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링갈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갈라어는 중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반투어 기반의 크리올 언어로, 콩고강 서부 지역에서 교역 언어로 사용되던 보방기어에서 기원했다. 19세기 후반 유럽인들의 식민 지배 과정에서 '방갈라어'로 불리며 널리 사용되었고, 이후 선교사들에 의해 문법과 어휘가 정비되어 '링갈라어'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되었다. 킨샤사와 브라자빌을 중심으로 구어로서의 중요성이 커졌으며, 군대 공용어 및 수쿠스 음악의 영향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링갈라어는 다양한 방언과 사회언어를 가지며, 7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갖춘 성조 언어이다. 명사류 체계를 가지며, 동사 활용과 형태가 복잡하게 변화한다. 링갈라어는 콩고민주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로, 정부, 교육, 법정 기록, 군대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공화국의 언어 - 콩고어
    콩고어는 콩고 왕국의 언어였으며, 16세기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되었고,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등에서 사용되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어 여러 크리올어에 영향을 미친 반투어이다.
  • 콩고 공화국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언어 - 콩고어
    콩고어는 콩고 왕국의 언어였으며, 16세기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되었고,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등에서 사용되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어 여러 크리올어에 영향을 미친 반투어이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링갈라어
지도
링갈라어 화자 분포
링갈라어 화자 분포, 모국어 화자 지역(짙은 녹색)과 소수 언어 화자 지역(밝은 녹색)
기본 정보
이름링갈라어
다른 이름응갈라
자칭Lingála
사용 국가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공화국
사용 지역콩고강
모어 화자 수20,522,160명 (2021년)
제2언어 화자 수20,014,140명 (2021년)
총 화자 수40,536,300명 (2021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어파대서양콩고어파
어군베누에콩고어군
어족(세부)남부반투어군
어계반투어군 (C구역)
하위 어군방기은톰바어군 (C.30)
세부 하위 어군방기모이
직계 어군방기어
방언방갈라어
공용어 지정
공용어 국가(국어)
(국어)
언어 코드
ISO 639-1ln
ISO 639-2lin
ISO 639-3lin
글롯토로그ling1269
글롯토로그 참조링갈라-방갈라
링구아스피어99-AUI-f
구스리 코드C30B
문자 체계
문자아프리카 기준 알파벳(라틴 문자)
만돔베 문자

2. 역사

보방기어는 콩고 강 서부 지역, 스탠리 풀(킨샤사)와 콩고 강과 우방기 강의 합류 지점 사이에서 중요한 교역 언어였다.[1] 1880년대 초, 유럽인들과 그들의 서아프리카 및 동아프리카 군대가 이 강 지역을 따라 벨기에 국왕을 위한 주둔지를 설립하면서 보방기어를 배우려고 시도했지만, 불완전한 지식만 습득했다.[2] 이 과정에서 "교역 언어", "강의 언어", "보방기 피진" 등으로 불리는 새롭고 강하게 재구성된 변종이 생겨났다.[3][4] 1884년, 유럽인들은 이 재구성된 보방기어 변종을 방갈라 주둔지에 도입하여 현지 콩고인들과 소통했고, "강의 언어"는 곧 "방갈라어"로 개명되었다.[5][9]

1901~1902년경, CICM 선교사들은 "방갈라어"를 "정화"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0] 이후 링갈라어는 킨샤사브라자빌의 규모와 중요성이 커지고, 군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수쿠스 음악이 인기를 얻으면서 구어로서 중요성이 커졌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1880년 이전, 보방기어는 콩고 강 서부 지역에서 중요한 교역 언어였다.[1] 1880년대 초, 유럽인들과 그들의 서아프리카 및 동아프리카 군대가 이 강 지역에 벨기에 국왕을 위한 주둔지를 설립하면서 보방기어를 배우기 시작했다.[2] 하지만, 이들은 불완전한 지식만 습득했고, 이 과정에서 "보방기 피진"이라고 불리는 새롭고 강하게 재구성된 변종이 생겨났다.[3][4] 1884년, 유럽인들은 이 재구성된 보방기어 변종을 방갈라 주둔지에 도입했고, "방갈라어"로 개명했다.[5]

콩고민주공화국의 하천 및 도시 지도


린갈라어 형성 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26] 콩고강 유역에서는 다양한 반투어[27]가 사용되었으며, 이들이 오늘날 린갈라어의 기원이 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보방기어(Bobangi)가 린갈라어와 문법이 거의 같고, 린갈라어 어휘의 절반이 보반기어에서 유래하는 등 린갈라어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28]

