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현재 독일의 브란덴부르크와 베를린, 폴란드 일부 지역을 포함했던 역사적 영토이다. 1157년 알브레히트 1세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백국으로 시작하여 호엔촐레른 가문의 지배하에 프로이센 왕국으로 발전했다. 1618년 프로이센 공국과의 동군 연합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으며, 1701년 프로이센 왕국 성립 이후 프로이센 왕국의 핵심 지역으로 편입되었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 이후 프로이센 주로, 이후 독일 통일 과정에서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분할되었으며, 1990년 독일 재통일로 브란덴부르크 주가 부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버작센 관구 - 로이스그라이츠
    로이스그라이츠는 튀링겐 지방의 로이스 가문 영방 국가로, 1778년 후국으로 승격되었으나 독일 제국 시대에 가장 작은 국가였으며, 1918년 독일 혁명으로 군주제가 폐지되어 튀링겐 주에 통합되었다.
  • 오버작센 관구 - 로이스게라
    로이스게라 후국은 1848년부터 1918년까지 독일 튀링겐 지방에 존재했던 로이스 가문의 영방 국가로, 1871년 독일 제국의 구성국이 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군주제 폐지로 소멸되어 튀링겐주에 합병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이족에서 유래되어 슬라브족의 정착과정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나치 독일 점령, 공산 정권 수립 등의 역사를 겪고 1993년 체코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유럽의 옛 군주국 - 톨레도 왕국
    톨레도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했던 무슬림 왕국으로, 알폰소 6세에게 정복되어 카스티야 왕국에 합병된 후 레온-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여러 사건을 거쳐 스페인의 영토 재편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 유럽의 옛 군주국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통칭브란덴부르크
정식 명칭독일어: Mark/Markgrafschaft Brandenburg
독일어: Mark Brandenburg
독일어: Kurbrandenburg
독일어: Kurfürstentum Brandenburg
지위변경백령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제국 선제후 (1356년–1806년)
보헤미아 왕관령 (1373년–1415년)
선제후국으로서의 브란덴부르크의 문장
선제후국으로서의 브란덴부르크의 문장
1618년 신성 로마 제국 내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위치
신성 로마 제국 내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1618년)
1684년경 브란덴부르크의 깃발 또는 해군기 (L. 베르슈히르 그림에 기초함)
호엔촐레른 가문이 사용한 1660–1750년 브란덴부르크의 깃발
수도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 (1157년–1417년)
베를린 (1417년–1815년)
일반 언어저지 독일어
뤼네부르크 벤드어
종교1530년대까지 인구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
이후 루터교
선제후는 1539년까지 로마 가톨릭, 1613년까지 루터교, 이후 개혁교회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직책변경백
첫 번째 지도자알브레히트 1세
마지막 지도자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역사
이전노르트마르크
이전リューティチ族/リューティチ족 연맹リューティチ족 연맹
이전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
이전브란덴부르크 주교후국
이후브란덴부르크 주
건국1157년 10월 3일
선제후국 승격1356년 12월 25일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1618년 8월 27일
프로이센 왕국1701년 1월 18일
해체신성 로마 제국 해산
해체일1806년 8월 6일
면적
면적약 25,900 제곱킬로미터
현재 국가
현재 국가독일
폴란드

2. 지리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과거 Mark Brandenburgde(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로 알려져 있었으며, 현재의 독일 주브란덴부르크베를린 대부분, 알트마르크(작센안할트의 북쪽 1/3), 노이마르크(현재 폴란드의 루부시와 서포모제 주에 분할)를 포함했다. 현재의 브란덴부르크 주 일부, 예를 들어 로어루사티아와 1815년까지 작센에 속했던 영토는 변경백국에 속하지 않았다.

이 지역은 빙하기 동안 형성되었으며, 모래 언덕, 빙하 계곡, 수많은 호수가 특징이다. 이 영토는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 백국이었기 때문에 Markde 또는 마르크로 알려져 있다.

마르크는 두 개의 고지대와 두 개의 저지대로 정의된다. 저지대는 강과 호수 체인으로 덮여 있으며, 해안을 따라 늪과 늪지대가 있다. 한때 이탄 채취에 사용되었지만, 강둑은 현재 대부분 배수되어 건조하다.

