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진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진우는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항일 유격대 활동을 시작하여 김일성과 함께 동북항일연군에서 복무했다. 한국 전쟁 당시 인민군 제43사단장, 제766독립보병연대 지휘관 등을 역임했으며, 이후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총참모장,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을 거쳐 1985년 차수, 1992년 원수로 진급했다. 그는 김일성이 군대를 장악하는 것을 도왔으며, 김정일의 후계 체제 구축에 기여했다. 1995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오일정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군정지도부 부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진우 가 - 오일정
오일정은 오진우의 아들이자 김정은 정권의 핵심 실세로, 군과 당의 요직을 거치며 대장까지 진급한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원수 - 대원수
대원수는 여러 국가에서 원수보다 높은 군사 계급 또는 칭호로, 군 통수권자나 국가원수에게 주어지는 명예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정치적인 상징으로 활용된다. - 원수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조선인민군 원수 - 현철해
현철해는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김정일 시대 최측근으로 활동했고 김정은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으며 2016년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고 2022년 사망 후 국장이 치러졌다. - 조선인민군 원수 - 리병철 (정치인)
리병철은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인민군 원수를 역임하며 공군사령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정치국원 등을 지냈고 탄도미사일 개발에 관여했으며 국무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정치국 상무위원직에서 해임 후 복귀하여 활동하고 있다.
오진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7년 3월 8일 |
출생지 | 간쿄난도 (함경남도), 일본 제국 |
사망일 | 1995년 2월 25일 |
사망지 | 평양, 북한 |
별명 | 해당 사항 없음 |
군 종류 | 조선인민군 |
복무 기간 | 1933년–1995년 |
최종 계급 | [[File:Marshal of the KPA rank insignia.svg|25px]] 조선인민군 원수 |
지휘 | 조선인민군 제766독립보병연대 조선인민군 제43사단 조선인민군 제3사단 제1군집단 |
자녀 | 오일훈 오일정 오일수 |
참전 전투 | 한국 독립운동 보천보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폭풍 작전 부산 전투 포항 전투 강릉 전투 울진-평해 전투 영덕-강구 전투 형산강 전투 한국 비무장 지대 분쟁 |
소속 정당 | [[File:Flag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svg|25px]] 조선로동당 |
로마자 표기 | O Jinu |
정치 경력 | |
직책 1 |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
지도자 1 | 김일성, 김정일 |
임기 시작 1 | 1993년 |
임기 종료 1 | 1995년 |
이전 1 | 김정일 |
이후 1 | 조명록 |
직책 2 |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
지도자 2 | 김일성, 김정일 |
임기 시작 2 | 1972년 |
임기 종료 2 | 1993년 |
이전 2 | 해당 사항 없음 |
이후 2 | 리용무 |
직책 3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
지도자 3 | 김일성, 김정일 |
임기 시작 3 | 1980년 |
임기 종료 3 | 1995년 |
이전 3 | 해당 사항 없음 |
이후 3 | 해당 사항 없음 |
직책 4 | 인민무력부장 |
임기 시작 4 | 1976년 5월 |
임기 종료 4 | 1995년 2월 25일 |
이전 4 | 최현 |
지도자 4 | 김일성, 김정일 |
이후 4 | 최광 |
직책 5 |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
지도자 5 | 김일성 |
임기 시작 5 | 1968년 12월 |
임기 종료 5 | 1979년 9월 |
이전 5 | 최광 |
이후 5 | 오극렬 |
임기 시작 6 | 1988년 2월 |
임기 종료 6 | 1995년 2월 |
동시 임명 6 | 최광 |
이전 6 | 오극렬 |
이후 6 | 최광 |
직책 7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
지도자 7 | 김일성, 김정일 |
임기 시작 7 | 1967년 |
임기 종료 7 | 1968년 |
이전 7 | 해당 사항 없음 |
이후 7 | 해당 사항 없음 |
임기 시작 8 | 1979년 |
임기 종료 8 | 1995년 |
이전 8 | 해당 사항 없음 |
이후 8 | 조명록 |
직책 9 | 최고사령부 호위사령관 |
임기 시작 9 | 1945년 |
임기 종료 9 | 1946년 |
지도자 9 | 김일성 |
이전 9 | 해당 사항 없음 |
이후 9 | 해당 사항 없음 |
수상 | |
훈장 | 공화국 영웅 (2회) 김일성훈장 (3회) 국기훈장 (18회) |
2. 이력
오진우는 함경남도 북청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나, 1933년 만주로 건너가 항일 유격대에 참가하여 김일성과 관계를 시작했다.[10] 1938년 동북항일연군 군관으로 복무했고, 1945년 제88독립보병여단의 일원으로 북한 건국을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다. 1948년 조선인민군 창설 이후 제3여단 참모장, 여단장, 제3군관 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병력 강화에 공헌하였다.
