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도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도량은 백제가 왜국에 파견한 역박사이다. 554년, 백제는 고덕 마정안과 함께 왕도량,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보손, 의박사 왕유타 등을 왜국에 파견했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있다. 마에카와 아키히사는 왕도량의 파견을 백제가 임나 할양 이후 야마토 조정에 대한 보답으로 해석하지만, 《일본서기》 기록의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박사 - 왕인
    왕인은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학문을 가르친 백제의 학자로, 실존 여부와 출신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일본에 문물을 전파한 인물로 숭상받는다.
  • 백제의 박사 - 고안무
    고안무는 백제가 일본에 파견한 오경박사를 지칭하며, 516년 게이타이 천황 시대에 파견되었으나 일본서기 기록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통해 파견 전승의 사실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왕도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왕도량
원어 이름王道良
직업역박사
군주백제 성왕
국가백제
직책시덕
성별남성

2. 백제의 오경박사 파견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백제6세기 초부터 오경박사를 비롯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왜국에 파견하였다.[1]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를 처음 보낸 것을 시작으로[1], 이후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걸쳐 역박사, 의박사, 채약사 등 다양한 분야의 박사들이 백제 왕의 명으로 왜국에 건너가 지식과 기술을 전파한 것으로 나타난다.[1][2]

이러한 박사 파견의 배경에는 당시 백제가 임나 지역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야마토 조정과의 관계 속에서 취한 외교적 조치라는 해석이 있다. 마에카와 아키히사는 512년부터 513년 사이 영토를 확대한 백제가 그 대가로 박사들을 파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다만, 『일본서기』 기록의 구체적인 내용, 특히 박사들이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전승 등의 사실성에 대해서는 문헌학적 비판과 함께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존재한다.[3][4][5][6]

2. 1. 오경박사 단양이

일본서기』는 백제513년오경박사 단양이왜국에 보냈다고 기록하고 있다.[1] 기록에 따르면 단양이는 3년 후에 귀국했으며, 백제는 대신 한고안무를 파견했다.[1] 게이타이와 킨메이 시대에는 단양이를 비롯하여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도량 등이 백제 왕의 명을 받아 잇따라 왜국으로 건너갔다고 전해진다.[2] 일부에서는 이 시기 왜국으로 건너간 유학자 중 다수가 낙랑 왕씨 계열의 한인 유민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2]

마에카와 아키히사는 이러한 박사 파견이 512년부터 513년 사이에 임나 일부 지역을 할양받아 영토를 확대한 백제가 야마토 조정에 제공한 대가였을 수 있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일본서기』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게이타이와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와 역박사가 백제에서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기록이나 전승을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3][4][5][6]

2. 2. 오경박사 왕류귀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백제554년고덕 마정안을 교체하면서 오경박사 왕류귀를 비롯하여 역박사 왕도량, 역박사 왕보손, 의박사 왕유타, 채약사 반량풍, 고덕 정유타 등을 일본에 파견하였다.[1] 이는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 파견과 516년경(단양이 귀국 3년 후) 한고안무 파견에 뒤이은 조치였다.[1]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걸쳐 단양이, 왕류귀, 왕도량 등 여러 박사들이 백제왕의 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이 시기 고구려의 오경박사 한고안무 등도 일본으로 건너갔다.[2] 이들 중 다수가 낙랑 왕씨 출신의 한인 유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

다만, 『일본서기』의 기록 구성에 대한 문헌학적 비판이 있으며,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와 역박사가 백제에서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기록의 사실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3][4][5][6]

2. 3. 역박사 왕도량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백제554년 역박사 왕도량을 비롯하여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보손, 의박사 왕유타, 채약사 반량풍, 고덕 마정안, 고덕 정유타 등을 왜국에 보냈다.[1] 이는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 단양이(513년 파견 후 3년 뒤 귀국)와 그의 후임으로 파견된 고구려 출신 오경박사 한고안무 등 여러 학자들이 백제왕의 명으로 왜국에 파견된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 일이다.[1][2] 당시 왜국으로 건너간 유학자 중 다수가 낙랑 왕씨 계통의 한인 유민 출신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2]

일본의 학자 마에카와 아키히사는 왕도량 등의 파견이 512년에서 513년 사이 임나 지역 문제와 관련하여 영토를 확대한 백제가 야마토 조정에 제공한 대가성 조치였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기록 방식과 역사 구성에 대한 문헌학적 비판이 존재하며, 특히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나 역박사가 백제에서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전설이나 전승의 역사적 사실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3][4][5][6]