메클렌부르크 호수 고원의 북부 또는 발트 고지대는 브란덴부르크로 약간 확장된다. 마르크 남부의 약 230km 길이의 언덕은 루사티아 고지대(자리 (소라우) 근처)에서 시작하여 트르제비엘 (트리벨)과 슈프렘베르크를 지나 칼라우를 거쳐 북서쪽으로 뻗어 나가 건조한 플레밍에서 끝난다. 남부 저지대는 일반적으로 이 능선의 북쪽에 위치하며, 슈프레발트(바루트/마르크와 플라우에 안 데어 하펠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북부 저지대는 발트 고지대의 거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며, 노테치와 바르타 강 저지, 오데르브루흐, 피노 계곡, 하펠란트 황무지, 오데르 강으로 정의된다.

브란덴부르크 주, 1905년경


이 두 저지대 사이에는 포즈난 지역에서 토르짐 (슈테른베르크), 슈프레 고원, 미텔마르크를 거쳐 서쪽으로 브란덴부르크까지 뻗어 있는 낮은 고원이 있다.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이 고원은 루사티안 나이세 합류점 아래, 낮은 슈프레 계곡, 하펠 계곡을 따라 레니와 오브라와 오데르 강 저지대와 교차한다. 이 계곡들 사이에는 바르님, 텔토, 바트 프라이엔발데 근처의 젬멜베르크 (157m), 쾨페니크의 뮐겔베르게 (115m), 하벨베르게 (97m), 퓌르스텐발데 근처의 라우엔 언덕 (112~152m)과 같은 일련의 언덕과 고원이 솟아 있다.

이 지역은 건조한 모래 토양으로 주로 특징지어지며, 넓은 지역에는 소나무와 에리카 식물 또는 황무지가 있다. 그러나 토양은 고지대와 고원에서는 사질 토양이며, 적절하게 경작하면 농업 생산성이 높을 수 있다.

마르크 브란덴부르크는 서늘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1월과 2월에는 평균 기온이 0℃ 근처이고, 7월과 8월에는 18℃ 근처이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500mm에서 600mm 사이이며, 여름에 약간의 강수량이 최대이다.

2. 1. 자연 환경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중앙유럽 북부에 존재했다. 영토는 오토 1세가 라우지츠 변경백령을 매입했을 때 가장 넓어져 북쪽으로는 발트해, 남쪽으로는 루사스 고지에 이르렀으나 영구적으로 유지되지는 못했다.[11]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면적은 37,455km²로, 16세기 이래 신성 로마 제국의 영방 국가 중 가장 큰 영토를 보유한 국가 중 하나였으며, 약 35,000km²의 작센 선제후국과 비슷했다.[12]

브란덴부르크 지역은 대부분 저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늪과 늪지대가 발달했다. 북부에는 메클렌부르크 호수 고원이, 남부에는 루사티아 고지대가 펼쳐져 있다. 토양은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척박하지만, 고지대와 고원에서는 사질 토양이 나타나 농업 생산성이 높다.

2. 2. 영역 변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중앙유럽 북부에 존재했다.[11] 라우지츠 변경백령을 오토 1세가 매입했을 때 영토가 가장 넓어져 북쪽으로는 발트해, 남쪽으로는 루사스 고지에 이르러 최대 판도를 기록했지만 영구적으로 영토를 유지할 수는 없었다.[11]

16세기 이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37,455km²의 면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영방 국가 중 가장 큰 영토를 보유한 국가 중 하나였으며, 약 35,000km²의 작센 선제후국과 비슷했다.[12]

3. 역사

1157년 작센 공작이었던 알브레히트 곰 공작을 초대 브란덴부르크변경백으로 하여 설치되었다. "엘베 강 동쪽의 슬라브족 부족을 최종적으로 복속시켜" 성립한 영지이다.[18] 알브레히트 곰 공작의 사후, 아들 오토 1세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이 되어 폴란드 왕국으로 영지를 넓혔다. 13세기 중반의 중요한 발전으로는 베를린(1242년), 프랑크푸르트 안 데어 오데르(1253년)의 개척과 슈테틴 및 우커마르크의 획득(1250년)이 있다.

아스카니엔가가 1320년에 단절된 후, 비텔스바흐가루트비히 4세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획득, 이후 비텔스바흐가의 세습이 되었지만, 1373년룩셈부르크가의 카를 4세가 오토 5세(루트비히 4세의 여섯째 아들)로부터 변경백국을 획득하여 장남 벤첼에게 넘겨주었다.