2. 2. 선교사들의 역할과 표준화

1901~1902년경, CICM 선교사들은 1880년대 초 보방기어에서 유래했을 때 획득한 "불순한" 피진과 같은 특징들을 제거하여 "방갈라어"를 "정화"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0]

1901년경과 그 직후, 콩고 자유국 서부와 북부에서 일하는 여러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그러나 놀라울 정도로 평행적인 용어로, 보방기어에서 발전해 온 방갈라어가 교육과 전도의 적절한 수단으로 기능하기에는 너무 "피진 같고", "너무 부족한" 언어라고 판단했다. 그들은 각자 방갈라어를 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교정"하고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 말뭉치 계획을 수립했다. 그중 한 명은 1901년 방갈라 주둔지-누벨 앙베르에 도착한 성모 마리아의 순결한 마음회(CICM, 일반적으로 "스헤우트 선교회" 또는 "스헤우티스트"로 알려짐)의 가톨릭 선교사 에지드 드 보크였다. 또 다른 한 명은 프로테스탄트 선교사 월터 H. 스테이플턴이었고, 세 번째는 프레몬트레 수도회의 가톨릭 선교사 레옹 데릭스였다. 1915년까지 드 보크의 노력은 1911년 프로테스탄트 선교사 회의에서 인정했듯이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의 언어 창작 제안이 실제로 이행된 적이 없었던 스테이플턴의 노력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드 보크의 업적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데릭스는 10년도 채 안 되어 중단했다.[10]

이러한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특히 에지드 드 보크(Égide De Boeck)의 주도로 문어 링갈라어가 정립되었다.[10][30] 1901년 이후, 이 언어는 콩고 강 서부와 북서부에서 "링갈라어"로 불리기 시작했지만, 콩고 북동부에서는 여전히 "방갈라어"로 불린다.[9] 이렇게 정비된 링갈라어는 학교 링갈라어(lingala scolaire), 문어 링갈라어(lingala littéraire) 또는 고전 링갈라어(lingala classique)라고 불린다.[30]

2. 3. 현대의 발전

킨샤사브라자빌의 규모와 중요성이 커지고, 군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수쿠스 음악이 인기를 얻으면서 링갈라어는 구어로서 더욱 중요해졌다.[10]

3. 명칭

초기에는 "강 언어", "무역 언어" 등으로 불렸다.[11] 1884년부터 방갈라 주둔지에서 소개된 후 "방갈라어"로 불렸다.[11] 1901년 이후, CICM 선교사들의 제안으로 "링갈라어"로 개명되었다.[11] "링갈라어"라는 이름은 CICM 선교사인 에지드 드 부엑(Égide De Boeck)이 1901~1902년에 발표한 출판물에서 처음으로 문서에 기록되었다.[12] 콩고 서부와 북서부에서는 이러한 이름 변경이 받아들여졌지만, 콩고 북동부에서는 여전히 "방갈라어"라고 불린다.[13]

4. 특징 및 사용

링갈라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14]로, 보방기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어휘와 문법 대부분을 보방기어에서 가져왔다.[15] 키콩고어 방언, 우방기어족, 스와힐리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단어를 차용하기도 했다.

차용 정도는 지역, 화자(주로 젊은 층),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4. 1. 차용어 예시

링갈라어는 여러 언어에서 단어를 차용했다. 차용어는 지역, 화자,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언어단어의미
프랑스어momí여자 친구 (옛 프랑스어 ma mie(나의 사랑이라는 뜻)에서 유래)
프랑스어kelási수업/학교
스페인어chiclé
포르투갈어manteka버터
포르투갈어mésa탁자
포르투갈어sapátu신발
영어míliki우유
영어súpu수프
영어mamiwata인어 (맘미/물을 직역)
영어búku[16]
영어mótuka자동차 (motor-car에서 유래)[17]


5. 변이

링갈라어는 여러 방언(regiolect)과 사회언어(sociolect)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지역 방언으로는 북서부 링갈라어, 킨샤사 링갈라어, 브라자빌 링갈라어가 있다.

