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포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포읍은 1360년 경안천을 중심으로 형성된 5개의 보에서 유래되었으며, 1910년 오포면으로 명명된 후 2001년 광주시 승격과 함께 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인구 증가에 따라 행정구역이 개편되었으며, 2022년 9월 1일 폐지되어 오포1동, 오포2동, 신현동, 능평동 4개의 행정동으로 분동되었다. 오포읍은 고산리, 신현리, 능평리, 문형리, 추자리, 매산리, 양벌리 등의 법정리를 관할하며, 오포초등학교, 광주매곡초등학교, 광주광명초등학교, 신현초등학교, 양벌초등학교, 고산하늘초등학교, 신현중학교, 매양중학교, 세계사이버대학 등의 교육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김자수선생묘와 김균선생묘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읍·면 - 태안읍 (화성시)
    태안읍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었으나 2006년 행정동으로 분리 폐지된 지역으로, 조선시대 수원군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 태안면으로 통합, 읍으로 승격되었고, 교통 요지이자 용주사, 융릉, 건릉 등 문화재가 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읍·면 - 반월면
    반월면은 1914년부터 1994년까지 수원군에 존재했던 면으로, 과거 광주군 지역이었으나 안산군을 거쳐 수원군에 편입되면서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이 합쳐져 개칭되었고, 이후 일부가 의왕읍과 안산시에 편입된 후 폐지되어 안산시, 수원시, 군포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 광주시의 역사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경기도)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옛 군으로, 고려 시대 광주를 거쳐 조선 시대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와 현대에 행정구역 개편 및 성남시, 하남시 분리 후 2001년 광주시로 승격되었다.
  • 광주시의 역사 - 반월면
    반월면은 1914년부터 1994년까지 수원군에 존재했던 면으로, 과거 광주군 지역이었으나 안산군을 거쳐 수원군에 편입되면서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이 합쳐져 개칭되었고, 이후 일부가 의왕읍과 안산시에 편입된 후 폐지되어 안산시, 수원시, 군포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 광주시의 행정 구역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 광주시의 행정 구역 -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면은 경기도 광주시의 면으로,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가 깊이 간직된 지역이며, 산성리, 엄미리, 광지원리 등 8개의 법정리와 1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남한산성과 남한산성 행궁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와 포도, 느타리버섯, 아욱 등의 특산물이 있다.
오포읍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포읍
한자 표기五浦邑
영문 표기Opo-eup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광주시
면적46.93
세대49,929
세대 조사2022. 08
인구114,634
인구 조사2022.08.
법정리고산리, 신현리, 능평리, 문형리, 추자리, 매산리, 양벌리
행정리44 (폐지 직전)
행정복지센터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오포로859번길 29(현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
관청 이름2오포읍출장소
관청 소재지2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창뜰아랫길 6 2층(현 능평동 행정복지센터)

2. 역사

1360년 조선 건국 후 경안천을 중심으로 5개의 보(역말, 양촌, 허산이, 딴뫼, 구머니)가 형성되어 오포라고 칭해졌다. 1910년 면제도 실시로 오포면으로 명명되었고, 법정리 8개리를 관장하였다. 같은 해 면청사를 고산리 438번지에 신축하였다.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면청사가 유실되어 고산리 438번지에 재신축하였다.

1954년 면청사를 고산리 254번지에 신축하였다.[1]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목리가 광주읍에 편입되어 법정리 7개리가 되었다.[1] 1979년 면청사를 1층 45평, 2층 15평으로 증개축하고, 1984년에는 면회의실 2층 30평을 증축하였다. 198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현1,2리에서 신현3,4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0개리가 되었으며, 1987년에는 능평2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1개리가 되었다. 1989년 면청사 1층 14.5평, 2층 14.5평을 증축하고, 1990년에는 면창고 40평 개축, 면 복지회관 205평을 신축하였다. 1991년에는 면회의실 3층 59평 증축, 중대본부 20평을 신축하였다. 1997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문형3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2개리가 되었다.

