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노피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노피온은 디오니소스와 아리아드네의 아들이다. 렘노스에서 태어났으며, 토아스, 스타필루스 등의 형제가 있었다. 그는 헬리케와의 사이에서 딸 메로페를 두었으며, 멜라스, 탈로스 등의 아들을 두었다. 오이노피온은 오리온을 손님으로 맞이했으나, 오리온이 그의 딸 메로페를 겁탈하려 하자 오리온의 눈을 멀게 하고 섬에서 쫓아냈다. 오이노피온은 키오스 섬의 지배권을 받았으며, 아버지 디오니소스에게서 술 제조법에 대한 지식을 전수받았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히오스인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디오니소스의 자식 - 프리아포스
프리아포스는 아나톨리아 람프사코스에서 숭배받던 풍요의 신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 원정 이후 그리스와 이탈리아에 전파되어 포도원과 정원의 수호신, 남근의 은유로 여겨졌으며, 발기된 성기를 가진 모습과 아프로디테와 디오니소스의 아들로 묘사되며 다산과 성장을 상징한다. - 그리스 신화의 왕 - 킬릭스
킬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게노르의 아들이자 카드모스, 페닉스, 에우로파의 형제로, 소아시아 킬리키아 지역에 정착하여 그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에우로파 납치 사건과 킬리키아 형성에 관련된 인물이다. - 그리스 신화의 왕 - 케팔로스
케팔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으로, 프로크리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와 에오스와의 인연, 암피트리온 원정 참여 등 다양한 신화적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문학과 오페라에서 재해석되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하는 상징으로도 해석된다.
오이노피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이노피온 |
성별 | 남자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디오니소스 |
어머니 | 아리아드네 또는 나다 |
배우자 | 헬리케 |
자녀 | 탈라스 에우안테스 멜라스 살라고스 아탈라스 |
역할 | |
직업 | 키오스의 왕 |
신화 속 이야기 | |
주요 사건 | 오리온을 장님으로 만들다 |
거주지 | 키오스 섬 |
관련 인물 | |
연관 인물 | 메로페, 오리온, 니케이아의 파르테니오스 |
추가 정보 | |
특징 | 포도주 양조 기술 도입 |
2. 가족
오이노피온은 디오니소스와 크레타의 공주 아리아드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26][27][3][4] 디오니소스가 아리아드네를 렘노스섬으로 데려갔기 때문에, 오이노피온과 그의 형제들은 렘노스섬에서 태어났다.[12] 그의 형제로는 토아스, 스타필루스, 라트로미스, 에반테스, 그리고 타우로폴리스가 있었다.[5]
오이노피온은 디오니소스와 크레타의 공주 아리아드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26][27] 림노스섬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12] 성장한 후 아들들과 함께 크레테 섬에서 키오스 섬으로 이주했으며,[16]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소아시아 연안을 지배하던 라다만튀스로부터 키오스 섬의 통치권을 받았다고 한다.[18][19] 또한 아버지 디오니소스로부터 포도주를 만드는 기술을 전수받았다.[18]
오이노피온은 헬리케 여왕(헬리케)과의 사이에서 딸 메로페를 두었다. 파르테니오스의 기록에 따르면 딸의 이름이 아에로라는 설도 있다.[6] 또한 그는 여러 아들을 두었는데, 멜라스, 탈로스, 마론, 에반테스, 살라구스, 그리고 아타마스가 그들이다. 오이노피온은 성장한 후 이 아들들과 함께 크레타섬에서 키오스섬으로 이주했다.[7][16]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오이노피온은 소아시아 연안 지역의 많은 곳을 지배했던 라다만튀스로부터 키오스섬의 지배권을 받았다.[18][19]
3. 신화
오이노피온과 관련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거인 사냥꾼 오리온과의 일화이다. 오리온이 자신의 딸 메로페를 겁탈하려 하자 오이노피온은 그의 눈을 멀게 하고 추방했으며, 이후 오리온의 복수를 피해 숨었다는 내용이다.[20][17][21]
파우사니아스는 키오스 섬에 오이노피온의 무덤이라 불리는 곳이 있으며, 그의 업적에 관한 여러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왔다고 기록했다.[23]
3. 1. 오리온과의 관계
오이노피온과 거인 사냥꾼 오리온의 이야기는 여러 고대 문헌에서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전해진다. 헤시오도스와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 등의 기록에 따르면,[26][27][20][17][21] 오이노피온은 키오스 섬을 방문한 오리온을 환대했으나, 술에 취한 오리온이 그의 딸 메로페를 겁탈하자 격분하여 오리온의 눈을 멀게 하고 섬에서 추방했다.