문어 링갈라어(''lingala littéraire'' 또는 ''lingala classique'')는 표준화된 형태이다. 주로 교육, 국영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뉴스 방송, 로마 가톨릭 종교 의식에서 사용된다. 일부 교육 단계에서 과목으로 가르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가톨릭 교회, 특히 벨기에 CICM 선교회(CICM Missionaries)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7개 모음 체계(/a/ /e/ /ɛ/ /i/ /o/ /ɔ/ /u/|/a/ /e/ /ɛ/ /i/ /o/ /ɔ/ /u/프랑스어)를 가지며, 필수적인 장단 모음 조화가 있다. 또한 모든 종류에 대해 주어-동사 또는 명사-수식어의 필수적인 문법적 일치 체계를 갖춘 완전한 형태소론적 명사 접두사 체계를 갖추고 있다. 주로 공식적인 상황과 일부 서면에서 사용된다. 구어 링갈라어와 킨샤사 링갈라어의 대부분의 원어민들은 이를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18]

북서부(또는 ''Equateur'') 링갈라어는 콩고인들이 문어 링갈라어를 설계할 때 CICM 선교사들이 의도했던 규범적 규칙을 (불완전하게) 내면화한 결과물이다.[19][20] 북서부는 CICM 선교사들이 학교 네트워크를 강력하게 지원했던 지역이다.

구어 링갈라어(''lingala parlé'')는 링갈라어 사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변종이다. 완전한 형태소론적 명사 접두사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명사구의 일치 체계는 문어체보다 느슨하다. 5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모음 조화는 없다. 주로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링갈라어 노래는 구어 링갈라어를 사용한다. 현대 구어 링갈라어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동사에 링갈라어 어미 접두사와 접미사를 추가하여 "lingalized"할 수 있다. 고전 링갈라어 "asímbaki ntína te"(문자 그대로: "s/he grasped/held the root/cause not") 대신 "acomprenaki te" 또는 "acomprendraki te"("그는 이해하지 못했다", 프랑스어 단어 ''comprendre'' 사용)와 같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랑스어의 영향은 킨샤사에서 더욱 두드러지며, 프랑스어 교육이 더 많은 인구에게 접근 가능해짐에 따라 언어의 침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nzala/njala("기아")와 같이 "가톨릭 링갈라어"와 "프로테스탄트 링갈라어" 사이에는 발음 차이가 있다.

''Lingala ya Bayankee''(때로는 ''Yanké''라고도 함)는 킨샤사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회언어이다. 예를 들어 거리의 젊은이, 노점상, 범죄 조직 및 노숙 아동이 사용한다.[21] ''Langila''는 거의 연구되지 않은 언어 게임(또는 유희적 행위)이다. 음악가들이 2000년대 초에 처음 만들었으며, 점점 더 소셜 미디어와 문화적 생산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가톨릭교회가 전파를 위해 사용한 문어가 표준어가 되었다. 또한 두 콩고의 수도에서는 다른 반투어에 크게 영향을 받은 킨샤사 방언, 브라자빌 방언이 존재한다.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의 우엘레 강(Uele River) 상류 지역에서 사용되는, 형태적으로 매우 단순화되고[28] 피진화된 링갈라어 방언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방갈라(bangála)라고 불린다.[25]

6. 음운

링갈라어는 7개의 모음과 여러 자음, 그리고 성조를 가진 언어이다.

6. 1. 모음

링갈라어는 7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IPA예시 (IPA)예시 (표기)의미참고
style="font-size: larger;" |lilála오렌지
style="font-size: larger;" |kulútu어른
style="font-size: larger;" |elongi얼굴
style="font-size: larger;" |mobáli소년표준 보다 약간 높게 발음되며, 로 실현됨
style="font-size: larger;" |lɛlɔ́오늘
style="font-size: larger;" |mbɔ́ngɔ
style="font-size: larger;" |áwa여기



링갈라어는 모음조화를 보인다. 중고모음 와 는 일반적으로 중저모음 와 와 한 단어 안에서 함께 쓰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ndɔbɔ'(낚시 바늘)와 'ndobo'(쥐덫)라는 단어는 존재하지만, '*ndɔbo' 또는 '*ndobɔ'는 존재하지 않는다.

