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 번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번왕국은 18세기 초 무굴 제국의 붕괴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와 군사 보호 조약을 맺고 자치권을 인정받은 여러 국가들을 의미한다. 번왕국은 힌두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마하라자, 라자, 나와브 등 다양한 칭호를 사용했다. 영국은 이들을 '번왕'으로 통칭하며 외교와 방위권을 통제하고 내정에 간섭했다.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대부분의 번왕국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에 병합되었으며, 카슈미르, 하이데라바드, 주나가드 등 일부는 통합 과정에서 분쟁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번왕국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번왕국 - 마니푸르 왕국
    마니푸르 왕국은 인도 북동부에 위치했던 역사적인 왕국으로, 강레이팍 왕국에서 시작하여 여러 왕조를 거치며 발전했으나, 영국의 보호령과 제후국을 거쳐 인도에 합병되어 주 지위를 획득하였다.
  • 파키스탄의 역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파키스탄의 역사 - 파로파미사다이
    파로파미사다이는 힌두쿠시 산맥 너머를 의미하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산맥에 걸쳐 카불 지방 등을 포함하며, 아케메네스 제국 등 여러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 인도의 역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인도의 역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인도 번왕국
지도
개요
명칭번왕국, 토후국, 인도 제후국
영어 명칭princely state, native state, Indian state
존속 기간1721년 - 1949년
지배영국령 인도 제국의 보호 통치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통치자마하라자, 라자, 나와브 등
주요 가문무굴 제국의 지방 통치자, 토착 부족장
영국과의 관계종속 관계, 자치권 인정
역사
기원무굴 제국 쇠퇴 이후 독립 또는 자치권을 획득한 세력
영국령 인도 제국영국과의 종속적인 동맹 관계 형성
인도 독립대부분 인도 공화국 또는 파키스탄에 합병
지리 및 인구
위치인도 아대륙 전역
면적전체 인도 아대륙의 약 40%
인구전체 인도 아대륙 인구의 약 23%
경제
경제 구조농업 기반, 일부 지역은 상업 및 공업 발달
통화자체 통화 발행 (일부)
사회 및 문화
사회 구조계급 사회, 종교 및 카스트 제도 영향
문화지역별 다양한 문화, 예술, 언어
주요 번왕국
하이데라바드 번왕국하이데라바드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스리나가르, 잠무
마이소르 번왕국마이소르
트라방코르 번왕국티루바난타푸람
바도다라 번왕국바도다라
그왈리어 번왕국그왈리어
인도르 번왕국인도르
기타 정보
영향현대 인도 및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 문화에 영향
현재과거 번왕국의 궁전, 유적 등이 관광 자원으로 활용

2. 역사

1765–1805년 인도 지도, 힌두교도, 무슬림, 영국 간의 영토 분할 표시


1909년 인도 제국의 정치적 분할, 영국령 인도(분홍색)와 번왕국(노란색) 표시


인도 번왕국은 대부분 무굴 제국 붕괴 이후에 형성되었으며, 많은 수가 외래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 하이데라바드 통치자는 튀르크족, 보팔 통치자는 아프간족, 잔지라 통치자는 아비시니아인 등이었다. 힌두 왕국 통치자 대부분은 크샤트리아였고, 라지푸트 국가와 남인도 왕국만이 무굴 제국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가졌다.[7]

영국령 라지 시대의 인도("인도 제국")는 영국령 인도와 '번왕국'으로 구성되었다. 영국 의회는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4.) "영국령 인도"는 여왕 폐하가 인도 총독 또는 그에게 종속된 관리를 통해 통치하는 모든 영토와 장소를 의미한다.

> (5.) "인도"는 영국령 인도와 여왕 폐하가 인도 총독 또는 그에게 종속된 관리를 통해 행사하는 모든 토착 군주 또는 수장의 영토를 의미한다.[8]

"영국령 인도"는 1774년부터 1858년까지 동인도 회사가 통치하는 지역을 지칭한다.[9][10] 영국 왕실은 가장 중요한 175개 번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행사했고, 나머지 약 400개 국가는 영국령 인도 지방 정부의 영향을 받았다.[11] 영국령 인도의 법은 영국 의회 제정 법률에 기반했고, 번왕국 법원은 통치자 권한 아래 존재했다.[11]

번왕들은 자유롭게 통치했으나, 인도 대반란 이후 분할 통치에 이용되는 괴뢰 세력으로 보호받았다. 크리슈나 라자 4세나 사야지 라오 가이콰드 3세 같은 명군 통치하에 근대화된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지배 계급 사치로 국가 예산이 낭비되는 시대착오적 체제였다.

1947년 8월 15일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시, 대부분 번왕국은 인도나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75] 주나가드 번왕국은 인도에 강제 병합 후 주민 투표로 귀속이 결정되었고, 니잠 번왕국은 폴로 작전으로 강제 병합되었다.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귀속 문제는 카슈미르 분쟁으로 이어져 현재도 미해결 상태다. 인도 정부의 강제 병합에는 인도 대반란 당시 영국 측에 섰던 번왕국에 대한 보복 의미도 있었다고 여겨진다.

