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군 (경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군은 과거 경기도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백제 시대부터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대한제국, 일제강점기를 겪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63년 서울특별시 편입, 1973년 성남시 분리, 1989년 하남시 분리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2001년 광주시로 승격되었다. 1966년 103,217명이었던 인구는 2000년 124,789명으로 변동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동구의 역사 -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88년 천호대교 남단에서 과속과 재생 타이어 파열, 배차 시간 압박으로 인해 발생한 버스 추락 사고로 19명이 사망하고 35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이후 정부의 규제 강화와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 서울 송파구의 역사 - 롯데월드타워의 사건 및 사고
    롯데월드타워의 사건 및 사고는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시공법 논란, 석촌호수 문제, 보안 문제, 안전 사고, 운영 문제, 사회적 책임 논란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항목이다.
  • 서울 송파구의 역사 - 원혜준 유괴 살해 사건
광주군 (경기도)
지도
기본 정보
한자廣州郡
로마자 표기Gwangju-gun
역사
설치1895년 5월 26일
폐지1973년 7월 1일
소멸 사유광주시 승격 및 서울 편입
행정 구역
광주읍
중부면
동부면
서부면
남부면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
언주면
구천면
소속
경기도
현재
관할 지역광주시
성남시
서울 강남구
서울 송파구
서울 서초구
하남시
과천시
의왕시

2. 역사

1906년(대한제국 고종 44년) 군(郡)이 되어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하고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안산군에, 초부면을 양주군에 이관하였다.[11] 1911년 8월 29일 상적리에 대왕면사무소를 개설하고 돌마면은 1911년 말 정자리에 면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14년 4월 1일 광주군 군내면 소속의 7개 리(산성, 검복, 불당, 오전, 광지원, 용미, 상산곡리)와 세촌면 소속의 7개 리 중 6개 리(단대, 상대원, 수진, 복정, 창곡, 탄리)를 관할로 하여 중부면이 신설되었으며, 세촌면 1개 리(하대원리)는 돌마면에 편입되었다. 중부면 산성리에 군사무소를 배치하였다. 의곡면, 왕륜면을 합하여 '''의왕면'''(儀旺面)이라 하고 수원군에 편입되고, 양평군 남종면은 광주군으로 편입되었다.[12][13] 9월 4일 경기도고시 제46호로 도내 각 면의 사무소 위치를 고시하였는데 언주면사무소 소재지는 염곡동, 대왕면은 괴하동이었으며 신동면은 우면리였다.

1915년 동리 폐합과 함께 일부 군·면계가 조정되었으며, 특히 한강 이북에 있던 동부면 팔당리가 양주군 와부면에 편입되었다.[14] 1917년 12월 군청 소재지를 경안면 경안리로 이전하였다. 1938년 1월 1일 경안면을 광주면으로 개칭하였다.[15] 1939년 군청 소재지를 광주면 송정리로 이전하였다.

1946년 3월 3일 남한산성 서남쪽 기슭에 취락이 형성된 지역적 특성 때문에, 기존의 세촌면 관할 6개 리(단대, 탄, 수진, 상대원, 복정, 창곡리, 27.43km2)를 관할하는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성남출장소는 탄리 275번지에 설치되었다가 1948년 수진리로 이전하였다. 1963년 1월 1일 구천면, 언주면, 중대면 일부 지역과 대왕면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편입되었다.[16]

1964년 2월 24일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광주군 직할 성남출장소"로 승격되고, 수진리 145번지에 새 청사를 지어 이전하면서 인구 증가와 행정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광주군수 직할 지휘 감독 체제로 바뀌었다.

1979년 5월 1일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되었다.[20] 1980년 12월 1일 동부면이 동부읍으로 승격되었다.[21] 1989년 1월 1일 동부읍·서부면 일원 및 중부면 상산곡리를 관할로 하남시가 분리, 설치되었다.[22] 2001년 3월 21일 광주군이 광주시로 승격되었다.[1] 이와 함께 광주읍은 경안동·송정동·광남동의 3개 행정동으로 분할되었고, 오포면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

2. 1. 고대 시대

기원전 5년(백제 온조왕 14년) 백제는 위례성(현재의 서울 한강 이북 지역)에서 지금의 서울 송파구, 강동구 일대로 도읍을 옮기고 '''한성'''(漢城)이라 불렀다. 이후 475년 고구려장수왕백제를 침공해 한성을 함락할 때까지 백제의 도읍지였다. (근초고왕 26년인 371년에 도읍을 한산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있으나[4], 장수왕이 함락시킨 백제 수도는 한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5])

고구려는 한성에 '''한산군'''을 설치하고, 한산에는 '북한산군'(남평양)을 설치하였다. 551년 백제 성왕이 신라와 연합군을 결성하여 한성을 탈환하였으나, 553년 신라 진흥왕이 이를 빼앗아 '''신주'''를 설치하였다. 557년(진흥왕 18) 신주를 폐하고 북한산주를 설치하였으며, 568년(진흥왕 29) 북한산주를 폐지하고 남천주(현 이천시)를 설치하였다가, 604년(진평왕 26) 남천주를 폐하고 북한산주를 다시 설치하였다. 660년 백제가 멸망한 후 주의 거점과 명칭이 '''한산주'''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6] 757년(경덕왕 16년) 전국의 행정구역 명칭을 중국식 한자어로 고치는 한화(漢化) 정책에 따라 한산주도 '''한주'''로 개칭되었다.