1415년, 호엔촐레른가의 뉘른베르크 성백 프리드리히 6세(브란덴부르크 변경백으로서는 프리드리히 1세)가 신성 로마 황제지기스문트(카를 4세의 둘째 아들, 벤첼의 이복 동생)로부터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위를 획득하고 베를린을 거성으로 삼았다. 1539년에는 요아힘 2세가 루터파로 개종했다. 호엔촐레른가는 17세기 전반의 30년 전쟁 즈음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세력을 확대했다.

1618년에는 요한 지기스문트가 혼인 관계를 통해 신성 로마 제국 영역 외이자 폴란드의 봉토인 프로이센 공국을 얻어 동군 연합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을 형성했다. 또한 1648년에는 힌터포메른 (:de:Hinterpommern)(현재 폴란드령 서포모제주)을 획득했다. 호엔촐레른가는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 노력했고, 더 나아가 프리드리히 빌헬름(대선제후)에 의해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왕국에 대한 우위를 주장하면서, 서부에서는 프랑스와 대립하게 되었다. 대북방 전쟁 당시 프로이센 공국을 폴란드의 지배로부터 완전히 독립시켰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가 사망하자 프리드리히 3세가 뒤를 이었다. 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신성 로마 제국 측에 가담했고, 그 대가로 1701년, 합스부르크가로부터 제국 외의 프로이센 공국의 왕 (프로이센 왕)으로서의 칭호를 인정받아 프로이센 왕국이 성립했다. 이 결과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의 지위는 프로이센 왕과 겸임하게 되었고,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처럼 취급받게 되었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령은 프로이센 왕국의 성립 후에도 형식상 신성 로마 제국의 영방으로 남았지만, 신성 로마 제국이 정식으로 해체된 1806년에 정식으로 프로이센 왕국령 브란덴부르크 주가 되었다.

그 후 브란덴부르크 주는 일관되게 독일의 핵심적인 주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년에 오데르-나이세 선을 경계로, 동쪽의 폴란드령과 서쪽의 독일령으로 분할되었다. 1949년에 성립된 독일 민주 공화국은 1952년에 주 제도를 폐지하고 구 브란덴부르크 주에서 독일 측에 남아 있던 부분을 코트부스 현, 프랑크푸르트 현, 포츠담 현으로 3분할했다.

1990년, 독일 재통일의 결과, 브란덴부르크 주 (분데스란트, Bundesland Brandenburg)가 부활했다.

3. 1. 기원과 아스카니아 가문

10세기 초, 브란덴부르크 교구와 하펠베르크 교구가 설치되었으나,[4] 983년 슬라브족 반란으로 붕괴되었다.[5] 12세기, 아스카니아 가문의 알브레히트 1세가 이 지역을 정복하고 1157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세웠다.[18] 그는 슬라브족을 몰아내고 독일인을 이주시켜 동방 식민을 추진했다.

8세기 무렵, 벤드족은 브란덴부르크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국왕 사냥꾼 하인리히는 928~929년에 이 지역을 다스리기 시작했고, 황제 오토 1세는 936년, 변경백 게로 휘하에 북방 변경백을 설립하도록 했다. 1127년 헤벨리의 왕자 프리비슬라프-헨리는 브레나(italic=no|브란덴부르크 안 데어 하펠de) 성에서 권력을 잡았고, 독일 귀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Siegesallee에 있는 곰 알브레히트의 동상, 브란덴부르크의 비쇼프 비거와 밤베르크의 오토 주교 옆에 서 있다.


쾨페니크의 야크사는 폴란드의 도움을 받아 브란덴부르크를 통제하려 했다. 곰 알브레히트는 1157년 6월 11일의 피비린내 나는 승리로 브란덴부르크를 재정복하고, 1157년 10월 3일에 스스로를 브란덴부르크 변경백(Adelbertus Dei gratia marchio in Brandenborchla)이라고 칭하며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시작했다.

1320년 아스카니아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의 브란덴부르크


원래 변경백국의 영토는 하펠란과 자우헤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150년 동안 아스카니아 가문은 우케르마르크, 텔토, 바르님 지역을 획득하여 변경백국을 오데르 강까지 확장하는 데 성공했다. 오데르 동쪽의 노이마르크de("새 변경백")는 폴란드의 피아스트 왕조에 대한 구매, 결혼, 지원을 통해 점차적으로 획득되었다.[6] 농업적으로 빈약한 공국은 "모래 상자"로 폄하되었다.[6] 알브레히트는 식민지 주민들을 새로운 영토에 정착하도록 초대했으며, 플레미쉬와 네덜란드 정착민들은 브란덴부르크에 제방을 건설했다.[6]