미얀마 번왕국은 독립 후에도 지배력을 유지했지만, 1962년 네윈 군사 쿠데타버마식 사회주의 체제가 수립되자 지배층에서 배제되었다. 일부 번왕국은 버마 공산당 등 반정부 세력에 의해 축출되기도 했다.

2. 1. 무굴 제국 붕괴와 번왕국의 등장

18세기무굴 제국의 황제 아우랑제브가 사망하면서 제국은 분열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독립한 주와 그 주변의 여러 영방들 중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와 군사 보호 조약을 맺고 동맹 관계에 있던 국가들을 번왕국이라고 한다. 인도 번왕국은 대부분 이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일부는 오랜 외부 이주로 인해 외래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통치자는 튀르크족, 보팔 번왕국 통치자는 아프간족, 잔지라 번왕국 통치자는 아비시니아인이었다. 힌두 왕국 통치자 대부분은 크샤트리아였으며, 라지푸트 국가와 산발적인 남인도 왕국만이 무굴 제국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가지고 있었다.[7]

번왕국은 약 600개에 달했으며, 그 크기는 니잠 번왕국(하이데라바드 번왕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처럼 20만 평방 킬로미터를 넘는 것부터[70] 수 평방 킬로미터 정도의 것까지 다양했다. 이들은 독립 전 인도 전체 면적의 약 45%, 인구의 약 24%를 차지했다.

번왕의 칭호는 다양했는데, 힌두교도는 마하라자(대왕), 라자(왕), 데슈무크(향주), 타쿠르(지주) 등을 사용했고, 무슬림(이슬람교도)은 나와브(태수, 지사), 왈리(지배자) 등을 사용했다. 하이데라바드 번왕은 무굴 제국 시대에 유래하는 니잠(통치자)을 칭했다.[71][72] 하지만 영국 정부에서는 모두 "번왕"(prince: "제후"의 의미)이라고 불렀다.

번왕국은 영국과의 군사 보호 조약에 의해 방위·외교권을 제외한 자치권을 인정받았지만, 종종 영국이 파견한 정치 고문(주재관)의 내정 간섭을 받았다. 인도 총독 제임스 램지 (제1대 달후지 후작)의 "실권의 원리"(양자 상속을 인정하지 않는 번왕국 병합 정책)로 인해 많은 번왕국이 영국령에 병합되기도 했다.[73][74] 그러나 인도 대반란 이후에는 분할 통치에 이용할 수 있는 괴뢰 세력으로서 보호받게 되었다.

2. 2.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관계

영국 동인도 회사와 인도 번왕국 간의 관계는 군사 보호 조약 및 동맹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18세기 초 무굴 제국이 쇠퇴하면서, 여러 독립 국가와 영토들이 등장했고, 이들은 영국 동인도 회사와 군사적 보호 관계를 맺었다.[70] 번왕국은 방위와 외교를 영국에 위임하는 대신, 내정 자치권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영국은 정치 고문(주재관)을 파견하여 번왕국 내정에 빈번하게 간섭했다.[71][72]

번왕국의 수는 약 600개에 달했으며, 그 면적은 니잠 번왕국이나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처럼 20만 평방 킬로미터를 넘는 곳에서부터 수 평방 킬로미터에 불과한 곳까지 다양했다. 번왕국의 총면적은 독립 이전 인도 전체의 약 45%를, 인구는 약 24%를 차지했다.

번왕의 칭호는 다양했는데, 힌두교도는 마하라자(대왕), 라자(왕) 등을, 무슬림(이슬람교도)은 나와브(태수), 왈리(지배자) 등을 사용했다. 하이데라바드 번왕은 무굴 제국 시대부터 내려오는 니잠(통치자)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71][72] 영국 정부는 이들을 모두 "번왕"(prince, 제후)이라고 불렀다.

인도 총독 댈하우지 후작은 "실권의 원리"를 강행하여, 후계자가 없는 번왕국을 영국령에 병합했다.[73][74] 이 정책은 양자 상속을 인정하지 않아 인도 전통과 충돌했다. 아와드, 나그푸르, 잔시, 사타라, 삼발푸르, 탄자부르 등이 이 정책으로 병합되었다. 그러나 인도 대반란 이후, 영국은 번왕국을 분할 통치에 이용할 수 있는 세력으로 판단하여 보호 정책으로 전환했다.

번왕국에는 인도 의회의 법률이 적용되지 않았고, 번왕들은 자유롭게 통치했다. 크리슈나 라자 4세나 사야지 라오 가이콰드 3세와 같은 일부 명군이 통치한 번왕국은 근대 국가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지배 계급의 사치로 국가 예산이 낭비되는 시대착오적인 체제였다.

