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미급 수송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미급 수송함은 일본 해상자위대가 운용하는 상륙 수송함으로, 1990년대 중반에 개발되었다. 헬기 갑판과 웰 데크를 갖춰 수송 능력을 높였으며, 육상자위대 병력과 장비를 수송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LCAC를 통해 상륙 작전을 지원하고, 헬리콥터 운용 능력도 갖추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재해 상황에서 구호 활동에도 투입되었으며, MV-22 오스프리 및 AAV7A1 원정 전투 차량 운용을 위한 개량도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며, 평화 헌법 제약으로 '수송함'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스미급 수송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JS 오스미
JS 오스미
함종전차 상륙함
이전 함급미우라급
제원
건조미쓰이 E&S 다마노
히타치 마이즈루
건조 기간1993년–1999년
취역 기간1998년–현재
총 건조 함선 수3척
계획 함선 수3척
완공 함선 수3척
취소 함선 수0척
활동 함선 수3척
퇴역 함선 수0척
손실 함선 수0척
보존 함선 수0척
추진 방식2 × 미쓰이 E&S 16V42M-A 디젤 엔진, )
2축
1 × 선수 스러스터
승선 인원137명
수송 가능 인원330명
탑재 가능 장비전차 최대 10대
센서 및 레이더
레이더OPS-14C 대공 탐색 레이더
OPS-28D 대수상 탐색 레이더
OPS-20 항해 레이더
TACAN
전자전 장비4 × Mark 36 SRBOC
무장
무장2 × 20 mm 팰렁스 CIWS
2 × M2 브라우닝 기관총
항공 시설
항공 시설격납고헬리패드
함재정2 × LCAC (공기부양정)

2. 개발 배경

1955년, 일본은 미국과의 상호 방위 원조 협정(MSA 협정)에 따라 미국 해군으로부터 범용 양륙정(LCU) 6척과 기동 양륙정(LCM) 29척을 공여받아 주정대를 설치했다. 이는 해상자위대 수송·양륙 함정 부대의 시초가 되었다. 1961년에는 같은 협정에 기초하여 LST-1급 전차 양륙함 3척을 공여받아 초대 오스미형 수송함으로 제1수송대를 편성했다. 이후 일본은 자체적으로 1,500톤급 아쓰미형 수송함 3척과 2,000톤급 미우라형 수송함 3척을 건조하여 해상 작전 수송 능력을 강화했다. 여기서 '''해상 작전 수송'''은 해외 침공과 직결되는 '해상 수송'과는 구별되며, 일본 국내에 적이 침공했을 때 '''적의 지배 지역이나 그 인근에 육상자위대 등의 부대를 수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초 해상자위대는 1,500톤형(45LST)을 대체하기 위해 3,500톤급 수송함을 계획했다.[7] 이후 1987년부터 1989년까지는 헬기 이착함 기능을 갖춘 5,500톤급 수송함을, 1990년에는 50톤형 LCAC 2척을 탑재하는 9,000톤급 수송함을 검토했지만 모두 실현되지 않았다.

1991년 중기 방위력 정비 계획(03 중방)에서는 25톤형 LCAC 2척을 탑재하는 5,500톤급 수송함 건조가 검토되었다. 해상막료감부는 1992년 계획함으로 5,700톤급에 50톤형 LCAC 1척 탑재안을 제시했지만, 운용 유연성 부족과 90식 전차 탑재 불가 문제로 보류되었다. 1993년, 50톤형 LCAC 2척을 탑재하는 8,900톤급 수송함 건조가 예산 요구되었다. 대형 수송함 건조 계획은 여러 차례 좌절되었으나, 자위대 캄보디아 파견 당시 수송함 "오지카"가 태풍 속에서 항해하는 사진이 주간 문춘에 게재되면서 대장성 주계국이 대형 수송함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오스미급 건조로 이어졌다.

3. 설계 및 특징

''쿠니사키(Kunisaki)''함의 선수 모습


''오오스미(Ōsumi)''함의 선미 모습


''시모키타(Shimokita)''함에 착륙하려는 MV-22B


''GlobalSecurity.org''는 ''오오스미''급에 대한 보고서에서 "이 프로그램은 방어 및 기뢰 대책(MCM) 목적으로 소형 항공모함을 제안한 것에서 시작되었지만, 정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는 판단하에 사업이 양륙함으로 재구성되었다"라고 언급했다(실제로는 "해상 작전 수송선").[1] 이후 해상자위대는 더 큰 을 개발하며 이 아이디어로 되돌아갔다.

