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겐 왕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겐 왕축은 1862년 부탄에서 태어나 1926년 사망한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이다. 그는 1880년대 부탄의 내전을 종식시키고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렸으며, 1907년 부탄의 이중 통치 체제를 종식하고 세습 왕정을 수립했다. 그는 서구식 교육 도입, 불교 보호, 영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 등 부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1904년 영국-티베트 전쟁에서 중재 역할을 했으며, 영국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붐탕현 출신 - 지그메 틴레이
지그메 틴레이는 부탄의 정치인으로, 외무장관과 총리를 역임했으며, 국민총행복 개념을 중시하고 외교 다변화를 추진했다. - 부탄의 군주 - 지그메 왕축
부탄의 제2대 국왕인 지그메 왕축은 교육 및 인프라 개선, 사법 제도 개혁 등 국내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맺으며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부탄의 군주 - 드루크걀포
드룩걀포는 부탄의 국가원수이자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 헌법에 따라 종교와 정치를 아우르는 체제의 중심이며, 주요 정부 관리를 임명하고 국군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외교, 훈장 수여, 사면 등의 왕실 특권을 행사한다. - 왕축가 - 지그메 왕축
부탄의 제2대 국왕인 지그메 왕축은 교육 및 인프라 개선, 사법 제도 개혁 등 국내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맺으며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왕축가 - 지미 싱게 왕축
지그메 싱예 왕축은 부탄의 제4대 국왕으로, 국민총행복지수를 중시하는 통치 철학을 제시하고 국가 현대화와 전통 문화 보존에 힘썼으며, 민주화를 이끌고 국제 사회에서 부탄의 위상을 높였다.
우겐 왕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우겐 왕축 |
다른 표기 | '' '' |
출생일 | 1862년 6월 11일 |
출생지 | 부탄 붐탕 |
사망일 | 1926년 8월 26일 (향년 64세) |
사망지 | 포드랑 |
매장지 | 쿠르제 라캉에서 화장 |
종교 | 불교 |
통치 | |
즉위 | 1907년 12월 17일 |
재위 시작 | 1907년 12월 17일 |
재위 종료 | 1926년 8월 26일 |
계승 | 국왕 |
전임자 | 없음 (세습 군주제 수립) |
후임자 | 지그메 왕축 |
가문 | |
왕가 | 왕축 |
아버지 | 지그메 남걀 |
어머니 | '아시' 페마 초키 |
배우자 | |
배우자 | '아시' 루드롱 돌마 '아시' 린첸 펠모 '아시' 응오드룹 페모 '아시' 츤두에 페마 람모 |
자녀 | |
자녀 | 공주 소남 페드론 공주 치미 양좀 국왕 지그메 왕축 왕자 규르메 도르지 공주 켄초 왕모 왕자 카르마 틴리 룬드룹 |
기타 | |
![]() | |
칭호 | 부탄 용왕 |
2. 생애
1862년 부탄 붐탕의 완듀초린 궁전에서 톤사 펜롭(지방 장관) 지그메 남겔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지그메 남겔은 부탄 북부 쿠르테 지역에 정착한 고승 페마 린파의 후손이었고, 어머니는 붐탕 자칼 지역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3]
1870년, 아버지 지그메 남겔이 세속적인 지배자인 드룩 데시(데브 라자)가 되자, 파로 펜롭 체완 놀부와 푸나카 종퐁 게두프가 반란을 일으켰다. 우겐 왕축은 반란 진압을 위해 파견되었고, 진압 후에도 파로에 남아 그 지역을 다스렸다. 1874년, 지그메 남겔은 정적들을 물리치고 부탄 전역을 장악했으며, 1879년 우겐 왕축은 파로 펜롭에 임명되었다. 1883년 부탄에서 마지막 내전이 발생했고, 우겐 왕축은 군대를 이끌고 자칼 종과 톤사 종을 점령, 1882년 톤사 펜롭이 되었다. 1876년에는 정적이었던 파로 펜롭과 푸나카 종퐁을 인도와 다르질링으로 추방하여 "톤사 왕조"의 기반을 다졌다.