2. 3. 인도 대반란과 번왕국의 역할 변화

1857년 인도 대반란 이후, 영국은 번왕국을 분할 통치에 이용할 수 있는 괴뢰 세력으로 보고 보호하게 되었다.[73][74] 이로 인해 당시 번왕국에는 인도 의회의 법률이 적용되지 않았고, 번왕들은 자유롭게 통치했다. 크리슈나 라자 4세나 사야지 라오 가이콰드 3세와 같은 명군이 통치한 극소수의 번왕국에서는 근대 국가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지배 계급의 사치에 국가 예산의 대부분이 사용되는 시대에 뒤떨어진 체제였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당시 인도 정부가 많은 번왕국을 강제적으로 병합한 이유 중 하나는, 19세기 인도 대반란 당시 대부분의 번왕국이 반란을 진압한 영국 측에 붙었던 것에 대한 보복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2. 4. 인도 독립과 번왕국의 통합

1947년 인도 독립 당시, 인도는 영국령 인도와 번왕국으로 나뉘어 있었다. 인도 국민 회의는 번왕국을 인도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과 V. P. 메논은 번왕국 통치자들을 설득하여 인도에 합병하도록 했다.

대부분의 번왕국은 인도나 파키스탄에 평화적으로 병합되었지만,[49]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주나가드 등 일부 번왕국은 예외였다.[50][51] 자와할랄 네루는 번왕국의 존재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1946년에는 어떤 번왕국도 독립 인도의 군대에 대항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59]

  •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통치자가 인도 합병을 결정하면서 카슈미르 분쟁을 야기했다.[50]
  •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독립을 선택했다가 인도의 침공과 병합이 이루어졌다.
  • 주나가드: 통치자가 파키스탄에 병합을 선언했지만 인도가 병합했다.[51]


파키스탄 지역에서는 칼라트 칸국이 독립을 선언했지만, 1948년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압둘 카림 왕자의 반란이 발생하여 분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68]

인도 정부는 1971년 헌법 개정을 통해 번왕의 특권을 폐지하고, 사적 지갑 지급을 중단했다.[57]

2. 4. 1. 카슈미르 분쟁

카슈미르 분쟁은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귀속 문제를 둘러싼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분쟁이다.

카슈미르 지역은 주민 대다수가 무슬림이었지만, 번왕국의 힌두교도 마하라자 하리 싱은 인도와 파키스탄 어느 쪽에도 가입하지 않고 독립을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는 무슬림 반군이 봉기했고, 하리 싱은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인도 자치령 가입을 조건으로 인도는 군대를 파견했고, 이는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이어졌다.[1]

전쟁은 유엔의 중재로 휴전했지만, 카슈미르의 최종 지위는 결정되지 않았다. 이후 카슈미르에서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갈등이 지속되었고, 여러 차례의 전쟁과 군사적 충돌이 발생했다. 특히 카슈미르 주민들의 인권 침해와 자결권 문제가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1]

3. 번왕국의 지위와 칭호

번왕국 통치자들은 다양한 칭호를 사용했는데, 힌두교 통치자들은 마하라자(대왕), 라자(왕), 데슈무크(향주), 타쿠르(지주) 등의 칭호를 사용했고, 무슬림 통치자들은 나와브(태수, 지사), 왈리(지배자) 등의 칭호를 사용했다. 하이데라바드 번왕국은 무굴 제국 시대부터 내려오는 니잠(통치자)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71][72] 그러나 영국 정부는 이 모든 칭호를 '번왕'(prince)으로 통일하여 불렀다.

번왕국은 영국과의 군사 보호 조약에 따라 방위와 외교를 제외한 자치권을 인정받았지만, 영국의 정치 고문(주재관)으로부터 내정 간섭을 받기도 했다.

3. 1. 힌두교 및 이슬람교 통치자의 칭호

인도 통치자들은 마하라자, 라자, 술탄, 나와브, 에미르, 라제, 니잠, 와디야르(마이소르의 마하라자들만 사용, "영주"를 의미) 등 다양한 칭호를 사용했다. 무굴 제국 이전부터 존재했거나, 이러한 오래된 국가에서 분리된 보다 권위 있는 힌두 통치자들은 종종 "라자" 또는 라제, 라이, 라나 같은 칭호를 사용했다. 가장 권위 있는 힌두 통치자들은 일반적으로 "마하-"("위대한", "대공"과 비교)를 칭호에 접두사로 사용했으며, ''마하라자'', ''마하라나'', ''마하라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무슬림 통치자들은 거의 모두 무굴 총독이 사용했던 "나와브"(아랍어 존칭 ''나이브'', "대리인")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영국 정부는 인도 통치자들이 영국 군주와 동등한 지위를 갖는 것을 막기 위해 이들의 칭호를 모두 "번왕"으로 통일했다.[12][13]

3. 2. 예포 제도

예포 제도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활동하던 지역, 또는 일반적으로 주와 그 왕조의 주요 통치자의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주의 수장으로서 특정 번왕은 3문에서 21문까지 홀수로 포를 발사하여 경례를 받을 자격이 있었으며, 포의 수가 많을수록 위신이 높았다.[14] 포의 수는 일반적으로 특정 주의 모든 연속 통치자에게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때로는 개별 군주에게 개인적인 기준으로 추가 포가 부여되기도 했다. 또한, 통치자는 때때로 자체 영토 내에서만 추가 예포를 받아 준 승진을 구성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든 통치자(약 120명)의 주는 예포 국가로 알려졌다.