눈먼 오리온은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의 도움을 받았다.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의 하인 케달리온을 길잡이로 내주었고, 케달리온의 인도로 동쪽으로 간 오리온은 떠오르는 태양빛을 통해 시력을 회복했다. 이후 오리온은 오이노피온에게 복수하고자 했으나, 오이노피온은 키오스 섬 주민들이 마련해 준 지하 요새에 숨어 찾을 수 없었다.[21] 이 요새는 헤파이스토스가 지었으며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오이노피온을 위해 마련했다는 설도 있다.[22] 결국 오리온은 복수를 포기하고 크레타로 떠났다고 한다.
한편, 파우사니아스는 키오스 섬에 오이노피온의 무덤이라 불리는 장소가 있었으며, 그에 관한 여러 이야기가 전해졌다고 기록했다.[23]
4. 키오스 섬 통치
성장한 오이노피온은 아들들과 함께 크레테 섬을 떠나 키오스 섬으로 이주했다.[16]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의 기록에 따르면, 오이노피온은 소아시아 연안의 넓은 지역을 다스리던 라다만튀스로부터 키오스 섬의 통치권을 인정받았다.[18][19] 또한 그는 아버지인 디오니소스 신에게 직접 술을 만드는 비법을 전수받았는데,[18] 이를 바탕으로 키오스 섬에 포도 재배와 포도주 양조 기술을 도입하여 섬의 문화와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오이노피온의 통치와 관련하여 가장 유명한 일화는 사냥꾼 오리온과의 갈등이다. 오이노피온은 오리온을 손님으로 맞이하였으나, 술에 취한 오리온이 그의 딸 메로페를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격분한 오이노피온은 오리온의 눈을 멀게 만들어 해안가에 버리는 처벌을 내렸다. 그러나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가 오리온을 가엾게 여겨 자신의 조수 케다리온을 길잡이로 내주었고, 오리온은 케다리온의 인도를 받아 동쪽으로 가서 태양 빛의 도움으로 시력을 회복했다.[20][17][21] 시력을 되찾은 오리온은 복수를 위해 오이노피온을 찾아 나섰지만, 오이노피온은 포세이돈 신이 마련해주고 헤파이스토스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지하 저택에 키오스 섬 주민들의 도움으로 몸을 숨겨 화를 피할 수 있었다.[21][22]
후대의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키오스 섬에 오이노피온의 무덤으로 알려진 장소가 있었으며, 그의 업적에 관한 여러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고 기록했다.[23]
5. 가계도
오이노피온은 디오니소스와 크레타의 공주 아리아드네의 아들로,[26][27][3][4] 렘노스에서 태어났다.[26] 그의 어머니 아리아드네는 크레타의 왕 미노스와 파시파에의 딸이다. 따라서 오이노피온은 미노스 왕의 외손자가 된다.
그의 형제로는 토아스, 스타필루스, 라트로미스, 에반테스, 그리고 타우로폴리스가 있었다.[5]
오이노피온은 헬리케 여왕(헬리케)과의 사이에서 딸 메로페를 두었다.[6] 일부 전승에서는 딸의 이름이 아에로라고도 한다(파르테니오스 기록).[6] 또한 그는 여러 아들을 두었는데, 멜라스, 탈로스, 마론, 에반테스, 살라구스, 그리고 아타마스가 그들이다. 이 아들들은 오이노피온과 함께 크레타에서 키오스로 이주했다.[7]
오이노피온의 가계는 제우스, 에우로페, 미노스, 미노타우로스, 테세우스 등 그리스 신화의 주요 인물들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2004
[2]
문서
Diodorus Siculus, 5.79.2
[3]
문서
Scholia on Apollonius Rhodius, 3.997; Apollodorus, E.1.9; Plutarch, Theseus 20.1
[4]
서적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archive.org/[...]
Leach, Shewell, and Sanborn
1897
[5]
문서
Scholiast on Apollonius Rhodius, 3.996
[6]
문서
Parthenius, 20
https://topostext.or[...]
[7]
문서
Pausanias, 7.4.8
[8]
문서
Parthenius, 20
https://topostext.or[...]
[9]
문서
Apollodorus, 1.4.3
[10]
문서
Hyginus, De Astronomica 2.34.3
https://topostext.or[...]
[11]
문서
Pseudo-Eratosthenes, Catasterismi 32
[12]
문서
アポロドーロス「サバス本」摘要(E)1・9。
[13]
문서
ロドスのアポローニオス、3巻997行への古註。
[14]
문서
プルタルコス「テーセウス伝」20。
[15]
문서
ニカイアのパルテニオス、20。
[16]
문서
パウサニアース、7巻4・8。
[1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4・3。
[18]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5巻79・1。
[19]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5巻84・3。
[20]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148a。
[21]
문서
ヒュギーヌス『天文譜』2巻34。
[22]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4・4。
[23]
문서
パウサニアース、7巻5・13。
[24]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2004
[25]
문서
Diodorus Siculus, 5.79.2
[26]
문서
Scholia on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997; Apollodorus, Epitome 1.9; Plutarch, Theseus 20.1
[27]
서적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archive.org/[...]
Leach, Shewell, and Sanborn
18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