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담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온대 기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 과이다. 다양한 색상과 꽃무늬를 가진 나무, 관목, 초본으로 구성되며, 꽃은 방사대칭이고 수술은 꽃잎에 붙어 있으며, 열매는 삭과 또는 장과의 형태를 띤다. 일부 종은 관상 식물로 재배되며, 약용 및 향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이리아족, 사키폴리움족, 엑사쿰족, 용담족, 키로니아족, 포탈리아족, 헬리아족 등 여러 족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담과 - 용담속
    용담속은 전 세계 고산 지역에 분포하며 짙은 파란색 나팔 모양의 꽃이 특징이고, 약용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한국에는 여러 종이 자생한다.
  • 용담과 - 쓴풀
    쓴풀은 중국,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가을에 흰색 꽃을 피우는 두해살이 초본으로, 특유의 쓴맛 때문에 건위제로 사용된 민간약이자 일본의 여러 지역에서 보호받는 식물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용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과 정보
''[[Gentiana acaulis]]''
Gentiana acaulis
학명Gentianaceae
명명자Juss.
기준 속Gentiana
기준 속 명명자L.
하위 분류

2. 분포

용담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대부분의 종은 온대 기후 지역에서 발견된다. 영국웨일스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Gentianella uliginosa''(모래언덕 용담)는 영국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Biodiversity Action Plan)에 따라 우선적으로 보호되는 종이다.[4] Merckx 등[5]에 따르면, 신열대구는 용담과 식물의 초기 다양화에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대부분 에오세 동안 발생했다. 그러나 Pirie 등[6]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그리고 인도 아대륙에 걸쳐 Exaceae의 초기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고대 분포역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제안했다. 단, 용담목(Gentianales)의 최대 연령에 대한 강력한 가정이 없다면 말이다.

3. 특징

용담과 식물은 다양한 색상과 꽃무늬를 가진 나무, 관목, 초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 방사대칭이며, 꽃받침과 꽃잎이 합쳐진 양성화이다. 수술은 꽃잎 안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꽃잎부착성) 화관 조각과 교대로 배열된다. 암술 밑부분에는 선 모양의 원반이 있으며, 꽃은 벽정 자방을 갖는다. 꽃차례는 취산꽃차례이며, 단순하거나 복잡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2개로 갈라지는 열개성 격막절단 삭과이며, 드물게 일부 종은 장과를 갖는다. 씨앗은 작고 기름이 풍부한 배젖과 곧은 배아를 갖는다. 식물체의 형태는 작은 나무부터, 다간 관목, (대개) 초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줄기는 위로 뻗거나, 직립하거나, 덩굴성이다. 식물은 대개 뿌리줄기를 갖는다. 잎은 마주나기하지만, 드물게 어긋나거나 일부 종에서는 돌려나기하며, 형태는 단순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부분은 줄기에 융착되어 부착된다. 턱잎은 없다. 식물은 보통 쓴 이리도이드 물질을 축적한다. 양측관속이 존재한다. 생태학적으로, 이 과의 종들 사이에서는 부분적인 균근영양이 흔하며, ''보이리아''(Voyria) 및 ''보이리엘라''(Voyriella)와 같은 일부 속은 엽록소가 없어 완전한 균근영양을 한다.

4. 생태

일부 용담과 식물은 서식지가 제한적이며 정부의 감독하에 보호를 받는다. 예를 들어, 영국웨일스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Gentianella uliginosa''(모래언덕 용담)는 영국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Biodiversity Action Plan)에 따라 우선적으로 보호되는 종이다.[4]

신열대구는 용담과 식물의 초기 다양화에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대부분 에오세 동안 발생했다. 그러나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그리고 인도 아대륙에 걸쳐 Exaceae의 초기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고대 분포역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제안도 있다.[6]

5. 이용

경제적으로, 일부 종은 관상 식물로 재배되며, 많은 종은 약용 및 향료로 사용되는 쓴 맛 성분을 생산한다.

6. 하위 분류

용담과는 크게 7개의 족(tribe)으로 분류된다.[2]

족(Tribe)속(Genus)의 수종(Species)의 수주요 속(Genus) 및 종(Species) 예시
키로니에족23159센토리움속, 사바티아속, 셴키아속
엑사에족8165엑사쿰속
용담족17950용담속, 쓴풀속
헬리에족22205
포탈리에족13154파그라에아속, 리시안투스속
사키폴리에족419
보이리아족119보이리아속



한국에는 닻꽃속, 덩굴용담속, 수염용담속, 쓴풀속, 용담속, 좁은잎덩굴용담속 등의 식물이 자생한다.