인도 분할 이후, 우다이푸르의 마하라나는 하이데라바드 주가 새로운 인도 자치령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도에서 가장 선임 군주로서 하이데라바드 니잠을 대체했으며, "전하"라는 칭호는 9문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는 모든 통치자에게 확대되었다. 번왕국이 인도 연방에 통합되었을 때 그들의 통치자는 특권과 유지비(사적 수입)을 계속 약속받았다. 그 후, 인도 정부가 1971년에 사적 수입을 폐지했을 때, 비록 많은 가문이 여전히 사회적 위신을 유지하고 있으며, 통치자의 일부 후손은 여전히 지역 또는 국가 정치, 외교, 사업 및 상류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전체 번왕은 인도법에 따라 더 이상 인정받지 못하게 되었다.

인도 독립 당시, 단 5명의 통치자, 즉 하이데라바드의 니잠, 마이소르의 마하라자, 잠무 및 카슈미르 주의 마하라자, 바로드의 가이콰드 마하라자, 그리고 과르의 신디아 마하라자만이 21문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었다. 보팔의 나바브, 홀카르 마하라자 인도르, 바라트푸르의 마하라자, 우다이푸르의 마하라나, 콜라푸르의 마하라자, 파티알라의 마하라자, 트라방코르의 마하라자는 19문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었다. 가장 선임 번왕은 하이데라바드 니잠이었으며, "고귀하신 전하"라는 독특한 칭호와 21문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었다.[14] 11문(곧 9문도) 이상의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는 다른 번왕 통치자는 "전하"라는 칭호를 받을 자격이 있었다. 더 적은 수의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는 통치자는 특별한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인도의 영국 "국왕-황제"는 무굴 제국의 "최고 통치자"이자 계승자로서 '황실' 101문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었으며, 폐하라는 칭호가 부여되었다. 이는 유럽 전통에서 왕위 계승자(남성)의 탄생을 알리기 위해 발사되는 포의 수이기도 했다.

작위의 등급과 예포의 등급 간에는 엄격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실제 우선 순위의 척도는 예포의 수였으며, 예포가 많을수록 작위의 등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예포를 받는 번왕국의 대다수는 최소 9문의 예포를 받았으며, 그 미만은 주로 영국의 보호를 받던 아덴 보호령의 아랍 셰이크들에게 부여되었다.

명성이 낮은 이른바 비예포 봉건국도 많았다. 예포 봉건국은 총 117개였고 번왕국은 500개 이상이었으므로, 대부분의 군주는 예포를 받을 자격이 없었다. 이들 모두가 소규모 통치자는 아니었는데, 예를 들어 수르구자 번왕국은 카라울리 번왕국보다 더 크고 인구도 많았지만, 카라울리 마하라자는 17문의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었고 수르구자 마하라자는 예포를 받을 자격이 전혀 없었다.[15][16][17]

4. 주요 번왕국

인도 번왕국은 18세기 초 무굴 제국의 황제 아우랑제브 사후 제국이 분열되면서 독립한 주와 그 주변의 여러 영방들 중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와 군사 보호 조약을 맺고 동맹 관계에 있던 국가들이다.

번왕국은 약 600개에 달했으며, 니잠 번왕국(하이데라바드 번왕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처럼 면적이 200000km2가 넘는 곳부터, 수 평방 킬로미터 정도의 작은 곳까지 다양했다. 번왕국의 총면적은 독립 전 인도 전체의 약 45%, 인구는 약 24%를 차지했다.[70]

번왕의 칭호는 다양했는데, 힌두교도는 마하라자(대왕), 라자(왕), 데슈무크(향주), 타쿠르(지주) 등을, 무슬림(이슬람교도)은 나와브(태수, 지사), 왈리(지배자) 등을 칭했다. 하이데라바드 번왕은 무굴 제국 시대에 유래하는 니잠(통치자)을 칭했다.[71][72] 하지만 영국 정부에서는 모두 "번왕"(prince: "제후"의 의미)이라고 불렀다.

번왕국은 영국과의 군사 보호 조약으로 방위·외교권을 제외한 자치권을 인정받았지만, 종종 영국이 파견한 정치 고문(주재관)의 내정 간섭을 받았다. 인도 총독 제임스 램지 (제1대 달후지 후작)의 "실권의 원리"(양자 상속을 인정하지 않는 번왕국 병합 정책)로 인해 영국령에 병합된 번왕국도 많았다.[73][74] 그러나 인도 대반란 이후에는 분할 통치에 이용할 수 있는 괴뢰 세력으로서 보호받게 되었다.

