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란 우주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란 우주복은 러시아의 NPP 즈베즈다가 제작한 반강체 형태의 우주복으로, 우주 비행사의 우주 공간에서의 활동을 위해 설계되었다. 12~14겹의 특수 소재로 제작되어 우주 환경으로부터 우주인을 보호하며, 400hPa의 내부 기압을 유지하여 감압 시간을 단축한다. 1977년 소유즈 26호 임무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미르, 국제 우주 정거장 등에서 다양한 버전이 사용되었다. 올란 우주복은 훈련을 통해 착용 및 사용법을 익히며, 훈련 목적에 따라 다양한 버전의 우주복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복 - 소콜 우주복
소콜 우주복은 러시아의 가압 우주복으로, 소유즈 우주선의 발사, 도킹, 착륙 시에 착용하며, 1973년 소유즈 12호에서 처음 사용되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 우주복 - 페이티엔 우주복
페이티엔 우주복은 중국이 자체 개발한 우주 유영용 우주복으로, 러시아 올란-M 우주복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자이즈강이 선저우 7호 임무에서 이 우주복을 입고 중국 최초의 우주 유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2세대 우주복은 최대 8시간의 우주 체류가 가능하며 톈궁 우주정거장과 달 탐사 계획에도 사용되었다. - 러시아의 우주 개발 - 로스코스모스
로스코스모스는 소련의 우주 기술과 시설을 계승한 러시아 연방 우주국으로, 유무인 우주 비행과 민간 우주 사업을 총괄하며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 및 운영에 기여했으나, 최근 국제 제재와 예산 투명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러시아의 우주 개발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는 1957년 소련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 기지로 건설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군사 위성 발사에, 소련 붕괴 이후에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사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용이 증가했다. - 선외활동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선외활동 - 아폴로 15호
아폴로 15호는 1971년 발사된 미국의 아폴로 계획 중 9번째 유인 미션으로, 달 탐사차를 처음 사용하여 해들리 계곡과 아펜니노 산맥 일대를 탐사하고 월석을 채취하는 등 과학적 탐사에 중점을 둔 J-미션이었으나, 승무원들의 우표 소지 논란이 있었다.
올란 우주복 |
---|
2. 디자인
올란 우주복은 반강체(Semi-rigid)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몸통과 헬멧 부분은 단단한 강체 구조이지만, 팔과 다리 부분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14][29] 우주복 착용은 등 쪽에 있는 배낭 형태의 생명 유지 장치 부분을 해치처럼 열고 들어가는 후면 진입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약 5분 정도로 비교적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14]
초기 모델인 올란-D는 우주선과 엄빌리컬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력과 통신을 공급받았으나, 1985년에 등장한 올란-DM 모델부터는 케이블 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자급자족형으로 개선되었다.[14] 또한, 제조 공장의 전통에 따라 우주복에 부착된 줄무늬 색상으로 생산 번호를 구분하는데, 파란색 줄무늬는 짝수 번호, 빨간색 줄무늬는 홀수 번호 생산품을 의미한다.[12][13]
2. 1. 올란 우주복의 특징 (한국 우주 개발과의 연관성)
올란 우주복은 12~14겹의 옷감으로 제작되며, 주요 층으로는 신축성이 있어 몸에 밀착되는 스판덱스 층, 공기를 충전하는 우레탄 층, 그리고 우주복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케블라 층이 있다. 모든 중요 장치와 고장을 대비한 예비 부품은 등 쪽의 팩에 들어있다. 올란의 내부는 0.4기압으로 유지되어, 우주복이 다소 뻣뻣하여 움직임이 제한적이므로 섬세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착용 시에는 체온 상승을 막기 위해 튜브를 통해 물이 흐르는 수냉식 내의를 반드시 입어야 한다.올란 우주복의 가격은 약 1500만달러 (한화 약 140억원)이다. 가장 큰 장점은 사용 편의성이다. NASA의 EMU는 우주 비행사 개인에게 맞춰 제작되어 한 사람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올란은 몸의 각 부위에 있는 끈으로 크기를 조절하여 키 165cm에서 190cm 사이의 사람이면 누구나 착용할 수 있다. 또한, EMU는 내부 기압이 0.27기압으로 낮아 우주 유영 전 12시간 동안 감압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올란은 0.4기압으로 30분의 감압 과정만 거치면 된다. 올란의 최대 사용 시간은 9시간이며, 무게는 112kg이다. 수명은 4년에 걸쳐 총 15회 정도 사용 가능하다.