2. 2. 중세 시대

940년(고려 태조 23년) 한주가 '''광주'''(廣州)로 개칭되었다.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이 설치되면서 '''광주목'''(廣州牧)이 설치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년) 봉국군(奉國軍) 절도사가 설치되어 관내도(關內道)에 속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8목 중 하나로 정해지고, 양광도에 예속되어 안무사가 설치되었다.[7]

2. 3. 근세 시대

조선 세조 때 진이 설치되었다. 1559년(명종 14년) 광주목으로, 1577년(조선 선조 10년) '''광주부'''(廣州府)로 승격되었다. 이때 경안, 오포, 도척, 실촌, 초월, 퇴촌, 초부, 동부, 서부, 구천, 중대, 세촌, 돌마, 낙생, 대왕, 언주, 왕륜, 일용, 월곡, 북방, 송동, 성곶, 의곡면(儀谷面) (도합 23개면)을 관할하게 되면서 광주군의 면이 생겨났다. 1626년(인조 4년) 남한산성이 축성되었다.

1789년(정조 13년)에는 일용면과 송동면이 수원군으로 편입되었다.

1530년 이전에 광주목은 여주목, 이천도호부, 양근군, 지평현, 음죽현, 양지현, 죽산현, 과주현(과천현)을 관할하였다.[8] 행정 관리는 목사 1인(종3품), 판관 1인(종5품), 교수 1인(종6품)을 두었다.[9]

1883년 4월 23일(음력 3월 17일) 박영효는 광주부 유수로 발령을 받았다.[10]

2. 4. 대한제국

1906년(대한제국 고종 44년) 군이 되어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을 안산군에, 초부면을 양주군에 넘겨주었다.[11]

2. 5. 일제강점기


  • 1906년(대한제국 고종 44년) 군(郡)이 되어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 설치하고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안산군에, 초부면을 양주군에 이관하였다.[11]
  • 1911년 8월 29일 상적리에 대왕면사무소를 개설하고 돌마면은 1911년 말 정자리에 면사무소를 개설하였다.
  • 1914년 4월 1일 광주군 군내면 소속의 7개리 (산성, 검복, 불당, 오전, 광지원, 용미, 상산곡리)와 세촌면 소속의 7개리 중 6개리 (단대, 상대원, 수진, 복정, 창곡, 탄리)를 관할로 하여 중부면이 신설되었으며, 세촌면 1개리(하대원리)는 돌마면에 편입되었다. 중부면 산성리에 군사무소를 배치하였다. 의곡면, 왕륜면을 합하여 '''의왕면'''(儀旺面)이라 하고 수원군에 편입되고, 양평군 남종면은 광주군으로 편입되었다.[12][13]
  • 1914년 9월 4일 경기도고시 제46호로 도내 각 면의 사무소 위치를 고시하였는데 언주면사무소 소재지는 염곡동, 대왕면은 괴하동이었으며 신동면은 우면리였다.
  • 1915년 동리 폐합과 함께 일부 군·면계가 조정되었으며, 특히 한강 이북에 있던 동부면 팔당리가 양주군 와부면에 편입되었다.[14]
  • 1917년 12월 군청 소재지를 경안면 경안리로 이전하였다.
  • 1938년 1월 1일 경안면을 광주면으로 개칭하였다.[15]
  • 1939년 군청 소재지를 광주면 송정리로 이전하였다.