당시 번왕국에는 인도 의회의 법률이 적용되지 않았고, 번왕들은 자유롭게 통치했다. 크리슈나 라자 4세나 사야지 라오 가이콰드 3세와 같은 명군이 통치한 극소수의 번왕국에서는 근대 국가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은 지배 계급의 사치에 국가 예산의 대부분이 사용되는 시대에 뒤떨어진 체제였다.

1947년 8월 15일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시,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번왕국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75] 주나가드 번왕국은 인도가 파키스탄 내지가 될 것을 우려하여 강제 병합 후 주민 투표로 인도 귀속이 결정되었고, 니잠 번왕국은 폴로 작전으로 인도에 강제 병합되었다.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귀속 문제는 카슈미르 분쟁으로 이어져 현재도 계류 중이다. 인도 정부가 많은 번왕국을 강제 병합한 것은 인도 대반란 당시 영국 측에 붙었던 것에 대한 보복의 의미가 포함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유사한 지배 체제는 종교·문화가 다른 미얀마(버마)에서도 행해졌으며, 현재의 카렌 주, 카친 주, 샨 주 등 소수 민족 거주 지역에 번왕국이 건국되었다. 미얀마의 번왕국은 독립 후에도 일정한 지배력을 유지했지만, 1962년 네윈의 군사 쿠데타버마식 사회주의 체제가 수립되자 정부군에 의해 지배층에서 배제되었다. 샨 주 등 일부 번왕국은 구 버마 공산당 등의 신흥 반정부 세력에 의해 축출되기도 했다.

4. 1. 인도 지역

인도 독립 당시의 번왕국은 대부분 무굴 제국의 붕괴 이후에 형성되었다. 많은 번왕국은 인도에 대한 오랜 외부 이주 기간으로 인해 외래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 이 중 일부는 하이데라바드 통치자(튀르크족), 보팔 통치자(아프간족) 및 잔지라 통치자(아비시니아인) 등이었다. 힌두 왕국 중 대부분의 통치자는 크샤트리아였다. 라지푸트 국가와 산발적인 남인도 왕국만이 무굴 제국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가지고 있었다.[7]

면적 기준 11개의 가장 큰 번왕국
번왕국 이름면적(제곱마일)1941년 인구현재 주(州)통치자의 칭호, 민족, 종교통치자에 대한 예포
-- 잠무 카슈미르약 218777.80km24,021,616잠무 카슈미르마하라자, 도그라, 힌두교21
하이데라바드약 214185.77km216,338,534텔랑가나, 마하라슈트라, 카르나타카니잠, 튀르크, 이슬람교21
칼라트약 189788.21km2250,211발루치스탄, 파키스탄 또는 왈리, 발루치, 이슬람교19
조드푸르
약 93423.00km22,125,000라자스탄마하라자, 라토르, 힌두교17
마이소르약 76295.49km27,328,896카르나타카워데야르 왕조; 마하라자; 칸나다인; 힌두교 크샤트리아 (칸나다어로 우르스/아라스)21
괄리오르약 68367.58km24,006,159마디아프라데시마하라자, 마라타, 힌두교21
-- 비카네르약 60390.45km2936,218라자스탄마하라자, 라토르, 힌두교17
-- 바하왈푸르약 45909.90km21,341,209펀자브 (파키스탄)나와브 아미르, 아바스 왕조, 이슬람교17
-- 자이살메르약 41698.60km276,255라자스탄마하라자, 바티, 힌두교15
-- 자이푸르약 40406.20km22,631,775라자스탄마하라자, 카츠와하, 힌두교17
-- 바스타르약 33830.26km2306,501차티스가르마하라자, 카카티야 - 반지, 힌두교-


4. 2. 파키스탄 지역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발루치스탄 지역에는 마크란, 카란, 라스 벨라, 칼라트 4개의 번왕국이 있었다. 처음 세 나라는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63][64][65][66] 그러나 네 번째 번왕국인 칼라트의 아흐마드 야르 칸은 칼라트 칸 독립을 선언했는데, 이는 모든 번왕국에 주어진 선택지 중 하나였다.[67] 칼라트 번왕국은 1948년 3월 27일에 병합될 때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했다. 아흐마드 야르 칸이 병합 문서에 서명하자 그의 형제인 압둘 카림 왕자는 1948년 7월 형의 결정에 반기를 들었고, 이로 인해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은 반란이 발생했다.[68]

바하왈푸르는 1947년 10월 5일 펀자브 에이전시에서 파키스탄에 합류했다. 북서 변경 주 번왕국 에이전시의 번왕국에는 디르, 스와트, 치트랄 에이전시 그리고 암과 풀라의 정치 에이전트로 활동하는 하자라의 부청장이 포함되었다. 이 국가들은 영국의 독립과 함께 파키스탄에 합류했다.

