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모바일 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픈 모바일 연합(OMA)은 2002년 설립된 모바일 서비스 관련 표준을 개발하는 단체이다. 여러 산업 포럼의 중복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AP 포럼, 무선 빌리지, SyncML 이니셔티브 등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에릭슨, ZTE, 노키아, 퀄컴, AT&T, NTT 도코모, 삼성, LG전자 등 장비 및 이동 통신 사업자, 소프트웨어 업체가 회원으로 참여하며, 2018년 IPSO 얼라이언스와 합병하여 OMA SpecWorks를 설립했다. OMA는 국가, 통신 사업자, 모바일 단말기 간의 서비스 상호 운용성을 목표로 하며, 브라우저 앤드 콘텐트, MMS, OMA DRM, OMA LWM2M 등 다양한 표준 사양을 관리한다. OMA는 표준 사양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3GPP, IETF, W3C 등 다른 표준화 기구와 협력하며, 아키텍처, 방송, 콘텐츠 전송 등 여러 분과회를 통해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방형 표준 -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는 구글을 중심으로 2007년 11월에 결성된 컨소시엄으로, 34개의 기업이 참여하여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개방형 표준 설계를 통해 혁신적인 모바일 기기 및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한다. - 개방형 표준 - 디지털 비디오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은 유럽에서 개발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으로,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하며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 종료와 디지털 방송 전환을 주도하고 있고, 최근에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DVB-I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 이동 통신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표준 -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상용화된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450MHz와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으며 GSM 등장으로 쇠퇴했다.
오픈 모바일 연합 | |
---|---|
개요 | |
이름 | 오픈 모바일 연합 |
영문명 | Open Mobile Alliance |
약칭 | OMA |
종류 | 비영리 단체, 비정부 기구 |
설립일 | 2002년 6월 |
해산일 | 2018년 3월 27일 |
합병 대상 | IPSO 얼라이언스 |
목적 | 국제 표준 |
본부 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회원 | 무선 통신 공급업체, 정보 기술 기업, 이동통신 사업자,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제공업체 |
언어 | 영어 |
총괄 매니저 | 세스 뉴베리 |
직원 수 | 143명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OMA는 2002년 6월, 여러 산업 포럼들이 난립하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중복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 WAP 포럼, 무선 빌리지, SyncML 이니셔티브 등 여러 포럼이 OMA로 통합되었다.
회원사로는 에릭슨, ZTE, 노키아, 퀄컴 등 장비 및 모바일 시스템 제조업체와 AT&T, NTT 도코모, 오랑주, T-모바일 인터내셔널 AG, 버라이즌 등 이동 통신 사업자, 그리고 제말토, 메이베니어 등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참여했다.[1]
2018년 3월에는 IPSO 얼라이언스와 합병하여 OMA SpecWorks를 설립했다.[2]
관련 표준 기구로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 인터넷 기술 특별 태스크 포스(IETF),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등이 있다.
OMA는 국가, 통신 사업자 및 모바일 단말기 간의 서비스 상호 운용성을 목표로 한다. OMA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만 표준화하며, OMA 사양은 GSM, UMTS, CDMA2000 등 모든 셀룰러 네트워크 기술과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표준 준수는 전적으로 자발적이며, OMA는 강제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 OMA의 회원사 중 사양 구현에 필수적인 기술에 대한 지적 재산권 (특허)을 소유한 회원은 다른 회원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이고 비차별적인 라이선스" 조건으로 해당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데 사전에 동의한다.
OMA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법인으로 등록되어 있다.
2. 1. 창립 회원 (한국 기업)
오픈 모바일 연합(OMA) 창립에는 다음과 같은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였다.
2. 1. 1. 제조사
삼성그룹, LG전자를 비롯하여, 에릭슨, 톰슨, 화웨이, ZTE, Reti Radiotelevisive Digitali, 노키아, 오픈웨이브, 소니, 필립스, 모토로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퀄컴 등이 있다.2. 1. 2. 이동통신사
LG유플러스는 오픈 모바일 연합에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이다.[1]2. 1. 3. 소프트웨어 업체
이노패스분류:오픈 모바일 연합
3. 다른 표준화 기구와의 관계
OMA는 표준 사양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다른 표준화 기구들과 협력하고 있다. 협력 기구는 다음과 같다.
