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천조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천조제는 요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1101년에 즉위하여 1125년 요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는 무능한 통치로 국정을 어지럽혔으며, 여진족의 금나라 건국으로 인한 외교적 위기를 초래했다. 결국 금나라의 침략으로 인해 요나라는 멸망하고, 천조제는 포로로 잡혀 해빈왕으로 강등되어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나라의 상서령 - 요 도종
요 도종은 요나라의 제8대 황제로, 초기에는 농업 장려와 학교 건설에 힘썼으나 후기에는 불교에 심취하고 간신에게 권력을 맡겨 국력을 쇠퇴시키고 요나라 멸망의 원인을 제공했다. - 1075년 출생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075년 출생 - 로타르 3세
로타르 3세는 작센 공작, 독일 왕,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원정을 겪고 시칠리아 왕국을 견제하기 위한 원정 중 사망했다. - 1125년 사망 - 블라디슬라프 1세
블라디슬라프 1세는 프르셰미슬 왕조 출신으로 1109년부터 1125년까지 보헤미아 공작으로 재임하면서 폴란드 압력, 공작위 경쟁 속에서 보헤미아를 통치하고 신성 로마 제국과 관계를 유지하며 독일인 정착 장려, 클라드루비 수도원 설립 등 종교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125년 사망 -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는 12세기 초 키예프 루스의 대공으로서 쿠만족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키예프 대공국의 통일을 회복했으며, 저서 "교훈"을 통해 후대에 영향을 미치고 키예프 루스의 마지막 황금기를 이끌었다.
요 천조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천조제 (天祚帝) |
로마자 표기 | Liao Tianzuo Di |
출생 이름 | 야율연희 (耶律延禧), 아과 (어린 시절 이름) |
거란 이름 | 야율아과 |
자 | 연녕 (延寧) |
통치 | |
왕조 | 요나라 |
재위 기간 | 1101년 2월 12일 ~ 1125년 3월 26일 |
연호 | 건통 (乾統): 1101년 ~ 1110년 천경 (天慶): 1111년 ~ 1120년 보대 (保大): 1121년 ~ 1125년 |
시호 | 혜문지무성효천조황제 (惠文智武聖孝天祚皇帝)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075년 6월 5일 |
아버지 | 야율준 |
어머니 | 소씨 부인 |
배우자 | 소탈리나 |
사망일 | 1128년 (53세) 또는 1156년 (81세) |
능묘 | 건릉 (乾陵) |
즉위 전 | |
작위 | 양왕 (梁王): 1080년 4월 19일 ~ 1083년 12월 16일 연국왕 (燕國王): 1083년 12월 16일 ~ 1101년 2월 13일 |
즉위 후 | |
작위 | 해빈왕 (海濱王): 1125년 ~ 1128년 |
전임 황제 | 요 도종 |
후임 황제 | 왕조 폐지 야율대석 (서요 황제) |
2. 생애
1075년 요나라 제8대 황제 도종의 손자이자 순종 야율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적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고, 할아버지 도종에 의해 여동생 진진국장공주(秦晉國長公主)와 함께 자랐으며 양왕(梁王)으로 책봉되었다. 도종은 한때 조카 야율순을 황태자로 삼으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천조제가 황태자가 되었다. 1101년 도종이 죽자 천조제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7]
천조제는 요 흥종, 요 도종처럼 매우 어리석어 정무를 돌보지 않았고, 간언하는 신하를 처벌하는 등 민심을 잃었다. 1115년 여진족이 금나라를 건국하고 독립하자, 토벌군을 보냈지만 대패하여 요나라의 쇠퇴를 불렀다.
1121년 추밀사 소봉선(蕭奉先)은 천조제의 적자 태자 후보인 진왕 야율오로알(晉王 耶律傲盧斡)과 황족 야율여도(耶律余賭, 진왕의 숙모의 남편)의 대립을 이용하여, 자신의 여동생 소원비가 낳은 진왕 야율정(秦王 耶律定, 후의 북요 2대 황제)을 태자로 삼기 위해 야율여도의 진왕 옹립 음모를 날조했다. 천조제는 이 말을 믿고 야율여도를 금나라로 도망가게 만들었으며, 진왕의 생모 소문비(蕭文妃)를 죽이고, 이듬해 1월 진왕도 처형했다.
