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오원위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오원위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작가, 평론가로, 문화대혁명 시기 '사인방'의 일원이었다. 저장성 사오싱 출신으로, 1948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선전 업무를 담당했다. 1965년 평론 "창작 역사극 '해서파관'에 대한 비평"을 발표하며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고, 중앙문혁소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으며, 1996년 출옥 후 회고록 출판이 불허되었다. 2005년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인방 - 왕훙원
왕훙원은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으로 부상하여 중국공산당 부주석까지 올랐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몰락한 정치인으로, 급격한 권력 상승과 몰락은 권력 남용과 개인숭배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사인방 - 장춘차오
장춘차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 이론가로,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권력의 핵심에 있었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수감되었고 가석방 후 사망했다. - 중국의 마오주의자 - 캉성
캉성은 중국 공산당의 주요 인물로, 상하이 대학에서 공부하고 공산당에 가입하여 노동 운동과 지하 활동에 참여했으며, 정풍운동과 문화대혁명을 주도하다가 사망 후 비판을 받아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 중국의 마오주의자 - 장춘차오
장춘차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 이론가로,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권력의 핵심에 있었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수감되었고 가석방 후 사망했다. - 중국의 문학 평론가 - 후펑
후펑은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 문학 비평가, 편집자, 번역가로서 좌익 작가 운동에 참여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문학예술계연합회 및 작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나, "민족 형식" 문제를 둘러싼 이념적 갈등으로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후펑 반혁명파" 사건으로 많은 사람이 피해를 입었지만 사후 명예 회복되어 중국 현대 문학사와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문학 평론가 - 마오둔
마오둔은 중국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중국 공산당의 중요 인물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을 통해 중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문화 정책을 이끌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마오둔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야오원위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31년 1월 12일 |
| 출생지 | 저장성 주지 시, 중화민국 |
| 사망일 | 2005년 12월 23일 |
| 사망지 | 상하이시, 중화인민공화국 |
| 직업 | 정치인 |
| 알려진 업적 | 4인방 |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 한자 표기 | 姚文元 |
| 로마자 표기 | Yao Wenyuan |
| 중국어 병음 | Yáo Wényuán |
| 웨이드-자일스 표기 | Yao² Wen²-yüan² |
| 한국어 발음 | 야오 원위안 |
| 정치 경력 | |
| 직책 | 중국 공산당 중앙 문화 혁명 소조 선전국 국장 |
| 경력 |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 겸 당무위원 |
| 소속 정당 | 무소속 |
| 주석 | 류사오치 (중공 국가주석) 둥비우 (중공 국가주석 권한대행) |
| 총리 | 저우언라이 (중공 총리) 린뱌오 (중공 총리 권한대행) |
| 부주석 | 둥비우 (중공 국가부주석) |
| 부총리 | 천윈 (중공 부총리) 린뱌오 (중공 부총리) |
