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유차량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유차량기지는 공항철도 1000호대, 2000호대 전동차 및 에코비의 입·출고와 검수 관리를 담당하는 시설이다. 기지 내에는 여객용 임시역인 용유임시역이 설치되어,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임시 열차 운행을 통해 여객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6년 8월 28일을 마지막으로 여객 영업은 종료되었으며, 인근에는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용유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국제공항철도 -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는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에 운행되는 6량 1편성 전동차로, 집단 탈착식 좌석, 수하물 보관 공간, LCD 안내기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6호차는 어린이 동반 승객을 위한 전용 차량으로 운영된다.
  • 인천국제공항철도 -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는 공항철도에서 운행하는 전동차로, 2005년부터 도입되어 서울역과 인천공항2터미널역 구간을 일반열차로 운행하며, 2026년부터 서울 지하철 9호선과의 직결 운행이 예정되어 있다.
  • 임시승강장 - 양원역 (봉화)
    양원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 철도역으로,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치된 임시승강장에서 시작하여 백두대간협곡열차 등이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1년에는 역 설치 과정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 임시승강장 - 주례역 (한국철도공사)
    1989년 개업 후 2014년 폐지된 주례역은 한국철도공사 가야선의 역으로,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주례역, 동서대학교, 보훈병원 등이 있었다.
  • 인천 중구의 전철역 - 동인천역
    동인천역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의 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축현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의 역명으로 개칭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민자역사 준공, 급행 및 특급열차 운행 등을 거치며 인천의 주요 교통 중심지로 성장한 고가역이다.
  • 인천 중구의 전철역 - 영종역
    영종역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일반열차와 직통열차가 운행되며, 2016년 3월 26일에 여객 영업을 시작했다.
용유차량기지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출입구 원경
출입구 원경
임시 승강장에 정차한 열차 (일반열차), (217편성)
임시 승강장에 정차한 열차 (일반열차), (217편성)
역명용유차량기지
소재지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로 44
좌표37°25′30″N 126°25′30″E
운영 주체공항철도
노선 정보
노선 1용유차량기지선
노선 1 영업 거리인천공항1터미널 기점 2.6km
노선 1 이전 역인천공항1터미널
노선 1 이전 역 거리2.6km
노선 2용유차량삼각선
노선 2 영업 거리인천공항2터미널 기점 2.1km
노선 2 이전 역인천공항2터미널
노선 2 이전 역 거리2.1km
개업 및 운영 정보
차량기지 개업일2007년 3월 23일
임시 여객 취급 개시일2009년 8월 1일

2. 상세

주요 업무는 인천국제공항철도에 사용되는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의 경·중검수 및 주박이다. 인근에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역이 있다.

3. 용유임시역

용유임시역은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까지 운행하는 일부 열차가 비정기적으로 연장 운행될 때 사용되던 간이 승강장이다. 기지 내에 설치된 이 정거장은 흔히 '용유임시역'으로 불렸다.

용유임시역의 운영 내역은 다음과 같다.

날짜운영 내용
2009년 8월 1일 ~ 8월 20일을왕리해수욕장 피서객을 위해 용유차량기지까지 직통열차 운행.[1]
2009년 12월 24일 ~ 12월 31일해넘이 열차 운행.[2] 승객들의 요청으로 2010년 1월 3일까지 연장 운행.[3]
2010년 2월 27일 ~ 3월 1일정월 대보름 맞이 직통 열차 운행.[4]
2010년 4월 17일 ~ 10월 31일나들이 시즌을 맞아 주말마다 직통 열차 운행.[5]
2010년 12월 30일 ~ 2011년 1월 2일연말연시 해넘이-해맞이 임시열차 운행 예정이었으나, 12월 31일부터 구제역 확산으로 취소.[6][7]
2011년 3월 26일 ~ 10월 30일영종도 관광객 및 용유차량사업소 주변 고객의 교통편의를 위해 주말마다 일반열차 운행.[8]
2012년 4월 14일 ~ 11월 25일나들이 시즌을 맞아 주말마다 일반열차 운행.[9][10]
2013년 4월 6일 ~ 11월 24일나들이 시즌을 맞아 주말마다 일반열차 운행.
2014년 3월 1일 ~ 11월 30일주말과 공휴일 일반열차가 1시간 간격으로 운행.
2014년 9월 24일 ~ 10월 1일인천 아시안게임 요트 종목 관람객을 위해 평일에도 상·하행 각 3회씩 일반열차 운행 및 왕산요트경기장까지 셔틀버스 30분 간격 운행.
2015년 3월 1일 ~ 12월 27일주말과 공휴일 일반열차가 일 20회 운행.
2016년 7월 23일 ~ 8월 28일주말과 공휴일 일반열차가 일 5회 운행.
2017년 6월 29일철도거리표 개정으로 인천국제공항선 기점 2.6km로 변경[11]


3. 1. 시설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까지 운행하는 열차 일부가 비정기적으로 연장 운행하며, 이를 위하여 기지 내에 간이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 기지 내에 설치된 정거장은 흔히 '''용유임시역'''으로 불린다. 차량기지 주출입구에는 간이 매표소와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산적으로 이 개찰구는 인천공항1터미널역의 것으로 간주된다. 승강장의 유효장은 열차 길이에 비해 매우 짧으며, 출입문 개방은 공항철도의 직원이 별도로 탑승하여 비상용 출입문 수동개방 스위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

차량기지 내에는 여객용 임시역이 설치되어 있다.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른 역의 정식 명칭은 '''용유차량기지역'''(龍遊車両基地駅)이지만, 안내에서는 '''용유역''' 또는 '''용유 임시역'''으로 불렸다.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으로부터의 거리는 2.2km이다.