1122년 금나라 태조 아구다(阿骨打)에게 크게 패하고 창춘으로 피했다.[3] 같은 해 3월, 야율대석(耶律大石)과 이처온 등은 천조제의 숙부 야율순(耶律淳, 선종 효장제)을 옹립하여 북요를 건국했다.[4] 1125년 북송(宋)과 동맹을 맺은 금나라의 공격에 천조제는 응주에서 사로잡혀 항복했고, 요나라는 멸망했다.
천조제는 해빈왕(海濱王)으로 강등되어 백두산 부근에서 여생을 보내다 1128년 54세로 병사했다.[7]
야율대석은 중앙아시아로 이동하여 1124년 서요를 건국했다.
2. 1. 어린 시절과 즉위
1075년 요나라 제8대 황제 도종의 손자이자 순종 야율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전쟁으로 인해 아버지를 잃었다. 할아버지 도종은 손자인 야율연희를 가엾게 여겨 여동생 진진국장공주 야율연수와 함께 직접 양육했으며, 양왕(梁王)으로 책봉하였다.[7] 도종은 한때 조카 야율순을 황태자로 삼으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천조제가 황태자가 되었다. 1101년 도종이 사망하자 천조제는 황제 자리에 올랐다.[7]2. 2. 실정과 내우외환
천조제는 즉위 초 '천조제(天祚帝)'라는 존호를 받았으며, 1103년에는 '혜문지무성효천조황제(惠文智武聖孝天祚皇帝)'로 존호를 바꾸었다.[3] 그러나 그는 요 흥종, 요 도종과 마찬가지로 매우 어리석은 성격으로, 정사를 멀리하고 사치와 향락에 빠졌다.[3] 충언하는 신하들을 내쫓고 백성들의 삶을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졌고, 요나라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났다.1115년, 요나라에 복속되어 있던 여진족이 완안아골타를 지도자로 하여 금나라를 건국하고 독립하면서 요나라는 더욱 큰 위기에 직면했다.[3] 천조제는 금나라를 진압하기 위해 군사를 보냈으나 오히려 대패하였고, 이는 요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다.[3]
2. 3. 권력 다툼과 북요 건국
1121년, 추밀사 소봉선(蕭奉先)은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황족 간의 권력 다툼을 조장했다. 소봉선은 자신의 여동생 소원비(蕭元妃)가 낳은 진왕(秦王) 야율정(耶律定)을 황태자로 세우기 위해, 다른 황태자 후보였던 진왕(晉王) 야율오로알(耶律傲盧斡)과 그의 지지 세력을 모함했다.[4] 천조제는 소봉선의 모함에 속아 야율오로알을 지지하는 세력을 숙청하고, 심지어 자신의 아들 야율오로알까지 죽였다.[4] 이 사건으로 인해 요나라 조정은 큰 혼란에 빠졌고, 일부 황족과 귀족들은 금나라로 도망가기도 했다.1122년 3월 7일, 금나라 태조 아골타(阿骨打)가 이끄는 군대가 요나라를 공격해오자, 천조제는 수도를 버리고 창춘으로 도망쳤다.[3] 이 혼란한 상황 속에서 황족 야율대석(耶律大石)과 이처온(李處溫) 등은 천조제의 숙부 야율순(耶律淳)을 황제로 추대하고 북요(北遼)를 건국했다.[3]
2. 4. 요나라 멸망과 최후
1122년 금나라 태조 아구다(阿骨打)와 내산(來山)에서 싸워 크게 패하고, 창춘으로 피했다.[3] 같은 해 3월 13일, 황족 야율대석(耶律大石)과 이처온(李処温) 등은 천조제의 숙부인 야율순(耶律淳, 선종 효장제)을 옹립하여 북요를 건국했다.[4] 요나라와 적대 관계에 있던 금나라는 요나라가 혼란해진 틈을 타 1125년 북송(宋)과 동맹을 맺고 요나라를 공격했다. 송-금 연합군의 협공에 천조제는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운주(雲州) 음산(陰山)으로 도망치던 중, 응주(應州)에서 금나라 군대에 사로잡혀 항복했고, 요나라는 멸망했다.천조제는 해빈왕(海濱王)으로 강등되어 백두산 인근으로 보내져 여생을 보냈다.[7] 1128년 8월, 54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요나라 멸망 직전, 야율대석은 일부 세력을 이끌고 중앙아시아로 이동하여 1124년 서요를 건국했다.
