1787년에 아마존 여단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발라클라바의 그리스 대대 병사들의 아내들과 딸들로 구성되었다.
'''미노'''(Mino) 또는 '''미논'''(Minon)(''우리 어머니들'')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다호메이 왕국(현재 베냉)의 여성으로만 구성된 공식 군대였다. 18세기 초부터 여성들은 전투 배치 시 군대 규모를 늘리기 위해 군대에 합류했지만, 여성들이 전투에서 용감하고 효과적임을 증명하자 정규 부대가 창설되었다. 이 여성들에게서 아마존과 같은 신체적, 정신적 특징을 감지했다고 주장하는 서구 관찰자들은 다호메이 아마존이라는 별명을 붙였다.[90]
1905년부터 1913년까지, 과격한 여권 운동가들은 책과 신문 기사에서 종종 "아마조네스"로 불렸다.[91]
우크라이나에서는 카테리나 타르노프스카가 아스가르다라는 집단을 이끌고 있는데, 이 집단은 자신들을 새로운 아마조네스 부족이라고 주장한다.[92] 타르노프스카는 아마조네스가 우크라이나 여성들의 직계 조상이라고 믿고 있으며, 전투 호팍이라는 다른 형태의 격투를 기반으로 하되 자기 방어에 특히 중점을 둔 여성 전용 무술을 그녀의 집단을 위해 만들었다.[92]
해왕성 트로이군 소행성은 해왕성 궤도의 60° 앞이나 뒤에 위치하며, 각각 그리스 신화의 아마존 여전사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Amazons Were More Than A Myth: Archaeological And Written Evidence For The Ancient Warrior Women
https://allthatsinte[...]
ATI
2021-01-10
[2]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1-12
[3]
웹사이트
AMAZONS
http://www.maicar.co[...]
maicar
2021-01-08
[4]
웹사이트
Die Amazonen : ein Beitrag zur unbefangenen Prüfung und Würdigung der ältesten Überlieferungen
https://www.digitale[...]
Reader digitale sammlungen
2021-01-08
[5]
웹사이트
The Fierce Amazon Warrior Women – What's Real and What's Myth
https://www.thevinta[...]
Vintage news
2021-01-10
[6]
웹사이트
Amazon Women
https://www.worldhis[...]
2021-01-08
[7]
서적
On Unbelievable Tales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1996-01-01
[8]
서적
Classical Mythology: A Guide to the Mythical World of the Greeks and Rom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4-26
[9]
서적
Paradoxographoi [romanized]: Scriptores rerum mirabilium graeci. Insunt (Aristotelis) Mirabiles auscultationes; Antigoni, Apollonii, Phlegontis Historiae mirabiles, Michaelis Pselli Lectiones mirabiles, reliquorum eiusdem generis scriptorum deperditorum fragmenta . Accedunt Phlegontis Macrobii et Olympiadum reliquiae et anonymi tractus De mulieribus, etc
https://books.google[...]
sumptum fecit G. Westermann
[10]
잡지
Amazon Warriors Did Indeed Fight and Die Like Men
http://news.national[...]
2016-09-13
[11]
웹사이트
The Amazon Women: Is There Any Truth Behind the Myth?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Institution
2016-09-14
[12]
뉴스
Tomb with Three Generations of 'Amazon' Warrior Women Found in Russia
https://www.haaretz.[...]
2020-01-02
[13]
서적
The Early Amazons: Modern and Ancient Perspectives on a Persistent Myth
https://books.google[...]
BRILL
[14]
문서
2005
[15]
웹사이트
amazon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the name amazon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3-11-13
[16]
서적
L'homme préhistorique est aussi une femme
https://books.google[...]
Allary éditions
2020-10-01
[17]
뉴스
The Amazons: Lives &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by Adrienne Mayor, book review
https://www.independ[...]
2015-04-06
[18]
백과사전
Amazons
[19]
웹사이트
Flavius Philostratus, On Heroes
https://chs.harvard.[...]
The Center for Hellenic Studies
2021-01-10
[20]
뉴스
The Amazons - Adrienne Mayor
BBC Radio Four
2015-04-06
[21]
웹사이트
Διονυσιακά/36 - Βικιθήκη
https://el.wikisourc[...]
[22]
학술지
Greek Attitudes towards Women: The Mythological Evidence
https://www.jstor.or[...]
jstor
2021-02-02
[23]
웹사이트
Amazons
https://oxfordre.com[...]
2024-12-04
[24]
서적
Classical Myth on Scree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4-08
[25]
웹사이트
The real Amazons: how the legendary warrior women inspired fighters and feminists
https://www.historye[...]