킨샤사에서 사용되는 링갈라어는 /ɔ/가 /o/로, /ɛ/가 /e/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ɔ/ 음소가 사라지고 /o/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킨샤사에서는 원어민이 'mbóte'를 /ᵐbóte/로 발음하는 반면, 보다 전통적인 발음은 /ᵐbɔ́tɛ/이다.[30]

이전이후
좁음style="font-size: larger;"|style="font-size: larger;"|
반좁음style="font-size: larger;"|style="font-size: larger;"|
반넓음style="font-size: larger;"|style="font-size: larger;"|
넓음style="font-size: larger;"|


6. 2. 자음

링갈라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colspan="2" |순음치경음권설음연구개음
비음mnnystyle="border-right:0" |
파열음무성음ptk
전비음화 무성음mpntnk
유성음bdg
전비음화 유성음mbndng
마찰음무성음fssh
전비음화 무성음style="border-right:0" |ns
유성음vz
전비음화 유성음nz
유사음wlystyle="border-right:0" |



IPA예시 (IPA)예시 (표기)의미
style="font-size: larger;" |napɛ́sinapɛ́sí주다
style="font-size: larger;" |ᵐpɛᵐbɛ́nimpɛmbɛ́ni가까이
style="font-size: larger;" |boliᵑɡobolingo사랑
style="font-size: larger;" |ᵐbɛlímbɛlí
style="font-size: larger;" |litéjalitéya수업
style="font-size: larger;" |ⁿtɔ́ᵑɡɔ́ntɔ́ngó새벽
style="font-size: larger;" |daidaidaidai끈적끈적한
style="font-size: larger;" |ⁿdekondeko형제, 사촌, 친척
style="font-size: larger;" |mokɔlɔmokɔlɔ하루
style="font-size: larger;" |ᵑkólónkóló소유자
style="font-size: larger;" |ɡalamɛ́lɛgalamɛ́lɛ문법
style="font-size: larger;" |ᵑɡáíngáí
style="font-size: larger;" |mamámamá어머니
style="font-size: larger;" |bojiniboyini미워하다
style="font-size: larger;" |ɲamanyama동물
style="font-size: larger;" |fɔtɔ́fɔtɔ́사진
style="font-size: larger;" |velóveló자전거
style="font-size: larger;" |sɔ̂lɔsɔ̂lɔ정말로
style="font-size: larger;" |ɲɔ́ⁿsɔnyɔ́nsɔ모두
style="font-size: larger;" |zɛ́lɔzɛ́lɔ모래
style="font-size: larger;" |ⁿzáᵐbenzámbe
style="font-size: larger;" |ʃakúcakú 또는 shakú아프리카 회색 앵무새
style="font-size: larger;" |ɔ́lɔɔ́lɔ
style="font-size: larger;" |그/그녀 (목적격 대명사)
style="font-size: larger;" |wápiwápi어디


  • 전비음화 파열음: 링갈라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비음 뒤에 무성 파열음이 이어지는 전비음화 파열음(/ᵐp/, /ⁿt/, /ᵑk/, /ⁿs/)이 무성 파열음과 동소음 관계를 갖는다.
  • /ᵐp/는 [ᵐp] 또는 [p]로 발음된다. (예: mpɛmbɛ́ni는 [ᵐpɛᵐbɛ́ni] 또는 [pɛᵐbɛ́ni])
  • /ⁿt/는 [ⁿt] 또는 [t]로 발음된다. (예: ntɔ́ngó는 [ⁿtɔ́ᵑɡó] 또는 [tɔ́ᵑɡó])
  • /ᵑk/는 [ᵑk] 또는 [k]로 발음된다. (예: nkanya는 [ᵑkaɲa] 또는 [kaɲa])
  • /ⁿs/는 [ⁿs] 또는 [s]로 발음된다. (예: nyɔnsɔ는 [ɲɔ́ⁿsɔ] 또는 [ɲɔ́sɔ])
  • 전비음화 유성 파열음(/ᵐb/, /ⁿd/, /ᵑɡ/, /ⁿz/)은 변이가 없다.
  • 그 외 자음: b [b], c 또는 sh [ʃ], d [d], f [f], g [g], h [h], k [k], l [l], m [m], n [n], ny [ɲ], p [p], r [r], s [s], t [t], v [v], w [w], y [j], z [z].[33]

6. 3. 성조

링갈라어는 성조 언어이다. 성조는 최소 대립쌍에서 구별되는 특징이다. 예를 들어, ''mutu''(인간)와 ''mutú''(머리), 또는 ''kokoma''(쓰다)와 ''kokóma''(도착하다)가 있다. 주요 성조는 저음과 고음 두 가지이며, 덜 일반적인 성조로는 같은 모음 소리 내에서 시작은 고음이고 낮게 내려갔다가 다시 고음으로 끝나는 성조(예: ''mǐso''(눈))와 시작은 저음이고 고음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저음으로 끝나는 성조(예: ''bôngó''(그러므로))가 있다.