1170년 알브레히트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이 오토 1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으로 그 뒤를 이었다. 본회베트 전투 (1227년) 이후 변경백 요한 1세는 포메라니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여 1231년에 황제 프리드리히 2세로부터 봉토로 받았다. 13세기 중반, 슈체친과 우케르마르크를 획득했지만, 전자는 나중에 포메라니아 공국에 잃었다.[5] 1250년경에는 당시 분열된 폴란드로부터 루부스 토지를 인수하고 13세기 후반에는 대폴란드 공국의 북서부 지역을 정복하여 국경을 오데르 강 동쪽으로 이동시켰다.

13세기 대폴란드 공국의 19세기 지도. 브란덴부르크가 폴란드로부터 합병한 영토는 노란색(루부스 토지)과 녹색(북서 대폴란드)으로 표시됨


변경백 발데마르의 1319년 사망은 변경백국의 여러 부분을 장악하기 위해 주변국 간의 갈등을 촉발시켰다. 1320년에 루부스 토지의 많은 부분이 자보르의 하인리히 1세 공작에게 넘어갔고, 그 후 서부 교외와 우케르마르크의 일부는 작센-비텐베르크의 루돌프 1세에 의해 점령되었다. 1322년 2월까지 루부스 토지의 동부 교외와 미엔지제치 성채는 자가니의 충실한 하인리히 4세 공작이 통제했다. 1323년 12월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3. 2. 비텔스바흐 가문과 룩셈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를 격파한 비텔스바흐 황제 루트비히 4세는 1323년 그의 장남인 루트비히 1세에게 브란덴부르크를 수여했다.[18] 그러나 1373년 룩셈부르크 가문의 카를 4세가 브란덴부르크를 획득하여 보헤미아 왕관에 부속시켰다.[18]

1325년 베르나우의 니콜라우스 원장의 살해로 인해 브란덴부르크는 교황의 교황령 금지령에 처해졌다. 1328년부터 루트비히는 포메라니아와 전쟁을 벌였고, 이 분쟁은 1333년까지 끝나지 않았다. 1348년에는 가짜 발데마르가 카를 4세에 의해 브란덴부르크의 변경백으로 인정받았지만, 엘트빌레에서 비텔스바흐와 룩셈부르크 간의 평화 이후 사기꾼으로 드러났다. 1351년 루이는 상 바이에른에 대한 단독 통치를 대가로 그의 이복 동생들에게 마르크를 넘겨주었다.

1356년 금인칙서에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은 선제후가 되어 신성 로마 황제 선거에서 투표권을 갖게 되었고, ''제국의 대실장''이라는 의례적인 칭호도 가졌다. 1367년 니더라우지츠를 카를 4세에게 팔았고, 1년 후에는 도이치크로네 (바우치) 마을을 폴란드 왕 카지미에시 3세에게 잃었다.

14세기 중반 이후, 카를 4세는 룩셈부르크 가문을 위해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확보하려 했다. 카를 4세는 1373년, 변경백 오토로부터 50만 길더에 브란덴부르크를 구매하는 데 성공했고, 구벤에서 열린 Landtagde에서 브란덴부르크를 보헤미아 왕관에 부속시켰다. 중세 시대 브란덴부르크 정착 역사의 중요한 자료인 카를 4세의 ''Landbuch'' ("토지 대장", 즉 재산 등록부)가 이 시기에 작성되었다.

3. 3. 호엔촐레른 가문과 프로이센의 부상

1415년 호엔촐레른 가문의 프리드리히 1세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로 임명되면서 베를린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9] 그는 1410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를 지지한 대가로 브란덴부르크에 대한 세습적 통제권을 부여받았다.[9] 키초우 가문과 같은 반항적인 지주 귀족은 그의 임명에 반대했지만, 프리드리히는 포병으로 이 기사들을 제압했다.[9] 1417년 4월 18일 콘스탄츠 공의회 기간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1세에게 Kurmarkde 또는 선제후령을 정식으로 수여하고, 신성 로마 제국의 대궁내관으로 임명하는 의식이 열렸다.[9]

프리드리히 2세는 쾰른과 메베 조약을 통해 튜튼 기사단으로부터 노이마르크를 되찾아 재건을 시작했다.[10] 포메라니아 공국과의 수년간의 전쟁은 프렌츠라우 조약 (1448, 1472, 1479)으로 종식되었다.

