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항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항철도는 공항과 대도시 중심부를 연결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철도 시스템이다. 1970년대 중반 이후 항공 여객 증가와 도로 혼잡으로 대량 수송 수단이 필요해짐에 따라, 공항철도 건설이 증가했다.

공항철도는 고속철도, 지역 급행, 도시철도 연장, 셔틀버스 연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각기 다른 운행 방식과 특징을 가진다. 주요 공항철도로는 스히폴 공항, 취리히 공항, 다싱 공항, 인천국제공항 등이 있다.

미래에는 김해, 타오위안, 마카오, 마닐라 등의 공항에 공항철도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나리타 신칸센, 인천 KTX 등 건설되었으나 무산되거나 중단된 경우도 있다. 또한, 오사카 국제공항, 야마구치 우베 공항, 대구국제공항 등 일부 공항은 인근 역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지만, 공항철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거리가 있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항 시설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공항 시설 - 탑승교
    탑승교는 공항 터미널과 항공기를 연결하여 승객의 편리한 탑승과 하차를 돕는 시설로, 기술 발전과 함께 자동화, 안전성 향상,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환경 친화적인 소재 사용 등 다양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항공기 주차 위치 제한, 안전사고 위험, 고비용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이동식 계단 등의 대체 설비가 사용되기도 하고 항구에서는 크루즈선 승하선용으로도 사용되며 광고 매체로도 활용된다.
  • 공항철도 -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역과 경기도 하남시 하남검단산역을 잇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대한민국 수도권 지하철 건설 역사상 최대 규모의 토목공사로 한강 하저터널 통과, 1·2기 지하철 연결, 스크린도어 설치 등 대한민국 지하철 건설 기술 발전에 기여한 주요 교통망이다.
  • 공항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공항철도

2. 공항 접근 및 연락

공항은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고, 주변에 고층 건물이나 산이 없어야 하므로, 대부분 대도시의 교외나 해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대도시 중심부와의 교통 수단이 필요하다. 세계적으로는 택시나 리무진 버스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공항 이용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공항철도 정비가 중요시되고 있다.

1960년대까지는 리무진 버스가 주요 공항 접근 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인근에 철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마가타 공항고마치역처럼 자동차 전용으로 설계되어 공항 접근 수단이 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대형 항공기의 취항과 증편에 따른 항공 여객 증가와 만성적인 도로 혼잡으로 인해, 공항 접근에도 대량 수송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간사이 국제공항이나 주부 국제공항과 같이 새롭게 설치된 간선 공항에서는 계획 단계부터 도로와 함께 공항철도를 준비하게 되었고, 기존 공항에서도 철도 노선 신설이나 연장 등을 하는 곳이 늘고 있다. 수송량이 많지 않아 큰 수송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모노레일이나 신교통 시스템이 채용되기도 한다. 공항 연락 수송 전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에는 여행 가방 등 큰 짐을 놓는 곳을 설치하는 등의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다.

3. 역사

공항철도는 유럽과 일본에서 수십 년 동안 인기 있는 해결책이었으며, 최근에는 북미, 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및 아시아의 나머지 지역에서도 연결이 구축되고 있다.

다음은 공항을 운행하기 위해 건설된 초기 도시 간 기차역의 몇 가지 예이다.

국가개통세부 정보
돈므앙태국18981924년에 개항한 돈므앙 국제공항 운행
쇠네펠트 (베를린)독일1951베를린 쇠네펠트 공항을 운행했으며, 나중에는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터미널 5를 운행
개트윅 공항영국1958개트윅 공항을 직접 운행하도록 재건축[1]
브뤼셀 공항-자벤템벨기에1958브뤼셀 공항 운행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플루크하펜 지역역독일1972프랑크푸르트 공항 운행