번왕국
바하왈푸르 번왕국
카이르푸르 번왕국
카라트 번왕국
라스 베라 번왕국
마크란 번왕국
암브 번왕국
치트랄 번왕국
디르 번왕국
스와트 번왕국
훈자 번왕국
나가르 번왕국
발루치스탄 번왕국
신드 번왕국
칼라트 번왕국
초리스타안 번왕국
시크 번왕국


4. 3. 미얀마 (버마) 지역

(10만 루피)통치자의 칭호, 민족, 종교통치자에 대한 예포지방 정치 장교의 지정시포(티보)약 13172.61km2105,000 (불교)3소브와, , 불교9감독관, 북부 샨 주켕퉁약 31079.70km2190,000 (불교)1소브와, 샨, 불교9감독관 남부 샨 주용웨약 2240.33km295,339 (불교)2.13소브와, 샨, 불교9감독관 남부 샨 주몽나이약 7036.96km244,000 (불교)0.5소브와, 샨, 불교감독관 남부 샨 주5 카렌니 주약 8106.62km245,795 (불교 및 애니미즘)0.035소브와, 카렌니, 불교감독관 남부 샨 주기타 44개 주약 109291.77km2792,152 (불교 및 애니미즘)8.5합계약 173556.83km21,177,98713.5colspan="3" |

5. 번왕국의 군사력

번왕국 군대는 종속 동맹에 의해 많은 제약을 받았다. 이들은 주로 의례적인 행사나 내부 치안 유지에 사용되었지만, '제국 군사 부대'로 지정된 일부 부대는 영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정규 인도군과 함께 복무하기도 했다.[39]

Imperial Gazetteer of India영어에 따르면, 번왕은 이웃을 공격하거나 외국과 분쟁을 일으킬 수 없었기 때문에 경찰 업무, 개인적인 과시, 또는 제국 정부와의 협력을 위해 필요한 군사 시설 외에는 필요가 없었다. 1844년 괄리오르와의 조약과 1881년 마이소르에 주어진 양도 서류는 모두 보호를 명분으로 번왕국 군대를 제한했다. 영국 정부는 번왕국 영토를 침략과 내부 반란으로부터 보호하겠다고 약속했고, 번왕국 군대는 영국령 인도뿐만 아니라 국왕-황제의 종주권 아래 있는 모든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조직되었다.[40]

대부분의 대규모 번왕국과의 조약에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제약이 있었다.[41]

제약 사항


5. 1. 제국 군사 부대

종속 동맹에 의해 부과된 많은 제약에 묶여 있던 번왕국 군대는 주로 의례적인 용도와 내부 치안을 위해 존재했다. 하지만, 제국 군사 부대로 지정된 특정 부대는 영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정규 인도군과 함께 복무할 수 있었다.[39]

Imperial Gazetteer of India영어에 따르면, 번왕국 군대는 경찰 업무, 개인적 과시 또는 제국 정부와의 협력을 위해 필요하지 않은 군사 시설을 갖출 필요가 없었다. 1844년 괄리오르와 맺은 조약과 1881년 마이소르에 주어진 양도 서류는 모두 보호라는 광범위한 근거에 따라 번왕국의 군대를 제한했다. 영국 정부는 번왕국의 영토를 침략과 내부 반란으로부터 보호하기로 약속했으며, 번왕국 군대는 영국령 인도뿐만 아니라 국왕-황제의 종주권 아래 있는 모든 소유물을 방어하기 위해 조직되었다.[40]

또한, 대부분의 대규모 번왕국과의 조약에는 다음과 같은 제약이 있었다.

제국 군사 부대는 영국 육군 장교의 정기적인 검사를 받았으며 영국령 인도군의 군인과 동일한 장비를 갖추었다.[42] 그 수는 비교적 적었지만, 20세기 초 10년 동안 중국과 영국령 소말릴란드에서 활약했으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동했다.[42]

6. 번왕국의 정치적 통합

1920년, 마하트마 간디의 지도 아래 인도 국민 회의는 인도인들의 자치(''스와라지'')를 목표로 삼았다. 국민 회의는 번왕국 군주들에게 "완전한 책임 정부" 수립을 요청했지만, 내정에는 간섭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43] 1928년 캘커타 회의에서 이 요구를 반복하며 번왕국 국민들의 투쟁을 지지했다.[44]

자와할랄 네루는 국민 회의가 번왕국에 맞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4] 1929년 라호르 회의에서 네루는 "인도 국가는 나머지 인도와 분리되어 살 수 없다"고 선언하며, 번왕국의 미래는 국민들이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5]