2001년 광주시 승격으로 오포면이 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2] 2003년 4월 14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평4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3개리가 되었다.[2] 2006년 3월 27일 주민등록 인구 5만 명이 돌파하였고, 2006년 10월 23일 읍 청사를 고산리 254번지에서 추자리 102-16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2]

2011년 5월 20일 주민등록 인구 6만 명이 돌파하였고, 2011년 12월 30일 오포읍 양벌8리가 증설되어 행정 30개리로 조정되었다.[2] 2013년 7월 11일 주민등록 인구 7만 명이 돌파하였고, 2015년 2월 2일에는 8만 명이 돌파하였다.[2] 2016년 7월 7일 신현리, 능평리를 구역으로 오포읍 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같은 해 7월 주민등록 인구는 9만 명을 넘어섰다.[2] 2018년 8월에는 10만 명, 2020년 5월에는 11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9월 1일에 오포읍이 폐지되고 4개의 행정동으로 분동되었다.[3][4] 고산리, 문형리, 추자리는 오포1동으로, 양벌리와 매산리는 오포2동으로, 신현리는 신현동으로, 능평리는 능평동으로 분리되었다. 기존 오포읍 행정복지센터는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로, 2016년 7월 7일 신현리, 능평리를 구역으로 설치되었던 오포읍출장소는 능평동 행정복지센터로 변경되었다.

2.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1360년 조선 건국 후 경안천을 중심으로 5개의 보(역말, 양촌, 허산이, 딴뫼, 구머니)가 형성되어 오포라고 칭해졌다. 1910년 면제도 실시로 오포면으로 명명되었고, 법정리 8개리를 관장하였다. 같은 해 면청사를 고산리 438번지에 신축하였다.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면청사가 유실되어 고산리 438번지에 재신축하였다.

2. 2. 해방 이후 ~ 광주시 승격 이전

1954년 면청사를 고산리 254번지에 신축하였다.[1]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목리가 광주읍에 편입되어 법정리 7개리가 되었다.[1] 1979년 면청사를 1층 45평, 2층 15평으로 증개축하고, 1984년에는 면회의실 2층 30평을 증축하였다. 198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현1,2리에서 신현3,4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0개리가 되었으며, 1987년에는 능평2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1개리가 되었다. 1989년 면청사 1층 14.5평, 2층 14.5평을 증축하고, 1990년에는 면창고 40평 개축, 면 복지회관 205평을 신축하였다. 1991년에는 면회의실 3층 59평 증축, 중대본부 20평을 신축하였다. 1997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문형3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2개리가 되었다.

2. 3. 광주시 승격 이후 ~ 분동 이전

2001년 광주시 승격으로 오포면이 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2] 2003년 4월 14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평4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3개리가 되었다.[2] 2006년 3월 27일 주민등록 인구 5만 명이 돌파하였고, 2006년 10월 23일 읍 청사를 고산리 254번지에서 추자리 102-16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2]

2011년 5월 20일 주민등록 인구 6만 명이 돌파하였고, 2011년 12월 30일 오포읍 양벌8리가 증설되어 행정 30개리로 조정되었다.[2] 2013년 7월 11일 주민등록 인구 7만 명이 돌파하였고, 2015년 2월 2일에는 8만 명이 돌파하였다.[2] 2016년 7월 7일 신현리, 능평리를 구역으로 오포읍 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같은 해 7월 주민등록 인구는 9만 명을 넘어섰다.[2] 2018년 8월에는 10만 명, 2020년 5월에는 11만 명을 돌파하였다.

2. 4. 분동 이후

2022년 9월 1일에 오포읍이 폐지되고 4개의 행정동으로 분동되었다.[3][4] 고산리, 문형리, 추자리는 오포1동으로, 양벌리와 매산리는 오포2동으로, 신현리는 신현동으로, 능평리는 능평동으로 분리되었다. 기존 오포읍 행정복지센터는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로, 2016년 7월 7일 신현리, 능평리를 구역으로 설치되었던 오포읍출장소는 능평동 행정복지센터로 변경되었다.

3. 행정 구역


  • 고산리(高山里, 1-4리)
  • * 고잠동(高岑洞, 고재미), 구미동(龜尾洞, 구미말), 허산리(許山里, 허산이)
  • 신현리(新峴里, 1-9리)
  • * 신촌(新村, 새말), 태현(台峴, 태재), 동막골(東幕), 퉁점골
  • 능평리(陵平里, 1-8리)
  • * 능곡(陵谷, 능골), 창평(倉坪, 창들), 용산곡(龍山谷, 용상골), 차곡(車谷, 수레실)
  • 문형리(文衡里, 1-7리): 용인시 모현읍의 동서를 왕래하려면, 이곳을 통과해야 한다.
  • * 문현동(文顯洞, 되침이), 휴곡리(鵂谷里, 봉골), 진해촌(眞海村, 참바대), 중간말
  • 추자리(楸自里, 1-2리): 읍사무소 소재지
  • * 추곡리(楸谷里, 가래울), 자작동(自作洞, 자작이)
  • 매산리(梅山里, 1-4리)
  • * 매곡동(梅谷洞, 매짜리), 독산동(獨山洞, 딴뫼), 외곡동(外谷洞, 구머니, 밧골)
  • 양벌리(陽伐里, 1-10리)
  • * 양촌(陽村), 벌리(筏里, 벌말, 새터), 둔전말(屯田)