''오오스미''급은 평평한 상부 차량 주차 데크를 갖추어 수송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우현으로 치우쳐진 높은 상부 구조물 섬은 소형 항공모함처럼 보이게 하지만, 헬리콥터 비행 갑판은 함선의 선미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폐된 하부 주차 데크에 접근하는 소형 데크 엘리베이터는 헬리콥터가 아닌 차량용이며, 하부 차량 데크는 웰 데크에 접근할 수 있다. 밀폐된 항공기 격납고는 없으며 모든 헬리콥터는 갑판에 묶여 있다.[1]

해상자위대는 당시(1990년대 중반) 정치적으로 금지되었던 양륙 작전 교리의 개발에 대한 대안으로 ''해상 작전 수송'' 개념을 개발했다. 이 개념은 "적의 상륙이 가능하거나 예상되는 지역 또는 적이 이미 상륙했지만 여전히 일본의 통제 하에 있는 지역에 육상자위대 증원 부대를 투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핵심은 상륙이 외국이 아닌 일본 영토에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이 개념은 상륙 공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헬리콥터 수송의 속도와 필요한 헬리콥터의 종류는 공격 상륙과 매우 다를 것이다."[2]

''오오스미''급은 특히 외딴 섬 방어에 있어 해상자위대에 적절한 수송 능력을 제공한다. ''오오스미''급은 지상 병력을 전략적 위치로 수송하고 대규모 자연 재해 발생 시 민간인을 구조할 수 있다. 선체에는 장갑과 개방형 갑판이 있다. 선체 후면에는 대형 CH-47 헬리콥터 2대를 위한 장갑형 착륙 갑판이 있다. 함선 후면의 웰 데크에는 LCAC(Landing Craft Air Cushion) 호버크래프트 2대가 수용된다. 전방에는 주 갑판 아래 100m 데크가 있지만, 이 공간에 접근하는 단일 엘리베이터는 소형 헬리콥터 외에는 적합하지 않다. 수직 이착륙기 또는 대형 헬리콥터는 엘리베이터에 들어갈 수 없다. 전방 주 갑판 아래의 이 공간은 주로 차량 보관에 사용되어 전투 차량 및/또는 장갑 차량이 웰 데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함체 ====

오오스미급은 일반적인 상선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함수에는 벌브 선수가 채용되어 항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추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상자위대에서는 처음으로 벌브 선수를 채용하였다. 속력, 안정성 등이 대폭 개선되었다. 또한 선체 설계는 군함 구조가 아닌 일반 상선 베이스로 되어 있으며, 함수의 양묘기도 일반 상선 용품이다.

상갑판(제1갑판)은 함수 닻 갑판을 제외하고 거의 전 길이에 걸친 전통 비행 갑판으로 되어 있으며, 함교 구조물은 우현 측으로 모은 아일랜드형으로 되어 있어 항공모함과 유사한 외형을 가진다. 함교 구조물보다 후방은 헬리콥터 갑판으로, 그보다 전방은 차량, 자재용 갑판으로 사용된다. 전파 스텔스성을 높이기 위해 함체, 함교 구조물 모두 경사를 주어, 가능한 한 요철을 줄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해상자위대로서는 처음으로 마스트를 트러스 구조에서 통형 구조로 변경했다.

==== 기관 ====

오스미급 수송함의 주 기관은 도와다형 보급함의 기관을 대체로 계승하여, 미쓰이 조선의 16V42M-A형 V형 16기통 디젤 엔진을 1기씩 총 2기, 양 현 2축에 배치했다. 기계실은 1구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진기로는 호위함 이외로는 처음으로 가변 피치 프로펠러(CPP)를 채택했다. 또한 출입항 지원을 받기 어려운 항만에서의 접안을 위해, 바우 스러스터를 장비하고, CPP와 조합하여 조이스틱을 조작함으로써 접안이 용이하도록 출입항 지원 장치가 장비되었다.