3. 역사
올란 우주복은 1977년 12월 20일 소련의 우주 정거장 살류트 6호에서 소유즈 26호 임무 중 처음으로 우주 유영에 사용되었다. 이때 유리 로마넨코와 게오르기 그레치코가 올란-D 모델을 착용했다. 이후 올란 우주복은 살류트 7호, 미르, 국제 우주 정거장(ISS) 등 여러 우주 정거장에서 지속적으로 개량되며 사용되었다.
올란 우주복은 러시아 우주비행사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캐나다,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우주비행사들도 사용해 왔다. 중국은 2004년 러시아로부터 올란 우주복 13벌을 도입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페이톈 우주복을 개발했다. 중국에서는 올란 우주복을 Орланru의 직역인 하이잉(海鹰|Hǎiyīng중국어)이라고 부르며, 2008년 선저우 7호 임무에서는 자이즈강을 보조하기 위해 류보밍이 올란 우주복(하이잉)을 착용하기도 했다.
2006년 2월 3일에는 폐기된 올란 우주복에 무선 송신기를 장착하여 SuitSat-1이라는 이름의 인공위성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방출하는 독특한 사례도 있었다.
2009년 6월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개선된 최신 버전인 올란-MK가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버전은 우주복 시스템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LCD 화면을 통해 대응 절차를 안내하는 기능을 갖추었다.
2020년 9월, 러시아의 즈베즈다는 인도의 가간얀 유인 우주 임무를 위해 인도 우주비행사용 우주복 생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3. 1. 한국 우주 개발 관련 주요 사건
올란 우주복은 여러 세대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각 버전은 특정 시기에 처음으로 우주 유영에 사용되었다.- 올란 D: 1977년 12월 20일, 소련의 우주 정거장 살류트 6호(Salyut 6)에서 소유즈 26호(Soyuz 26) 임무 중 유리 로마넨코(Yuri Romanenko)와 게오르기 그레치코(Georgi Grechko)가 처음 착용하고 우주 유영을 수행했다.
- 올란 DM: 1985년 8월 2일, 소련의 우주 정거장 살류트 7호(Salyut 7)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 올란 DMA: 1988년 11월,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 올란 M: 1997년,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도 활용되었다.
- 올란 MK: 2009년 6월,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4. 버전
올란 우주복은 여러 모델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실제 우주 임무에 사용된 모델로는 올란-D, 올란-DM, 올란-DMA, 올란-M, 올란-MK, 올란-MKS 등이 있으며, 훈련용으로는 올란-GN, 올란-T, 올란-V 등이 개발되어 수중 훈련 등에 사용되었다.[10][11][26][27]
최초의 올란 우주복은 소련의 달 탐사 계획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실제 사용되지는 않았다. 실제 임무에 처음 사용된 것은 1977년 12월 20일, 소련의 우주 정거장 살류트 6호에서 소유즈 26호 임무 중이었다. 우주비행사 유리 로마넨코와 게오르기 그레치코는 올란-D 모델을 착용하고 첫 선외 활동을 수행했다. 1985년 8월 2일에는 살류트 7호에서 우주비행사 블라디미르 자니베코프와 빅토르 사비니흐가 올란-DM을 최초로 사용했다. 이 모델부터는 우주선과 연결되는 엄빌리컬 없이 자급자족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올란 우주복은 미르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지속적으로 개량되며 사용되었다. 올란-DMA는 1988년 11월 미르에서 무사 마나로프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올란-M은 1997년 미르에서 처음 사용된 후 ISS에서도 운용되었다. 2009년 6월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개선된 올란-MK가 ISS에서 처음 테스트되었으며, 2017년부터는 최신 모델인 올란-MKS가 사용되고 있다.[12][13] 올란 우주복의 설계 수명은 일반적으로 4년 또는 최대 15회의 선외 활동이며, 제조사인 NPP 즈베즈다의 전통에 따라 파란색 줄무늬는 짝수 생산 번호, 빨간색 줄무늬는 홀수 생산 번호를 나타낸다.[12][13]
올란 우주복은 몸통과 헬멧 부분이 단단하고 팔다리는 유연한 반강체 구조를 가지며, 등 부분의 해치를 통해 출입하는 방식으로 약 5분 만에 착용할 수 있다.[14][29]
2006년 2월 3일에는 퇴역한 올란 우주복에 무선 송신기를 장착하여 SuitSat-1이라는 이름의 인공위성으로 만들어 ISS에서 궤도로 방출하기도 했다.