1937년 인도 지방 선거에서 국민 회의가 승리한 후, 번왕국에서 사티아그라하(비폭력 저항) 운동이 일어났고, 국민 회의는 이를 지원했다. 간디는 라지코트 번왕국에서 단식 투쟁을 하며 "완전한 책임 정부"를 요구했고, 국민 회의가 번왕국에 간섭할 권리가 있다고 선언했다.[44] 1937년 간디는 영국령 인도와 번왕국 간의 연방 결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6] 1939년 네루는 번왕국이 시대착오적이라고 비판했고,[44] 1946년에는 번왕국이 독립 인도의 군대에 맞설 수 없다고 지적했다.[59]

힌두 마하사바는 번왕국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독립 유지를 도왔다. 비나야크 다모다르 사바르카르는 힌두교 국가를 '힌두 세력의 기반'으로 칭송하며, 마이소르 번왕국, 트라방코어 등을 '진보적인 힌두 국가'로 칭송했다.[47][48]

1947년 인도 독립과 함께 번왕국 시대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1950년까지 거의 모든 번왕국이 인도나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49] 이 과정은 대체로 평화로웠지만,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주나가드, 칼라트 칸국 등에서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분쟁이 일어났다.[50][51][52][53][54]

6. 1. 인도에 의한 통합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과 V. P. 메논은 인도 독립 직전과 직후 몇 달 동안 수백 개의 번왕국 통치자 거의 모두를 설득하여 인도에 합병하도록 했다. 1948년 1월 발라브바이 파텔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과정은 대부분의 번왕국을 인도에 성공적으로 통합했지만, 일부 국가와 관련하여 성공적이지 못했다. 특히 카슈미르의 옛 번왕국과 같은 경우, 카슈미르의 마하라자는 파키스탄의 침략 위협을 받을 때까지 인도 합병 조약 서명을 연기했고, 이는 카슈미르 분쟁으로 이어졌다. 하이데라바드의 통치자는 독립을 유지하기로 결정하여 이후 폴로 작전 침략으로 패배했다.

사르다르 파텔과 V. P. 메논은 합병을 확보한 후 단계별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이러한 국가에 대한 중앙 정부의 권한을 확보하고 확장하고 행정부를 개혁하여 1956년까지 영국령 인도와 이전 번왕국 간의 차이가 거의 없게 만들었다. 동시에 인도 정부는 외교적, 경제적 압력을 통해 아대륙에 남아있는 대부분의 유럽 식민지 월경지를 장악했다. 포르투갈 정부의 지루하고 완강한 저항에 진저리난 인도 육군은 1961년 고아를 침공하여 병합했다.[56] 이러한 영토는 번왕국과 마찬가지로 인도 공화국에 통합되었다.

최종 단계로 1971년, 인도 헌법의 제26차 개정[57]은 통치자로서의 왕자들에 대한 인정을 철회하고, 남아있는 특권을 박탈하고, 사적 지갑에 의해 부여된 보수를 폐지했다.

합병 조건에 따라, 옛 인도 왕자들은 사적 지갑 (정부 수당)을 받았고, 1956년까지 지속된 과도기 동안 지위, 특권 및 내부 문제에 대한 자율성을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옛 번왕국들은 연합으로 통합되었으며, 각 연합은 주 총독에 해당하는 "라지프라무크"(통치 수장)라는 칭호를 가진 이전의 통치 왕자가 이끌었다.[58] 1956년에는 "라지프라무크"의 직책이 폐지되고 연합이 해체되었으며, 이전 공국들은 인도 주의 일부가 되었다.

6. 2. 파키스탄에 의한 통합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발루치스탄에는 마크란, 카란, 라스 벨라, 칼라트 4개의 번왕국이 있었다. 처음 세 나라는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63][64][65][66] 그러나 네 번째 번왕국인 칼라트 칸 아흐마드 야르 칸은 칼라트의 독립을 선언했는데, 이는 모든 번왕국에 주어진 선택지 중 하나였다.[67] 이 국가는 1948년 3월 27일에 병합될 때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했다. 아흐마드 야르 칸의 병합 문서 서명으로 인해 그의 형제인 압둘 카림 왕자는 1948년 7월 형의 결정에 반기를 들었고, 이로 인해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은 진행 중인 반란이 발생했다.[68]

바하왈푸르는 1947년 10월 5일 펀자브 에이전시에서 파키스탄에 합류했다. 북서 변경 주 번왕국 에이전시의 번왕국에는 디르, 스와트, 치트랄 에이전시, 그리고 암과 풀라의 정치 에이전트로 활동하는 하자라의 부청장이 포함되었다. 이 국가들은 영국의 독립과 함께 파키스탄에 합류했다.