| 임기 | 1966년 1월 12일 ~ 1968년 12월 11일 |
| 개인 정보 | |
| 배우자 | 진잉(金英) |
| 아버지 | 야오펑쯔(姚蓬子) |
2. 초기 이력
야오원위안은 저장성 사오싱 출신으로, 아버지는 작가이자 번역가인 야오펑즈(姚蓬子)이다.[4] 그는 1948년 1월 12일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고, 1949년 중국작가협회에 가입하여 주로 선전 업무를 담당했다.[4] 1951년 신민주주의청년단 상하이시(上海市) 작업위원회 간부가 되어 상하이(上海)의 당 지역위원회에서 선전 업무에 종사했다. 그는 사회주의적 미학에 기반한 평론 활동을 통해 반혁명적이라고 여겨지는 작품들을 비판하며 이름을 알렸다. 1955년 작가 후펑의 작품 "분청시비, 획청계한"《分清是非,划清界限》을 비판하며 주목받았다.[4] 이 일로 장춘차오(張春橋)의 눈에 띄어 해방일보(解放日報) 해설위원이 되었다.[4]
야오원위안은 1965년 11월 마오쩌둥의 지시를 받아 상하이 "문휘보"《文汇报》에 평론 "창작 역사극 '해서파관'에 대한 비평" 《评新编历史剧〈海瑞罢官〉》을 발표하여 파문을 일으켰다.[1] 이 글은 베이징 부시장이었던 우한(吳晗)의 희곡 '해서파관'이 마오쩌둥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며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 글은 장춘차오(張春橋)와 장칭(江靑)이 극중 인물과 공산당 정부 관리 사이의 유사점을 통해 이 연극이 반혁명적일 수 있다고 우려했기 때문에 작성되었다. 이 연극에서 관리인 해서는 제국 정부에 맞서 농민을 위해 목소리를 내며, 미덕 있는 사람인 체하며 대중을 억압하는 관리들을 비판했고, 해서는 이 때문에 면직된다. 야오는 이것이 마오쩌둥(毛澤東)이 1959년 마오의 대약진 운동(Great Leap Forward)을 비판했던 당시 국방부 장관 펑더화이(彭德懷)(Peng Dehuai)를 해임한 것을 은유적으로 비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5] 1966년 5월 10일 "해방일보"에 "삼가촌에 대한 비평- '연산야화', '삼가촌찰기'의 반동적 본질" 《评“三家村”──<燕山夜话><三家村札记>的反动本质》을 기고, "반혁명적" 작가들의 작품활동을 비판하였다.[1] 이러한 평론 활동은 문화대혁명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그의 비평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비판 활동의 기조가 되었다.[1]
3. 문화대혁명
이러한 공로로 "해방일보"《解放日报》의 편집위원에서 중국공산당 상하이 시위원회 선전부장으로 승진했고,[1] 1966년에는 중앙문혁소조의 일원이 되었다.[1] 1968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고,[1] 잡지 "홍기"《红旗》의 총편집장을 맡았다.[1] 천보다 실각 이후에는 그가 맡았던 이데올로기 주관을 역임했다.[1] 1970년에는 "비림비공" 운동을 주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1] 1969년 4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에 합류하여 공식 선전 활동을 담당했다.[2]
3. 1. 덩샤오핑 비판
4. 몰락
1976년 마오쩌둥 사후, 장칭, 장춘차오, 왕훙원 등 다른 문화대혁명 지도자 구성원과 마찬가지로 체포되어 당에서 제명되었다.[1][2][3][4][5] 1981년 최고인민법원 특별법정에서 징역 20년 및 정치권리 박탈 5년형을 선고받았다.
5. 출옥 및 사망
1996년 10월 야오원위안은 출옥하였고, 이후 항저우와 상하이에서 은거하였다.[4] 1998년 6월 13일, 야오는 회고록 출간을 희망하고 당에 재입당을 원한다고 밝혔다.[4] 그러나 2001년 9월 중공은 그가 회고록을 출판하는 것을 허가했으나, 당 선전국의 검열을 받아 출판은 불허되었다.[4] 당은 이 회고록이 국가와 당의 비밀을 너무 많이 담고 있고, 국가의 명예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불허의 이유를 밝혔다.[4]
2005년 12월 23일 야오원위안은 당뇨병으로 사망하였다.[4][5] 그는 최후까지 생존해 있던 사인방의 구성원이었다.[4]
6. 저서
- 루쉰 중국 문화혁명의 거장 (조류출판사(片山智行 역), 1975년)
참조
[1]
뉴스
Yao Wenyuan
https://www.economis[...]
2006-01-12
[2]
뉴스
Yao Wenyuan, 74, Member of Gang of Four, Is Dead
https://www.nytimes.[...]
2006-01-07
[3]
뉴스
Last surviving member of China's Gang of Four dies
https://www.abc.net.[...]
2006-01-06
[4]
텍스트
[5]
텍스트
[6]
이미지
관련 정보
https://www.gettyi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