3. 가족 관계
천조제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황후:''' 소황후(蕭皇后) 소씨(蕭氏) - 이름은 둬리란(奪里懶)이다.
- '''후궁:'''
- * 덕비(德妃) 소씨(蕭氏) - 이름은 스구(師姑)이다.
- * 문비(文妃) 소씨(蕭氏) - 이름은 서서(瑟瑟)이다.
- * 원비(元妃) 소씨(蕭氏) - 이름은 구이거(貴哥)이다.
- * 자오롱(昭容) 조씨(趙氏)
- * 궁인(宮人) - 씨족 불명
- '''자녀:'''
- * 아들: 야율타루(耶律撻魯, 연국왕), 야율아리(耶律雅里, 양왕), 야율정(耶律定, 진왕), 야율녕(耶律寧, 허왕), 야율습니렬(耶律習泥烈, 조왕)
- * 딸: 야율씨(耶律氏, 이름은 옥리연), 야율씨(耶律氏, 이름은 다오예), 야율씨(耶律氏, 이름은 츠아오예), 야율씨(耶律氏, 이름은 구이), 야율씨(耶律氏)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도종(道宗) 인성제(仁聖帝) 야율홍기
- '''조모''': 선의황후(宣懿皇后) 소관음(蕭觀音)
- '''부''': 순종(順宗) 대효제(大孝帝) 야율준
- '''모''': 정순황후(貞順皇后) 소씨(蕭氏)
3. 2. 황후
3. 3. 후궁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덕비(德妃) | 소사고(蕭師姑) | 연국비(燕國妃) | ? ~ 1104년 | ||
문비(文妃) | 소슬슬(蕭瑟瑟) | 1080년 ~ 1121년 | |||
원비(元妃) | 소귀가(蕭貴哥) | ||||
소용(昭容) | 조씨(趙氏) |
3. 4. 황자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
1 | 진왕(晉王) | 야율오로알 | ? ~ 1122년 | 문비 소슬슬 | |||
2 | 양왕(梁王) | 야율아리 | 1094년 ~ 1123년 | 원비 소귀가 | |||
3 | 연왕(燕王) | 야율달로(耶律撻魯) | ? ~ 1104년 | 덕비 소사고 | 요절 | ||
4 | 조왕(趙王) | 야율습니렬(耶律習泥烈) | 소용 조씨 | [9] | |||
5 | 진왕(秦王) | 야율정 | 원비 소귀가 | ||||
6 | 허왕(許王) | 야율녕(耶律寧) | 원비 소귀가 |
3. 5. 황녀
봉호 | 이름 | 생모 | 비고 |
---|---|---|---|
공주 | 야율씨 | 불명 | |
공주 | 야율골욕 | 궁인(씨족 불명) | |
촉국공주 | 야율여리연 | 문비 소씨 | |
공주 | 야율알리연 | 원비 소씨 | |
공주 | 야율대오야 | 원비 소씨 | |
공주 | 야율차오야 | 원비 소씨 |
4. 연호
요 천조제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력 | 1101년 | 1102년 | 1103년 | 1104년 | 1105년 | 1106년 | 1107년 | 1108년 | 1109년 | 1110년 |
간지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연호 | 건통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요 천조제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력 | 1111년 | 1112년 | 1113년 | 1114년 | 1115년 | 1116년 | 1117년 | 1118년 | 1119년 | 1120년 |
간지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연호 | 천경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요 천조제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
서력 | 1121년 | 1122년 | 1123년 | 1124년 | 1125년 | |||||
간지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
연호 | 보대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참조
[1]
서적
History of Liao
[2]
서적
Da Song Xuanhe Yishi
[3]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Between China and the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Between China and the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Liao Dynasty
http://www.chinaknow[...]
[6]
서적
遼史
[7]
서적
대송선화유사
[8]
문서
연국왕비(燕國王妃)/천조황후(天祚皇后)
[9]
문서
요악군왕(饒樂郡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