7. 번왕국 관련 작품

디완 자르마니 다스(Diwan Jarmani Dass)의 저서 《마하라자의 환락과 음모의 나날 - 인도 뒷면사》는 번왕국을 주제로 다룬 작품이다.[1]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서적 The Chamber of Princes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4] 뉴스 Who betrayed Sardar Patel? http://www.thehindu.[...] 2013-11-18
[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ia, 1480–1950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6] 서적 The India Office and Burma Office List: 1945 Harrison & Sons, Ltd.
[7] 서적 Dethrone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문서 Interpretation Act 1889
[9] 서적 Imperial Gazetteer of India, volume IV, published under the authority of the India Office|Secretary of State for India-in-Council Oxford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서적 Report of the Indian Statutory Commission ...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2012-06-09
[13] 서적 All India reporter https://archive.org/[...] D.V. Chitaley 2012-06-09
[14] 웹사이트 King of all rewinds https://www.theweek.[...]
[15] 서적 The Golden Book of India. A Genealogical and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Ruling Princes, Chiefs, Nobles, and Other Personages, Titled Or Decorated, of the Indian Empire. With an Appendix for Ceylon https://books.google[...] S. Low, Marston & Company 1900
[16] 서적 The India List and India Office List for ... https://books.google[...] Harrison and Sons 1902
[17] 서적 A History of Rajasthan https://books.google[...] Rupa & Company 2006
[18] 서적 The land problem of reorganized Bombay state https://books.google[...] N. M. Tripathi 2012-06-09
[19] 서적 The Story of the Integration of the Indian States Macmillan Co.
[20] 간행물
[21] 간행물 Mysore Macmillan & Co.
[22] 간행물 Jammu and Kashmir Macmillan & Co.
[23] 간행물 Hyderabad Macmillan & Co.
[24] 간행물
[25] 간행물 Central India Agency Macmillan & Co.
[26] 간행물 Eastern States Macmillan & Co.
[27] 간행물 Gwalior Residency Macmillan & Co.
[28] 간행물
[29] 간행물 Rajputana Macmillan & Co.
[30] 간행물
[31] 간행물 Baluchistan States Macmillan & Co.
[32] 간행물
[33] 간행물
[34] 간행물
[35] 간행물 Punjab States Macmillan & Co.
[36] 간행물 Imperial Gazetteer of India vol. IV 1907
[37] 서적 Assam States Macmillan & Co. 1947
[38] 간행물 Imperial Gazetteer of India vol. IV 1907
[39] 서적 The Armies of India
[40] 간행물 Imperial Gazetteer of India vol. IV 1907
[41] 간행물 Imperial Gazetteer of India vol. IV 1907
[42] 간행물 Imperial Gazetteer of India vol. IV 1907
[43] 서적 Congress and Indian Nationalism: The Pre-Independence Pha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8-14
[44] 서적 From Raj to Republic: Sovereignty, Violence, and Democracy in Indi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4-08-11
[45] 서적 Towards the Integration of Indian States, 1919-1947 https://books.google[...] Asia Publishing House 2023-08-14
[46] 서적 Gandhi and the Nobel Peace Priz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8-14
[47] 서적 Hindu Mahasabha in Colonial North India, 1915-1930: Constructing Nation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10-12
[48] 서적 Ideology and Identity: The Changing Party Systems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10-12
[49] 간행물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for Asian Affairs https://dx.doi.org/1[...]
[50] 서적 Jammu and Kashmir War, 1947–1948: Political and Military Perspectiv https://books.google[...] Hari-Anand Publications Limited
[51] 서적 Explaining Pakistan's Foreign Policy: Escaping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3-16
[52] 서적 The Struggle for Pakistan: A Muslim Homeland and Global Politic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3] 학술지 Understanding the insurgency in Balochistan
[54] 서적 In Afghanistan's Shadow: Baluch Nationalism and Soviet Temptations https://books.googl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55] 서적 The Chamber of Princes https://books.google[...]
[56] 서적 Indian Army after Independence Lancer
[5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26 Amendment) Act, 1971 http://indiacode.nic[...] Government of India 2011-11-09
[58] 서적 India's road to nationhood: a political history of the subcontinent
[59] 서적 India and Asian Geopolitics: The Past, Present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21-04-20
[60] 서적 The Transfer of Power in India, 1945–1947 George Allen & Unwin
[61] 웹사이트 Sardar Patel – Man who United India https://pib.gov.in/n[...] 2017-10-30
[62] 서적 India's road to nationhood: a political history of the subcontinent
[63] 서적 Pakistan's Defence Policy 1947–5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1990-08-22
[64] 서적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Pakistan: The Baloch, Sindhi and Mohajir Ethnic Move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65] 서적 The Warrior State: Pakistan in the Contemporary World https://books.google[...] OUP USA 2014-02
[66] 서적 State and Nation-Building in Pakistan: Beyond Islam and Security Routledge
[67] 서적 To Live or to Perish Forever: Two Tumultuous Years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0-03-02
[68] 서적 Global Security Watch—Pakista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5-26
[69] 서적 2004
[70]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ia, 1480–1950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71] 서적 Report of the Indian Statutory Commission ...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2012-06-09
[72] 서적 All India reporter https://books.google[...] D.V. Chitaley 2012-06-09
[73] 서적 ガードナー『イギリス東インド会社』
[74] 서적 メトカーフ『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75] 서적 The Story of the Integration of the Indian States Macmillan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