1950년 한국 전쟁에는 인민군 제43사단장, 최고사령부 부참모장, 제6군단 참모장, 근위 서울 제3사단장으로 참전했고, 전쟁 후에는 인민군 공군사령부 참모장, 총참모부 부참모장, 민족보위성 차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1967년부터 인민군 총정치국장, 총참모장, 당중앙 군사위원을 지냈고, 1993년 김정일이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되면서 제1부위원장이 되었다. 1979년 총참모장직에서 오극렬로 교체되었다가 1988년 다시 복귀했다. 1985년 조선인민군 차수, 1992년 조선인민군 원수로 승진했다.
2. 1. 항일 무장 투쟁과 조선인민군 창설
1933년 만주로 건너가 조선의용군에서 항일 유격대 활동을 했다. 김일성과 연대하여 1938년 동북항일연군 군관으로 복무했다.[10] 1946년 9월부터 중앙보안간부학교 군사부교장을 지냈으며, 1948년 2월 조선인민군 창설 이후 조선인민군 제3여단 참모장, 여단장, 제3군관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조선인민군 병력 강화에 기여하였다.[10]2. 2. 한국 전쟁 참전과 전후 군 요직 역임
오진우는 1950년 한국 전쟁에 인민군 제43사단장, 최고사령부 부참모장, 제6군단 참모장, 근위 서울 제3사단장 등으로 참전했다.[10] 부산 교두보 전투 당시 제766독립보병연대를 지휘하기도 했다.전쟁 이후 오진우는 군 및 정치 분야에서 빠르게 승진했다. 1958년 조선인민군 공군 참모총장, 1962년 사회안전성 부상, 1963년 대장, 1967년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1968년 총참모장에 임명되었다.[10] 조선로동당에서는 1954년 중앙위원회 위원, 1966년 정치국 위원, 1968년 비서국 비서, 1977년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0년부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었으며, 1972년 최고인민회의가 창설된 직후 中央人民委員会|중앙인민위원회일본어 위원, 1976년에는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및 인민무력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1985년 차수, 1992년 원수로 진급했다.[13][15]
1993년 김정일이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되면서 오진우는 제1부위원장이 되었다. 1990년, 사회주의 블록 붕괴 후에는 비상 체제를 이끌었으며, 1994년 김일성 장례위원회에서 김정일 다음 서열인 2위였다.
2. 3. 조선로동당 내 정치적 성장
오진우는 함경남도 북청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나 1933년 만주에서 유격대에 참가하여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다.[10] 1938년 동북항일연군 군관으로 복무했고, 1946년 중앙 보안 간부 학교 군사부교장을 거쳐 1948년 조선인민군 창설 이후에는 제3여단 참모장, 여단장, 제3군관 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인민군의 병력 강화에 기여하였다.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인민군 제43사단장, 최고 사령부부참모장, 제6군단 참모장, 근위 서울 제3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종전 후에는 인민군 공군 사령부 참모장, 총참모부 부참모장, 민족보위성 차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다.[10]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되었고,[10] 1961년 9월 제4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승진했다.[10] 1967년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임명되었고, 1968년 12월 총참모장에 취임하여 1979년까지 역임했다.[10]
1970년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위원회 위원(현재의 정치국 위원)·중앙위원회 비서로 선출되어 당내 서열 7위가 되었다.[10] 1972년 12월 28일 헌법 개정으로 설치된 중앙인민위원회의 위원이 되었고,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겸임했다.[11] 1976년 5월 14일 인민무력부장에 취임했다.[11]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서열 3위로 승격되었다.[12] 1985년 조선인민군 차수, 1992년 조선인민군 원수로 승진하였다.[15] 1993년 4월 9일 김정일의 국방위원장 취임으로 공석이 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을 겸임했다.[15] 1979년 총참모장직에서 오극렬에게 자리를 내주었다가 1988년 다시 인민군 총참모장이 되었다.
