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만령 시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령 시리아는 1516년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술탄국을 정복하면서 시작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시리아를 여러 에얄레트와 산자크로 나누어 통치했으며, 행정 구역은 시대에 따라 여러 번 변화했다. 1833년에는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에게 시리아가 할양되었으나, 1860년 레바논 산과 다마스쿠스 내전 이후 레바논 산악 지역은 자치권을 얻었다.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지방 행정이 개편되었고, 1872년 예루살렘은 특별 행정 구역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령 시리아 - 밸푸어 선언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영국 외무장관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비유대인의 권리 침해 금지 단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 오스만령 시리아 - 베르셰바
    베르셰바는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도시로, 청동기 시대부터 유다 지파의 도시로 등장하여 여러 시대를 거쳐 현재 이스라엘의 주요 도시이자 네게브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유다이아 - 헤로데 왕국
    헤로데 왕국은 기원전 1세기 후반부터 기원후 1세기 초반까지 로마 제국의 클라이언트 왕국으로, 헤로데 1세가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되어 시작되었으며 그의 사후 분할 통치되다가 유대 속주로 편입되었다.
  • 유다이아 - 야브네
    야브네는 이스라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얌니아로 불렸으며, 제2성전 파괴 이후 유대교 회복의 중심지였고, 십자군 시대에는 이벨린으로 불리며 예루살렘 왕국의 요새가 건설되었고, 1948년 이후 계획 도시로 지정되어 텔아비브의 위성 도시로 발전했다.
  • 이스라엘의 역사 - 이스라엘 왕국
    이스라엘 왕국은 후기 청동기 시대 가나안 지역에서 형성되어 철기 시대 I기에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성장했으나, 솔로몬 사후 남북으로 분열되어 각각 아시리아와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국가이다.
  • 이스라엘의 역사 - 시온주의
    시온주의는 예루살렘의 시온산을 의미하며, 19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들의 국가 재건 운동을 가리키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지지하는 운동이다.
오스만령 시리아
개요
오스만 시리아
시리아 지방에 해당하는 오스만 영토는 보라색으로 표시됨
일반 정보
명칭시리아
국가오스만
정부 형태군주제
수도이스탄불에서 관리
좌표북위 34도 동경 37도
존속 기간1516년–1918년
주요 사건 시작마르지 다비크 전투
주요 사건 종료시나이 팔레스타인 전역
사건 1제1차 이집트-오스만 전쟁
날짜 11831–1833년
사건 2제2차 이집트-오스만 전쟁
날짜 21839–1841년
이전 국가맘루크 술탄국
이후 국가점령지 적군 행정부
역사
성립1516년
소멸1918년

2. 역사

1516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1세는 북부 시리아 알레포 근처에서 벌어진 마르지 다비크 전투에서 맘루크 왕조를 격파하고 시리아를 정복했다. 이후 리다니예 전투에서 승리하여 1517년 이집트를 정복하고 맘루크 술탄국을 멸망시켰다.

라타키아의 모스크, 루이지 메이어(1755–1803)가 삽화를 그린 ''오스만 제국의 지배, 유럽, 아시아 및 지중해 섬의 전망'' (1810)에서.


1810년 루이지 메이어의 삽화에서 오스만 시리아의 베들레헴 마을.

2. 1. 오스만 제국의 정복 (16세기)

1516년 이전 시리아는 이집트를 중심으로 한 맘루크 술탄국의 일부였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1세는 1516년 북부 시리아 알레포 근처에서 벌어진 마르지 다비크 전투에서 맘루크 군대를 격파하고 시리아를 정복했다. 1517년 리다니예 전투에서 승리하여 이집트를 정복하고 맘루크 술탄국을 멸망시켰다.

2. 2. 행정 구역의 변화

1516년 셀림 1세맘루크 시대의 시리아 행정 구역을 그대로 유지했다.[1] 1517년 7월 이집트에서 돌아온 후에는 시리아를 "샴"(아랍어, 튀르키예어로 "시리아")이라는 하나의 큰 에얄렛으로 재편성하고, 여러 산자크로 나누었다.[1]

2. 2. 1. 초기 행정 구역 (1516-1549)

셀림 1세는 1516년에 시리아를 처음 점령했을 때 맘루크 시대의 행정 구역을 그대로 유지했다.[1] 1517년 7월 이집트에서 돌아온 후 시리아를 "샴"(아랍어튀르키예어로 "시리아")이라는 하나의 큰 에얄렛으로 재편성하고, 여러 산자크로 나누었다.[1]

2. 2. 2. 1549-1663

1549년 시리아는 2개의 에얄레트로 재편되었다. 북부의 알레포 산자크는 새로운 알레포 에얄레트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때 시리아의 두 에얄레트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었다.

알레포 에얄레트(إيالة حلب|알레포 에얄레트ar)다마스쿠스 에얄레트(إيالة دمشق|다마스쿠스 에얄레트ar)



1579년, 트리폴리 에얄레트는 '시리아의 트리폴리'(Trablusşam|Trablusşamtr; طرابلس الشام|타라불루스 알샴ar)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 시점에서 에얄레트는 다음과 같았다.