1618년 요한 지기스문트가 프로이센 공국을 상속받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동군 연합을 형성했다.[18]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가 1618년 아들 없이 사망하자, 그의 사위인 요한 지기스문트가 프로이센 공국을 상속받았다. 이후 그는 두 영토를 개인 연합으로 통치했다. 프로이센은 신성 로마 제국 밖에 있었고,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는 프로이센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토로 소유했다. 30년 전쟁을 종식시킨 1648년베스트팔렌 조약에서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서포메라니아를 획득했다.[18]

17세기 후반,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을 주요 강대국으로 발전시켰다.[18] 국가는 브란덴부르크의 첫 해군 (Kurbrandenburgische Marinede)을 건설하여 아르귄, 브란덴부르크 골드 코스트, 세인트 토마스에 단명한 식민지를 건설했다. 1701년 프리드리히 3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신성 로마 제국 측에 가담했고, 그 대가로 합스부르크가로부터 제국 외의 프로이센 공국의 왕 (프로이센 왕)으로서의 칭호를 인정받아 프로이센 왕국이 성립했다. 이 결과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프로이센 왕국의 핵심 지역이 되었다.

3. 4.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

1701년 1월 18일, 프리드리히 3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를 지원한 대가로 프로이센을 왕국으로 승격시키고 스스로를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라 칭했다.[18] 브란덴부르크와 달리 프로이센은 신성 로마 제국 밖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18] 왕이라는 칭호는 선제후보다 더 권위 있는 칭호였기에, 호엔촐레른 가문의 영토는 프로이센 왕국으로 알려지게 되었지만, 그들의 권력 기반은 브란덴부르크에 남아 있었다.[18] 법적으로 브란덴부르크는 여전히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으며, 호엔촐레른 가문이 완전히 주권을 가진 프로이센 왕국과의 인적 연합으로 통치했다. 이러한 이유로 호엔촐레른 가문은 제국이 존속하는 동안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라는 추가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18] 그러나 이 시점에는 제국에 대한 황제의 권위는 단지 명목상에 불과했고, 제국의 다양한 영토는 사실상 주권 국가처럼 행동했으며, 황제의 종주권을 형식적으로만 인정했다. 따라서 브란덴부르크는 별도의 실체라기보다는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프로이센 육군을 근대화했으며, 그의 아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슐레지엔 전쟁과 폴란드 분할로 명성과 악명을 얻었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와 함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봉건적 명칭은 종식되었고, 호엔촐레른 가문은 법적으로나 사실상 브란덴부르크의 주권자가 되었다. 이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1815년 브란덴부르크 주로 대체되었다. 프로이센 왕들은 공식적인 칭호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이라는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

브란덴부르크는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한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나머지 프로이센과 함께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3. 5. 현대

1930년대 나치 독일의 지방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de 기간 동안, 브란덴부르크 주와 프로이센 자유주는 모든 실질적인 관련성을 잃었고, 이 지역은 가우 마르크 브란덴부르크로 행정 처리되었다.[18] 프로이센 주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배한 후 1947년에 ''사실상'' 폐지되었고, 가우 마르크 브란덴부르크는 주/독일의 주de 브란덴부르크로 대체되었다.[18]

1945년부터 1952년까지의 브란덴부르크 문장


오데르-나이세 선 서쪽의 브란덴부르크는 소련 점령 지역에 속했고,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일부가 되었다.[18] 1952년에는 코트부스, 프랑크푸르트(오데르), 포츠담, 슈베린, 노이부란덴부르크 구로 분할되었고, 베를린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으로 분할되었다.[18]

이러한 브란덴부르크의 분할은 1990년 독일 재통일까지 이어졌다.[18] 동독 구는 해체되고 수도가 포츠담인 브란덴부르크 주로 대체되었다.[18]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건국 850주년은 2007년 6월 11일에 공식적으로 기념되었으며, 2006년 6월 23일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의 기사 아카데미에서 사전 기념 행사가 열렸다.[18]

4. 대외 관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주변의 영방 국가들의 확장에 시달렸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남부의 작센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작센은 중세 이래 브란덴부르크의 중요한 파트너이자 라이벌이었다.

슬라브족에 의해 통치된 포메라니아는 중세부터 거의 항상 무력 분쟁 상태에 있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폴란드와 프로이센 공국과의 관계에 기초했다. 폴란드와의 관문은 프랑크푸르트였다.

수출입은 대부분 함부르크를 경유하여 이루어졌다. 상품은 라이프치히 박람회에서 구매 가능했다.