주변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개설된 역으로, 특정일에 인천국제공항역(현: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 발착 열차가 당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역사나 승강장은 없고, 차량기지 내 1개 선에 래핑식 승강구가 설치된 간소한 설비로, 역무원의 도어콕 조작으로 승강구 부분의 문을 개폐했다. 차량기지 출입구에는 임시 개찰구(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었으며, 운임 계산상 인천국제공항역 발착으로 취급되었다 (인천국제공항역 - 당역 간만의 이용은 기본 운임 900KRW).

2016년 2월 3일, 당역에 인접하여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용유역이 개업하여, 주변으로의 접근성이 개선됨에 따라, 당역은 같은 해 8월 28일의 연장 운행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했다.

3. 2. 운영 종료

차량기지 내에는 여객용 임시역이 설치되어 있었다.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40호에 따른 역의 정식 명칭은 '''용유차량기지역'''(龍遊車両基地駅)이었지만, 안내에서는 '''용유역''' 또는 '''용유 임시역'''으로 불렸다.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으로부터의 거리는 2.2km였다.

주변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개설된 역으로, 특정일에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구 인천국제공항역) 발착 열차가 당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역사나 승강장은 없고, 차량기지 내 1개 선에 래핑식 승강구가 설치된 간소한 설비로, 역무원의 도어콕 조작으로 승강구 부분의 문을 개폐했다. 차량기지 출입구에는 임시 개찰구(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었으며, 운임 계산상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 발착으로 취급되었다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 - 당역 간만의 이용은 기본 운임 900KRW).

2016년 2월 3일, 당역에 인접하여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용유역이 개업하여, 주변으로의 접근성이 개선됨에 따라, 당역은 같은 해 8월 28일의 연장 운행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했다.

  • 2009년 8월 1일 - 임시 여객 영업 개시. 이날부터 8월 20일까지, 을왕리해수욕장 주변을 이용하는 피서객을 위해, 당역까지 직통 열차가 운행되었다.[1]
  • 2010년
  • * 2010년 2월 27일 - 3월 1일 - 정월대보름을 위해, 당역까지 직통 열차가 운행되었다.[4]
  • * 2010년 4월 17일 - 10월 31일 - 주말마다 직통 열차를 연장 운행.[5]
  • * 2010년 12월 30일 - 연말연시 시즌을 맞아, 일몰 - 일출 임시 열차를 운행. 당초 예정으로는 다음 해 1월 2일까지 운행이었지만, 구제역을 이유로 취소되었다.[6][7]
  • 2011년 3월 26일 - 10월 30일 - 영종도 관광객과 용유차량기지 주변 이용자를 위해, 주말마다 일반 열차를 연장 운행.[8]
  • 2012년 4월 14일 - 11월 25일 - 주말마다 일반 열차를 연장 운행.[9][10]
  • 2013년 4월 6일 - 11월 24일 - 주말마다 일반 열차를 연장 운행.
  • 2014년
  • * 3월 1일 - 11월 30일 - 주말 및 공휴일에 일반 열차를 1시간 간격으로 운행.
  • * 5월 9일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40호에 의해, '''용유차량기지역'''으로 법정 개업.
  • * 9월 24일 - 10월 1일 - 왕산 요트 경기장에서 개최된 인천 아시안 게임 요트 종목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평일에도 상하 각 3편의 일반 열차를 운행. 또한, 당역에서 왕산 요트 경기장까지 셔틀버스가 3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다.
  • 2015년 3월 1일 - 12월 27일 - 주말 및 공휴일에 일반 열차를 연장 운행.
  • 2016년 7월 23일 - 8월 28일 - 주말 및 공휴일에 일반 열차를 연장 운행. 이후, 여객 영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4. 연혁

5. 주변 시설

인근에 인천국제공항철도 용유역이 있다.

참조

[1] 뉴스 영종-무의도 피서, 공항철도로 떠나세요 http://www.arex.or.k[...] 코레일공항철도 2009-07-29
[2] 뉴스 아듀 2009 해넘이 열차 운행 http://www.arex.or.k[...]
[3] 뉴스 2010 신년 일출․일몰 열차 운행 http://www.arex.or.k[...]
[4] 뉴스 공항철도, 대보름 달맞이 열차 운행 https://web.archive.[...] YTN 2010-02-18
[5] 웹인용 주말마다 바다열차 운행 https://web.archive.[...] 2010-04-15
[6] 뉴스 서울역~ 용유 ‘해넘이-해맞이 임시열차’ 운행 https://news.naver.c[...]
[7] 웹사이트 http://www.arex.or.k[...]
[8] 웹인용 용유임시역 연장운행 시각표 https://web.archive.[...] 2018-11-08
[9] 뉴스 공항철도, 4월 14일부터 주말 서해 바다열차 운행 http://www.arex.or.k[...] 코레일공항철도 2012-04-09
[10] 웹사이트 공항철도 타고 떠나는~ 주말 바다 열차 http://www.arex.or.k[...]
[1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 http://gwanbo.mois.g[...] 2017-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