시제 형태소는 성조를 지닌다.

colspan="2" |koma
쓰다
sepela
즐기다
현재 시제nakoma
내가 쓰다
osepela
너(단수)가 즐기다
가정법nákoma
내가 썼을 것이다
ósepéla
너(단수)가 즐겼을 것이다
현재 시제nakomí
내가 계속 써왔다
osepelí
너(단수)가 계속 즐겨왔다


7. 문법

#역사에서 언급했듯이 링갈라어 문법은 보반기어와 거의 동일하며, 보반기어에서 링갈라어가 생겨났다는 견해가 우세하지만, 구어에서는 다양한 문법 요소의 간략화가 보인다.[28]

링갈라어의 동사는 어근에 여러 형태소가 추가되어 의미를 확장하고 문법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형태소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결합하며,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는 성조를 통해 구분된다.[28]

동사에 추가되는 형태소는 다음과 같다.[28]

1. 역동 접미사 (-ol-): 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키거나 변화시킨다. (예: kozinga (감싸다) → kozingola (발전시키다))

2. 사동 접미사 (-is-): 동사의 행위가 다른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게 한다. (예: koyéba (알다) → koyébisa (알리다))

3. 목적어 접미사 (-el-): 동사의 행위가 특정 목적어를 대상으로 함을 나타낸다. (예: kobíka ((자기 자신을) 치료하다, (자기 자신을) 구하다) → kobíkela ((다른 사람을) 치료하다, (다른 사람을) 구하다))

4. 수동 접미사 (-am-): 주어가 동사의 행위를 받는 대상이 되게 한다. (예: koboma (죽이다) → kobomama (죽임을 당하다))

5. 상호 또는 정지 접미사 (-an-, 때때로 -en-): 동사의 행위가 여러 주어 사이에 상호적으로 일어나거나, 주어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 kokúta (찾다) → kokútana (만나다))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는 성조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8]


  • 현재완료 (LH-í)
  • 단순 현재 (LL-a)
  • 반복 현재 (LL-aka)
  • 불명확한 최근 과거 (LH-ákí)
  • 불명확한 과거 (LH-áká)
  • 미래 (L-ko-L-a)
  • 가정법 (HL-a)


동사의 주어를 나타내는 접두사는 1인칭과 2인칭의 경우 단수와 복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8]

단수복수
1인칭na-to-
2인칭o-bo-



3인칭 주어 접두사는 주어가 되는 명사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28]

종류접두사
1a-
2ba-
3mo-
4mi-
5li-
6ma-
7e-
8bi-
9e-
10i-
11lo-
14bo-
15e-


7. 1. 명사류 체계

링갈라어는 모든 반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명사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명사는 그들이 지닌 접두사와 문장에서 유발하는 접두사에 따라 분류된다. 링갈라어의 명사류는 아래 표와 같으며, 반투어족 언어 설명에 널리 사용되는 번호 체계에 따라 정렬되어 있다.

명사 접두사예시번역
1mo-mopési주는 사람
2ba-bapési주는 사람들
3mo-mokíla꼬리
4mi-mikíla꼬리들
5li-liloba단어
6ma-maloba단어들
7e-elɔ́kɔ
8bi-bilɔ́kɔ것들
9m-/n-ntaba염소
10m-/n-ntaba염소들
9aØsánzá
10aØsánzá달들
11lo-lolému
14bo-bosɔtɔ먼지
15ko-kosála''일하다 (원형)'



개별 류는 단수/복수 쌍을 이루며, 때로는 성으로 불린다. 7개의 성이 있다. 단수 류 1, 3, 5, 7, 9는 각각 류 2, 4, 6, 8, 10에서 복수 형태를 취한다. 또한, 류 9에 있는 많은 가정 용품은 복수형에서 류 2 접두사 (''ba'')를 취한다. 예를 들면, ''lútu'' → ''balútu'' '수저', ''mésa'' → ''bamésa'' '탁자', ''sáni'' → ''basáni'' '접시'와 같다. 류 11의 단어는 보통 류 10의 복수형을 취한다. 류 14(추상 명사)의 대부분의 단어는 복수형이 없다.