6. 1. 보이리아족 (Voyrieae)

보이리아족(Voyrieae)은 보이리아속(Voyria)을 포함한다.[19]

6. 2. 사키폴리움족 (Saccifolieae)

쿠르티아속(Curtia)

호키니아속(Hockinia)

사키폴리움속(Saccifolium)

타페이노스테몬속(Tapeinostemon)

보이리엘라속(Voyriella)[20]

6. 3. 엑사쿰족 (Exaceae)


  • 엑사쿰속(Exacum) L.
  • 엑소케니움속(Exochaenium) Griseb.
  • 겐티아노탐누스속(Gentianothamnus) Humbert
  • 클라켄베르기아속(Klackenbergia) Kissling
  • 라게니아스속(Lagenias) E.Mey.
  • 오르니키아속(Ornichia) Klack.
  • 세바에아속(Sebaea) Sol. ex R.Br.
  • 타키아데누스속(Tachiadenus) Griseb.[21]

6. 4. 용담족 (Gentianeae)


  • 닻꽃속(''Halenia'' Borkh.)
  • 덩굴용담속(''Tripterospermum'' Blume)
  • 수염용담속(''Gentianopsis'' Ma)
  • 쓴풀속(''Swertia'' L.)
  • 용담속(''Gentiana'' Tourn. ex L.)
  • 좁은잎덩굴용담속(''Pterygocalyx'' Maxim.)
  • ''Bartonia'' Muhl. ex Willd.
  • ''Comastoma'' Toyok.
  • ''Crawfurdia'' Wall.
  • ''Frasera'' Walter
  • ''Gentianella'' Moench
  • ''Jaeschkea'' Kurz
  • ''Kuepferia'' Adr.Favre
  • ''Latouchea'' Franch.
  • ''Lomatogoniopsis'' T.N.Ho & S.W.Liu
  • ''Lomatogonium'' A.Braun
  • ''Megacodon'' (Hemsl.) Harry Sm.
  • ''Metagentiana'' T.N.Ho & S.W.Liu
  • ''Obolaria'' L.
  • ''Sinogentiana'' Adr.Favre & Y.M.Yuan
  • ''Sinoswertia'' T.N.Ho, S.W.Liu & J.Q.Liu
  • ''Veratrilla'' Franch.[22]

6. 5. 키로니아족 (Chironieae)

키로니아족(Chironieae)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23]

  • 센토리속(Centaurium)
  • ''Blackstonia''
  • 칸스코라속(Canscora)
  • 키로니아속(Chironia)
  • ''Cicendia''
  • ''Coutoubea''
  • ''Cracosna''
  • 데이아니라속(Deianira)
  • ''Duplipetala''
  • 에우스토마속(Eustoma)
  • ''Exaculum''
  • ''Geniostemon''
  • ''Gyrandra''
  • ''Hoppea''
  • ''Ixanthus''
  • ''Microrphium''
  • ''Orphium''
  • ''Phyllocyclus''
  • 사바티아속(Sabatia)
  • ''Schenkia''
  • ''Schinziella''
  • ''Schultesia''
  • ''Symphyllophyton''
  • ''Xestaea''
  • 젤트네라속(Zeltnera)
  • ''Zygostigma''


키로니아족에는 23속 159종이 있다. 주요 속과 종은 다음과 같다.

  • 블랙스토니아속(Blackstonia) - 블랙스토니아 페르폴리아타(Blackstonia perfoliata)[10]
  • 센토리움속 (별칭: 겐타우리움속) - 센토리움, 센토리움 풀켈룸(Centaurium pulchellum)[10]
  • 유스토마속 - 리시안셔스[9]
  • 사바티아속(Sabatia) - 사바티아 앵귤라리스(Sabatia angularis)[10]
  • 셴키아속(Schenkia) - 셴키아(Schenkia japonica)[11]

6. 6. 포탈리아족 (Potalieae)

Rchb.de에 의해 명명된 포탈리아족에는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24]

  • 안토클레이스타속( ''Anthocleista'') Afzel. ex R.Br.
  • 비스고에페르티아속(''Bisgoeppertia'') Kuntze
  • 콩골란투스속(''Congolanthus'') A.Raynal
  • 키르토필룸속(''Cyrtophyllum'') Reinw.
  • 잘로니엘라속(''Djaloniella'') P.Taylor
  • 에니코스테마속(''Enicostema'') Blume
  • 파그라에아속( ''Fagraea'') Thunb.
  • 파로아속(''Faroa'') Welw.
  • 카리나속(''Karina'') Boutique
  • 리마할라니아속(''Limahlania'') K.M.Wong & Sugumaran
  • 리시안티우스속( ''Lisianthius'') P.Browne
  • 뉴로테카속(''Neurotheca'') Salisb. ex Benth. & Hook.f.
  • 오레오네시온속(''Oreonesion'') A.Raynal
  • 피크로플로이우스속(''Picrophloeus'') Blume
  • 포탈리아속( ''Potalia'') Aubl.
  • 피크노스파에라속(''Pycnosphaera'') Gilg
  • 우로겐티아스속(''Urogentias'') Gilg & Gilg-Ben.
  • 우타니아속(''Utania'') G.Don


포탈리아족에는 13속 154종이 속해 있다.