==== 수송 및 상륙 능력 ====

오오스미급은 차량, 물자, 병력 등 다양한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1] 함내에는 길이 100m의 차량 갑판이 있으며, 상부 갑판에도 차량 및 자재를 적재할 수 있다. 육상자위대 병력 330명과 90식 전차 최대 18량, 대형 트럭 최대 65대를 수송할 수 있다. 함미에는 웰 데크가 있어 LCAC 2척을 탑재하고 운용할 수 있다.

함체 내 제4 갑판에는 길이 100m, 폭 13m의 차량 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은 함체 양현의 사이드 램프를 통해 직접 출입한다. 제1 갑판과 제4 갑판 사이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킨다. 제4 갑판은 2개 층 높이로, 그 위 제2 갑판은 갤러리 데크 형태이다. 제2, 3 갑판에는 승무원 거주 구역 외에 육상자위대원용 거주 구역이 있어, 1척으로 완전 무장한 육상자위대원 330명과 전차 등을 포함한 중대 전투군을 수송할 수 있다. 제1 수송대 소속 3척으로 대원 약 2,000명, 전차 1개 중대, 특과 1개 대대 등 보통과 연대 전투단(RCT) 절반을 수송할 수 있다. 민간인 수송 시에는 차량 갑판 등을 활용하여 최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아쓰미형이나 미우라형 등 기존 해상자위대 수송함은 좌초 착안(비칭) 방식으로 양륙했으나, 이는 양륙 적지가 제한되고 고속력 발휘가 어려우며, 풍랑계급 2 초과 시 양륙이 불안정해지는 등 기동성과 양륙 적지 선택의 자유도가 떨어졌다.

오오스미급은 LCAC를 이용하여 양륙하며, 비칭 방식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해안(세계 해안선의 약 70%)에서 양륙이 가능하다. 교통선 2150호형도 탑재 가능하지만, 평시에는 구레 기지에서 항내 지원 임무에 종사한다.

LCAC나 AAV7 운용 시에는 함미 문을 열면 되지만, 재래식 주정 운용 시에는 밸러스트 탱크에 주수하여 함미를 내려 도크에 해수를 유도해야 한다. 선체 자세 제어를 위해 약 1,300-3,000톤의 밸러스트수를 탑재할 수 있으나, 현재 밸러스트 펌프 능력 부족으로 주수에 약 1.5시간이 소요된다.

LCAC는 대량의 병력이나 중화기 수송 능력이 낮고, 동급 미국 해군 도크형 상륙함이 LCAC 3척을 탑재하는 데 비해 오스미급은 2척만 탑재하므로, 기존 LST가 양륙 기능에 중점을 둔 반면 오스미급은 수송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2014년 '오스미' 정기 점검에서 LCAC 스커트 부분 개수에 따른 부양 고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웰 데크 천장 크레인을 철거하고, AAV7 운용을 위해 LCAC 갑판 중앙에 미끄럼 방지 시공을 했다. 이후 정기 점검 시 제1엘리베이터 내하중 향상, 주배수 능력 강화, 함미 문 개폐 기구 강화, 비행 갑판 내열 도료 시공, LCAC 갑판 내 버터 보드 추가 시공 등이 계획되어 있다.

==== 항공 운용 능력 ====

오오스미급은 헬리콥터 운용을 위한 비행 갑판을 갖추고 있지만, 격납고는 없다.[1] 함선 후미에 CH-47 헬리콥터 2대를 위한 장갑형 착륙 갑판이 있으며,[2] 육상자위대의 헬리콥터를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다. 헬리콥터 갑판에는 CH-47 수송 헬리콥터의 주기 및 발착 스폿 각 1개가 설정되어 있으며, 미 해군 항공모함과 강습상륙함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재(MS-440G)가 시공되어 있다.[8]

1번함 "오오스미"는 건조 당시 정치적 판단으로 핀 스태빌라이저(횡요 방지 장치)가 장착되지 않았으나, 2번함부터 장비되었고, 추후 개수를 통해 1번함에도 장착되었다. 이와 함께 항공 연료 용량도 증대되었으며, TACAN도 탑재되었다.