류 9와 10은 비음 접두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동화되어 다음 자음에 동화된다. 따라서, 접두사는 ''t'' 또는 ''d''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n'으로 나타나고 (예: ''ntaba'' '염소'), ''b'' 또는 ''p''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m'으로 나타난다 (예: ''mbísi'' '물고기'). 또한 ''sánzá'' → ''sánzá'' '달(들) 또는 월(들)'에서 예시되는 것처럼 접두사가 없는 류 9a와 10a가 있다. 가능한 모호성은 문맥에 따라 해결된다.

명사류 접두사는 명사 자체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문장 전체에 걸쳐 표지로 나타난다. 아래 문장에서 명사류 접두사는 밑줄이 그어져 있다. (류 1 명사의 접두사에는 특별한 동사 형태 'a'가 있다.)

어느 정도까지는 명사류 할당이 의미론적으로 지배된다. 모든 반투어족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류 1/2는 주로 인간에 대한 단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류 9/10은 많은 동물에 대한 단어를 포함한다. 다른 류에서는 의미상의 규칙성이 대부분 없거나 많은 예외로 인해 불분명하다.

7. 2. 동사 활용 및 형태

링갈라어의 동사는 어근에 여러 형태소가 추가되어 의미를 확장하고 문법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형태소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결합하며,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는 성조를 통해 구분된다.

동사에 추가되는 형태소는 다음과 같다.[28]

1. 역동 접미사 (-ol-): 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키거나 변화시킨다.

  • 예: kozinga (감싸다) → kozingola (발전시키다)

2. 사동 접미사 (-is-): 동사의 행위가 다른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게 한다.

  • 예: koyéba (알다) → koyébisa (알리다)

3. 목적어 접미사 (-el-): 동사의 행위가 특정 목적어를 대상으로 함을 나타낸다.

  • 예: kobíka ((자기 자신을) 치료하다, (자기 자신을) 구하다) → kobíkela ((다른 사람을) 치료하다, (다른 사람을) 구하다)

4. 수동 접미사 (-am-): 주어가 동사의 행위를 받는 대상이 되게 한다.

  • 예: koboma (죽이다) → kobomama (죽임을 당하다)

5. 상호 또는 정지 접미사 (-an-, 때때로 -en-): 동사의 행위가 여러 주어 사이에 상호적으로 일어나거나, 주어의 상태를 나타낸다.

  • 예: kokúta (찾다) → kokútana (만나다)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는 성조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8]

  • 현재완료 (LH-í)
  • 단순 현재 (LL-a)
  • 반복 현재 (LL-aka)
  • 불명확한 최근 과거 (LH-ákí)
  • 불명확한 과거 (LH-áká)
  • 미래 (L-ko-L-a)
  • 가정법 (HL-a)


동사의 주어를 나타내는 접두사는 1인칭과 2인칭의 경우 단수와 복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8]

단수복수
1인칭na-to-
2인칭o-bo-



3인칭 주어 접두사는 주어가 되는 명사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28]

종류접두사
1a-
2ba-
3mo-
4mi-
5li-
6ma-
7e-
8bi-
9e-
10i-
11lo-
14bo-
15e-



주로 인간을 주어로 하는 경우, 'kosala'(하다, 만들다) 동사의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35]

''kosala'' 의 활용
colspan="3" |단수복수
현재[36]1인칭nakosalatokosala
2인칭okosalabokosala
3인칭akosalabakosala
반복[37]1인칭nakosalakatokosalaka
2인칭okosalakabokosalaka
3인칭akosalakabakosalaka
과거반복[38]1인칭nasalakatosalaka
2인칭osalakabosalaka
3인칭asalakabasalaka
평서적[39]1인칭nasalitosali
2인칭osalibosali
3인칭asalibasali
완료[40]1인칭nasalakitosalaki
2인칭osalakibosalaki
3인칭asalakibasalaki
미래[41]1인칭nakosala nde nasalitokosala nde tosali
2인칭okosala nde osalibokosala nde bosali
3인칭akosala nde asalibakosala nde basali
접속법[42]1인칭nasalatosala
2인칭osalabosala
3인칭asalabasala
명령법[43]1인칭tosala
2인칭salabosala
3인칭


8. 문자 체계

링갈라어는 구어(口語)로 더 많이 사용되어 여러 가지 다른 표기 체계가 있는데, 대부분 임시방편적인 것이다. 링갈라어의 문해율(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대중적인 철자법은 매우 유연하며 콩고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 간에 다양하다. 일부 철자법은 프랑스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예를 들어, [s]를 표기하기 위한 이중 s인 ''ss''(콩고 공화국에서), [u]를 표기하기 위한 ''ou''(콩고 공화국에서), 또는 를 표기하기 위한 움라우트가 있는 i인 ''aï'' 등이 있다.