공항과 연결된 최초의 급행 대중교통역은 1927년에 "플루크하펜"(Flughafen|공항de)으로 개통되어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건설된 U-Bahn U6 파라데슈트라세 역이었다. 그러나 1937년에 연결이 제거되었고, 그 대신 앞서 있는 플라츠 데어 루프트브뤼케 역이 연결을 부여받아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이 2008년에 폐쇄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공항과 연결된 다른 초기 급행 대중교통역의 예로는 1952년에 개통된 (2004년에 재건축) 보스턴의 MBTA 블루 라인 공항 역과 1968년에 개통된 (1994년에 재건축) 클리블랜드의 RTA 래피드 트랜짓 레드 라인 클리블랜드 홉킨스 국제공항 역이 있다. 보스턴의 연결은 역에서 공항 터미널까지 짧은 셔틀 버스 환승이 필요하며, 클리블랜드의 연결은 서반구 최초의 직통 서비스로 간주된다.[2][3]

1964년에 일본 최초의 공항철도로 개통된 도쿄 모노레일은 원래 남쪽 종점이 하네다 공항의 구 국내선 터미널 아래에 있었다. 1980년대에서 2010년대에 걸쳐 하네다 공항이 도쿄 만에서 매립된 토지로 확장되면서 모노레일도 새로운 터미널까지 연장되었고, 원래의 남쪽 종점은 나중에 덴쿠바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4. 연결 유형

공항철도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 고속철도 또는 도시간 철도: 공항과 주변 도시를 직통으로 연결하며, 간선 또는 지선 건설이 필요하다. 프리미엄 요금, 낮은 운행 빈도(30분 간격), 고급 편의 시설(수하물 선반, 전원 콘센트, Wi-Fi, 화장실)을 갖춘 경우가 많다. 항공사와 제휴하여 연결 철도 서비스가 포함된 티켓을 판매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샤를 드 골 공항의 TGV, 프랑크푸르트 공항의 ICE처럼 고속철도역이 공항에 통합되어 IATA 코드를 받는 경우도 있다.

로마의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 지역 또는 통근 "공항 급행": 공항과 도심 간 직통 노선을 제공하며, 공항이 도심 외곽에 있지만 도심까지 직통 서비스가 필요할 때 사용된다. 기존 또는 신규 간선 철도 선로를 조합하여 공항 서비스 전용 차량을 운행하며, 높은 요금, 낮은 운행 빈도, 고급 편의 시설을 갖춘 경우가 많다.

베이징 수도 공항 특급

  • 급행 교통 또는 경전철: 도심이나 도심 근처 공항의 경우, 급행 교통 또는 경전철을 연장하여 교외 지역으로의 원활한 운송과 다른 노선과의 통합을 꾀한다. 높은 운행 빈도(5분 간격)를 가지지만, 중간 정차역이 많아 이동 시간이 길고, 수하물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 사람 수송 시스템: 사람 수송 시스템에 연결된 공항 철도역과의 직접 연결 방식이다. 승객은 철도역에서 사람 수송 시스템으로 환승하여 터미널까지 이동한다. 건설 비용 절감을 위해 선택되지만, 철도 노선이 공항 근처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처럼 일부 터미널만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사람 수송 시스템은 주차장, 호텔, 렌터카 시설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며, 셔틀 버스보다 인지 품질이 높다.

JFK 에어트레인, 뉴욕시

  • 셔틀 버스: 셔틀 버스와 연결된 공항 철도역으로의 직통 연결 방식이다. 승객은 철도역에서 셔틀 버스로 환승하여 터미널까지 이동한다. 특수 인프라가 필요 없어 소규모 또는 저가 공항에서 선호되지만, 대기 시간이 필요하고 직통 연결보다 품질 및 시장 점유율이 낮게 인식될 수 있다.

5. 현업 공항철도 목록

홍콩 지창콰이 선


현재 세계 각국에서 여러 공항철도가 영업 중이다. 공항철도는 공항과 도심을 빠르고 편리하게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공항과 인근 도시 연결:

  • 스히폴 공항 (네덜란드)
  • 취리히 공항 (스위스)
  • 다싱 공항 (중국)


2. 공항과 도심 연결:

스카이 트레인, 뒤셀도르프


3. 공항 내부 셔틀 또는 인근 역 연결: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 수카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 - SHIA역
  • 런던 루턴 공항 - 루턴 DART - 루턴 에어포트 파크웨이역
  • 파리 오를리 공항 - 오를리발 - 안토니역
  • 스자좡 정딩 국제공항 - 셔틀 버스 - 정딩 공항역
  • 살바도르 바이아 공항 - 셔틀 버스 - 살바도르 지하철 아에로포르토역
  • 밀워키 미첼 국제공항 - 셔틀 버스 - 밀워키 공항 철도역



5. 1. 대한민국



청주공항역을 제외하면 도시 철도, 경전철, 광역철도가 공항과 연결된다.

