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바리는 바리과에 속하는 대형 어류로, 몸 색깔을 바꿀 수 있으며, 작은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 심지어 소형 상어까지 잡아먹는 강력한 포식자이다. 최대 270cm까지 성장하며, 산호초에 서식하는 경골어류 중 가장 크다. 회갈색 바탕에 흰색 반점이 있으며, 어린 개체는 노란색을 띤다. 인도-태평양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식용 및 약용으로 가치가 높아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0년 기재된 물고기 - 큰입선농어
큰입선농어(*Lates calcarifer*)는 동인도양과 서태평양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바라문디'로도 불리는 식용어로, 갑각류, 연체동물, 작은 물고기를 먹고 자라면서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자웅동체 어류이다. - 1790년 기재된 물고기 - 백미돔
백미돔은 도미목 Lobotidae과에 속하는 어류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잎이나 부유물처럼 옆으로 누워 수면에 떠 있는 특이한 행동을 보이고,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며, 상업적 어획 및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 바리과 - 자바리
자바리는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어류를 먹고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며 최대 136cm까지 성장하고 고급 식재료로 이용된다. - 바리과 - 참바리아과
참바리아과는 블리커가 명명한 바리과에 속하는 아과로, 튼튼한 몸과 큰 입을 가진 바리류 물고기 234종을 포함하며, 육식성이고 단독 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고, 식재료, 스포츠 피싱,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시가테라 독을 주의해야 한다. - 바닷물고기 - 뿔상어
뿔상어는 서부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고, 한국, 일본, 중국 연안에 분포하며 식용 또는 약재로 쓰이는 난태생 어류이다. - 바닷물고기 - 별상어
별상어는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있는 상어로,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수은 축적 위험과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대왕바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pinephelus lanceolatus |
명명자 | (마르쿠스 엘리에제르 블로흐, 1790년) |
이명 | Holocentrus lanceolatus Bloch, 1790 Promicrops lanceolatus (Bloch, 1790) Serranus lanceolatus (Bloch, 1790) Serranus geographicus 아실 발랑시엔, 1828 Serranus abdominalis 빌헬름 페테르스, 1855 Batrachus gigas 알베르트 귄터, 1869 Oligorus goliath 찰스 월터 드 비, 1882 Serranus phaeostigmaeus 헨리 위드 파울러, 1907 Stereolepoides thompsoni Fowler, 1923 |
한국어 이름 | 대왕바리 |
영어 이름 | Brindle bass Brindled grouper Giant grouper Queensland groper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목 | 농어목 |
과 | 바리과 |
속 | 바리속 |
보존 상태 | |
IUCN | 정보 부족 |
환경부 | 위기종 |
IUCN 기준 | IUCN3.1 |
분포 | |
서식지 | 태평양, 인도양 |
기타 | |
참고 사항 | 가고시마 수족관 사육 개체 |
2. 특징
대왕바리는 바리과 어류 중에서도 가장 큰 종으로, 최대 몸길이 270cm, 무게 400kg까지 성장한다.[2] 보통은 180cm 정도이다. 환경에 따라 몸 색깔을 바꿀 수 있으며, 먹성이 좋아 작은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 심지어 소형 상어까지 먹는다.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경골어류 중 가장 큰 크기로 바다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에 속한다. 잠수부가 잡은 물고기를 낚아채는 일도 종종 있을 정도로 힘이 세다.