오스만 시리아의 타르투스, 루이지 마이어의 1810년 삽화.


알레포 에얄레트트리폴리 에얄레트다마스쿠스 에얄레트



1660년, 사파드 에얄레트가 설립되었다. 이후 시돈 에얄레트, 그리고 베이루트 에얄레트로 개명되었다.

2. 2. 3.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통치 시기 (1831-1841)

1833년, 시리아 지방은 쿠타히아 협약을 통해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에게 할양되었다. 칙령은 다음과 같이 명시했다.[2]

"칸디아와 이집트의 정부는 무함마드 알리에게 계속 주어진다. 그리고 그의 특별한 요구에 따라, 나는 그에게 다마스쿠스, 시리아의 트리폴리, 시돈, 사페트, 할레포, 예루살렘과 나블루스의 지역, 순례자들의 인도와 체르데(예언자의 무덤에 대한 연례 헌납)의 명령을 부여했다. 그의 아들인 이브라힘 파샤는 다시 메카의 셰이크이자 하렘의 칭호를 가지며, 제다 지역을 소유한다. 또한, 나는 그의 요청에 따라 아다나 지역을 타우루스 재무부에 의해 통치하게 하고, 모하실의 칭호를 부여했다."

이 기간 동안, 1839년과 1856년의 숭고한 포르테의 칙령(포고령)은 무슬림과 비무슬림 신민의 지위를 동등하게 함으로써 무슬림과 기독교인 사이의 극적인 소외를 낳았다. 한 작가의 말에 따르면, "전자는 암묵적인 우월성의 상실에 분개하여 1850년 할레포, 1856년 나블루스, 1860년 다마스쿠스와 레바논에서 기독교 공동체를 반복적으로 공격하고 학살했다. 이러한 쓰라린 내부 분쟁의 장기적인 결과 중에는 1920~40년대 기독교가 지배하는 레바논의 출현과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시온주의자들의 유입에 맞서면서 기독교인과 무슬림 팔레스타인 아랍인 사이의 깊은 균열이 나타났다."[3]

2. 2. 4. 레바논 산악 지역의 자치 (1861)

1860년 레바논 산과 다마스쿠스 내전으로 수천 명의 기독교 민간인이 학살되자, 주로 프랑스의 압력으로 1861년 오스만 제국 칙령이 내려졌다. 이 칙령에 따라 내전을 초래한, 종교적 통치에 기반한 이전 정권인 "이중 카이마캄"은 레바논 산 무타사리파테로 바뀌었고, 법에 따라 레바논인이 아닌 기독교인이 무타사리프로 통치하게 되었다.[1]

2. 3. 탄지마트 개혁과 빌라예트 체제 (1864)

탄지마트 개혁의 일환으로, 1864년 오스만 제국에서 통과된 법률은 제국 전역에 걸쳐 표준 지방 행정을 제공하여 에얄렛을 더 작은 빌라예트로 개편했다. 이 빌라예트는 여전히 숭고한 포르타에 의해 임명되었지만 행정에 참여하는 새로운 지방 의회가 있는 왈리(총독)가 통치했다.[1]

오스만 시리아를 포함한 1899년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 지도

2. 4. 1872-1918

1872년 예루살렘과 주변 지역은 예루살렘 무타사리파테로 특별 행정 지위를 얻었다.[4] 1895년에는 카라크 무타사리파테가 설치되었다.[4]

이 시기 오스만령 시리아의 주요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4]

행정 구역아랍어 표기
알레포 빌라예트ولاية حلب|윌라야트 할랍ar
조르 산자크سنجق دير الزور|산자크 데이르 에조르ar
베이루트 빌라예트ولاية بيروت|윌라야트 베이루트ar
시리아 빌라예트ولاية سورية|윌라야트 수리야ar
레바논 산악 무타사리파테متصرفية جبل لبنان|무타사리피야트 자발 루브난ar
예루살렘 무타사리파테متصرفية القدس الشريف|무타사리피야트 알쿠드스 아슈샤리프ar
카라크 무타사리파테متصرفية الكرك|무타사리피야트 알카라크ar



조르 산자크와 알레포 빌라예트의 주요 부분은 오스만령 시리아에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4] 1915년 영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시리아"라는 용어는 토로스 산맥과 시나이반도 사이 지역 전체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분리되어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형성한 지역도 포함되었다.[5]

참조

[1]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0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문서 The Syrian Question 1841
[3] 웹사이트 Righteous Victims https://archive.nyti[...]
[4] 서적 Geographical Dictionary of the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Logos Press 1906
[5] 간행물 Report of a Committee set up to consider certain correspondence between Sir Henry McMahon (his majesty's high commissioner in egypt) and the Sharif of Mecca in 1915 and 1916 http://www.icsresour[...] 1939-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