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구르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구르어파는 튀르크어족의 한 갈래로, 오늘날에는 추바시어만 남아있고 불가르어 등이 여기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오구르어는 공통 튀르크어와 음운론적인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공통 튀르크어의 'z'가 오구르어에서는 'r'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헝가리어와 몽골어 등 다른 언어에도 오구르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존재하며,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의 관계, 분화 시기 등에 대한 학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오구르어파 | |
---|---|
개요 | |
유형 | 튀르크어족 |
사용 지역 | 역사적으로: 발칸 반도, 캅카스, 북부 중국 (추정) 현재: 볼가 강 지역 |
언어 계통 | |
어족 | 튀르크어족 |
하위 어군 | 오구르어파 |
하위 언어 | |
현존 언어 | 추바시어 |
사멸 언어 | 불가르어 오노구르어 하자르어 (튀르크어족 내 위치 논쟁 존재) 훈어 (논쟁 존재) 흉노어 (논쟁 존재) 탁발어 (논쟁 존재) 아바르어 (논쟁 존재) |
언어 코드 | |
Glottolog | bolg1249 |
Glottolog 명칭 | Bolgar |
2. 오구르어파의 언어들
추바시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오구르어파 언어이다. 불가르어는 추바시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로 여겨지며, 하자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지만 오구르어파로 분류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훈족, 사비르족, 아바르족 등이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다는 학설도 존재한다.[7]
오구르어는 튀르크어족의 한 갈래로, 공통 튀르크어와는 구별된다. 확실하게 오구르어파로 증명된 유일한 다른 언어는 오래전에 사라진 불가르어이며, 하자르어가 이 어파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훈어가 오구르어파에 속한다는 추정도 있지만, 훈족의 언어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 언어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오구르어는 하자르 국가의 공용어였다.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의 관계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 합의된 견해가 없으며,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남아있다.
-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는 원시 튀르크어에서 갈라져 나온 두 개의 다른 갈래인가? 만약 그렇다면, 어느 쪽이 더 오래된 것인가?
- 오구르어는 서기 100년에서 400년 사이에 일어난 음운 변화 이전의 고대 튀르크어를 나타내는 별개의 언어인가?
푸줄리 바야트는 오구르어의 r 방언과 오구즈어의 z 방언으로의 분리가 기원전 2천년기에 일어났다고 추정한다.
2. 1. 현존하는 언어
현대에는 추바시어만이 남아있으나, 고대의 여러 튀르크 민족들의 언어 중 추바시어와 같은 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들이 많다. 불가르어는 추바시어와 상당히 가까운 것이 확실하고, 하자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나 오구르어파로 분류될 수 있는지 의견이 분분하다. 이외에 훈족, 사비르족, 아바르족 등이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썼다는 학설이 있다.2. 2. 소멸된 언어
불가르어는 추바시어와 상당히 가까운 것이 확실하고, 하자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나 오구르어파로 분류될 수 있는지 의견이 분분하다. 이외에 훈족, 사비르족, 아바르족 등이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썼다는 학설이 있다.[7]오구르어는 튀르크어족의 뚜렷한 하위 그룹으로, 공통 튀르크어와 대조를 이룬다. 오늘날에는 추바시어만 이 그룹을 대표한다. 확실하게 오구르어로 증명된 유일한 다른 언어는 오래전에 사라진 불가르어이며, 하자르어가 이 그룹 내에서 가능한 친족 관계일 수 있다. 훈어가 때때로 오구르어라고 추정되지만, 훈족의 언어는 몇몇 증명된 단어와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거의 알려지지 않아 그러한 추측은 적절한 언어학적 증거에 기반하지 않는다. 오구르어는 하자르 국가의 공용어였다.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의 관계에 대한 합의가 없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는 원시 튀르크어(기원전 3000년~기원전 500년)의 평행 분파인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분파가 더 오래된 것인가?
- 오구르어는 서기 100년에서 400년 사이에 일어난 음운 변화 이전의 고대 튀르크어를 나타내며, 별개의 언어였는가?