2013년 미일 연합 훈련에서 미국 해병대의 MV-22B 오스프리가 "시모키타"에 착함했으며, 2014년 이후 오스프리 운용을 위한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9]

==== 의료 기능 ====

오오스미급 수송함에는 수술실, 집중 치료실(2병상), 병상(6병상)을 갖춘 의료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11] 이는 등장 당시 자위함으로서는 가장 충실한 의료 능력이었다.[11] 다른 호위함과 마찬가지로 해수 담수화 장치도 갖춰져 있어 급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2005년에는 시모키타함에서 육상자위대의 야외 수술 시스템 전개 기술 시험이 실시되었고,[12] 2006년에는 야외 수술 시스템 전원 공급을 위한 개조가 이루어져 의료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다.[13] 2013년에는 시모키타함에 육상자위대의 야외 수술 시스템을 탑재, 재해파견의료팀(DMAT) 및 닥터헬기와 연계하여 병원선 실증 훈련이 실시되었다.[12][13]

3. 1. 함체

오오스미급은 일반적인 상선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함수에는 벌브 선수가 채용되어 항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추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상자위대에서는 처음으로 벌브 선수를 채용하였다. 속력, 안정성 등이 대폭 개선되었다. 또한 선체 설계는 군함 구조가 아닌 일반 상선 베이스로 되어 있으며, 함수의 양묘기도 일반 상선 용품이다.

상갑판(제1갑판)은 함수 닻 갑판을 제외하고 거의 전 길이에 걸친 전통 비행 갑판으로 되어 있으며, 함교 구조물은 우현 측으로 모은 아일랜드형으로 되어 있어 항공모함과 유사한 외형을 가진다. 함교 구조물보다 후방은 헬리콥터 갑판으로, 그보다 전방은 차량, 자재용 갑판으로 사용된다. 전파 스텔스성을 높이기 위해 함체, 함교 구조물 모두 경사를 주어, 가능한 한 요철을 줄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해상자위대로서는 처음으로 마스트를 트러스 구조에서 통형 구조로 변경했다.

3. 2. 기관

오스미급 수송함의 주 기관은 도와다형 보급함의 기관을 대체로 계승하여, 미쓰이 조선의 16V42M-A형 V형 16기통 디젤 엔진을 1기씩 총 2기, 양 현 2축에 배치했다. 기계실은 1구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진기로는 호위함 이외로는 처음으로 가변 피치 프로펠러(CPP)를 채택했다. 또한 출입항 지원을 받기 어려운 항만에서의 접안을 위해, 바우 스러스터를 장비하고, CPP와 조합하여 조이스틱을 조작함으로써 접안이 용이하도록 출입항 지원 장치가 장비되었다.

3. 3. 수송 및 상륙 능력

오스미급은 차량, 물자, 병력 등 다양한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1] 함내에는 길이 100m의 차량 갑판이 있으며, 상부 갑판에도 차량 및 자재를 적재할 수 있다. 육상자위대 병력 330명과 90식 전차 최대 18량, 대형 트럭 최대 65대를 수송할 수 있다. 함미에는 웰 데크가 있어 LCAC 2척을 탑재하고 운용할 수 있다.

함체 내 제4 갑판에는 길이 100m, 폭 13m의 차량 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은 함체 양현의 사이드 램프를 통해 직접 출입한다. 제1 갑판과 제4 갑판 사이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킨다. 제4 갑판은 2개 층 높이로, 그 위 제2 갑판은 갤러리 데크 형태이다. 제2, 3 갑판에는 승무원 거주 구역 외에 육상자위대원용 거주 구역이 있어, 1척으로 완전 무장한 육상자위대원 330명과 전차 등을 포함한 중대 전투군을 수송할 수 있다. 제1 수송대 소속 3척으로 대원 약 2,000명, 전차 1개 중대, 특과 1개 대대 등 보통과 연대 전투단(RCT) 절반을 수송할 수 있다. 민간인 수송 시에는 차량 갑판 등을 활용하여 최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아쓰미형이나 미우라형 등 기존 해상자위대 수송함은 좌초 착안(비칭) 방식으로 양륙했으나, 이는 양륙 적지가 제한되고 고속력 발휘가 어려우며, 풍랑계급 2 초과 시 양륙이 불안정해지는 등 기동성과 양륙 적지 선택의 자유도가 떨어졌다.

