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레기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레기속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농어목 바리과에 속하는 물고기 속이다. 몸은 원통형에 가깝고, 둥글거나 각진 전새개골과 송곳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89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산호나 암초에서 서식하고 갑각류 등 무척추동물과 다른 물고기를 먹는다. 우레기속 어류는 상업적 어업과 양식에 이용되며, 한국에는 붉바리, 자바리 등 7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리과 - 자바리
    자바리는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어류를 먹고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며 최대 136cm까지 성장하고 고급 식재료로 이용된다.
  • 바리과 - 참바리아과
    참바리아과는 블리커가 명명한 바리과에 속하는 아과로, 튼튼한 몸과 큰 입을 가진 바리류 물고기 234종을 포함하며, 육식성이고 단독 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고, 식재료, 스포츠 피싱,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시가테라 독을 주의해야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우레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Epinephelus fasciatus
Epinephelus fasciatus, 모식종
Epinephelus tukula
Epinephelus tukula
학명Epinephelus
명명자Bloch, 1793
아카하타속
모식종Epinephelus marginalis
모식종 명명자Bloch, 1793 ( = Epinephelus fasciatus)
화석 범위에오세부터 현재 (5500만년 전 ~ 현재)
하위 분류
본문 참조
이명

2. 형태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들은 길고 원통형에 가까운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모양은 직사각형이거나 깊고 측면으로 압축되어 있다. 몸의 깊이는 표준 길이의 2.3~3.7배 사이이며, 머리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몸의 깊이와 거의 같다.[4] 머리는 크고, 길이는 체고와 거의 같다.[14] 전새개골은 둥글거나 각져 있으며, 후연은 톱니 모양이다.[4],[14] 톱니가 작고, 하단은 피부에 묻혀 있는 종류도 있다.[14] 소수의 종에서는 톱니가 작고 하단 가장자리가 피부에 덮여 있다.[4]

송곳니 모양의 이빨은 턱 앞쪽에 있으며, 몇몇 종에서는 이가 작을 수 있다. 하악 중앙에는 큰 송곳니는 없다.[14] 아래턱 중앙에는 눈에 띄게 확대된 송곳니 모양의 이빨이 없다. 입천장에도 이빨이 있다. 성어의 경우, 상악골의 하단 후면 각도에는 눈에 띄는 뼈 돌출부가 없지만, 위 입술에 가려진 깊은 단계 또는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하단 가장자리의 후면에 있을 수 있다.[4]

등지느러미는 9-10개의 가시와 12-19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조 부분은 가시 부분보다 짧다.[14] 뒷지느러미는 3개의 가시와 7-10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다.[14] 가슴지느러미는 둥글다.[14]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원형, 절단형이며, 상엽은 8개의 분기 연조와 8-10개의 비분기 연조로, 하엽은 7개의 분기 연조와 7-10개의 비분기 연조로 이루어져 있다.[14] 몸은 측편된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직사각형이나 방추형의 종류도 있다.[14] 비늘은 빗비늘 또는 원린이다.[14]

3. 분포 및 생태

우레기속 종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바다와 대양에서 발견된다. 인도-서태평양에서 가장 다양한 종이 분포하며, 동태평양에서는 8종, 서대서양에서는 11종, 동대서양 및 지중해에서는 9종이 발견된다.[2]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에서 레셉스 이동으로 지중해에 진입한 종은 4종이다.[5]

주로 산호초, 암초, 모래나 뻘 바닥에 서식한다. 보통 수심 10m에서 200m 사이에서 발견되지만, 수심 525m가 넘는 심해에 서식하는 종도 있다.[14] 자이언트그루퍼와 점박이대형바리는 몸길이 2m, 몸무게 400kg이 넘는 개체도 포획된다.[14] 대부분의 종은 갑각류 등 대형 무척추동물이나, 해저 또는 해저 부근의 어류를 포식하는 육식성 어류이다.[14] 많은 종이 자성선숙을 하지만, 무리 내에 암컷보다 작은 수컷이 존재하는 경우가 관찰되기도 한다. 일부 암컷은 성전환을 하지 않거나, 일부 수컷은 암컷 단계를 거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14]

4. 인간과의 관계

바리(우레기속)는 양식에 이용되며, 세계 열대 해역에서 상업적 어업으로 이용되는 가장 가치 있는 어종 중 하나로 유통 시 최고 가격을 받는다.[2] 귀중한 어종으로 여겨져 시장에서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다.[14]

5. 하위 종

우레기속에는 89종이 알려져 있으며[25], 2023년 현재 90종 이상이 속해 있다.[16] 일본에서는 4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17] 분자 계통 분석에 따르면, 아즈키하타(아즈키하타속) 및 사라사하타(사라사하타속)를 본 속에 포함시키는 견해도 있다.[17][13]

'''한국 서식 종'''한국어과 '''기타 주요 종'''한국어 외의 다른 종은 다음과 같다.