- † 불가르어 (볼가 불가르 방언, 도나우 불가르 방언)
- † 하자르어
- † 훈어 - 훈족 (계통은 미결정이나, 튀르크 제어의 불가르어군으로 보는 설이 유력)
- † Turkic Avar|튀르크 아바르어영어 (튀르크계 설 외에, 몽골계 설을 주장하는 학파도 있다. 튀르크계 설에서는 오구르어군으로 분류된다.)[12]
3. 특징
현대에 추바시어만이 남아있으나, 고대 여러 튀르크 민족들의 언어 중에는 추바시어와 같은 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들이 많다. 불가르어는 추바시어와 상당히 가까운 것이 확실하며, 하자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나 오구르어파로 분류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 외에도 훈족, 사비르족, 아바르족 등이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썼다는 학설이 있다.
오구르어는 다른 튀르크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대표적으로, 다른 튀르크어에서 단어 마지막 자음이 'z'인 것이 오구르어에서는 'r'로 나타난다.
3. 1. 음운 변화
오구르어는 "Lir-튀르크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특정 단어의 마지막 자음이 다른 튀르크어에서 ''z''가 아닌 ''r''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를 뜻하는 단어는 вăкăрcv (추바시어), öküztr (튀르키예어), (타타르어)와 같이 나타난다. '오구르'라는 이름은 다른 튀르크어의 ''오구즈'' ('부족'을 뜻함)에 해당한다.[1]다른 대응 관계로는 Com. ''š'' : Oghur ''l'' (''tâš'' : ''tâl'', '돌'); ''s'' > ''š''; ''*č'' > ''ś''; ''k/q'' > ''ğ''; ''y'' > ''j, ś''; ''d, δ'' > ''δ'' > ''z'' (10세기) > ''r'' (13세기)"; ''ğd'' > ''z'' > ''r'' (14세기); ''a'' > ''ı'' (9세기 이후) 등이 있다.[2][3] ''s''에서 ''š''로의 변화는 ''i'', ''ï'', ''iV'' 앞에서 발생하며, 이를 "불가르 구개음화"라고 부르기도 한다.[4]
데니스 시노르는 이러한 차이점들이 오구르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이 몽골어 화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기원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보았다. 몽골어 방언은 ''-z'' 접미사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5] 그러나 피터 골든은 몽골어에 헝가리어 ''iker'', 공통 투르크어 ''*ikiz'' ('쌍둥이'를 뜻함)와 같은 오구르어에서 온 많은 차용어가 있음을 언급했다.[6] 그는 오구르족이 5세기 이전에 몽골 국경 지역에 거주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7]
오구르어군은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 다른 튀르크어의 ''š''가 오구르어군에서 ''l''이 된다.
- 다른 튀르크어의 ''z''가 오구르어군에서 ''r''이 된다.
- 다른 튀르크어의 ''i-''가 오구르어군에서 ''dj-''가 된다.
3. 2. 다른 어족에 미친 영향
헝가리어는 튀르크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오구르어에서 차용했음을 나타내는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8] 헝가리어 차용어 중 일부는 9세기 이전에 차용되었는데, 이는 'gy-' (< 오구르어 ''*ǰ-'') 대신 'sz-' (< 오구르어 ''*ś-'')가 사용된 것으로 알 수 있다.
몽골어에서 차용된 오구르어 기원의 차용어[8]는 4세기 이전에, 즉 투르크 민족의 서아시아 이주 이전에 차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몽골어 | 오구르어 | 추바쉬어 | 공통어 |
---|---|---|---|
ikere | *iker | йĕкĕр | ekkiz/ikiz |
biragu | *burǝʷu | buzagu | |
üker | *hekür | öküz | |
jer | *jer | jez |
오구즈어군에서 아제르바이잔어와 튀르키예어의 ''öküz''는 ''황소'' (토템 동물)를 의미하며, 이는 추바시어 w''ăkăr''의 반영으로, 여기에는 로타시즘이 사용되며, 킵차크어군에서는 ''ögiz''이다.[9][10]
4. 역사
현대에는 추바시어만이 남아있으나, 고대에는 여러 튀르크 민족들의 언어 중 추바시어와 같은 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들이 많았다. 불가르어는 추바시어와 상당히 가까운 것이 확실하고, 하자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나 오구르어파로 분류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외에도 훈족, 사비르족, 아바르족 등이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썼다는 학설이 있다.