5. 2. 일본

게이세이 전철 특급 스카이라이너.




JR 그룹 중 JR도카이, JR시코쿠는 공항접속철도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대규모 사철 중에서는 게이세이 전철, 게이힌 급행전철, 난카이 전기철도, 나고야 철도가 공항접속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하철 노선이 공항과 직접 연결되는 노선은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의 공항선뿐이다.

일본에서는 비행장 근처에 원래 철도가 다니고 있었던 경우를 제외하면, 1964년(쇼와 39년) 9월 17일에 개업한 도쿄 모노레일 주식회사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현 정식 명칭)을 기원으로 한다. 이후, 교통 체증이 없고 정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 버스 등 다른 교통 기관에 비해 수송 능력이 크다는 점, 환경 부하가 적다는 등의 이유로 일본 각지에서 공항철도 계획이 세워졌다. 그러나 비용 등의 문제로 시간이 걸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개업은 1990년대 이후가 되었다. 현재도 각지에서 개업·건설·계획·구상이 진행되고 있다.

공항으로 연결된다는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 전용 차량이 투입되거나, 특별한 열차 등급이나 운행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건설비 상환을 위해 가산 운임이 설정되는 예가 있는 외에, 착석 보장을 위해 특급 요금이나 지정석이 설정되는 예도 있다.

5. 3. 그 외 국가



  • 타이완



: 타오위안 국제공항 첩운대한민국인천국제공항철도처럼 통근형 완행열차와 타이베이 역 및 공항 터미널 역 사이에 일부 열차만 정차하는 직통열차로 구성되어 있다.[19]


: (내용 없음)
: 수완나품 국제공항 수완나품 역 - 수완나품 공항연결선

: 모든 역에 정차하는 완행, 방콕 지하철과 환승할 수 있는 역에 정차하는 마까산 급행, 방콕 스카이트레인과 환승 가능한 역에 정차하는 빠야 타이 급행으로 구분된다.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 쿠알라 룸푸르 국제공항 1터미널역 - KLIA 트랜짓, KLIA 익스프레스

:: 쿠알라 룸푸르 국제공항 2터미널역 - KLIA 트랜짓, KLIA 익스프레스

: KLIA 익스프레스가 직통열차이며, KLIA 트랜짓은 완행열차이다.
: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창이 국제공항역 - 싱가포르 지하철 동서 선 공항지선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1터미널역 - 수하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2터미널역 - 수하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3터미널역 - 수하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철도역 - 수하르노 하타 공항 레일링크

: 수하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은 공항 터미널간을 연결하는 셔틀열차이며, 자카르타와 같은 도심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철도역에서 수하르노 하타 공항 레일링크를 통해서 이동해야 한다. 두 공항철도 간의 연결역은 특별히 없으며 육교를 통해서 이동해야 한다.

공항명노선명
시드니 킹스포드 국제공항시드니 공항 국내선 터미널역 - 시드니 공항 & 남부선
시드니 공항 국제선 터미널역 - 시드니 공항 & 남부선
브리즈번 공항브리즈번 공항 국내선 터미널 - 브리즈번 공항선
브리즈번 공항 국제선 터미널 - 브리즈번 공항선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공항지선의 운행 경로.


