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바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리바 조약은 제2차 북방 전쟁의 종결을 위해 1660년 4월 23일 올리바 수도원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 제국 사이에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얀 2세 카지미에시는 스웨덴 왕위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리보니아와 리가 시를 스웨덴에 공식적으로 할양했다. 또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프로이센 공국의 독립적인 주권을 확인받았으며, 발트 해에 대한 스웨덴의 지배를 확고히 했다. 올리바 조약은 스웨덴 발트 제국의 정점을 상징하는 중요한 조약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리바 조약 | |
|---|---|
| 조약 정보 | |
| 이름 | 올리바 조약 |
| 유형 | 평화 조약 |
| 초안 작성 기간 | 1659–1660년 |
| 서명일 (율리우스력) | 1660년 4월 23일 |
| 서명일 (그레고리력) | 1660년 5월 3일 |
| 서명 장소 | 올리바, 폴란드 |
| 관련 전쟁 | 제2차 북방 전쟁 |
| 조약 당사국 | |
| 시각 자료 | |
![]() | |
![]() | |
![]() | |
| 배경 | |
| 주요 내용 | 제2차 북방 전쟁 종결 |
| 관련 조약 | |
2. 협상

제2차 북방 전쟁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은 1655년부터 파괴적인 전쟁을 벌였고, 양측 모두 남은 적들인 러시아와 덴마크에 대처하기 위해 평화를 원했다.[8] 게다가 정치적 야심을 가진 폴란드 여왕 마리 루이즈 곤자가는 폴란드 국왕과 세임 모두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스웨덴과의 평화를 원했는데, 그녀는 프랑스 출신 콩데 공의 아들이 폴란드 왕위 계승자로 선출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8][9] 이는 프랑스 왕국과 동맹국인 스웨덴의 동의가 있어야만 달성될 수 있었다.[9]
한편, 덴마크와 네덜란드 사절, 그리고 신성 로마 제국과 브란덴부르크 사절들은 이 절차를 방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다.[8] 그들의 목표는 이 시대의 협상에서 항상 이루어지던 지루한 형식적 절차에 의해 지원되었다. 1660년 1월 7일(OS)에 실제 평화 협상이 시작되기까지 여러 달이 걸렸다. 심지어 그 당시에도 양측이 교환한 문서에는 너무 많은 적대적인 단어가 적혀 있어서 프랑스 대사이자 수석 협상가인 label=앙투안 드 롬브르/앙투안 드 롬브르프랑스어는 그렇지 않으면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긴 부분을 삭제해야 했다.
그니에즈노 대주교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리보니아에서 지친 스웨덴군을 몰아내기 위해 전쟁을 계속하기를 원했다. 덴마크 대표는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덴마크와 함께 조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불리한 덴마크의 운명에 자신들을 묶고 싶어하지 않았다. 스웨덴을 전쟁을 통해 독일에서 몰아내기를 원했던 합스부르크가는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증원을 약속했지만, 합스부르크가의 의도는 의심을 받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상원은 반대했다. 심지어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도 스웨덴령 포메라니아를 정복하려는 희망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전쟁을 계속하도록 지원을 제안했다.[10]
실질적으로 마자랭 추기경이 통치하던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에서 스웨덴의 지속적인 존재를 원했는데, 이들은 프랑스의 전통적인 적이었다. 또한 프랑스는 지속적인 전쟁이 오스트리아의 독일과 폴란드-리투아니아에 대한 영향력을 증가시킬 것을 우려했다. 오스트리아와 브란덴부르크가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에 침입한 것은 베스트팔렌 조약 위반으로 간주되었고, 프랑스는 이를 기소할 의무가 있었다. 따라서 프랑스는 스웨덴과 브란덴부르크 간의 조약이 1660년 2월 전에 체결되지 않으면 스웨덴 측에 3만 명의 군대를 지원하겠다고 위협했다.
협상은 1659년 가을 토룬에서 시작되었다. 폴란드 대표단은 나중에 그단스크로 이동했고, 스웨덴 대표단은 발트해에 위치한 도시 소포트를 기지로 삼았다.