학명일반명학명일반명학명일반명
E. adscensionisOsbeck영어, 1765E. gabriellaeJ. E. Randall영어 & Heemstra영어, 1991E. radiatusF. Day영어, 1868
E. aeneusÉ. Geoffroy Saint-Hilaire프랑스어, 1817E. geoffroyiKlunzingerde, 1870E. retoutiBleeker영어, 1868
E. albomarginatusBoulenger영어, 1903E. goreensisValenciennes프랑스어, 1830E. rivulatusValenciennes프랑스어, 1830
E. amblycephalusBleekernl, 1857E. heniochusFowler영어, 1904E. sexfasciatusValenciennes프랑스어, 1828
E. analogusT. N. Gill영어, 1863E. hexagonatusForsterde, 1801E. socialisGüntherde, 1873
E. andersoniBoulenger영어, 1903E. howlandiGüntherde, 1873E. spilotocepsSchultz영어, 1953
E. areolatusForsskålsv, 1775E. indistinctusJ. E. Randall영어 & Heemstra영어, 1991E. stictusJ. E. Randall영어 & G. R. Allen영어, 1987
E. bilobatusJ. E. Randall영어 & G. R. Allen영어, 1987E. irroratusForsterde, 1801E. stoliczkaeF. Day영어, 1875
E. bleekeriVaillant프랑스어, 1878E. kupangensisTucker영어, Kurniasihid & Craig영어, 2016E. striatusBlochde, 1792
E. bontoidesBleekernl, 1855E. labriformisL. Jenyns영어, 1840E. suborbitalisAmaoka일본어 & J. E. Randall영어, 1990
E. caninusValenciennes프랑스어, 1843E. lanceolatusBlochde, 1790E. summanaForsskålsv, 1775
E. chabaudiCastelnau프랑스어, 1861E. lebretonianusHombron프랑스어 & Jacquinot프랑스어, 1853E. tankahkeeiWu, Qu, Lin, Tang & Ding중국어 2020
E. chlorocephalusValenciennes프랑스어, 1830E. longispinisKnerde, 1864E. tauvinaForsskålsv, 1775
E. chlorostigmaValenciennes프랑스어, 1828E. macrospilosBleekernl, 1855E. timorensisJ. E. Randall영어 & G. R. Allen영어, 1987
E. cifuentesiLavenberg영어 & Grove영어, 1993E. maculatusBlochde, 1790E. trimaculatusValenciennes프랑스어, 1828
E. clippertonensisG. R. Allen영어 & D. R. Robertson영어, 1999E. magniscuttisPostel프랑스어, Fourmanoir프랑스어 & Guézé프랑스어, 1963E. trophisJ. E. Randall영어 & G. R. Allen영어, 1987
E. coeruleopunctatusBlochde, 1790E. marginatusR. T. Lowe영어, 1834E. tuamotuensisFourmanoir프랑스어, 1971
E. coioidesF. Hamilton영어, 1822E. melanostigmaSchultz영어, 1953E. undulatostriatusW. K. H. Petersde, 1867
E. corallicolaValenciennes프랑스어, 1828E. merraBlochde, 1793E. undulosusQuoy프랑스어 & Gaimard프랑스어, 1824
E. costaeSteindachnerde, 1878E. miliarisValenciennes프랑스어, 1830
E. craigiFrable영어, Tucker영어 & Walker영어, 2018E. morioValenciennes프랑스어, 1828
E. cyanopodusJ. Richardson영어, 1846E. multinotatusW. K. H. Petersde, 1876
E. daemeliiGüntherde, 1876E. ongusBlochde, 1790
E. darwinensisJ. E. Randall영어 & Heemstra영어, 1991E. polylepisJ. E. Randall영어 & Heemstra영어, 1991
E. diacanthusValenciennes프랑스어, 1828E. polyphekadionBleekernl, 1849
E. drummondhayiGoode영어 & T. H. Bean영어, 1878E. polystigmaBleekernl, 1853
E. epistictusTemminck일본어 & Schlegel일본어, 1843E. posteliFourmanoir프랑스어 & Crosnier프랑스어, 1964
E. erythrurusValenciennes프랑스어, 1828E. quinquefasciatusBocourt프랑스어, 1868