3. 1. 분동 이전 법정리 및 행정리


  • 고산리(高山里, 1-4리)
  • * 고잠동(高岑洞, 고재미), 구미동(龜尾洞, 구미말), 허산리(許山里, 허산이)
  • 신현리(新峴里, 1-9리)
  • * 신촌(新村, 새말), 태현(台峴, 태재), 동막골(東幕), 퉁점골
  • 능평리(陵平里, 1-8리)
  • * 능곡(陵谷, 능골), 창평(倉坪, 창들), 용산곡(龍山谷, 용상골), 차곡(車谷, 수레실)
  • 문형리(文衡里, 1-7리): 용인시 모현읍의 동서를 왕래하려면, 이곳을 통과해야 한다.
  • * 문현동(文顯洞, 되침이), 휴곡리(鵂谷里, 봉골), 진해촌(眞海村, 참바대), 중간말
  • 추자리(楸自里, 1-2리): 읍사무소 소재지
  • * 추곡리(楸谷里, 가래울), 자작동(自作洞, 자작이)
  • 매산리(梅山里, 1-4리)
  • * 매곡동(梅谷洞, 매짜리), 독산동(獨山洞, 딴뫼), 외곡동(外谷洞, 구머니, 밧골)
  • 양벌리(陽伐里, 1-10리)
  • * 양촌(陽村), 벌리(筏里, 벌말, 새터), 둔전말(屯田)

3. 2. 분동 이후 행정동

오포읍에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이 있다.

  • 고산리(高山里)는 고잠동(高岑洞, 고재미), 구미동(龜尾洞, 구미말), 허산리(許山里, 허산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4리까지 있다.
  • 신현리(新峴里)는 신촌(新村, 새말), 태현(台峴, 태재), 동막골(東幕), 퉁점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9리까지 있다.
  • 능평리(陵平里)는 능곡(陵谷, 능골), 창평(倉坪, 창들), 용산곡(龍山谷, 용상골), 차곡(車谷, 수레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8리까지 있다.
  • 문형리(文衡里)는 용인시 모현읍의 동서를 왕래하려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곳이다. 문현동(文顯洞, 되침이), 휴곡리(鵂谷里, 봉골), 진해촌(眞海村, 참바대), 중간말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7리까지 있다.
  • 추자리(楸自里)는 읍사무소 소재지이다. 추곡리(楸谷里, 가래울), 자작동(自作洞, 자작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2리까지 있다.
  • 매산리(梅山里)는 매곡동(梅谷洞, 매짜리), 독산동(獨山洞, 딴뫼), 외곡동(外谷洞, 구머니, 밧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4리까지 있다.
  • 양벌리(陽伐里)는 양촌(陽村), 벌리(筏里, 벌말, 새터), 둔전말(屯田)로 이루어져 있으며, 1리에서 10리까지 있다.

4. 교육

오포초등학교, 광주매곡초등학교, 광주광명초등학교, 신현초등학교, 양벌초등학교, 고산하늘초등학교가 있다. 신현중학교매양중학교가 있다. 세계사이버대학이 오포읍에 있다.

4. 1. 초등학교

오포초등학교, 광주매곡초등학교, 광주광명초등학교, 신현초등학교, 양벌초등학교, 고산하늘초등학교가 있다.

4. 2. 중학교

신현중학교매양중학교가 있다.

4. 3. 대학교

세계사이버대학이 오포읍에 있다.

5. 문화재

참조

[1] 간행물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2] 웹사이트 오포읍의 역사 http://sil.gjcity.go[...] 2012-04-24
[3] 뉴스 행정안전부, 광주시 '오포읍 행정구역 개편안' 최종 승인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2-02-14
[4] 뉴스 광주시, 오포읍 폐지…4개 신설 행정동 명칭 결정 https://n.news.naver[...] 뉴시스 2022-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