1976년, 자이르 언어학회(Société Zaïroise des Linguistes)는 링갈라어 표기 체계를 채택했다. 이 표기 체계에서는 열린 e()와 열린 o()를 사용하여 모음 와 를 쓰고, 음조(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하기 위해 억양 부호를 사용한다. 하지만 입력 방법의 한계 때문에 링갈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와 및 억양 부호를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영어 또는 프랑스어 키보드로는 링갈라어를 정확하게 입력하기 어렵다. 1976년의 규정은 문자의 대체 철자법을 줄였지만, 음조 표기를 강제하지는 않았다.

대중적인 철자법은 학문적 기반의 철자법보다 단순하고 모호한 경우가 많다. 많은 링갈라어 서적, 논문, 세계인권선언 번역본, 인터넷 포럼, 뉴스레터, 구글의 링갈라어와 같은 주요 웹사이트에서는 링갈라어 특유의 문자 와 를 사용하지 않는다. 음조 표기는 대부분의 문학 작품에서 발견된다.

링갈라어 알파벳은 35개의 문자와 이중자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이중자음은 알파벳에서 특정 위치를 차지한다. 예를 들어, ''mza''는 ''mba''보다 앞에 오는데, 이는 이중자음 ''mb''가 문자 ''m'' 다음에 오기 때문이다. 문자 ''r''과 ''h''는 드물지만 외래어에서 사용된다. 악센트는 다음과 같이 성조를 나타낸다.


  • 기본 성조인 저성조는 악센트가 없다.
  • 고성조는 급성 악센트를 사용한다.
  • 하강조는 곡선 악센트를 사용한다.
  • 상승조는 하ček를 사용한다.


변형예시
aAá â ǎnyama, matáta, sâmbóle, libwǎ
bBbísó
cCciluba
dDmadɛ́su|마데수ln
eEé ê ěkomeka, mésa, kobênga
lɛlɔ́|렐로ln, lɛ́ki|레키ln, tɛ̂|테ln
fFlifúta
gGkogánga
gbGbgbagba
hHbohlu (bohrium)
iIí î ǐwápi, zíko, tî, esǐ
kKkokoma
lLkolála
mMkokóma
mbMbkolámba, mbwá, mbɛlí
mpMplímpa
nNlíno
ndNdndeko
ngNgndéngé
nkNknkámá
nsNsnsɔ́mi|은소미ln
ntNtntaba
nyNynyama
nzNznzala
ooó ô ǒmoto, sóngóló, sékô
sɔsɔ|소소ln, yɔ́|요ln, sɔ̂lɔ|솔로ln, tɔ̌|토ln
pPpɛnɛpɛnɛ|페네페네ln
rRmalaríya
sSkopésa
tTtatá
uUúbutú, koúma
vVkovánda
wWkáwa
yYkoyéba
zZkozala


9. 방언

가톨릭교회가 전파를 위해 사용한 문어가 표준어가 되었다. 또한 두 콩고의 수도에서는 다른 반투어에 크게 영향을 받은 킨샤사 방언, 브라자빌 방언이 존재한다.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 우엘레 강(Uele River) 상류 지역에서 사용되는, 형태적으로 매우 단순화되고[28] 피진화된 링갈라어 방언은 방갈라(bangála)라고 불린다.[25]

10. 공용어로서의 지위

콩고민주공화국(당시 자이르)에서는 1991년에 무려 250여 개의 다양한 부족 언어가 사용되었다고 주장되며[31], 부족 간 의사소통을 위해 공용어가 필요했다. 중남부에서는 루바어, 동부에서는 스와힐리어, 서부에서는 콩고어, 북서부에서는 링갈라어가 지역 공용어로서 경쟁하며 국가를 4분하는 구도를 형성했다.[31] 콩고민주공화국의 "국어"({{llang|fr|langues nationales|})는 이러한 상황 때문에 4개 언어 각각의 사용을 추진하려는 사람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문제와 부족주의적 이해관계 문제로 인해 통일되지 못했다.[31] 다만, 1991년 이전에는 특정 부족에 국한되지 않은 기원을 가진 링갈라어와 스와힐리어가 다른 두 언어보다 우세했다.[31]

