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가도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서경 장서기를 지냈다. 현종 시대에는 김훈, 최질 등의 무신 세력 제거에 기여하여 공신으로 책봉되었고, 개경 나성 축조에 참여하여 개성현 개국백에 봉해졌다. 딸이 현종과 덕종의 비가 되면서 왕씨 성을 하사받았으며, 내사 문하평장사까지 올랐다. 요나라에 강경한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북진 정책을 주장하다가 1032년 사망했다. 사후에는 태사중서령으로 증직되고 현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영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과거급제자 - 윤관
    고려 시대 윤관은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무신이자 정치가로, 숙종 대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여진 정벌을 주도하여 동북 9성을 축조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실각한 후 그의 묘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고려의 과거급제자 - 설공검
    설공검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과거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중찬에 이르렀으며 청렴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충렬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 1034년 사망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1034년 사망 - 올드르지흐
    올드르지흐는 보헤미아 공작으로, 야로미르를 폐위시키고 공작위에 오른 후 브르쇼프치 반란을 진압하고 모라바를 탈환했으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폐위된 후 복위와 폐위를 반복하다 사망했다.
  • 고려의 호부상서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고려의 호부상서 - 척준경
    척준경은 고려 중기의 무신으로, 윤관과 함께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워 동북 9성 축조에 기여했으나, 이자겸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리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왕가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왕가도
한글왕가도
한자王可道
가타카나왕 가도
귀족 정보
이름왕가도
원어 이름王可道
자림(子琳)
큰 제목개성현개국백
별호이가도(李可道)
시호영숙(英肅)
출생일1000년
출생지미상
사망일1034년
사망지고려 양광도 청주목
매장지미상
배우자개성군부인 김씨(開城郡夫人 金氏)
자녀원질귀비, 경목현비, 상당현군
가문청주 이씨
어머니미상
왕조고려
서훈치성공신 책록
왕씨 사성
현종 묘정 배향
태사중서령 증직
계급서경유수판관
참전김훈·최질의 난

2. 생애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서경의 장서기가 되었다. 현종 대에 김훈, 최질 등의 무신 세력을 제거하여 공신 호를 받았다. 1029년에는 개경 나성 축조에 참여하여 개성현개국백에 봉해지고 왕 성을 하사받았다. 1030년 내사시랑 판삼사사가 되고, 이듬해 딸이 덕종의 왕비가 되면서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에 올랐다.

요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으며, 유소가 거란의 성을 공격할 것을 청하자 왕가도도 출병을 주장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1032년 감수국사가 되었으나 청주에서 사망했다. 적극적인 북진파로 평가받으며, 해서에 능했다.

2. 1. 관직 진출과 무신 세력 제거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서경의 장서기가 되었다. 제2차 고려-거란 전쟁 이후 군비(軍費) 증가로 재정이 어려워져 무신들의 영업전(永業田)을 빼앗자, 1014년 11월에 김훈, 최질 등이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 현종은 이자림을 서경 유수판관으로 보냈고 그곳에서 연회를 베풀어 김훈, 최질 일파를 죽이고 정권을 쥐고 있던 무신들을 내쫓았다. 이로 인해 호부상서가 되었고 공신의 호를 받았다.

2. 2. 나성 축조와 왕성 하사

1029년 이응보, 황보유의, 황주량 등과 더불어 개경나성을 쌓은 공으로 검교태위 행이부상서 겸태자소사 참지정사 상주국 개성현개국백 식읍 7000호(檢校太尉行吏部尙書兼太子少師參知政事上柱國開城縣開國伯食邑七千戶)에 봉해졌다. 현종은 왕가도에게 벼슬과 영작을 주고 임금의 성인 '왕'씨를 그의 성으로 삼게 하였다. 또한 수충창궐공신(輸忠創闕功臣)이 되었으며, 처(妻)인 김씨(金氏)도 개성군부인(開城君夫人)에 봉해졌다. 그 후 덕종 때 그의 딸이 왕비가 되자 내사 문하평장사까지 되었다가 병으로 사임하였다.

2. 3. 외척으로서의 지위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서경의 장서기가 되었다. 제2차 고려-거란 전쟁 이후 군비(軍費) 증가로 재정이 어려워져 무신들의 영업전(永業田)을 빼앗자, 1014년 11월에 김훈·최질 등이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 현종은 이자림을 서경 유수판관으로 보냈고 그곳에서 연회를 베풀어 김훈, 최질 일파를 죽이고 정권을 쥐고 있던 무신들을 내쫓았다. 이로 인해 호부상서가 되었고 공신의 호를 받았다.