4. 1. 폴란드와의 관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폴란드와 프로이센 공국과의 관계에 기초했다. 폴란드와의 관문은 프랑크푸르트였다.

특히 폴란드와의 관계는 복잡했는데, 노이마르크 지역을 두고 잦은 영토 분쟁이 발생했다. 1402년 룩셈부르크 가문은 노이마르크를 폴란드에 매각하려 했으나, 결국 독일 기사단에 담보로 제공했다. 이는 폴란드와 브란덴부르크 간 갈등의 불씨가 되었다.

5. 인구

중세 시대부터 30년 전쟁 초기까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인구는 20만 명에서 40만 명으로 증가했다.[13][14] 그러나 이러한 인구 증가는 매우 불안정하여 빈번한 전쟁, 전염병, 기근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또한, 인구 밀도는 항상 신성 로마 제국의 평균보다 낮았다. 30년 전쟁으로 브란덴부르크의 인구는 상당히 감소했으며,[15] 17세기 말까지 다시 회복되지 않았다.[16] 그 후, 18세기 전반에 인구 증가가 시작되었다.[17]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인구
연도13201486156416171634169017501800
인구200,000308,750381,000418,666300,000413,516767,3541,124,806


6. 경제

6. 1. 농업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의 토양은 매우 척박하여 을 재배할 수 없었지만, 호밀이나 보리는 재배할 수 있었다.[19] 소수의 귀족이 토지를 소유하고 농민이 경작 의무를 졌다. 중세 시대에는 농민들이 집세를 지불하기 위해 귀리 등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의 농업은 유럽 전체의 경제 변동과 그에 따른 정치적 사건 및 정부 조치에 계속 의존했다. 13세기에 발생한 대기근이나 곡물 가격 하락 등으로 농민과 농작물 수입에 의존하는 귀족들은 고통을 받았다. 이로 인해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가 촉진되었고, 농지가 버려지고 많은 마을이 황폐화되었다.[20]

6. 2. 무역

제한적인 조건 속에서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1680년에 대양 무역을 시작했다.[21] 전성기에는 연간 20~30척의 배를 출항시키고, 서아프리카에 여러 거점을 가졌으며, 약 3,000명에 달하는 노예를 판매하는 노예 무역에도 참여했다.[21] 그러나 열강과의 경쟁, 선박 파손 등으로 점차 세력이 약화되었고, 최종적으로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변경백에 취임했을 때 철수했다.[22]

참조

[1] 파일 Die kurbrandenburgische Flotte
[2] 그림 Based on some original preserved depictions
[3] 서적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4] 문서 Koch, p. 23
[5] 문서 Koch, p. 24
[6] 문서 Koch, p. 25
[7] 서적 Dzieje Krzyżaków oraz ich stosunki z Polską, Litwą i Prussami, poprzedzone rysem dziejów wojen krzyżowych. Tom II
[8] 문서 Koch, p. 28
[9] 문서 Koch, p. 29
[10] 문서 Koch, p. 30
[11] 서적 Die Mark Brandenburg. 1. Band. Duncker & Humblot
[12]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 die deutschen Territorien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H.Beck
[13] 간행물 Marksteine – Eine Entdeckungsreise durch Brandenburg-Preußen. Henschel Verlag
[14] 서적 Moderne Preussische Geschichte 1648–1947: Eine Anthologie Walter de Gruyter
[15] 문서 Büsch, Neugebauer (1981), S. 291
[16] 문서 Büsch, Neugebauer (1981), S. 291 dort: Bevölkerungsdichte Kurmark: 656 Menschen je QM, Neumark: 505 Menschen je QM zwischen 1680 bis 1700
[17] 문서 Bratring, Band 1, Band 2, Band 3
[18] 서적 辺境のダイナミズム 岩波書店
[19] 간행물 Die Mark Brandenburg unter den frühen Hohenzollern. Lukas Verlag
[20] 간행물 Die Mark Brandenburg unter den frühen Hohenzollern. Lukas Verlag
[21] 서적 Brandenburg-Preußen 1648–1789 – Das Zeitalter des Absolutismus in Text und Bild. Verlag der Nation
[22] 간행물 Amerikanische Kolonialwaren und Wirtschaftspolitik in Preußen und Sachsen: Prolegomena (17./18. und frühes 19. Jahrhundert)
[23] 파일 Die kurbrandenburgische Flotte
[24] 그림 Based on some original preserved depic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