4. 1. 기원과 분화
불가르어는 추바시어와 상당히 가까운 것이 확실하고, 하자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나 오구르어파로 분류될 수 있는지 의견이 분분하다. 이외에 훈족, 사비르족, 아바르족 등이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썼다는 학설이 있다.[7]오구르어는 튀르크어족의 뚜렷한 하위 그룹으로, 공통 튀르크어와 대조를 이룬다. 오늘날에는 추바시어만 이 그룹을 대표한다. 확실하게 오구르어로 증명된 유일한 다른 언어는 오래전에 사라진 불가르어이며, 하자르어가 이 그룹 내에서 가능한 친족 관계일 수 있다.[12] 훈어가 때때로 오구르어라고 추정되지만, 훈족의 언어는 몇몇 증명된 단어와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거의 알려지지 않아 그러한 추측은 적절한 언어학적 증거에 기반하지 않는다. 오구르어는 하자르 국가의 공용어였다.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의 관계에 대한 합의가 없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 오구르어와 공통 튀르크어는 원시 튀르크어(아나 튀르크체)의 평행 분파인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분파가 더 오래된 것인가?
- 오구르어는 서기 100년에서 400년 사이에 일어난 음운 변화 이전의 고대 튀르크어를 나타내며, 별개의 언어였는가?
푸줄리 바야트는 오구르어의 r 방언과 오구즈어의 z 방언으로의 분리를 기원전 2천년기로 추정한다.
4. 2. 몽골어와의 관계
오구르어는 '오구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 단어의 마지막 자음이 공통 투르크어에서와 같이 'z'가 아닌 'r'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황소'를 뜻하는 단어는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추바시어로는 вăкăрcv, 터키어로는 öküztr, 타타르어로는 이다.ox영어[9][10] 이는 공통 투르크어의 '오구즈'(*Oğuz) '부족'이 오구르에서는 '오구르'(*Oğur)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다른 대응으로는 Com. ''š'' : Oghur ''l'' (''tâš'' : ''tâl'', '돌'); ''s'' > ''š''; ''*č'' > ''ś''; ''k/q'' > ''ğ''; ''y'' > ''j, ś''; ''d, δ'' > ''δ'' > ''z'' (10세기) > ''r'' (13세기)"; ''ğd'' > ''z'' > ''r'' (14세기); ''a'' > ''ı'' (9세기 이후) 등이 있다. ''s''에서 ''š''로의 변화는 ''i'', ''ï'', ''iV'' 앞에서 발생하며, 디보(Dybo)는 이 음운 변화를 "불가르 구개음화"라고 부른다.
데니스 시노르는 몽골어 방언이 ''-z'' 접미사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차이점들이 오구르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이 몽골어 화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기원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피터 골든은 몽골어에 헝가리어 ''iker'', 공통 투르크어 ''*ikiz'' '쌍둥이'와 같은 오구르어에서 온 많은 차용어가 있음을 언급하며, 오구르족이 5세기 이전에 몽골 국경 지역에 거주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몽골어에서 차용된 오구르어 기원의 차용어[8]에는 몽골어 "ikere" (오구르어 *iker, 추바쉬어 "йĕкĕр", 공통어 ekkiz/ikiz), 몽골어 "biragu" (오구르어 *burǝʷu, 공통어 buzagu), 몽골어 "üker" (오구르어 *hekür, 공통어 öküz), 몽골어 "jer" (오구르어 *jer, 공통어 jez) 등이 있다. 이러한 차용어는 투르크 민족의 서아시아 이주 이전인 4세기 이전에 차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구즈어군에 속하는 아제르바이잔어, 터키어의 ''öküz''는 '황소'(토템 동물)를 의미하며, 이는 추바시어 wăkăr의 반영으로, 여기에는 로타시즘이 사용되며, 킵차크어군에서는 ''ögiz''이다.
참조
[1]
서적
Golden 2011
[2]
서적
Ball 2021
[3]
서적
Di Cosmo 2004
[4]
서적
Manchuria: An Ethnic History
[5]
문서
The extinct ''Bulgar'', ''Bulgaric'', etc., a Turkic group,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unrelated Indo-European [[Bulgarian language|Bulgarian]], which is very much alive.
[6]
웹사이트
Glottolog
https://glottolog.or[...]
[7]
웹사이트
Oğuz kelimesinin etimolijisi
https://web.archive.[...]
2004-00-00
[8]
웹사이트
Proto-Turkic homeland
https://indo-europea[...]
2021-05-27
[9]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
Clarendon Press
[10]
서적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чувашского языка
https://altaica.ru/L[...]
Чуваш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1]
서적
Pre-modern Russia and its world: Essays in honour of Thomas S. Noonan
Otto Harrassowitz Verlag
[12]
문서
[[アヴァル語|アヴァール語]]とは全く別の言語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