1027년 참지정사가 되어 1029년 이응보 등과 함께 개경의 나성을 쌓았다. 이에 현종은 벼슬과 영작을 주고 임금의 성인 '왕'씨를 그의 성으로 삼게 하였으며, 그 후 덕종 때 그의 딸이 왕비가 되자 내사 문하평장사까지 되었다가 병으로 사임하였다.

1029년 이응보(李膺甫)·황보유의(皇甫兪義)·황주량(黃周亮) 등과 더불어 개경에 나성(羅城)을 쌓은 공으로 검교태위 행이부상서 겸태자소사 참지정사 상주국 개성현개국백 식읍 7000호(檢校太尉行吏部尙書兼太子少師參知政事上柱國開城縣開國伯食邑七千戶)에 봉해졌다. 또 수충창궐공신(輸忠創闕功臣)이 되었으며, 왕씨(王氏)가 사성(賜姓)되었을 뿐만 아니라 처(妻)인 김씨(金氏)도 개성군부인(開城君夫人)에 봉해졌다.

1030년 내사시랑 판삼사사(內史侍郎判三司事)가 되고, 이듬해 덕종에게 딸을 납비(納妃)해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門下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에 올랐다. 요(遼)의 성종(聖宗)이 죽고 흥종(興宗)이 즉위한 것을 축하하기 위한 사신으로 갈 때 압록성교(鴨綠城橋)를 헐고 억류된 우리 사신을 돌려줄 것을 요구해 듣지 않으면 절교하자고 청해 표(表)를 보냈으나 거란이 응하지 않자 해마다 보내던 하절사(賀節使)의 파견을 중지하였다.

과거에 급제하고, 현종 시대에 김훈 등의 군인들이 동란을 일으켰을 때, 서경의 장락궁에서 기습 공격을 제안하여 무신 세력 제거에 성공하여 치성공신 칭호를 받았다. 참지정사였던 1029년에는 황보유의, 황주량 등과 함께 개성의 나성 축성에 진력하여 개성현 개국백에 임명되고, 수충창벽공신 칭호를 받았다. 또한 딸이 현종의 측실이 되자 고려 왕가와 같은 "왕" 성을 하사받았다.

2. 4. 대외 강경책 주장

1030년 요(遼) 성종(聖宗)이 죽고 흥종(興宗)이 즉위한 것을 축하하기 위한 사신으로 갈 때 압록성교(鴨綠城橋)를 헐고 억류된 고려 사신을 돌려줄 것을 요구하며, 듣지 않으면 절교하자는 표(表)를 보냈으나 거란이 응하지 않자 해마다 보내던 하절사(賀節使) 파견을 중지하였다. 유소가 거란의 성을 공격할 것을 청하자 왕가도도 출병을 주장했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왕가도는 거란의 고려 침입에 대해 철저한 항전을 주장하며 출병을 계획했지만 단념했다.

2. 5. 사망과 평가

1032년(덕종 1) 감수국사가 되었으나 청주에 내려가 있다 사망했다. 적극적인 북진파(北進派)의 한 사람으로 왕가도의 몰락 후 보수세력의 문신들이 등장했다고도 한다. 해서(楷書)를 잘 썼다.

3. 서훈 및 추모

태사중서령(太師中書令)에 추증되었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영숙(英肅)이다.

4. 가계와 관련된 특이 사항

그가 왕(王)씨 성을 하사받았기 때문에, 왕실로 시집간 그의 딸들(원질귀비, 경목현비)은 어머니의 성씨인 김(金)씨를 사용하였다. 개성 왕씨 성원록에도 왕가도의 딸이라 하고 성을 김씨로 기록하고 있다.

5. 가족 관계

항목내용
아버지청주 이씨
어머니미상
부인개성군부인 김씨(開城郡夫人 金氏)
원질귀비 (현종의 후비)
경목현비 (덕종의 제2비)
상당현군(上黨縣君) (이자연의 장남 이정의 부인)
손자좌복야 참지정사(左僕射 叅知政事) 왕하(王嘏)
증손녀개성군부인(開城郡夫人) 왕씨
고손자최비(崔備)
고손자최의(崔儀)
고손자최광(崔侊)
고손자최휴(崔休)
증손녀개주군부인(開州郡夫人) 왕씨
고손자김지우(金之祐)
고손자김지효(金之孝)
고손녀이지언(李之彦)의 부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