링갈라어는 정부 및 교육 관련 문서, 법정 기록에도 사용되며, 지역 주민들에게는 일상생활에서 무시할 수 없는 존재이다.[32] 또한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오랫동안 군대 용어로 사용되었다.[24]

11. 예시

주기도문


'''주기도문 (가톨릭판)'''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당신의 이름을 거룩히 여기시며,

:당신의 나라가 오시며,

:당신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우리의 잘못을 용서하시는 대로 우리도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하오며,

:우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나라와 권능과 영광이 영원히 당신의 것입니다.

:아멘.

'''주기도문 (우방기-몽갈라 지역에서 사용되는 개신교판)'''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당신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며,

:당신의 나라가 임하시며,

:당신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양식을 주시고,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는 대로 우리도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하며,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나라와 권능과 영광이 영원토록 당신의 것입니다.

:아멘.

모든 사람은 자유로우며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갖추고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세계인권선언 제1조)[22]

참조

[1] 서적 River of wealth, river of sorrow: The central Zaire basin in the era of the slave and ivory trade, 1500–1891 Yale University Press 1981
[2] 서적 The Black man's burden: African colonial labor on the Congo and Ubangi rivers, 1880–1900 Westview Press 1989
[3] 서적 A Grammatical Overview of Lingala Lincom 2020
[4] 언어 Pidgin Bobangi
[5] 서적 Les Bangala et la première décennie du poste de Nouvelle-Anvers (1884–1894) Université Lovanium 1971
[6] 학술지 Etat des recherches sur le lingala comme groupe linguistique autonome: Contribution aux études sur l'histoire et l'expansion du lingala 1991
[7] 학술지 The so-called "Bangala" and a few problems of art-historical and ethnographical order 1954
[8] 서적 The Black man's burden: African colonial labor on the Congo and Ubangi rivers, 1880–1900 Westview Press 1989
[9] 학술지 La dynamique sociale et l'épisode colonial: La formation de la société "Bangala" dans l'entre Zaïre-Ubangi 1995
[10] 서적 A grammatical overview of Lingala: Revised and extended edition Lincom 2020
[11] 서적 A Grammatical Overview of Lingala Lincom 2020
[12] 서적 A grammatical overview of Lingala: Revised and extended edition Lincom 2020
[13] 서적 Dictionnaire bangala-français-lingala ACCT 1994
[14] 웹사이트 Lingala language https://www.britanni[...] 2018-05-06
[15] 웹사이트 Bobangi language https://bobangi.word[...] 2018-10-10
[16] 서적 Le grand Dzo : nouveau dictionnaire illustré lingala-français
[17] 서적 Lingala – Malóba ma lokóta/Dictionnaire
[18] 학술지 Rapport Général 1987
[19] 서적 Manuel de lingala tenant compte du langage parlé et du langage littéraire Schuet 1952
[20] 서적 Tósolola na Lingála: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Lingála as a foreign language NALRC 2004
[21] 서적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lingala ya Bayankee/Yanké Routledge 2022
[22] 웹사이트 Learn Lingala (Months) https://lingala.mofe[...]
[23] 서적 多言語使用と教育用言語を巡って コンゴ民主共和国の言語問題 三元社 2009-04-30
[24] 서적 多言語使用と教育用言語を巡って コンゴ民主共和国の言語問題 三元社 2009-04-30
[25] 서적 2000
[26] 서적 2009
[27] 서적 1992
[28] 서적 1992
[29] 서적 2009
[30] 서적 2009
[31] 서적 1991
[32] 서적 1987
[33] 일반
[34] 서적 1998
[35] 서적 1973
[36] 서적 현재시제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37] 서적 반복 현재 (Настоящее повторяющееся)
[38] 서적 반복 과거 (Прошедшее многократное)
[39] 서적 평서적 과거 (Прошедшее повествовательное)
[40] 서적 완료 과거 (Прошедшее завершенное)
[41] 서적 미래 시제 (Будущее время)
[42] 서적 접속법 (Сослагат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43] 서적 명령법 (Повелит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