1884년에는 영국의 보조금을 둘러싸고 팀푸 종퐁과 푸나카 종퐁이 반란을 일으키고 파로 펜롭도 이에 가담했다. 우겐 왕축은 4,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팀푸로 진격, 창리메탕 전투에서 반란군을 격파했다. 이 승리로 1865년 이후 산발적으로 발생했던 내전을 종식시키고,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1903년 데브 팜 상게 돌지가 물러나고, 쵸레 튀르크 예셰 게두프가 국왕, 각료, 종교계의 지지 하에 데브 겸 샤브둔의 직책에 올랐으나, 평판이 좋지 않아 1907년 퇴위당하고 파로의 상콜 사원에 은거했다. 같은 해 12월 17일, 종교계, 의원, 각 지역의 마을 원장, 국민 대표가 모여 푸나카에서 회의를 개최한 결과, 우겐 왕축을 부탄 왕국의 세습 국왕으로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1651년 이후 샤브둔 가완 남겔에 의해 확립된 종교계의 샤브둔과 세속계의 데브라는 부탄의 이중 통치 체제는 막을 내렸다. 당시 영국은 우겐 왕축의 강력한 지도력을 주목하고 그의 부탄 통일을 예측하여 즉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겐 왕축은 국민의 부유를 최우선 목표로 하는 내정을 실시하고, 근대적인 학교 건설 등 서구적인 교육 제도를 부탄에 도입했다. 또한 인도와의 무역·상업 장려를 위해 국내 교통·통신망 정비에 힘썼으며, 불교 보호에도 힘써 승려의 수행장과 사원의 건설·수리 활동도 지원했다.
외교적으로는 당시 인도를 식민지로 삼고 있던 영국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다. 1889년 파로 펜롭을 친선 사절로 칼림퐁의 영국 인도 주재관에게 파견하는 한편, 청나라 광서제의 어새 수령을 거부했다. 1903년 영국 프랜시스 영허즈번드 육군 대좌가 이끄는 영국의 티베트 원정 때에는 영국을 지지하고 함께 라싸로 가서 1904년 영장 회의 조인의 중재 역할을 했다. 1905년에는 시킴 행정관 존 클로드 화이트로부터 인도 황제 중급 훈작사(Knight Commander of the Indian Emperor) 칭호를 받았다.
1910년 2월 12일, 청의 주장 대신 조이풍의 군대가 라사를 점령하고 달라이 라마 13세가 망명하자, 청의 위협에 대비하여 1865년 11월 11일에 조인한 영국과의 신출라 조약을 개정하고, 1910년 1월 8일 푸나카 조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부탄에 대한 청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게 되었고, 영국령 인도와의 관계가 밀접해졌지만, 당시 영국은 부탄을 영국 종주권하의 일 자치국으로 간주하고 인도 번왕국과 동등한 입장으로 다루었다.
