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루살렘의 알렉산드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루살렘의 알렉산드로스는 카파도키아 출신으로 카파도키아의 초대 주교였으며, 예루살렘 주교 나르키소스의 부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로마 황제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시대에 투옥되었으며, 평신도였던 오리게네스가 교회에서 설교하도록 허락하고 그를 사제로 임명했다. 또한 예루살렘에 도서관을 세웠으며, 데키우스 황제 치하에서 고문을 받고 카이사레아 감옥에서 사망했다. 알렉산드로스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3월 18일, 동방 정교회에서 5월 16일/29일과 12월 12일/25일에 축일로 기념되며, 에우세비우스가 그의 편지 조각들을 보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파도키아 속주 - 말라티아
    말라티아는 터키 동부의 광역시이자 말라티아 주의 주도로, 기원전 6000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세계 최대 살구 생산지이자 이스메트 이뇌뉘와 튀르귈트 외잘 두 명의 터키 대통령을 배출한 무역, 산업, 문화 중심지이다.
  • 카파도키아 속주 - 카이세리
    카이세리는 튀르키예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카파도키아 왕국의 수도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에 카이사레아로 명명되었고, 룸 셀주크 제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대륙성 기후의 산업 도시이자 에르지예스 산을 중심으로 한 겨울 스포츠와 퀼테페 유적지, 미마르 시난의 고향 아으르너스와 같은 역사 유적지를 포함한 관광 명소이다.
  • 카파도키아인 - 성 게오르기우스
    성 게오르기우스는 3~4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순교한 로마 군 장교로, 용을 물리치는 전설로 기사도의 상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조지아 등의 수호성인으로 4월 23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 카파도키아인 - 성 사바스
    성 사바스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 팔레스타인에서 활동한 기독교 성인이자 수도승으로, 마르 사바 수도원을 설립하여 팔레스타인 수도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칼케돈 신조를 옹호하며 교회 지도자로도 활동했다.
  • 251년 사망 - 사마의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가였던 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3대에 걸쳐 중용되며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251년 사망 - 등지
    등지는 삼국 시대 촉한의 외교 및 군사 인물로, 유비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두루 거치며 오나라와의 동맹을 재건하여 촉한의 외교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검소하고 청렴한 삶을 살다가 251년에 사망했다.
예루살렘의 알렉산드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예루살렘의 알렉산드로스
예루살렘의 알렉산드로스
존경 대상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칭호주교 및 순교자
생애
출생2세기
사망251년
사망 장소카이사레아 마리티마, 시리아 팔레스티나
기념
축일3월 18일 (로마 가톨릭교회)
참고 문헌
백과사전Albany James Christie

2. 생애

카파도키아 출신인 알렉산드로스는 카파도키아의 첫 번째 주교가 되었다.[10] 이후 로마 황제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대에 신앙 때문에 투옥되었다가 석방된 후 예루살렘으로 갔다.[3] 그곳에서 그는 고령의 예루살렘 주교 나르키소스의 보좌 주교로 활동하며 교구 운영을 도왔다.[10][3]

말년에 데키우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 시기에 다른 주교들과 함께 카이사레아로 끌려가 투옥되었다. 역사가들은 그의 신앙과 연륜이 감옥에서도 존경을 받았다고 기록한다.[11] 그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고문을 받았으며, 250년 또는 251년에 팔레스타인 카이사레아 감옥에서 순교했다.[11]

2. 1. 오리게네스와의 관계

알렉산드로스평신도였던 오리게네스가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을 허락했다. 이 결정으로 인해 그는 비판을 받았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음을 들어 자신을 변호했다. 앨번 버틀러는 알렉산드로스와 오리게네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유명한 기독교 학교에서 함께 공부했다고 주장한다. 이후 알렉산드로스는 오리게네스를 사제로 서임했다.[3]

2. 2. 예루살렘 도서관 설립

알렉산드로스는 예루살렘에 도서관을 세워 기증한 것으로 칭송받는다.[12][2] 당시 예루살렘하드리아누스 황제가 도시를 재건한 이후 로마 당국이 사용한 이름인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기독교 전통에서는 원래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

3. 박해와 죽음

마침내 그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다른 몇몇 주교들과 함께 죄수 신분으로 카이사레아로 끌려갔다. 역사가들의 말에 따르면 "그의 백발과 숭고함은 포로 생활 속에서 그에게 이중의 왕관을 씌워주었다"고 한다.[3] 그의 생애 기록에는 그가 많은 고문을 당했지만 모두 살아남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맹수들이 그를 잡아먹으려고 했을 때, 어떤 짐승들은 그의 발을 핥았고, 다른 짐승들은 경기장 모래에 남겨진 그의 발자국을 핥았다고 전해진다.

4. 성인 추대와 축일

알렉산드로스의 축일로마 가톨릭교회에서 3월 18일에 기념하며,[5]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6일/29일[4]과 12월 12일/25일에 기념한다.[5]

5. 저작

에우세비우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쓴 여러 편지의 단편들을 보존했는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3][6]

참조

[1] 간행물 Alexander http://www.ancientli[...] Little, Brown and Company 2007-05-18
[2] 웹사이트 St. Alexander of Jerusalem http://faith.nd.edu/[...]
[3] 백과사전 St. Alexander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09-22
[4]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Ἀλέξανδρος ὁ Ἱερομάρτυρας Ἀρχιεπίσκοπος Ἱεροσολύμων http://www.synaxario[...]
[5]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Ἀλέξανδρος ὁ Μάρτυρας http://www.synaxario[...]
[6]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7]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vi. 14
[8]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vi. 19
[9] 백과사전 Albany James Christi[...] Little, Brown and Company
[10] 웹사이트 Alexander of Jerusalem http://catholicsaint[...] 2012-05-24
[11] 백과사전 St. Alexander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09-22
[12] 웹사이트 St. Alexander of Jerusalem http://faith.nd.edu/[...]
[13]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14]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vi. 14
[15]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vi. 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