중국은 2004년 러시아로부터 올란 우주복을 도입하여 자체 우주복 개발에 활용했으며, 중국 내에서는 이를 Орлан|오를란ru의 직역인 海鹰|하이잉중국어이라고 부른다. 2008년 9월 27일 선저우 7호 임무에서는 류보밍이 자이즈강의 우주 유영을 보조하기 위해 올란 우주복을 착용했다. 또한, 2020년에는 인도의 가간얀 유인 우주 임무를 위해 NPP 즈베즈다가 인도 우주비행사용 우주복 생산을 시작했다고 발표되었다.
4. 1. 올란 달 궤도용 우주복
올란 달 궤도용 우주복은 소련 달 탐사 계획의 일환으로 1967년부터 1971년 사이에 NPP 즈베즈다에서 개발한 초기 모델이다.[15] 선외 활동(EVA)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실제 우주 비행에는 사용되지 않았다.[15]항목 | 내용 |
---|---|
개발사 | NPP 즈베즈다 |
개발 기간 | 1967년 ~ 1971년 |
사용 여부 | 실제 사용 없음[15] |
용도 | 선외 활동 (EVA) |
동작 압력 | 400hPa[15] |
중량 | 59kg[15] |
사용 시간 | 5시간[15] |
4. 2. 올란 D

올란 D는 NPP 즈베즈다에서 1969년부터 1977년까지 개발한 올란 우주복의 초기 모델이다.[15] 1977년부터 1984년까지 소련의 우주 정거장인 살류트 6호와 살류트 7호에서 선외 활동(EVA)을 위해 사용되었다.[15]
항목 | 내용 |
---|---|
개발사 | NPP 즈베즈다 |
개발 기간 | 1969년 ~ 1977년 |
사용 기간 | 1977년 ~ 1984년 |
사용처 | 살류트 6호, 살류트 7호 |
용도 | 선외 활동(EVA) |
동작 압력 | 400 hPa[15] |
중량 | 73.5kg[15] |
사용 시간 | 5시간[15] |
올란 계열 우주복이 실제 임무에 처음 사용된 것은 1977년 12월 20일이었다. 소유즈 26호 임무 중 살류트 6호 우주 정거장에서 우주비행사 유리 로마넨코와 게오르기 그레치코가 올란 D 모델을 착용하고 첫 선외 활동을 수행하며 우주복의 성능을 시험했다.
4. 3. 올란 DM
올란 DM은 NPP 즈베즈다에서 개발한 올란 우주복의 모델 중 하나이다. 이전 모델인 올란-D는 엄빌리컬 테더로 우주선과 연결되어 전력과 통신을 공급받았지만, 올란-DM 모델부터는 자급자족형으로 개선되어 엄빌리컬 케이블 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15]항목 | 내용 |
---|---|
개발사 | NPP 즈베즈다 |
사용 기간 | 1985년 ~ 1988년[15] |
사용 장소 | 살류트 7호, 미르[15] |
용도 | 선외 활동(EVA) |
작동 압력 | 400hPa[15] |
무게 | 88kg[15] |
생명 유지 시간 | 6시간[15] |
올란 DM은 1985년 8월 2일, 소련의 우주 정거장 살류트 7호에서 우주비행사 블라디미르 자니베코프와 빅토르 사비니흐에 의해 처음으로 선외 활동에 사용되었다. 이후 미르 초기에도 사용되었으나, 1988년부터는 개량형인 올란-DMA 모델로 대체되었다.
4. 4. 올란 DMA

올란 DMA는 NPP 즈베즈다에서 개발한 올란 우주복 시리즈의 한 모델이다. 1988년 11월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우주비행사 무사 마나로프가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1997년까지 미르에서 운용되었다.[15] 이전 모델인 올란-DM의 뒤를 이어 개발되었고, 이후 올란-M 모델로 대체되었다.