오스미급은 LCAC를 이용하여 양륙하며, 비칭 방식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해안(세계 해안선의 약 70%)에서 양륙이 가능하다. 교통선 2150호형도 탑재 가능하지만, 평시에는 구레 기지에서 항내 지원 임무에 종사한다.

LCAC나 AAV7 운용 시에는 함미 문을 열면 되지만, 재래식 주정 운용 시에는 밸러스트 탱크에 주수하여 함미를 내려 도크에 해수를 유도해야 한다. 선체 자세 제어를 위해 약 1,300-3,000톤의 밸러스트수를 탑재할 수 있으나, 현재 밸러스트 펌프 능력 부족으로 주수에 약 1.5시간이 소요된다.

LCAC는 대량의 병력이나 중화기 수송 능력이 낮고, 동급 미국 해군 도크형 상륙함이 LCAC 3척을 탑재하는 데 비해 오스미급은 2척만 탑재하므로, 기존 LST가 양륙 기능에 중점을 둔 반면 오스미급은 수송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2014년 '오스미' 정기 점검에서 LCAC 스커트 부분 개수에 따른 부양 고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웰 데크 천장 크레인을 철거하고, AAV7 운용을 위해 LCAC 갑판 중앙에 미끄럼 방지 시공을 했다. 이후 정기 점검 시 제1엘리베이터 내하중 향상, 주배수 능력 강화, 함미 문 개폐 기구 강화, 비행 갑판 내열 도료 시공, LCAC 갑판 내 버터 보드 추가 시공 등이 계획되어 있다.

3. 4. 항공 운용 능력

오오스미급은 헬리콥터 운용을 위한 비행 갑판을 갖추고 있지만, 격납고는 없다.[1] 함선 후미에 CH-47 헬리콥터 2대를 위한 장갑형 착륙 갑판이 있으며,[2] 육상자위대의 헬리콥터를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다. 헬리콥터 갑판에는 CH-47 수송 헬리콥터의 주기 및 발착 스폿 각 1개가 설정되어 있으며, 미 해군 항공모함과 강습상륙함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재(MS-440G)가 시공되어 있다.[8]

1번함 "오오스미"는 건조 당시 정치적 판단으로 핀 스태빌라이저(횡요 방지 장치)가 장착되지 않았으나, 2번함부터 장비되었고, 추후 개수를 통해 1번함에도 장착되었다. 이와 함께 항공 연료 용량도 증대되었으며, TACAN도 탑재되었다.

2013년 미일 연합 훈련에서 미국 해병대의 MV-22B 오스프리가 "시모키타"에 착함했으며, 2014년 이후 오스프리 운용을 위한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9]

3. 5. 의료 기능

오스미급 수송함에는 수술실, 집중 치료실(2병상), 병상(6병상)을 갖춘 의료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11] 이는 등장 당시 자위함으로서는 가장 충실한 의료 능력이었다.[11] 다른 호위함과 마찬가지로 해수 담수화 장치도 갖춰져 있어 급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2005년에는 시모키타함에서 육상자위대의 야외 수술 시스템 전개 기술 시험이 실시되었고,[12] 2006년에는 야외 수술 시스템 전원 공급을 위한 개조가 이루어져 의료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다.[13] 2013년에는 시모키타함에 육상자위대의 야외 수술 시스템을 탑재, 재해파견의료팀(DMAT) 및 닥터헬기와 연계하여 병원선 실증 훈련이 실시되었다.[12][13]

4. 동급 함정

(오와세 기지)미쓰이 조선 타마노 사업소 건조, 구레 모항LST-4002시모키타1999년 11월 30일2000년 11월 29일2002년 3월 12일미쓰이 조선 타마노 사업소 건조, 구레 모항LST-4003구니사키2000년 9월 7일2001년 12월 13일2003년 2월 26일히타치 조선 마이즈루 공장 건조, 구레 모항



3척 모두 제1수송대에 소속되어 오와세 기지에 배치되어 있다.