우겐 왕축이 영국과 운명을 함께 하기로 결심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904년 여름, 영국의 티베트 제압 성공
- 청나라 팽창 정책에 대한 위협 방지
- 영국의 의향 없이는 부탄의 정치적 통일체로서의 존재 불가능
- 영국 지배하의 인도의 발전 목격
2. 1. 어린 시절과 권력 장악
우겐 왕축은 1862년 부탄 붐탕의 왕디콜링 궁전에서 태어났다.ཀརྨ་ཨོ་རྒྱན་དབང་ཕྱུག|카르마 우겐 왕축bo[3] 그의 아버지 지그메 남걀은 드룩 데시였으며, 우겐 왕축은 어린 시절부터 지도력과 전쟁 기술을 익혔다. 그는 숙련된 전투원으로 훈련받았으며, 14세 때 아버지와 함께 파로 지역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3] 16세에 파로 펜롭으로 임명되었고, 1881년 아버지 사망 후 아버지의 책임을 이어받았다.[3]우겐 왕축은 아버지의 적들과 화해를 시도하며, 지그메 남걀을 싫어하는 사원에 선물을 제공하고 아버지에게 직접적으로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에게는 친절과 관용을 보였다. 1882년, 오랜 분쟁과 내전 끝에 아버지가 역임했던 트롱사 펜롭 자리에 올랐다.[4]
1886년, 우겐 왕축은 창리메탕 전투에서 승리하여 모든 내분을 종식시키고 부탄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다.[4] 이 승리로 1865년 이후 산발적으로 발생했던 내전에 종지부를 찍었고, 우겐 왕축은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2. 2. 불교 군주제 수립
1907년 12월 17일, 우겐 왕축은 국민 대표, 관리, 승려들의 만장일치로 푸나카 종(Punakha Dzong)에서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했다.[7] 이날은 부탄의 국경일(Gyalyong Duechen)로 기념된다.[8] 이로써 1651년 샤브드룽 가완 남겔에 의해 확립된 종교계 샤브둔과 세속계 데브의 이중 통치 체제는 종식되었다.당시 영국은 우겐 왕축의 강력한 지도력에 주목하여 그의 부탄 통일을 예측하고 있었으며, 즉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즉위식에는 영국 대표 클로드 화이트 경(Sir Claude White, 1853-1918)이 참석했다.[8]
2. 3. 대외 관계 및 해외 방문
영국-티베트 전쟁 당시 영국과 티베트 간의 중재자 역할을 맡았다.[9] 1906년 콜카타를 방문하여 웨일스 공을 만났다.[8] 1911년 델리(Delhi)를 방문하여 조지 5세(George V) 국왕을 다시 만났다.[8]존 클로드 화이트(John Claude White) 경 등 영국 관리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존 클로드 화이트는 우겡 왕축에 대해 "나는 우겡 경만큼 좋아하고 존경하는 원주민을 만난 적이 없다. 그는 정직하고, 솔직하며, 명료하고, 직선적이었다."라고 평했다.[8]
1910년 푸나카 조약을 통해 영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청나라의 영향력을 배제했다. 당시 영국은 부탄을 영국 종주권 하의 자치국으로 간주하여, 인도 번왕국과 동등하게 대우했다.
2. 4. 종교 활동
우겐 왕축 국왕은 라마승 세르콩 도르지 창(1856~1918), 테르톤 질논 남카 도르지, 그리고 15대 카르마파 카챠브 도르지(1871~1922)와 같은 많은 불교 성직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1] 1894년, 33세의 나이에 그는 세계 바즈라야나 불교의 랜드마크 중 하나인 쿠르제이 사원 건립을 시작했다. 쿠르제이 중앙 라캉의 우뚝 솟은 구루상은 1894년 우겡 왕축 국왕에 의해 건립되었다.[11] 그는 전국에 있는 드라샹(승원)에 큰 도움을 주었다. 젊은 부탄인들의 학문과 교육에 대한 그의 비전의 일환으로, 그는 부탄인 두 그룹을 티베트로 보내 게셰(Geshe) 수준까지 공부하게 했다. 1915년과 1917년 두 차례에 걸쳐 젊은 승려들을 도캄의 젠펜 초키 낭와(1871~1927)에게 보냈다. 그들은 나중에 부탄으로 돌아와 영향력 있는 게셰(박사급)와 라마가 되어 불교 가르침의 빛나는 원천이 되었다.[7] 불교의 상징적인 순례지 중 하나는 카트만두에 있는 스와얌부나트 사원으로, 부탄이 소유한 승원이다. 이 사원은 대부분 우겡 왕축 국왕의 사비로 개보수되었다. 우겡 왕축 국왕과 많은 서신을 주고받았던 카규파 라마승 토그덴 샤차 슈리(1853~1919)가 우겡 왕축 국왕을 대신하여 개보수를 감독했다.[7]2. 5. 서구식 교육 도입