2. 1. 형태
대왕바리는 몸이 튼튼하며 표준 길이가 깊이의 2.4~3.4배에 달한다. 머리의 등쪽 윤곽과 안와 내부는 볼록하다. 아가미 덮개는 둥근 모서리와 미세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윗부분은 볼록하다.[3] 등지느러미에는 11개의 가시와 14~16개의 연조가 있으며,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8개의 연조가 있다.[2] 꼬리지느러미는 약간 둥글다. 측선에는 54~62개의 비늘이 있다.[2] 성어는 회갈색이며 얼룩덜룩한 무늬와 더 어두운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어린 개체는 노란색이며 넓고 어두운 불규칙한 줄무늬와 지느러미에 불규칙한 어두운 점이 있다.[4]2. 2. 생태
대왕바리는 수심 1m에서 100m 사이의 얕은 물, 특히 산호초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큰 개체는 해안이나 항구, 동굴, 난파선에서도 발견된다.[2] 어린 개체는 산호초에 숨어 있어 관찰이 어렵다.[2] 성어는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외해 암초와 석호에 영역을 유지한다.[1] 새우 어부들에 의해 흙이나 진흙 바닥 위 혼탁한 물에서도 잡힌다.[1]대왕바리는 기회주의적 매복 포식자로, 다양한 물고기, 작은 상어, 어린 바다거북, 갑각류, 연체동물을 통째로 삼킨다.[6] 산호초와 암석 지역에 서식하는 대왕바리는 가시발새우를 먹이로 선호한다.[2] 하와이 마우이에서 잡힌 개체의 위 내용물은 가시발새우 두 마리와 여러 마리의 게였다.[2] 남아프리카의 기수 환경에 서식하는 대왕바리는 거의 전적으로 톱날꽃게를 먹는다.[2]
대왕바리는 호기심이 많아 다이버에게 자주 접근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위험하지는 않다. 하지만, 다이버는 큰 개체를 조심하고 손으로 먹이를 주지 않도록 권고된다.[2]
3. 분포
대왕바리는 넓은 인도-태평양 분포를 보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돗돔 종류 중 하나이다.[5] 홍해와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알고아 만까지, 그리고 인도양을 건너 서태평양의 핏케언 제도와 하와이까지 분포한다. 북쪽으로는 일본 남부, 남쪽으로는 호주까지 서식한다.[1] 호주에서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의 로트네스트 섬에서 시작하여 호주의 열대 해안을 따라 북쪽과 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해안에서 떨어진 암초를 포함하여 동부 해안을 따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보이 보이까지 이어진다. 또한 크리스마스 섬과 코코스 (킬링) 제도 그리고 태즈먼 해의 엘리자베스 & 미들턴 리프 해양 국립 공원 보호구역 주변에서도 발견된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의 영허즈번드 반도[2]와 뉴질랜드 북동부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1] 페르시아 만에는 서식하지 않지만,[2] 파키스탄 해안과 오만 남부 해안에서는 발견된다.[1]
일본에서는 이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와카야마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섬 이남의 류큐 열도에서 확인된 사례가 있다.[19][20]
3. 1. 한국 내 분포
제주도 연안, 남해, 동해 남부 해역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오키나와현에서는 "아라미바이"라고 불리며, 대형 바리류를 통칭하는 말이다.4. 번식
대부분의 바리류와 마찬가지로, 대왕바리는 자성선숙이며,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들은 음력 주기에 따라 약 7일 동안 집단 산란을 하며, 일반적으로 수컷 1마리당 암컷 여러 마리가 참여한다. 사육 개체군 연구에 따르면, 산란 초기에는 우세한 수컷과 암컷이 주로 산란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개체들도 산란에 참여하며, 심지어 최근에 수컷으로 성전환한 개체도 번식에 참여한다.[7] 일부 수컷은 암컷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정자를 생산하기도 한다.[8] [27] [28]
5. 인간과의 관계
대왕바리는 식용으로 매우 가치 있어 상업 어업과 레크리에이션 어업에서 많이 잡힌다. 특히 작은 개체는 홍콩에서 활어 무역으로 인기가 높으며,[1] 껍질, 담낭, 위는 한방약으로 사용된다.[1] 해상 양식이 널리 퍼져 있지만, 어린 개체의 공급은 제한적이다.[2] 타이완에서는 "다금바리의 왕", "물고기의 보스"라고 불리며,[33] 사육된 어린 개체를 동남아시아로 수출한다.[2]
일본에서는 고급 식재료로 취급되며, 쓰키지 시장에 드물게 입하된다.[21] 오키나와현에서는 고급 요리에 사용된다.[32] 킨키 대학 수산 연구소 시라하마 실험장에서는 능성어와 교배한 "쿠에타마(クエタマ)"를 만들어 대용어로 양식하고 있으며,[34] 붉은점다금바리와의 잡종도 많이 양식되고 있다.[11]
대왕바리는 남획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
5. 1. 보존 노력
현재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는 어종이다.[1]5. 2. 문화적 측면
오키나와현에서는 방언으로 아라미바이(アーラーミーバイ)라고 불린다.[12] 아라미바이는 대형 다금바리류를 통칭하는 말이다.[29][30]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의 바다를 상징하는 물고기이다.실러캔스와 유사한 형태나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져 수족관에서 함께 전시되기도 한다. 시카고 셰드 수족관의 "버바"는 화학요법을 받은 최초의 물고기로 알려져 있다.[10]
일부 지역에서는 다이버를 통째로 삼킨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큰 크기로 인해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Epinephelus lanceolatus''"
2018
[2]
FishBase
[3]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3[...]