주요 용도는 선외 우주 유영(EVA)이었으며[15], 올란-DM 및 이후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자급 자족형 우주복으로 설계되었다. 반강체 구조를 가지며, 등 부분의 해치를 통해 출입하는 방식으로 약 5분 만에 착용할 수 있다.
'''주요 제원'''[15]
- '''개발사:''' NPP 즈베즈다
- '''사용 기간:''' 1988년 ~ 1997년
- '''사용 장소:''' 미르
- '''동작 압력:''' 400hPa
- '''중량:''' 105kg
- '''생명 유지 시간:''' 7시간
4. 5. 올란 M

올란 M은 러시아의 NPP 즈베즈다에서 개발한 올란 우주복 시리즈의 한 모델이다. 이 모델은 1997년 미르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미르의 운용 종료 이후에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 초기 단계에서도 활용되다가 2009년까지 운용되었다.[15] 올란 M은 주로 선외 활동(EVA)을 위해 설계되었다.
올란 M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개발사 | NPP 즈베즈다 |
사용 기간 | 1997년 ~ 2009년 |
사용 장소 | 미르, 국제 우주 정거장 |
용도 | 선외 활동(EVA) |
작동 압력 | 400hPa[15] |
무게 | 112kg[15] |
생명 유지 시간 | 7시간[15] |
올란 M은 이전 모델인 올란-DMA의 후속 모델이며, 이후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개선된 올란-MK 모델로 대체되었다. 올란 우주복 시리즈는 러시아 우주비행사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중국 등 여러 국가의 우주비행사들이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의 선외 활동 시 사용해왔다. 2006년에는 퇴역한 올란 우주복이 SuitSat-1이라는 아마추어 무선 위성으로 개조되어 ISS에서 방출되기도 했다.
4. 6. 올란 MK

올란-MK는 러시아의 NPP 즈베즈다에서 개발한 올란 우주복 시리즈의 개량형 모델이다. 2009년 6월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새로운 장비 설치를 위한 5시간의 우주 유영 동안 처음으로 테스트되었다.[16] 이후 2017년까지 ISS에서 선외 활동(EVA)에 사용되었다.[16]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휴대용 생명 유지 시스템 백팩에 미니 컴퓨터를 탑재하여 무선 원격 측정 장비를 교체한 점이다. 이 컴퓨터는 우주복의 다양한 시스템 데이터를 처리하고 오작동 발생 시 경고를 제공하며, 오른쪽 가슴 부분의 LCD 화면에 비상 대응 계획을 표시해준다. 이전 모델까지는 우주 비행사가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응 절차를 직접 기억해야 했다.
항목 | 내용 |
---|---|
개발사 | NPP 즈베즈다 |
사용 기간 | 2009년 ~ 2017년[16] |
사용 장소 | 국제 우주 정거장 |
용도 | 선외 활동(EVA) |
동작 압력 | 400hPa |
중량 | 120kg[16] |
생명 유지 시간 | 7시간 |
4. 7. 올란 MKS
올란-MKS는 NPP 즈베즈다에서 개발한 올란 우주복 시리즈의 모델 중 하나이다. 2017년부터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우주 유영(EVA) 임무 수행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17]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제조사: NPP 즈베즈다
- 사용 기간: 2017년 ~ 현재[17]
- 사용 장소: 국제 우주 정거장(ISS)
- 용도: 우주 유영(EVA)
- 작동 압력: 400hPa
- 질량: 110kg
- 생명 유지 시간: 7시간
5. 훈련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 스타 시티에 위치한 유리 가가린 우주인 훈련 센터에서 올란 우주복 훈련이 이루어진다. 훈련 목적에 따라 다른 버전의 올란 우주복이 사용된다. 수중 훈련에는 올란-GN, 에어록 절차 훈련에는 올란-T, 무중력 비행 훈련에는 올란-V가 각각 사용된다.
6. 기타
2006년 2월 3일, 무선 송신기가 장착된 퇴역한 올란 우주복은 SuitSat-1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궤도로 발사되었다.