스웨덴 국왕 카를 10세 구스타브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오스트리아, 브란덴부르크는 요구 사항을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웨덴에 대한 프랑스의 새로운 지원 위협으로 인해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마침내 굴복했다. 조약은 1660년 4월 23일 올리바 수도원에서 서명되었다.[11]
2. 1. 협상 배경
제2차 북방 전쟁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은 1655년부터 파괴적인 전쟁을 벌였고, 양측 모두 남은 적들인 러시아와 덴마크에 대처하기 위해 평화를 원했다.[8] 게다가 정치적 야심을 가진 폴란드 여왕 마리 루이즈 곤자가는 폴란드 국왕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세임 모두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스웨덴과의 평화를 원했는데, 그녀는 프랑스 출신 콩데 공의 아들이 폴란드 왕위 계승자로 선출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8][9] 이는 프랑스 왕국과 동맹국인 스웨덴의 동의가 있어야만 달성될 수 있었다.[9]
한편, 덴마크와 네덜란드 사절, 그리고 신성 로마 제국과 브란덴부르크 사절들은 이 절차를 방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다.[8] 그들의 목표는 이 시대의 협상에서 항상 이루어지던 지루한 형식적 절차에 의해 지원되었다. 1660년 1월 7일(OS)에 실제 평화 협상이 시작되기까지 여러 달이 걸렸다. 심지어 그 당시에도 양측이 교환한 문서에는 너무 많은 적대적인 단어가 적혀 있어서 프랑스 대사이자 수석 협상가인 앙투안 드 롬브르/De Lumbres프랑스어는 그렇지 않으면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긴 부분을 삭제해야 했다.
그니에즈노 대주교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리보니아에서 지친 스웨덴군을 몰아내기 위해 전쟁을 계속하기를 원했다. 덴마크 대표는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덴마크와 함께 조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불리한 덴마크의 운명에 자신들을 묶고 싶어하지 않았다. 스웨덴을 전쟁을 통해 독일에서 몰아내기를 원했던 합스부르크가는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증원을 약속했지만, 합스부르크가의 의도는 의심을 받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상원은 반대했다. 심지어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도 스웨덴령 포메라니아를 정복하려는 희망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전쟁을 계속하도록 지원을 제안했다.[10]
실질적으로 마자랭 추기경이 통치하던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에서 스웨덴의 지속적인 존재를 원했는데, 이들은 프랑스의 전통적인 적이었다. 또한 프랑스는 지속적인 전쟁이 오스트리아의 독일과 폴란드-리투아니아에 대한 영향력을 증가시킬 것을 우려했다. 오스트리아와 브란덴부르크가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에 침입한 것은 베스트팔렌 조약 위반으로 간주되었고, 프랑스는 이를 기소할 의무가 있었다. 따라서 프랑스는 스웨덴과 브란덴부르크 간의 조약이 1660년 2월 전에 체결되지 않으면 스웨덴 측에 3만 명의 군대를 지원하겠다고 위협했다.
협상은 1659년 가을 토룬 (손)에서 시작되었다. 폴란드 대표단은 나중에 그단스크로 이동했고, 스웨덴 대표단은 발트해에 위치한 도시 소포트 (조포트)를 기지로 삼았다. 스웨덴 국왕 칼 10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오스트리아, 브란덴부르크는 요구 사항을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웨덴에 대한 프랑스의 새로운 지원 위협으로 인해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마침내 굴복했다. 조약은 1660년 4월 23일 올리바 수도원에서 서명되었다.[11]
2. 2. 협상 과정
제2차 북방 전쟁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은 1655년부터 파괴적인 전쟁을 벌였고, 양측 모두 러시아와 덴마크에 대처하기 위해 평화를 원했다.[8] 게다가 폴란드 여왕 루드비카 마리아 곤자가는 프랑스 출신 콩데 공의 아들이 폴란드 왕위 계승자로 선출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스웨덴과의 평화를 원했다.[8][9] 이는 프랑스와 동맹국인 스웨덴의 동의가 있어야만 가능했다.[9]
한편, 덴마크와 네덜란드 사절, 그리고 신성 로마 제국과 브란덴부르크 사절들은 이 절차를 방해하기 위해 노력했다.[8] 1660년 1월 7일(OS)에 실제 평화 협상이 시작되기까지 여러 달이 걸렸다. 프랑스 대사이자 수석 협상가인 앙투안 드 롬브르/De Lumbres프랑스어는 양측이 교환한 문서에서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긴 부분을 삭제해야 했다.
그니에즈노 대주교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리보니아에서 스웨덴군을 몰아내기 위해 전쟁을 계속하기를 원했다. 덴마크 대표는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덴마크와 함께 조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불리한 덴마크의 운명에 자신들을 묶고 싶어하지 않았다. 합스부르크가는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증원을 약속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상원은 반대했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도 스웨덴령 포메라니아를 정복하려는 희망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전쟁을 계속하도록 지원을 제안했다.[10]
마자랭 추기경이 통치하던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에서 스웨덴의 지속적인 존재를 원했다. 또한 프랑스는 지속적인 전쟁이 오스트리아의 독일과 폴란드-리투아니아에 대한 영향력을 증가시킬 것을 우려했다. 오스트리아와 브란덴부르크가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에 침입한 것은 베스트팔렌 조약 위반으로 간주되었고, 프랑스는 1660년 2월 전에 스웨덴과 브란덴부르크 간의 조약이 체결되지 않으면 스웨덴 측에 3만 명의 군대를 지원하겠다고 위협했다.