FAO, Rome
[4]
웹사이트
"''Epinephelus lanceolatus''"
http://136.154.202.2[...]
Museums Victoria
2020-07-09
[5]
웹사이트
Epinephelus lanceolatus (giant grouper)
https://www.cabi.org[...]
CAB International
2020-07-09
[6]
웹사이트
Giant Queensland groper
https://www.dpi.nsw.[...]
State of New South Wales
2020-07-09
[7]
논문
A study into parental assignment of the communal spawning protogynous hermaphrodite,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https://zenodo.org/r[...]
2016-06
[8]
논문
Reproductive development of the threatened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9]
문서
"''Holocentrus lanceolatus''"
2020-07-09
[10]
뉴스
"'Bubba,' Famed Cancer-surviving Grouper, R.I.P.; 'Overcame Some Incredible Odds'"
http://www.underwate[...]
Underwatertimes
2006-08-24
[11]
간행물
"''Epinephelus lanceolatus''"
2018
[12]
문서
タマカイ
[13]
FishBase
[14]
논문
ハタ科Serranidaeとされていた日本産各種の帰属,および高次分類群に適用する標準和名の検討
https://doi.org/10.3[...]
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
2022-11-24
[15]
웹사이트
CAS -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Holocentrus lanceolatus
https://researcharch[...]
2024-08-31
[16]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3[...]
FAO, Rome
[17]
웹사이트
Epinephelus lanceolatus (giant grouper)
https://www.cabi.org[...]
CAB International
2024-08-30
[18]
웹사이트
"''Epinephelus lanceolatus''"
http://136.154.202.2[...]
Museums Victoria
2024-08-30
[19]
문서
小学館の図鑑Z 日本魚類館
[20]
웹사이트
環境省版海洋生物レッドリスト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env.go.j[...]
[21]
웹사이트
おさかな情報 No.25 2004年1月 2003年度 第4回展示テーマ ハタ類
http://shimura.moo.j[...]
水槽設備シムラ
[22]
웹사이트
"''Epinephelus lanceolatus''"
http://136.154.202.2[...]
Museums Victoria
2024-08-31
[23]
웹사이트
タマカイ
https://churaumi.oki[...]
沖縄美ら海水族館
2018-05-26
[24]
웹사이트
館内探検マップ-特別展示 タマカイ
http://oki-park.jp/k[...]
2013-04-05
[25]
웹사이트
生物対象群に関するテキスト情報
https://www.env.go.j[...]
環境省
[26]
웹사이트
Giant Queensland groper
https://www.dpi.nsw.[...]
State of New South Wales
2024-08-31
[27]
논문
A study into parental assignment of the communal spawning protogynous hermaphrodite,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https://zenodo.org/r[...]
2016-06
[28]
논문
Reproductive development of the threatened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29]
논문
サンゴ礁の巨大魚 タマカイ
https://churashima.o[...]
沖縄美ら島財団
2018-05-27
[30]
웹사이트
タマカイ人工授精成功 県水産センター石垣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社
2013-04-04
[31]
웹사이트
全長230センチ!巨大魚“タマカイ”
http://web.sunsuntv.[...]
高知さんさんテレビ
2013-04-04
[32]
웹사이트
タイムス料理講習会
http://www.times-sc.[...]
株式会社沖縄タイムスサービスセンター
[33]
웹사이트
ハタ王国の栄光と危機 世界に誇るハタ王国
https://www.taiwan-p[...]
台湾政府・新聞局
[34]
웹사이트
"「非常においしい」と評判だけど見慣れない魚…「クエタマ」に胸張る研究者"
https://www.yomiuri.[...]
2023-03-13
[35]
웹사이트
シーラカンス展示新しく アクアマリンふくしま
http://www.minpo.jp/[...]
福島民報社
2013-04-04
[36]
뉴스
"'Bubba,' Famed Cancer-surviving Grouper, R.I.P.; 'Overcame Some Incredible Odds'"
http://www.underwate[...]
Underwatertimes
2024-08-31
[37]
웹사이트
ハイビジョン特集 シリーズ 日本人カメラマン 野生に挑む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08-02-20
[38]
간행물
環境省版海洋生物レッドリスト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21-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