2. 4. 기타 학자들

일본서기』에 따르면 백제513년오경박사 단양이왜국에 보냈으나 3년 뒤 귀국시키고 대신 한고안무를 보냈다. 이후 554년에는 고덕 마정안을 비롯하여 역박사 왕도량,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보손, 의박사 왕유타, 채약사 반량풍, 고덕 정유타 등을 왜국에 파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 단양이,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도량 등이 백제왕의 명으로 잇따라 왜국으로 건너갔으며, 고구려오경박사 한고안무 등도 일본으로 갔다. 이들 중 왜국으로 건너간 유학자 다수가 낙랑 왕씨 출신의 한인 유민이라는 주장이 있으며, 이는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

마에카와 아키히사는 왕도량 등이 파견된 배경에 대해, 512년부터 513년 사이 임나 지역 할양을 통해 영토를 확대한 백제가 그 대가로 야마토 조정에 보낸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기록 구성에 대한 문헌학적 비판이 존재하며, 특히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와 역박사가 백제에서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전설이나 전승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3][4][5][6].

3. 『일본서기』 기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일본서기』는 513년 백제오경박사 단양이를 파견했으나 3년 후 한고안무로 교체했고, 554년에는 고덕 마정안 대신 역박사 왕도량,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보손, 의박사 왕유타, 채약사 반량풍, 고덕 정유타 등을 야마토 정권에 보냈다고 기록하고 있다[1]. 마에카와 아키히사는 이러한 박사 파견이 512년부터 513년 사이 임나 일부 지역 할양으로 영토를 얻은 백제가 야마토 조정에 제공한 대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기록 구성에 대해서는 문헌학적인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와 역박사가 백제에서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전승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3][4][5][6].

한편, 게이타이와 킨메이 시대에 백제단양이, 왕류귀, 왕도량 등과 고구려의 한고안무 등이 일본으로 건너간 사실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이들 유학자 다수가 낙랑 왕씨 출신의 한인 유민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며, 기본적인 사실 관계는 신뢰할 수 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서기』 기록의 구체적인 내용, 특히 박사 파견의 정황과 시기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4. 오경박사 파견의 의의

백제의 오경박사 파견은 고대 한국일본 간의 학문 및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513년 백제오경박사 단양이왜국(일본)에 보냈으며, 3년 뒤 그를 귀국시키고 한고안무를 대신 보냈다. 이후 554년에는 고덕 마정안을 비롯하여 역박사 왕도량, 오경박사 왕류귀, 역박사 왕보손, 의박사 왕유타, 채약사 반량풍, 고덕 정유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왜국에 보냈다고 한다. 『일본서기』는 이 파견을 '공헌(貢獻)', 즉 '공물을 바쳤다'고 표현하고 있다.[1]

게이타이 천황과 킨메이 천황 시대에 걸쳐 백제오경박사 단양이, 왕류귀, 역박사 왕도량 등이 백제왕의 명으로 잇따라 왜국으로 건너갔으며, 고구려오경박사 한고안무 등도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들 중 상당수가 낙랑 왕씨 출신의 한인(韓人) 유민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며[2], 이는 당시 한반도의 선진 학문과 기술이 일본으로 활발히 전파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박사 파견은 유교를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가 일본에 전해져 발전하는 데 기여했으며, 양국 간의 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에카와 아키히사와 같은 일부 연구자는 왕도량 등의 파견이 512년부터 513년 사이 백제임나 지역 일부를 할양받는 대가로 야마토 조정에 제공한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기록 자체에 대해서는 문헌학적 비판이 존재한다. 특히 게이타이 및 킨메이 시대에 오경박사와 역박사가 백제에서 교대로 파견되었다는 전승의 역사적 사실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3][4][5][6]

참조

[1] 서적 日本医学史研究余話 https://books.google[...] 과학서원 1981-10-01
[2] 뉴스 古代中国文化の日本における伝播と変容 https://www.mofa.go.[...] 일중역사공동연구 2010
[3] 서적 対外関係史辞典 吉川弘文館 2009-01-01
[4] 서적 日本的自然観の研究 変容と終焉 八坂書房 2006-07-01
[5] 서적 日本思想と神仏習合 春秋社 1996-01-01
[6] 뉴스 4世紀の日韓関係 http://www.jkcf.or.j[...] 일한역사공동연구 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