협상은 1659년 가을 토룬에서 시작되었다. 폴란드 대표단은 나중에 그단스크로 이동했고, 스웨덴 대표단은 발트해에 위치한 도시 소포트를 기지로 삼았다.
스웨덴 국왕 카를 10세 구스타브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오스트리아, 브란덴부르크는 요구 사항을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웨덴에 대한 프랑스의 새로운 지원 위협으로 인해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마침내 굴복했다. 조약은 1660년 4월 23일 올리바 수도원에서 체결되었다.[11]
2. 3. 각국의 입장
제2차 북방 전쟁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은 1655년부터 파괴적인 전쟁을 벌였고, 양측 모두 남은 적들인 러시아와 덴마크에 대처하기 위해 평화를 원했다.[8] 게다가 정치적 야심을 가진 폴란드 여왕 마리 루이즈 곤자가는 폴란드 국왕과 세임 모두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스웨덴과의 평화를 원했는데, 그녀는 프랑스 출신 콩데 공의 아들이 폴란드 왕위 계승자로 선출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8][9] 이는 프랑스 왕국과 동맹국인 스웨덴의 동의가 있어야만 달성될 수 있었다.[9]
한편, 덴마크와 네덜란드 사절, 그리고 신성 로마 제국과 브란덴부르크 사절들은 이 절차를 방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다.[8] 그들의 목표는 이 시대의 협상에서 항상 이루어지던 지루한 형식적 절차에 의해 지원되었다. 1660년 1월 7일(OS)에 실제 평화 협상이 시작되기까지 여러 달이 걸렸다. 심지어 그 당시에도 양측이 교환한 문서에는 너무 많은 적대적인 단어가 적혀 있어서 프랑스 대사이자 수석 협상가인 label=앙투안 드 롬브르/앙투안 드 롬브르프랑스어는 그렇지 않으면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긴 부분을 삭제해야 했다.
그니에즈노 대주교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리보니아에서 지친 스웨덴군을 몰아내기 위해 전쟁을 계속하기를 원했다. 덴마크 대표는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덴마크와 함께 조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불리한 덴마크의 운명에 자신들을 묶고 싶어하지 않았다. 스웨덴을 전쟁을 통해 독일에서 몰아내기를 원했던 합스부르크가는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증원을 약속했지만, 합스부르크가의 의도는 의심을 받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상원은 반대했다. 심지어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도 스웨덴령 포메라니아를 정복하려는 희망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전쟁을 계속하도록 지원을 제안했다.[10]
실질적으로 마자랭 추기경이 통치하던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에서 스웨덴의 지속적인 존재를 원했는데, 이들은 프랑스의 전통적인 적이었다. 또한 프랑스는 지속적인 전쟁이 오스트리아의 독일과 폴란드-리투아니아에 대한 영향력을 증가시킬 것을 우려했다. 오스트리아와 브란덴부르크가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에 침입한 것은 베스트팔렌 조약 위반으로 간주되었고, 프랑스는 이를 기소할 의무가 있었다. 따라서 프랑스는 스웨덴과 브란덴부르크 간의 조약이 1660년 2월 전에 체결되지 않으면 스웨덴 측에 3만 명의 군대를 지원하겠다고 위협했다.
협상은 1659년 가을 토룬에서 시작되었다. 폴란드 대표단은 나중에 그단스크로 이동했고, 스웨덴 대표단은 발트해에 위치한 도시 소포트를 기지로 삼았다.
스웨덴 국왕 카를 10세 구스타브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오스트리아, 브란덴부르크는 요구 사항을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웨덴에 대한 프랑스의 새로운 지원 위협으로 인해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마침내 굴복했다. 조약은 1660년 4월 23일 올리바 수도원에서 서명되었다.[11]
2. 4. 협상 타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은 1655년부터 제2차 북방 전쟁으로 전쟁 상태에 있었다. 양국은 각자의 교전국인 러시아 차르국과 덴마크-노르웨이와의 전투에 집중하기 위해 평화를 원했다.[8] 게다가, 야심적인 폴란드 왕비 루드비카 마리아 곤자가는 남편 얀 2세와 폴란드 의회(세임)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여, 프랑스 출신인 콩데 공작루이 2세의 차기 폴란드 왕 선출을 확보하려 했다.[16] 이 야망에는 프랑스 왕국과 그 동맹국 스웨덴의 동의가 필수적이었다.[9]
한편, 덴마크-노르웨이, 네덜란드 공화국, 신성 로마 제국, 브란덴부르크 대표는 논의를 탈선시키려 했다.[8][16] 이 시대의 복잡한 외교 절차는 그들의 노력을 도왔다. 결국, 협상이 정식으로 시작된 것은 몇 달 후인 1660년 1월 7일(율리우스력)이었다. 그 후에도 폴란드와 스웨덴 사이에서 교환된 문서의 내용에 부적절한 내용이 많아, 중재 역할을 맡은 프랑스 대사 앙투안 드 롬브르/De Lumbres프랑스어는 그것들을 모두 삭제해야 했다.