우겐 왕은 승려 교육뿐만 아니라 콜카타와 델리를 방문한 후 학교 설립을 시작했다. 라메 고엔파와 왕두콜링에 첫 번째 학교를 설립하고 동부와 서부 부탄 출신의 부탄 소년 14명을 입학시켰다. 나중에 학생 수는 46명으로 늘었다. 그 무렵 학생들은 칼림퐁의 선교 학교로 보내지고 있었다. 이 첫 번째 학생들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중요한 관리가 되었다. 우겐 왕은 부탄에 서구 교육의 씨앗을 뿌리고 다르마의 뿌리를 강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7][12]2. 6. 사망
King Ugyen영어은 1926년 8월 21일, 64세의 나이로 왕두에포드랑의 틴리 랍텐 궁전에서 장남의 품에 안겨 서거하였다.[13] 그는 서거하기 전에 푸나카의 중앙 승가 단체에 많은 기부금을 보냈으며, 자신의 유해는 붐탕의 쿠르제이 라크항에서 화장되기를 요청했다.[13]3. 서훈
우겐 왕축은 영국령 인도로부터 인도제국훈장 대사령관, 인도의 별 훈장 사령관, 인도제국훈장 사령관, 델리 황제 대관 메달 등을 받았다.
3. 1. 외국 훈장
훈장 | 수여 국가 | 날짜 | 비고 |
---|---|---|---|
영국령 인도영어 | 1921년 1월 1일 | 1921 신년 서훈 | |
영국령 인도영어 | 1911년 12월 12일 | ||
-- 인도제국훈장 사령관 (KCIE) | 영국령 인도영어 | 1905년 1월 2일 | 1905 신년 서훈 |
영국령 인도영어 | 1911년 12월 12일 |
4. 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지그메 남걀 (10대 통사 펜롭이자 48대 드룩 데시) |
어머니 | 페마 초키 |
장인 | 필라 곤포 왕얄 |
장모 | 소남 페조옴 |
처조부 | 우깟 풍쇼 (8대 통사 펜롭) |
처조모 | 린첸 펠모 |
처증조부 | 파드마 |
처고조부 | 소남 드루걀 (5대 통사 펜롭이자 31대 드룩 데시) |
처5대조부 | 라브갸스 |
참조
[1]
이미지
Queens of Bhutan
http://1.bp.blogspot[...]
[2]
논문
WANGCHUCK DYNASTY. 100 Years of Enlightened Monarchy in Bhutan
https://www.research[...]
[3]
서적
The Raven Crown: The Origins of Buddhist Monarchy in Bhutan
Serindia Publications
[4]
서적
The history of Bhutan
https://www.worldcat[...]
2013-01-01
[5]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First druk Hereditary King of Bhutan
[6]
서적
Bhutan: 100 Years of Wangchuck Vision
SDS Publications
[7]
서적
'brug brgyd 'zin gyi rgyel mchog dang pa mi dwang au rgyan dwang phyug gi rtogs brjod bzhugs so (The Biography of the Second King of Bhutan Jigme Wangchuck)
The Centre for Bhutan Studies
[8]
서적
Sikkim and Bhutan, Twenty-One Years on the North-East Frontier 1887–1908
Low Price Publications
[9]
서적
Duel in Snows, the True Story of Younghusband Mission to Lhasa
John Murray Publishers
[10]
서적
Encyclopedia of Nineteenth-Century Phot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Brug-tu 'od-gsal lha' I byung-tshul brjod-pa smyos-rabs gsal-ba'I me-long (Discourse on the Coming to Bhutan of a Lineage of the Gods of Clear: The Mirror which Illuminates the Generations the Nyo
[12]
서적
Education System in Bhutan – Past, Present and Future – A Reflection
[13]
뉴스
Gongsar Ugyen Wangchuck
https://kuenselonlin[...]
Kuensel
2022-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