5. 운용 현황

오스미급은 3척 모두 해상자위대 제1수송대에 배치되어 수송 및 상륙 임무를 수행한다.[14][15][16] 국제 평화 유지 활동(PKO), 재해 구호 활동 등 다양한 비군사적 임무에도 투입되었다.[14][15]

1999년 9월, 터키 북서부 지진 피해자 구호를 위해 "오스미"가 가설 주택, 텐트, 담요 등을 이스탄불로 수송했을 때[14], 터키 국민들은 "발트 함대를 격파한 일본 해군의 후예가 우리를 구하러 왔다"며 환영했다.[14] 2002년에는 동티모르에 PKO 부대를 수송했다.[14]

2004년에는 이라크 부흥 지원법에 의거하여 육상자위대가 이라크에서 사용하는 경장갑기동차나 급수차 등 차량 70대를 수송했다.[14] "시모키타"는 테러 대책 특별 조치법에 의거하여 태국 육군 공병 부대와 건설용 중장비를 아프가니스탄 근처의 인도양 연안으로 수송했다.[14] "쿠니사키"는 수마트라 지진 피해지에 대한 인도적 지원 활동을 위해 파견되어, 원조 물자 수송 및 해상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14]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시, 오스미급은 수색 및 구조, 재해 구호 작전에 참여했다.[3] 함이 직접 접안하여 물자를 육상으로 하역하거나, 항만 시설 사용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LCAC를 이용해 양륙했다.[15] 차량 갑판에 입욕 설비를 설치하여 입욕 지원, 건강 조사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쳤다.[15]

2024년 노토반도 지진에서는 해저 융기로 인해 거의 모든 항만에 선박 접안이 불가능해지자, LCAC를 활용하여 항만 기능 및 도로 복구용 토목 기계를 상륙시켰다.[16]

최근에는 수륙양용작전 능력 강화를 위해 MV-22 오스프리 및 AAV7A1 원정 전투 차량 운용을 위한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3][5][6]

6. 한국 해군과의 관계 및 비교

오오스미급은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급 대형수송함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이다.[17] 독도함은 오오스미급보다 더 큰 규모와 향상된 항공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상륙 작전 및 해상 작전의 핵심 전력으로 운용되고 있다. 오오스미급은 일본의 평화 헌법 제약 하에서 '수송함'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독도함은 '대형수송함'으로 분류되어 상륙 작전 능력을 명시하고 있다.

함명국가건조년도길이(m)만재배수량(톤)헬기수직이착륙기속력(노트)마력종류
독도함200519919,0001502341,615LPH
오오스미199517814,000002226,000LST


7. 평가 및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LST Osumi Class http://www.globalsec[...] 2017-02-12
[2] 간행물 Jieikan no Genyu Seiryoku to Shyorai Tenbo 2009-01
[3] 웹사이트 readdailynews.com http://www.readdaily[...] 2017-02-12
[4] 웹사이트 Onodera sets out plans to buy amphibious assault ships http://www.janes.com[...] 2014-12-24
[5] 웹사이트 Japanese Shipbuilder Pitches Amphibious Assault Ship For Country's Growing Marine Forces https://www.thedrive[...] 2023-02-13
[6] 웹사이트 Japan receives its first V-22 Osprey tiltrotor aircraft https://www.upi.com/[...] 2023-02-13
[7] 학술지 海上自衛隊の新型輸送艦はどんなフネ? 海人社
[8] 학술지 イカロス出版
[9] 웹사이트 海自輸送艦を大幅改修 4億円要求 離島防衛に本腰 https://web.archive.[...] 2013-08-28
[10] 웹사이트 鎮西26(26.11.4 演習参加部隊2)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西部方面隊
[11] 서적 知られざる自衛隊災害医療 悠飛社
[12] 웹사이트 平成25年度「防災の日」総合防災訓練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13-09-01
[13] 웹사이트 沖合の「病院船」で治療訓練 http://www3.nhk.or.j[...] 2013-09-01
[14] 간행물 軍事研究 ジャパン・ミリタリーレビュー社
[15] 웹사이트 東日本大震災出動指揮官インタビュー(3) - 「“海上からの救援”― 出来る範囲で創意工夫を」 http://www.jpsn.org/[...] 2013-09-02
[16] 보도자료 令和6年能登半島地震に係る災害派遣 https://www.mod.go.j[...] 防衛省統合幕僚監部 2024-04-30
[17] 웹인용 Japan's Secret Aircraft Carriers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08-07-13
[18] 웹사이트 Japan's About-Face: The military's shifting role in post-war society. http://www.pbs.org/w[...] 2008-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