그니에즈노 대주교가 이끄는 폴란드 대표단은 전쟁을 계속하여 소모된 스웨덴 군을 스웨덴령 리보니아/Svenska Livlandsv에서 몰아내려 했다. 덴마크 대표는 폴란드와 공동으로 스웨덴과 화약을 체결하려 했지만, 폴란드는 쇠퇴하는 덴마크와 운명을 같이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는 전쟁을 계속하여 스웨덴을 독일에서 몰아내기 위해 폴란드에 원군을 승낙했지만, 진정한 목적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받아, 폴란드의 세임은 난색을 표했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도 스웨덴령 포메른을 정복하기 위해 전쟁을 계속하려 했고, 폴란드에 원조를 제공했다.[10]
프랑스의 쥘 마자랭 추기경은 전통적인 적국인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에 대한 견제로서 스웨덴의 독일 내 영토를 유지하려 했다. 또한 전쟁이 지속됨으로써 오스트리아의 독일과 폴란드 내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도 우려했다. 오스트리아와 브란덴부르크에 의한 스웨덴령 포메른 침공은 베스트팔렌 조약 위반으로 간주되었다. 프랑스에는 그것을 고발할 의무가 있었기 때문에, 1660년 2월까지 스웨덴과 브란덴부르크 사이에서 조약이 체결되지 않으면 원군 3만 명을 스웨덴에 제공하겠다고 위협했다.
협상은 1659년 가을 토룬에서 시작되었다. 폴란드 대표단은 나중에 그단스크로 이동했고, 스웨덴 대표단은 발트해에 위치한 도시 소포트를 기지로 삼았다.
스웨덴 왕 칼 10세의 사망 소식이 폴란드에 전해지자, 오스트리아와 브란덴부르크는 요구를 높였다. 그러나 프랑스에 의한 스웨덴에 대한 원조를 우려한 점도 있어, 폴란드는 양보했다. 결국, 조약은 1660년 4월 23일(율리우스력)에 올리바 수도원에서 체결되었다.[11]
3. 조약 내용
이 조약으로 얀 2세 카지미에시는 그의 아버지 지그문트 3세 바사가 1599년에 잃었던 스웨덴 왕위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1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또한 1620년대부터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던 리보니아와 리가 시를 스웨덴에 공식적으로 할양했다.[12] 이 조약은 지그문트와의 전쟁 (1598–1599), 폴란드-스웨덴 전쟁 (1600–1629) 및 북방 전쟁 (1655–1660)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 사이에 남아 있던 분쟁을 해결했다.[12] 또한 이 조약은 발트해에 대한 스웨덴의 지배를 확고히 했다.[12]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호엔촐레른 가문은 프로이센 공국에서 독립적이고 주권적인 지위임을 확인받았다.[12] 그들은 이전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토로서 이 영토를 소유하고 있었다. 만약 호엔촐레른 왕조가 프로이센에서 남성 혈통으로 단절된다면, 그 영토는 연방으로 반환되도록 규정되었다.[12]
이 조약은 브란덴부르크의 외교관인 크리스토프 카스파 폰 블루멘탈에 의해 그의 외교 경력의 첫 번째 외교 임무에서 성사되었다. 올리바 조약, 같은 해의 코펜하겐 조약 (1660년) 그리고 1661년의 카디스 조약은 스웨덴 발트 제국의 정점을 상징했다.
4. 조약의 의의와 영향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5. 1. 강대국 외교의 현실
5. 2. 중립 외교의 어려움
5. 3. 자주 국방의 중요성
5. 4. 실리 외교의 필요성
참조
[1]
서적
[2]
서적
[3]
웹사이트
Freden i København, 27. maj 1660
http://danmarkshisto[...]
danmarkshistorien.dk
2019-06-01
[4]
웹사이트
Freden i Kardis 1661
https://historiesajt[...]
Historiesajten
2019-06-01
[5]
웹사이트
Friede von Oliva
http://www.monarchie[...]
Monarchieliga
2019-06-01
[6]
웹사이트
Freden i Oliva 1660
https://historiesajt[...]
Historiesajten
2019-06-01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Louis II de Bourbon, prince de Condé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9-06-01
[10]
웹사이트
Frederick William, elector of Brandenburg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9-06-01
[11]
웹사이트
Oliwa Cathedral
https://web.archive.[...]
whattodoingdansk.com
2019-06-01
[12]
서적
Who's who in Europe, 1450-17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11-09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