  • 파그라에아속(고무미카즈라속)에는 오오바후아가레아([14][10]), 고무미카즈라, 템부스 ([14]) 등이 있다.
  • 리시안투스속에는 리시안투스 니그레센스([10]), 리시안투스 움벨라투스([10])등이 있다.

6. 7. 헬리아족 (Helieae)


  • 아데놀리시안투스속(Adenolisianthus) (Spruce ex Progel|스프루스 엑스 프로겔la Gilg|길그de)
  • 아리푸아나속(Aripuana) (Struwe, Maas|스트루위, 마스영어 & V.A.Albert|V.A. 알베르트영어)
  • 칼로리시안투스속(Calolisianthus) (Gilg|길그de)
  • 셀리안타속(Celiantha) (Maguire|매과이어영어)
  • 켈로난투스속(Chelonanthus) (Griseb.|그리제바흐de Gilg|길그de)
  • 코리세팔룸속(Chorisepalum) (Gleason|글리슨영어 & Wodehouse|우드하우스영어)
  • 헬리아속(Helia) (Mart.|마르트la)
  • 이르바키아속(Irlbachia) (Mart.|마르트la)
  • 라게난투스속(Lagenanthus) (Gilg|길그de)
  • 레만니엘라속(Lehmanniella) (Gilg|길그de)
  • 마크로카르파에아속(Macrocarpaea) (Griseb.|그리제바흐de Gilg|길그de)
  • 네블리난타속(Neblinantha) (Maguire|매과이어영어)
  • 프레푸사속(Prepusa) (Mart.|마르트la)
  • 푸르디안투스속(Purdieanthus) (Gilg|길그de)
  • 로게르소난투스속(Rogersonanthus) (Maguire|매과이어영어 & B.M.Boom|B.M. 붐영어)
  • 로라이마에아속(Roraimaea) (Struwe, S.Nilsson|스트루위, S. 닐손영어 & V.A.Albert|V.A. 알베르트영어)
  • 세나에아속(Senaea) (Taub.|타우프de)
  • 시파포안타속(Sipapoantha) (Maguire|매과이어영어 & B.M.Boom|B.M. 붐영어)
  • 심볼란투스속(Symbolanthus) (G.Don|G. 돈영어)
  • 타키아속(Tachia) (Aubl.|오블레la)
  • 테트라폴리니아속(Tetrapollinia) (Maguire|매과이어영어 & B.M.Boom|B.M. 붐영어)
  • 야노마무아속(Yanomamua) (J.R.Grant, Maas|J.R. 그랜트, 마스영어 & Struwe|스트루위영어)
  • 조난투스속(Zonanthus) (Griseb.|그리제바흐de)[25]

7. 계통

용담과는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여러 족(tribe) 간의 유연관계가 밝혀지고 있다.[17]

용담과
Saccifolieae
Exaceae
Chironieae
Potalieae
Helieae
용담연 (Gentianeae)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웹사이트 Gentianaceae Juss. http://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7-22
[3] 서적 Gentianaceae: systematics and natur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Report on the Species and Habitat Review (UK BAP) {{!}} JNCC Resource Hub https://hub.jncc.gov[...] 2021-01-31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mycoheterotrophic genus Voyria and the implication for the biogeographic history of Gentianaceae
[6] 논문 Back to Gondwanaland: can ancient vicariance explain (some) Indian Ocean disjunct plant distributions?
[7] 웹사이트 Gentianaceae in APWeb http://www.mobot.org[...] 2019-04-21
[8] 웹사이트 Gentian Research Network http://gentian.rutge[...] 2012-10-04
[9] 서적 維管束植物分類表 北隆館 2013-04-25
[10] 서적 原色世界植物大圖鑑 北隆館
[11] 서적 新しい植物分類体系 APGでみる日本の植物 文一総合出版
[12] 서적 Kenya Trees, Shrubs and Lianas http://www.nzdl.org/[...] National Museum of Kenya
[13] 웹사이트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 http://ylist.info 2019-04-17
[14] 서적 図説熱帯植物集成 廣川書店
[15] 서적 佐竹 (1981)、32頁
[16] 서적 清水 (2014)、304-305頁
[17] 논문 Monophyly and relationships of the tribe Exaceae (Gentianaceae) inferred from nuclear ribosomal and chloroplast DNA sequences
[18] 간행물 Genera Plantarum
[19] 간행물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20] 간행물 Gentianaceae: Systematics and Natural History
[21] 간행물 Herbarium Pedemontanum
[22]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23]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24] 간행물 Handbuch des Naturlichen Pflanzensystems
[25] 간행물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