공항명노선명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히스로 공항 2&3터미널 지하철역 -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히스로 공항 2&3터미널 철도역 - 크로스레일 TfL 레일, 내셔널 레일 히드로 익스프레스
히스로 공항 4터미널 지하철역 -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히스로 공항 4터미널 철도역 - 크로스레일 TfL 레일, 내셔널 레일 히드로 익스프레스
히스로 공항 5터미널역 -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내셔널 레일 히드로 익스프레스
런던 개트윅 공항개트윅 공항역 - 내셔널 레일 개트윅 익스프레스, 사우선 라인, 탬스링크 라인, 그레이트웨스턴 라인
런던 시티 공항런던 시티공항 DLR역 - 도크랜드 경전철
런던 루턴 공항루턴 공항 파크웨이 역 - 내셔널 레일 이스트 미드랜드 선, 탬스링크
런던 사우스엔드 공항사우스엔드 공항역 - 내셔널 레일 그레이터 앵귈라 선
맨체스터 공항맨체스터 공항역 - 내셔널 레일 트랜스포트 포 웨일스, 트랜스페니 익스프레스, 노선 라인, 맨체스터 메트로링크 6호선
에든버러 공항에든버러 공항역 - 에든버러 경전철



: TfL 레일은 히스로 공항 5터미널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런던 지하철의 피카딜리 선은,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응암순환선처럼 단선으로 운행하는 루프 구간이 있다. 운행 경로는 두 분류로 나뉜다. 하나는 해튼 크로스 역 -> 4터미널 -> 2&3터미널 -> 해튼 크로스 역로 운행하는 순환선, 다른 하나는 해튼 크로스 역 - 2&3터미널 - 5터미널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후자의 경우 루프 구간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공항명노선명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샤를 드 골 1터미널역 (RER선) - RER B
샤를 드 골 2터미널 TGV역 - TGV, RER B
1터미널역(CDGVAL선) - CDGVAL
2터미널 철도역(CDGVAL선) - CDGVAL
3터미널 루아시에 역(CDGVAL선) - CDGVAL
파리 오를리 공항오를리 남역 - OrlyVal
오를리 서역 - OrlyVal



: TGV, RER, CDGVAL이 모두 정차하는 곳은 2터미널 역이며, RER, TGV, CDGVAL 모두 환승이 가능하다. CDGVAL은 거대한 샤를 드 골 공항 내부를 운행할 수 있는 셔틀열차 격이다.

RER B, 파리

공항명노선명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프랑크푸르트 공항 장거리열차역 - ICE, IC
프랑크푸르트 공항 지역열차역 - 라인마인 S반 S8, S9
뮌헨 국제공항뮌헨 공항역 - 뮌헨 S반 S1, S8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BER 공항역 - IC, FEX, RE, RB, 베를린 S반 S45, S9
뉘른베르크 공항공항역 (뉘른베르크) - 뉘른베르크 U반 U2
라이프치히 할레 공항라이프치히/할레 공항역 - IC, 중부독일 S반 S5, S5X
드레스덴 공항드레스덴 공항역 - 드레스덴 S반 S2
뒤셀도르프 공항뒤셀도르프 공항역 - ICE, RE, 라인루르 S반 S1
뒤셀도르프 공항 터미널역 - 라인루르 S반 S11
슈투트가르트 공항슈투트가르트 공항/메세역 - 슈투트가르트 S반 S2, S3



6. 미래의 공항철도 및 관련 역

공항명역명노선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역(가칭)부전-마산간 복선전철 (부산김해경전철 공항역과는 별개의 역)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제3터미널역타오위안 국제공항 첩운
마카오 국제공항마카오 공항역마카오 경전철
마닐라 국제공항마닐라 국제공항역마닐라 LRT 1호선, 마닐라 시 지하철