BBC History Magazine
2021-02-04
[26]
웹사이트
Amazon Warriors Did Indeed Fight and Die Like Men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21-02-04
[27]
웹사이트
HARMONIA
https://www.theoi.co[...]
Theoi
2021-01-14
[28]
웹사이트
ARES FAMILY - Greek Mythology
https://www.theoi.co[...]
theoi com
2021-01-08
[29]
웹사이트
AMAZONS
https://www.historyn[...]
Historynet
2021-01-08
[30]
웹사이트
BELLEROPHON IN GREEK MYTHOLOGY - Bellerophon and the Amazons
https://www.greekleg[...]
Greek legends and myths
2021-02-01
[31]
웹사이트
Epic Cycle
https://www.livius.o[...]
Livius org
2021-01-13
[32]
웹사이트
The Amazon Myth in Western Literature
https://digitalcommo[...]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 Mechanical College
2021-02-01
[33]
웹사이트
Reading on Amazons
http://faculty.washi[...]
University of Washington
2021-01-13
[34]
웹사이트
Suda Encyclopedia
https://topostext.or[...]
Topostext
2021-02-01
[35]
서적
Women in Ancient Greece p. 60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From Artemis to Diana: The Goddess of Man and Beast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37]
서적
Centaurs and Amazons: Women and the Pre-History of the Great Chain of Be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07-01
[38]
웹사이트
Boston 98.916 (Vase), from the Vulci necropolis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21-02-04
[39]
서적
Religious Cults Associated With the Amazons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40]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9-22
[41]
웹사이트
Eusebius' Chronicle
http://www.attalus.o[...]
Attalus
2021-02-02
[42]
웹사이트
Strategemata Polyaenus Macedo - Melber and Woelfflin, Teubner, 1887
http://cts.perseids.[...]
Read Greek
2021-02-02
[43]
문서
Alexander Romance
http://www.attalus.o[...]
[44]
문서
Life of Alexander
https://penelope.uch[...]
[45]
문서
Tamid 32a
[46]
웹사이트
The Siege of Themiscyra
https://thelastdiado[...]
The last Diadoch
2021-02-01
[47]
서적
Lucullus: The Life and Campaigns of a Roman Conqueror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2017-09-30
[48]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9-22
[49]
서적
Anthologie der demotischen Literatur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50]
웹사이트
QUINTUS SMYRNAEUS 1 -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Theoi
2021-02-06
[51]
문서
Scholia on Pindar, Nemean Ode 3. 64
[52]
웹사이트
Justinus: Epitome of Pompeius Trogus' Philippic Histories 2.4
http://www.attalus.o[...]
2020-05-10
[53]
문서
Historiae adversus paganos
http://www.thelatinl[...]
[54]
문서
Apollodorus, Bibliotheca E5. 1
[55]
문서
Argonautica
[56]
웹사이트
VALERIUS FLACCUS 1
https://www.theoi.co[...]
Theoi
2021-02-06
[57]
학술지
From Political Architecture to Stephanus Byzantius. Sources for the study of the ancient Greek polis
https://brill.com/vi[...]
Brill
2021-02-02
[58]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Walton
1844-04-26
[59]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topography: Pass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09-30
[60]
학술지
Digenis Akritis, the Two-Blood Border Lord.pdf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1-02-03
[61]
서적
Digenis Akritis: The Grottaferrata and Escorial Vers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5-07
[62]
문서
Posthomerica
[63]
서적
The Travels of Sir John Mandeville
Dover publications
[64]
웹사이트
New Frog Species Named After Fabled Female Warriors
https://www.national[...]
2021-01-27
[65]
서적
Lendas e mitos do Brasil
Companhia Editora Nacional
[66]
서적
Lendas
http://chiaroscuro-s[...]
Chiaroscuro Studios
[67]
서적
Lendas
http://chiaroscuro-s[...]
Chiaroscuro Studios
[68]
웹사이트
Amazon Riv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2-04
[69]
웹사이트
Amazons in Art
https://www.amazonat[...]
Amazonation
2021-02-03
[70]
웹사이트
Die Amazonen zwischen Mythos und Realität - Auf den Spuren Penthesileias
https://www.wissensc[...]
Wissenschaft DE
2021-01-17
[71]
웹사이트
The Amazon in Greek Art
https://pdxscholar.l[...]
Portland State University
2021-02-03
[72]
웹사이트
Roman Interpretations of the Amazons through Literature and Art
https://www.ancient.[...]
Ancient EU
2021-02-03
[73]
논문
"Divina Virago": Queen Elizabeth as an Amazon
https://www.jstor.or[...]
Jstor
2021-02-03
[74]
서적
De rebus Britannicis collectanea, vol. 2
https://archive.org/[...]
