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포공항역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5호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 도시철도, 서해선 등 5개 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다. 1996년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2007년 인천국제공항철도, 2009년 9호선, 2019년 김포 도시철도, 2023년 서해선이 차례로 개통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역 구조는 5호선은 지하 3층,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 도시철도는 지하 4층, 서해선은 지하 5층에 위치하며, 5호선 승강장은 상대식, 9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는 혼합식, 김포 도시철도와 서해선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김포국제공항과 롯데몰 김포공항점 등 주변 시설과 연계되어 있으며, 2016년 스크린도어 끼임 사망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항역 - 청주공항역
청주공항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지상역으로, 청주국제공항 이용객 편의를 위해 개업하여 무궁화호가 운행 중이며 향후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사업으로 이용객 증가가 예상된다. - 대한민국의 공항역 -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1터미널역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가 지나는 역으로, 공항철도를 통해 서울역, 인천국제공항2터미널과 연결되며, 자기부상철도는 운행이 중단되었고, 한때 KTX가 운행하기도 했으며, 공항철도 이용객은 일반열차와 직통열차를 구분하여 이용할 수 있다. - 김포국제공항 -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는 1986년 9월 14일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발생했으며, 팔레스타인 출신 아부 니달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저지른 테러로 밝혀졌다. - 김포국제공항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대한민국의 공항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공항을 관리 및 운영한다. - 김포 도시철도의 역 - 사우역
사우역은 김포 도시철도에 있는 역으로, 2019년 9월 28일 개통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김포종합운동장, 김포시청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김포 도시철도의 역 - 구래역
구래역은 2019년 9월 28일 개통된 김포 도시철도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김포 골드라인 열차의 주요 시종착역 역할을 하고, 주변에는 이마트 김포한강점, 구래동 행정복지센터, 한강신도시 호수공원 등 주요 시설과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김포공항역 | |
---|---|
역 정보 | |
이름 | 김포국제공항역 |
원어 이름 | 김포공항역 |
한자 표기 | 金浦空港驛 |
로마자 표기 | Gimpogonghangn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지하 77 (방화동 886)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공항철도 서울시 메트로9호선 김포 도시철도 운영 주식회사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 도시철도 서해선 |
승강장 수 | 9개 |
선로 수 | 11개 |
구조 | 지하 |
역사 | |
개업 | 5호선: 1996년 3월 20일 공항철도: 2007년 3월 23일 9호선: 2009년 7월 24일 김포 골드라인: 2019년 9월 28일 서해선: 2023년 7월 1일 |
노선별 정보 | |
![]() | |
![]() | |
![]() | |
![]() | |
![]() | |
역 사진 | |
![]() |
2. 연혁
- 1996년 3월 2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 까치산)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7년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 신논현) 구간 개통과 함께 3개 노선 환승역이 됨
-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김포공항 ~ 서울) 구간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됨과 동시에 직통열차 무정차 통과
- 2014년 3월 26일: 김포 도시철도 착공
- 2015년 12월 22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소사선) 착공[10]
- 2019년 9월 28일: 김포 도시철도 (김포공항 ~ 양촌) 구간 개통과 함께 4개 노선 환승역이 됨
-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과 함께 5개 노선 환승역이 됨[11]
- 2026년 3월 31일: 대곡 ~ 홍성 서해선 KTX 개통 예정
3. 역 구조
김포공항역은 5개의 노선이 교차하는 복합 환승역으로, 지하 5층 규모이다. 수도권 전철 5호선 역사는 지하 3층, 김포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는 지하 4층에 있다. 서해선 승강장은 지하 5층(실제 깊이 지하 12층, 85m)에 있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깊은 역이다.[1]
수도권 전철 5호선 역사 지하 2층과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지하 2층은 같은 층에 있다. 운임 구역 밖에서는 수도권 전철 5호선 지하 2층과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지하 1층을 잇는 연결 통로가 하나 있다. 운임 구역 안에는 수도권 전철 5호선 승강장과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지하 2층 대합실 및 지하 3층 승강장을 잇는 연결 통로 두 곳이 있다.
층 | 시설 | 내용 |
---|---|---|
G | 지상층 | 출구 |
L1 | 대합실 | 로비,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
L3 | 5호선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L4 | 김포 골드라인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L3, L4 | 9호선·공항철도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왼쪽 및 오른쪽 문 열림 (9호선, 공항철도) |
L5 | 서해선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3. 1. 수도권 전철 5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18년 1월 29일부터 스크린도어 교체 공사를 시작하여 4월 15일에 완료하였다. 승강장이 곡선으로 휘어있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 시 주의해야 한다.[1]
3. 2. 서울 지하철 9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1 2 3↓ 마곡나루 · ↓ 공항시장
1 2
공항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