7. 과거에 개업했던 공항철도 및 개업이 무산된 공항철도 노선

8. 근접한 위치에 있지만 역명에 공항 및 공항 관련 이름이 없는 경우

9. 공항역이 있지만 공항철도로써 인정받기 어렵거나 상당히 먼 경우

아양교역 폴사인. 부역명으로 대구국제공항입구가 적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1958: Queen opens revamped Gatwick http://news.bbc.co.u[...] BBC News 2024-11-01
[2] 웹사이트 Urban Transportation https://case.edu/ech[...] 2024-11-01
[3] 뉴스 Rails Link Cleveland To Airport https://www.newspape[...] Pittsburgh Post-Gazette 1968-11-16
[4] 뉴스 天空橋 見上げれば広がる青い空 http://www.nikkei.co[...] 2014-01-18
[5] 웹사이트 空港アクセス鉄道 https://m.mintetsu.o[...] 一般社団法人日本民営鉄道協会 2023-04-22
[6] 문서 京急電鉄 (2008)
[7] 문서 京急電鉄 (2008)
[8] 문서 京急電鉄 (2008)
[9] 문서 京急電鉄 (2008)
[10] 문서 運輸省第二港湾建設局東京空港工事事務所(1995)
[11] 문서 京急電鉄(2008)
[12] 문서 京急電鉄 (2008)
[13] 서적 運輸省三十年史 運輸経済研究センター
[14] 문서 同年7月5日航空庁告示第4号「東京都大田区羽田町に所在する飛行場を東京国際空港と呼称する件」
[15] 웹사이트 "「羽田の時代来る」 京急乗り入れ訴えたOB、思い格別 - 航空特集"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0-10-21
[16] 문서 10月21日(木)京急線「羽田空港国際線ターミナル」駅 開業!
[17] 웹사이트 羽田アクセス総取りか、JR新線3ルートの全貌(1/3) http://kenplatz.nikk[...] 日経BP 2014-08-20
[18] 웹사이트 大田区新空港線「蒲蒲線」整備促進区民協議会 資料 平成26年活動状況『新空港線「蒲蒲線」整備案説明資料』 https://www.city.ota[...] 大田区 2015-01-19
[19] 문서 どうなる、こうなる首都圏の鉄道網--(最終回)成田新線・新交通編
[20] 웹사이트 阪急電鉄、伊丹空港線を検討 梅田駅から直結 https://www.nikkei.c[...] 2024-02-23
[21] 웹사이트 阪急「大阪空港」への新線検討、梅田から直結で利便性高まる(1/2ページ) https://www.sankei.c[...] 2024-02-23
[22] 웹사이트 報道発表資料:近畿圏における空港アクセス鉄道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調査結果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2024-02-23
[23] 웹사이트 近畿圏空港アクセス鉄道を調査…阪急-関空直結の「なにわ筋連絡線」が有望 国交省 https://response.jp/[...] 2024-02-23
[24] 웹사이트 "「40年で黒字」が難しい、阪急・大阪空港線 どうすれば実現できるか" https://www.itmedia.[...] 2024-02-23
[25] 웹사이트 近畿圏における空港アクセス鉄道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調査概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2-24
[26] 웹사이트 梅田と直結「阪急大阪空港線」実現の可能性は? 整備効果や採算だけじゃない課題 https://trafficnews.[...] 2024-02-23
[27] 간행물 なにわ筋線「北梅田〜JR難波・南海新今宮」の鉄道事業許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都市鉄道政策課 2019-07-09
[28] 뉴스 中部新空港 鉄道アクセスで4案 中経連委整備構想 道路網も広域化図る 中日新聞社 1993-03-27
[29] 뉴스 乙川駅から西へ 新空港鉄道で半田市が周辺整備計画【名古屋】 朝日新聞名古屋本社 1997-04-18
[30] 웹사이트 神戸空港と三宮直結、新地下鉄構想 国際便の就航を見据え、市が需要やルート調査へ https://www.kobe-np.[...] 2023-01-09
[31] 웹사이트 石狩市が札幌と結ぶロープウエー構想 公共交通機関の整備課題|NHK 北海道のニュース https://www3.nhk.or.[...] 2024-02-02
[32] 웹사이트 石狩市が札幌へロープウェー計画、3ルート案公表…過去に鉄道やモノレール実現せず https://www.yomiuri.[...] 2024-02-02
[33] 웹사이트 R5年度先導的官民連携支援事業(第1次)採択案件概要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4-15
[34] 웹사이트 官民連携手法による新たな軌道系交通の導入に関するサウンディング型調査 事業概要書 https://www.city.ish[...] 石狩市 2024-02-08