2. 6. 현대


  • 1946년 3월 3일 남한산성 서남쪽 기슭에 취락이 형성된 지역적 특성 때문에, 기존의 세촌면 관할 6개 리(단대, 탄, 수진, 상대원, 복정, 창곡리, 27.43km2)를 관할하는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성남출장소는 탄리 275번지에 설치되었다가 1948년 수진리로 이전하였다.
  • 1963년 1월 1일 구천면, 언주면, 중대면 일부 지역과 대왕면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편입되었다.[16]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광주군 구천면 일원(풍납리, 고덕리, 하일리, 상일리, 명일리, 암사리, 곡교리, 성내리, 길리, 둔촌리)서울특별시 성동구 풍납동, 고덕동, 하일동, 상일동, 명일동, 암사동, 천호동, 길동, 둔촌동
광주군 언주면 일원(포이리, 반포리, 논현리, 학리, 대치리, 양재리, 삼성리, 신사리, 압구정리, 역삼리, 청담리, 내곡리, 염곡리, 신원리)서울특별시 성동구 포이동, 개포동, 논현동, 학동, 대치동, 도곡동, 삼성동, 신사동, 압구정동, 역삼동, 청담동, 내곡동, 염곡동, 신원동
광주군 중대면 일원(거여리, 마천리, 방이리, 이리, 오금리, 석촌리, 송파리, 삼전리, 가락리, 문정리, 장지리)서울특별시 성동구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이동, 오금동, 석촌동, 송파동, 삼전동, 가락동, 문정동, 장지동
광주군 대왕면 일부(세곡리, 율현리, 자곡리, 수서리, 일원리)서울특별시 성동구 세곡동, 율현동, 자곡동, 수서동, 일원동


  • 1964년 2월 24일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광주군 직할 성남출장소"로 승격되고, 수진리 145번지에 새 청사를 지어 이전하면서 인구 증가와 행정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광주군수 직할 지휘 감독 체제로 바뀌었다.

2. 6. 1. 광주 대단지

서울특별시는 판자촌과 도시 빈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도시(성남)를 개발하여 빈민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을 세웠다. 서울시는 청계천 일대를 비롯한 판자촌을 대거 철거하면서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킬 계획을 마련하였다. 서울특별시는 1968년 5월 7일 건설부로부터 개발인가를 받아 1969년 4월 1일 "중부면 성남지구 일단의 주택단지 경영사업" 조성공사에 착수하였으며, 1969년 5월 2일부터 경기도 광주(지금의 성남시 지역)로 서울시의 철거민을 집단 강제 이주시켰다. 그렇게 해서 모인 빈민들의 수는 14만 5천여 명에 이르렀다.[17]

1968년 8월 1일부터 1971년 8월 31일까지 광주군은 "광주군 성남지구 도시건설 사업소"를, 서울특별시는 "서울특별시 광주대단지 사업소"를 각각 설치하여 도시계획 업무를 전담 수행하였다. 기존의 "광주군 직할 성남출장소"와 더불어 개발 초기 성남의 행정업무를 보는 관청이 셋이나 되어 주민의 불편이 컸다. 관할청과 사업 시행청이 다른 데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일단의 주택단지 경영사업"의 효율적인 사업 수행을 위하여 1970년 9월 19일, 경기도지사와 서울특별시장, 광주군수 간에 행정협약을 체결하고, 경기도와 광주군은 일반 행정을, 서울특별시는 용지 매수 및 건설사업을 분담하기로 규정하였다.

"일단의 주택단지 경영사업" 시행으로 광주군 성남출장소 관할 인구가 14만여 명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행정 수요 충족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 조례 제470호(1971년 8월 18일 공포)에 의거, 기존 광주군 성남출장소 관내 6개 리와 대왕면, 낙생면, 돌마면 전역 128.5km2을 관할 구역으로 하여 1971년 9월 13일 경기도 관할 성남출장소를 설치하여 집무를 개시하였다. 또한 이원적인 행정을 일원화하여 성남 도시 건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하여, 1971년 10월 14일 서울특별시에서 시행하던 "일단의 주택단지 경영사업"을 경기도에서 인수하고 "성남개발 3개년 투자계획"에 의거 도시 건설 사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2. 6. 2. 성남시 승격·독립 이후 ~ 광주시 승격

3. 인구

廣州郡한국어의 인구 추이는 1970년대 성남시 분리 등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었다. 1966년 103,217명에서 1970년 140,647명으로 증가했다가, 1975년 95,483명으로 감소했다.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00년에는 124,789명에 이르렀다.

연도총인구
1966년103,217명
1970년140,647명
1975년95,483명
1980년106,720명
1985년151,826명
1990년76,586명
1995년85,863명
2000년124,789명


참조

[1] 법률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0-12-20
[2] 문서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00-00
[3] 문서 중부면은 군내면(郡內面)과 세촌면(細村面)의 합면이다.
[4] 서적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2 근초고왕 삼국사기 0371-00-00
[5] 서적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제6 장수왕 삼국사기 0475-09-00
[6]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6 문무왕 상 삼국사기 0664-01-00
[7]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卷六 廣州牧 신증동국여지승람
[8]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卷六 廣州牧 신증동국여지승람
[9]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卷六 廣州牧 신증동국여지승람
[10] 서적 고종실록 고종실록 1883-03-17
[11] 법률 광무 10년 칙령 제49호 1906-00-00
[1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3] 법률 경기도령 제3호 1914-00-00
[14] 고시 경기도 고시 제10호
[15]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6]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7]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2-00-00
[18] 법률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19]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0]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1]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2] 법률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