일부 학자들은 위에 나열된 종들을 Hyporthodus영어 속으로 분류하기도 하며[12], 예를 들어 ''E. darwinensis''는 ''물고기 도감''에서 ''Hyporthodus darwinensis영어''로 취급된다.[12]

5. 1. 한국 서식 종

우레기속일본어에는 2023년 현재 90종 이상이 속해 있으며[16], 한국에는 다음 종들이 서식한다.

이름학명비고
붉바리E. akaara
도도바리E. awoara
자바리E. bruneus
구실우럭E. chlorostigma
점줄우럭E. epistictus
갈색점바리E. fuscoguttatus
턱자바리E. itajara
대왕바리E. lanceolatus
종대우럭E. latifasciatus
흉기흑점바리E. malabaricus
닻줄바리E. poecilonotus
감자바리E. tukula


5. 2. 기타 주요 종

Epinephelus영어 속에는 89종 이상의 어류가 포함되어 있다.[25] 다음은 그 목록의 일부이다.[6]

학명일반명학명일반명학명일반명
E. akaara붉바리E. fasciatomaculosusE. morrhua
E. awoara도도바리E. fuscoguttatus갈색점바리E. multinotatus
E. bruneus자바리E. guttatus점박이붉바리E. poecilonotus닻줄바리
E. chlorostigma구실우럭E. itajara턱자바리E. polyphekadion
E. epistictus점줄우럭E. lanceolatus대왕바리E. quoyanus
E. fasciatusE. latifasciatus종대우럭E. tukula감자바리



일부 학자들은 이 종들을 Hyporthodus영어 속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2] 예를 들어 ''E. darwinensis''는 ''물고기 도감''에서 ''Hyporthodus darwinensis영어''로 취급된다.[12]

참조

[1] 웹사이트 1393 genera are assigned to the class OSTEICHTHYES http://strata.geolog[...]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20-07-22
[2] 간행물 Epinephelus 2020-06-22
[3] 간행물 2020-06-22
[4]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3[...] FAO, Rome
[5] 논문 First record of the Red Sea spotted grouper, Epinephelus geoffroyi (Klunzinger, 1870) (Serranidae) in the Mediterranean
[6] FishBase
[7] 논문 A new species of grouper, Epinephelus craigi (Perciformes: Epinephelidae), from the South China Sea
[8] 논문 Epinephelus fuscomarginatus (Perciformes: Epinephelidae), a new species of grouper from off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https://biotaxa.org/[...]
[9] 간행물 2019-07-06
[10] 문서 A New Species of Grouper (Epinephelus; Epinephelidae) from the Indo-Pacific
[11] 논문 Epinephelus tankahkeei, a new species of grouper (Teleostei, Perciformes, Epinephelidae) from the South China Sea
[12] 간행물 Epinephelus darwinensis 2020-06-23
[13] 논문 An Inconvenient Monophyly: An Update on the Taxonomy of the Groupers (Epinephelidae) https://doi.org/10.1[...]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14]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https://www.fao.org/[...] FAO Rome
[15] 논문 First record of the Red Sea spotted grouper, Epinephelus geoffroyi (Klunzinger, 1870) (Serranidae) in the Mediterranean https://www.reabic.n[...]
[16] 웹사이트 Species of Epinephelus https://fishbase.mnh[...] Fishbase 2023-10-15
[17] 논문 ハタ科Serranidaeとされていた日本産各種の帰属,および高次分類群に適用する標準和名の検討 https://www.jstage.j[...]
[18] 논문 A new species of grouper, Epinephelus craigi (Perciformes: Epinephelidae), from the South China Sea
[19] 논문 Epinephelus fuscomarginatus (Perciformes: Epinephelidae), a new species of grouper from off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https://biotaxa.org/[...]
[20] 문서 A New Species of Grouper (Epinephelus; Epinephelidae) from the Indo-Pacific
[21] 논문 朝日新聞社
[22] 서적 インド洋の魚類
[23] 서적 世界の絶滅危惧生物図鑑
[24] 논문 Epinephelus tankahkeei, a new species of grouper (Teleostei, Perciformes, Epinephelidae) from the South China Sea
[25]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