[35] 뉴스 石狩市都市型ロープウェイ調査へ 24年度に参画企業呼び掛け https://e-kensin.net[...] 北海道建設新聞 2023-04-15
[36] 웹사이트 ロープウエーも視野に新たな軌道系交通を導入検討、石狩市がサウンディング https://project.nikk[...] 2024-02-02
[37] 웹사이트 石狩市、都市型ロープウェイに3ルート案。手稲、麻生、栄町・丘珠空港へ! {{!}} タビリス https://tabiris.com/[...] 2023-11-25
[38] 웹사이트 石狩市、都市型ロープウェイは実現するか。石狩湾新港と札幌方面をつなぐ夢 {{!}} タビリス https://tabiris.com/[...] 2023-04-19
[39] 문서 第1回函館市交通事業経営計画検討会議会議録 - 函館市交通局
[40] 뉴스 誕生 北のメガ空港 民営化1年(上) 函館市電に延伸構想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1-15
[41] 웹사이트 22年度茨城県予算案 TX延伸、調査費1800万円 構想4ルート、絞り込みへ http://ibarakinews.j[...] 2022-05-25
[42] 웹사이트 TXって本当に延伸するの!? https://web.archive.[...] 2022-05-25
[43]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 茨城空港延伸 水戸市など5市町が協議会|NHK 茨城県の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5-25
[44] 뉴스 広島空港のアクセス鉄道断念 議論が広がらなかった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2006-10-09
[45] 문서 1995年
[46] 뉴스 中国新聞2004年7月11日「時流」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2004-07-11
[47] 웹사이트 中京都市圏総合都市交通計画協議会 https://www.cbr.mlit[...] 2024-10-14
[48] 웹사이트 四国新幹線の夢へ向けた駅構想…高松駅と徳島駅には複数案も 6枚目の写真・画像 https://response.jp/[...] 2024-10-14
[49] 문서 愛媛県議会2003年12月10日定例会における県企画情報部長および2011年10月3日の総務企画委員会における県交通対策課長の答弁による
[50] 문서 平成26年第336回愛媛県定例会(2014年2月27日、上記会議録検索システムにて確認可能)
[51] 뉴스 鉄道ニュース週報第114回 宇都宮と松山、LRT計画の課題は「法定速度」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8-03-29
[52] 웹사이트 松山空港アクセス向上検討会 https://www.pref.ehi[...] 2018-03-23
[53] 문서 高知県議会企画建設委員会(2001年3月14日)における県交通政策課長の答弁による
[54] 뉴스 九州新幹線西九州ルート、佐賀県が示した3ルートの意味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21-06-13
[55] 웹사이트 熊本空港アクセス鉄道、肥後大津ルートに 県検討委判断 https://www.nikkei.c[...] 2022-11-14
[56] 웹사이트 熊本空港アクセス鉄道整備ルートで合意 大手半導体TSMC進出受け: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3-14
[57] 뉴스 A ride to the airport on Phnom Penh’s latest mode of public transport https://www.phnompen[...] The Phnom Penh Post 2018-04-10
[58] 뉴스 Airport train gives inaugural ride https://www.khmertim[...] Khmer Times 2018-04-11
[59] 웹사이트 電車・モノレール/路線図 https://www.tokyo-ai[...]
[60] 웹사이트 成田エクスプレス http://www.jreast.co[...]
[61] 웹사이트 主要地域からのルート http://osaka-airport[...]
[62] 웹사이트 アクセス情報 http://www.kansai-ai[...]
[63] 문서 地下鉄駅は国内線第一ターミナルへの到着となり、国際線へ行く場合は空港内連絡バスに乗車して、5分程掛けて国際線ターミナルへと移動する必要がある。
[64] 웹사이트 People's Square Youth Hostel http://www.yhachina.[...]
[65] PDF THAI RAILWAY GUIDE - EFFECTIVE 24 MAY 2014 http://www.fahrplanc[...]
[66]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67] 웹사이트 http://news.donga.co[...]
[68] 웹사이트 https://www.hna-ter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