2004년 4월, 중국은 러시아로부터 13개의 올란 우주복을 수입했다. 이 중 3개는 선외 활동(EVA)용, 2개는 에어록 훈련용, 4개는 중성 부력 탱크 훈련용, 4개는 선저우 우주선의 EVA 지원 시스템 테스트용이었다. 중국에서는 올란 우주복을 Орлан|오를란ru의 직역인 하이잉(海鹰|하이잉|뜻=바다 매중국어)이라고 부른다. 2008년 9월 27일, 류보밍은 선저우 7호 임무의 우주 유영 부분 동안 자이즈강을 돕기 위해 올란 우주복을 착용했다.
2020년 9월, 즈베즈다는 인도의 가간얀 유인 우주 임무를 위해 우주복 생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임무에 투입될 인도 우주비행사 4명은 2019년부터 러시아의 가가린 우주비행사 훈련 센터에서 훈련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NASA Press Briefing
https://web.archiv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7-11-08
[2]
웹사이트
Orlan spacesuit
https://web.archive.[...]
European Space Agency
2007-11-08
[3]
웹사이트
Orlan Space Suit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7-11-08
[4]
웹사이트
So Long, SuitSat: Astronauts Launch Spacesuit in ISS Spacewalk
http://www.space.com[...]
Space.com
2007-11-08
[5]
웹사이트
Orlan Overboard: The Suit Behind the Sat
http://www.space.com[...]
Space.com
2007-11-08
[6]
웹사이트
Suitsat: An empty spacesuit broadcasting to Earth
http://www.spacetoda[...]
Space Today Online
2007-11-08
[7]
간행물
王兆耀:神七出舱活动俄专家提供了技术支持
http://scitech.peopl[...]
2018-08-09
[8]
웹사이트
JSR No. 601
https://web.archive.[...]
2012-07-08
[9]
웹사이트
Explained:Zvezda, the Russian firm making suits for India's Gaganyaan astronauts
https://indianexpres[...]
2020-10-05
[10]
웹사이트
Zvezda's Museum and Spacesuit Photo Report
http://www.npointerc[...]
NP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ace
2007-11-08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paceflight Chapter 7.2: Zvezda Orlan spacesuits
http://www.planet458[...]
2007-11-08
[12]
웹사이트
Space fashion
https://rostec.ru/en[...]
2014-04-11
[13]
웹사이트
Russian spacesuits
https://suzymchale.c[...]
2008-01-01
[14]
웹사이트
Space Suits
https://web.archive.[...]
JSC RD&PE "Zvezda", Russia
2007-11-08
[15]
서적
Russian Spacesuits
https://books.google[...]
Praxis Publishing Ltd.
[16]
웹사이트
RuSpace
https://archive.toda[...]
[17]
웹사이트
RuSpace
https://archive.toda[...]
[18]
문서
ISS・きぼうウィークリーニュース第408号 -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 JAXA
http://iss.jaxa.jp/w[...]
[19]
웹사이트
NASA Press Briefing
https://web.archive.[...]
NASA
2021-05-10
[20]
웹사이트
Orlan spacesuit
http://www.esa.int/S[...]
European Space Agency
2007-11-08
[21]
웹사이트
Orlan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21-05-10
[22]
웹사이트
So Long, SuitSat: Astronauts Launch Spacesuit in ISS Spacewalk
http://www.space.com[...]
Space.com
2007-11-08
[23]
웹사이트
Orlan Overboard: The Suit Behind the Sat
http://www.space.com[...]
Space.com
2007-11-08
[24]
웹사이트
Suitsat: An empty spacesuit broadcasting to Earth
http://www.spacetoda[...]
Space Today Online
2007-11-08
[25]
웹사이트
ISS astronauts complete spacewalk, test new Russian spacesuits
https://web.archive.[...]
RIA Novosti
2021-05-10
[26]
웹사이트
Zvezda's Museum and Spacesuit Photo Report
http://www.npointerc[...]
NP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ace
2007-11-08
[2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paceflight Chapter 7.2: Zvezda Orlan spacesuits
http://www.planet458[...]
2007-11-08
[28]
뉴스
Orlan Spacesuit - NASA
https://web.archive.[...]
NASA
2012-05-10
[29]
웹사이트
Space Suits
https://web.archive.[...]
JSC RD&PE "Zvezda", Russia
2021-05-10
[30]
서적
Russian Spacesuits
https://books.google[...]
Praxis Publishing Ltd.
[31]
웹사이트
RuSpace
http://suzymchal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