London
[75]
서적
German Masters of the Nineteenth Century: Paintings and Drawings from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s://libmma.cont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76]
웹사이트
An account of a copy from the 15th century of a map of the world engraved on metal
https://babel.hathit[...]
2024-10-22
[77]
웹사이트
Cardinal Borgia's Unusual Map of the World {{!}} Worlds Revealed
https://blogs.loc.go[...]
2024-10-03
[78]
논문
The Western Trail of the "Kazan Dragon"
https://mse.msu.ru/w[...]
[79]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0]
서적
Anthropology and the Classics: Six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University of Oxford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81]
웹사이트
ourney to the Black Sea village of the Amazons
http://www.u-strasse[...]
Route nach Unbekannte Straße
2014-09-27
[82]
웹사이트
Village of Amazons to be recreated in Samsun park
http://www.todayszam[...]
Today's Zaman
2010-06-10
[83]
문서
P. Greenhalgh and E. Eliopoulos
[84]
서적
VI. Zug und Kampf der Amazonen gegen Athen
http://dx.doi.org/10[...]
De Gruyter
1875-12-31
[85]
웹사이트
Band of sisters: the Amazon light cavalry.(Book Review)
http://goliath.ecnex[...]
Archive
2002-09-22
[86]
간행물
Sensation Comics #6
1942-06
[87]
웹사이트
Акан Сатаев раскрыл имя актрисы, которая сыграет Томирис
https://tengrinews.k[...]
2018-02-16
[88]
웹사이트
Tomiris (Kazakhstan)
https://www.goldengl[...]
2019-11-19
[89]
웹사이트
9 to 5 (1980) Review: Classics Revisited #11
https://flickside.co[...]
2020-01-24
[90]
서적
A mission to Gelele, King of Dahome : with notices of the so-called "Amazons" the grand customs, the human sacrifices, the present state of the slave trade and the negro's place in nature
https://archive.org/[...]
Archive
2021-02-06
[91]
서적
With All Her Might: The Life of Gertrude Harding, Militant Suffragette
Holmes & Meier Publishing
1998-04
[92]
웹사이트
Ukraine's Asgarda martial arts program recasts Amazon warrior women | Public Radio International
http://www.pri.org/s[...]
Pri.org
2014-01-25
[93]
백과사전
アマゾン
2023-08-24
[94]
웹사이트
2600年前、武器とともに埋葬されていたのは13歳の少女戦士だった。遺体調査で明らかに(シベリア)
https://karapaia.com[...]
2020-06-22
[95]
백과사전
スキタイ
2023-09-10
[96]
백과사전
アマゾン
2023-08-24
[97]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98]
서적
マルコ・ポーロと世界の発見
[99]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100]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101]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102]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103]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104]
서적
ロスト・シティZ
[105]
뉴스
서양 문명의 심장 -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https://news.naver.c[...]
레이디경향
2008-07-22
[106]
뉴스
신화 속 여인왕국 아마조네스같은 여인들만의 마을, 브라질에 존재…"남성 끌어들이자" 주장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4-08-29
[107]
간행물
여성전사의 위대함, 새 역사를 개척하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4-12-02
[108]
웹사이트
『밀레니엄』 이 땅의 모든 아마조네스를 응원하며
http://ch.yes24.com/[...]
채널예스
2014-03-02
[109]
뉴스
아마조네스
https://news.naver.c[...]
강원일보
2006-07-01
[110]
뉴스
한국의 아마조네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3-07-11
[111]
웹사이트
4,000-year-old legend about northern Turkey to become film - Hurriyet Daily News and Economic Review
http://www.hurriyetd[...]
Hurriyetdailynews.com
2010-09-07
[112]
백과사전
Amazones
http://www.ancientli[...]
Little, Brown and Company
1867
[113]
웹사이트
Unniyarcha
http://www.india9.co[...]
[114]
서적
Xenia Lidéniana
1912
[115]
서적
[116]
문서
Historiae Phillippicae ex Trogo Pompeio, Liber II, 4
[117]
백과사전
Amazons
[118]
뉴스
The Amazons: Lives &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by Adrienne Mayor, book review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4-10-16
[119]
뉴스
Adrienne Mayor, Start the Week, Radio Four
http://www.bbc.co.uk[...]
bbc.co.uk
2015-04-06
[120]
서적
인류본사
휴머니스트
2022
[121]
뉴스
픽토소프트, ‘여신전설 아마조네스’ 사전등록이벤트 실시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4-06-16
[122]
뉴스
픽토소프트, '여신전설 아마조네스' 외 4종 12월 3일 서비스 종료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4-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