- 3GPP
- 3GPP2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 W3C
4. 표준 사양
OMA는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 관련 표준 사양을 관리한다. 주요 표준 사양은 다음과 같다.
표준 사양 이름 | 설명 |
---|---|
브라우저 앤드 콘텐트 (탐색 사양) | 과거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 불렸으며, 현재는 XHTML 모바일 프로파일에 의존한다. |
MMS 사양 | 멀티미디어 메시징 관련 사양이다. |
OMA DRM 사양 | 디지털 권리 관리 관련 사양이다. |
OMA IMPS 사양 | 과거 와이어리스 빌리지로 불렸던 인스턴트 메시징 및 프레즌스 서비스 사양이다. |
OMA SIMPLE IM | SIP-SIMPLE 기반 인스턴트 메시징이다. |
OMA CAB | Converged Address Book, 소셜 주소록 서비스 표준이다. |
OMA CPM | Converged IP Messaging, Rich Communication Services의 기반 기술이다. |
OMA LAWMO | 잠금 및 삭제(Lock and Wipe) 기능 사양이다. |
OMA LWM2M | Lightweight Machine to Machine 기능 사양이다. |
OMA CP | 클라이언트 프로비저닝 사양이다. |
OMA DS | SyncML을 이용한 데이터 동기화 사양이다. |
OMA DM | SyncML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 관리 사양이다. |
OMA BCAST | Mobile Broadcast Services 사양이다. |
OMA RME | Rich Media Environment 사양이다. |
OMA OpenCMAPI | Connection Management APIs[7] |
OMA PoC |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사양이다. |
OMA Presence SIMPLE | SIP-SIMPLE 기반 Presence 사양이다. |
OMA 서비스 환경 | |
FUMO | 펌웨어 업데이트 |
SUPL | Secure User Plane Location Protocol,[8] 핸드셋에서 A-GPS를 위한 IP 기반 서비스이다. |
MLP | 휴대폰 위치 획득을 위한 IP 기반 프로토콜이다. |
WAP1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1, 5계층 프로토콜 스택[9] |
OMA LOCSIP | Location in SIP/IP Core[10] |
5. 분과회
OMA는 여러 분과회를 통해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다. 각 분과회는 다음과 같다.
분과회 |
---|
아키텍처 |
방송 |
콘텐츠 전송 |
데이터 동기화 |
개발자 관심 그룹 (종료) |
기기 관리 |
디지털 권리 관리 |
게임 서비스 |
상호 운용성 |
위치 |
메시징 |
모바일 상거래 및 과금 |
모바일 클라이언트 환경 (MCE) |
현재 상태 및 가용성 |
푸시 투 토크 |
릴리스 및 계획 관리 |
요구 사항 |
보안 |
참조
[1]
웹사이트
Current Members
http://openmobileall[...]
2019-08-01
[2]
뉴스
A Better Way to Define Industry Standards: OMA SpecWorks Creates IoT Standards, But Also Redefines the Game
https://www.eejourna[...]
2018-03-28
[3]
Slides
Slides
http://openmobileall[...]
2016-03-04
[4]
뉴스
User Plane Location Protocol v3.0
http://www.openmobil[...]
OMA
2017-10-07
[5]
문서
dret.net Glossary
http://dret.net/glos[...]
[6]
웹사이트
LOCSIP V1.0 The Open Mobile Alliance
http://technical.ope[...]
2016-05-20
[7]
Slides
Slides
http://openmobileall[...]
"20160304062624"
[8]
뉴스
User Plane Location Protocol v3.0
http://www.openmobil[...]
OMA
2017-10-07
[9]
문서
dret.net Glossary
http://dret.net/glos[...]
"20171124110005"
[10]
웹인용
LOCSIP V1.0 The Open Mobile Alliance
http://technical.ope[...]
2016-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