2. 4. 김정일 후계 체제 지지
오진우는 김일성의 신임을 받는 측근으로, 김정일이 후계자로 옹립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에는 김정일의 이복동생 김평일을 지지하며 김정일과 대립하기도 했으나, 이후 김정일 지지로 돌아서 그의 후계 체제 구축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12]1976년 6월 회의에서 김동규 국가 부주석이 김정일 후계를 공개적으로 비판하자, 오진우는 김동규를 비판하며 김정일을 옹호했다.[12] 1987년 교통사고로 오진우가 사경을 헤맬 때, 김정일은 북한 최고의 의료진을 동원하여 그의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이후 오진우는 김정일의 군부 장악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1992년 4월 20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국방위원회·중앙인민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오진우는 원수로 승진했다. 같은 날 김정일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칭호를 받았다.[15] 이는 김정일이 군부를 장악하기 위해 오진우를 자신과 같은 지위로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15] 1993년 4월 9일,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에 취임하면서 오진우는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이 되었다.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 이후, 오진우는 당과 국가에서 김정일에 이어 서열 2위가 되었다.
2. 5. 사망
오진우는 북한 정권에서 승승장구했지만, 폐암이 악화되어 공개 활동 빈도가 현저히 감소했다. 김정일의 특별 배려로 프랑스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1995년 2월 김일성 사망 1년 후 평양에서 투병 중 사망했다.[3] 당시 김정일의 후계 구도를 적극 지지했던 오진우의 죽음은 김정일에게 차질이 된 사건으로 여겨졌다.[4] 오진우 사망 후, 김정일은 7개월 이상 국방부 장관 자리를 비워두다가 최광을 새로운 장관으로 임명했다. 오진우는 호전적인 모습으로 깊이 각인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북한 인민군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인물이다.오진우를 위한 240명의 장의위원회가 임명되었으며[5], 위원회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6]
오진우는 항일 유격대 활동과 조선인민군 창설 및 강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된다. 1933년 만주에서 조선의용군 소속으로 항일 유격대에 참가했으며, 1938년에는 김일성과 연대하여 동북항일연군 군관으로 복무했다.[1] 1948년 조선인민군 창설 이후에는 제3여단 참모장, 여단장, 제3군관 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인민군의 병력 강화에 공헌했다.[1]
[1]
문서
Kim Jong Il. Short Biography
1995년 3월 1일, 국장이 거행되었다.[17]
3. 가족 관계
4. 평가
한국 전쟁 당시에는 인민군 제43사단장, 최고사령부 부참모장, 제6군단 참모장, 근위 서울 제3사단장 등을 역임했다.[1] 전쟁 이후에는 인민군 공군사령부 참모장, 총참모부 부참모장, 민족보위성 차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다.[1]
1967년부터 인민군 총정치국장, 총참모장, 당중앙 군사위원,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등을 역임했다.[1] 1993년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이 되면서 제1부위원장이 되었다.[1] 1979년 총참모장직에서 오극렬로 교체되었다가 1988년 다시 인민군 총참모장이 되었다.[1] 1985년 조선인민군 차수, 1992년 조선인민군 원수, 1995년 무임소상을 지냈다.[1]
5. 상훈
6. 저작
참조
[2]
웹사이트
Jong-un purges three sons of revered O Jin-u
https://koreajoongan[...]
2017-01-24
[3]
뉴스
Oh Jin-Woo, the Defense Minister of North Korea, is Dead at 77
https://query.nytime[...]
2008-02-03
[4]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5]
서적
Country Report: South Korea, North Korea
https://www.iuj.ac.j[...]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6]
서적
North Korean Civil-Military Trends: Military-First Politics to a Point
https://ssi.armywarc[...]
Strategic Studies Institute
[7]
Youtube
North Korean TV State funeral of O Jin-u February 1995 (KCTV)
https://www.youtube.[...]
2023-01-09
[8]
웹사이트
軍楽団女性らと放蕩の限り…盗聴見破られ、軍掌握にも失敗
https://www.sankei.c[...]
産経スポーツ
2015-08-11
[9]
문서
(Harv citations, requires further information to properly format)
[10]
서적
1970年の北朝鮮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1]
웹사이트
国家構成図・名簿、ドキュメント
http://d-arch.ide.go[...]
[12]
서적
労働党第6回大会の年 : 1980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3]
서적
経済活性化に努力 : 1985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4]
서적
内外ともに累積する危機要因 : 1987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5]
문서
(Requires further information to properly format)
[16]
간행물
【ファイル社会主義朝鮮】
朝鮮問題研究所
1995-04-01
[17]
간행물
【ファイル社会主義朝鮮】――呉振宇人民武力部長の国葬
朝鮮問題研究所
1995-05-01
[18]
뉴스
正恩氏、基盤固め着々 後継支える軍幹部昇格
http://www.chunichi.[...]
中日新聞
2011-04-14
[19]
웹인용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주요 인물 정보
https://web.archive.[...]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2012-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