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제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하 이집트의 수호신이자 파라오와 이집트 전체의 보호자로 숭배받았다. 뱀의 모습을 한 이집트 코브라로 묘사되며, 때로는 날개 달린 코브라, 사자 머리를 한 여신, 또는 독수리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녀는 라의 딸, 호루스의 간호사, 그리고 네크베트와 함께 이집트를 수호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왕관 장식, 부적, 사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현대 매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며, 금성의 지형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제트 - 우라에우스
우라에우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권위를 상징하는 코브라 형상의 장식으로, 와제트 여신을 상징하며 이집트 통일 후에는 네크베트와 함께 공동 수호신의 역할을 수행했고, 파라오의 신성함과 적을 물리치는 수호의 의미를 지녔다. - 우제트 - 호루스의 눈
호루스의 눈은 고대 이집트 신화의 신 호루스의 눈을 상징하며 태양과 달, 왕권 수호, 치유, 지혜를 의미했고, 특히 우제트의 눈은 회복과 재탄생의 부적으로 사용되어 미술, 의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하이집트 - 나일강 삼각주
나일강 삼각주는 이집트 북부의 광대한 충적 평야로 나일강이 지중해로 흘러들면서 형성되었고 비옥한 토지를 제공하는 이집트 농업의 중심지이지만,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식과 토지 손실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하이집트 - 멤피스 (이집트)
멤피스는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부터 고왕국 시대까지 수도였으며 프타 신 숭배의 중심지였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뱀의 여신 - 아테나
아테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지혜, 전략적 전투, 공예의 여신이자 아테네의 수호신으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탄생했으며 그리스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예술과 문학에서 상징으로 남아있다. - 뱀의 여신 - 업신
업신은 한국 민간 신앙에서 재물을 관장하며 곡식 창고나 돈을 보관하는 곳에 깃들어 집안의 번영을 돕는 신으로, 쥐, 뱀, 족제비 등 다양한 동물 형상이나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터주신과 함께 숭배되기도 한다.
우제트 | |
---|---|
개요 | |
![]() | |
종류 | 이집트 신 |
상징 | 이집트 코브라 |
문화적 중요성 | |
숭배 중심지 | 부토 |
이름 | |
영어 | Wadjet |
이집트어 | wꜢḏyt |
그리스어 (고대 코이네) | Οὐτώ (우토) |
그리스어 | Βουτώ (부토) |
2. 어원
와제트(Wadjet)[9]라는 이름은 그녀의 영역인 하 이집트의 상징인 ''파피루스''에서 유래되었다.[10] 그 상형 문자는 녹색 왕관 또는 하 이집트의 데셰르트와 결정자(determinant)만 다를 뿐이며, 왕관의 경우 녹색 왕관 그림[11], 여신의 경우 솟아오르는 코브라였다. 와제트와 관련된 다양한 눈(Wedjat-eye)의 음역은 "온전한 자"를 뜻한다. 와제트의 이름은 T로 끝나는데, 이는 일부에서 주장하는 그녀가 남성이 아닌 여성임을 의미한다.[12] 와제트의 다른 이름으로는 웨자트, 와지트, 우토, 부토, 에드조 등이 있다.[13]
와제트는 코브라 형태로 하 이집트의 수호신이자 보호자로 여겨졌다.[14] 상 이집트의 여신인 네크베트와 통합된 후에는 이집트 전체의 공동 보호자이자 후원자가 되었다. 두 여신이 함께 있는 모습은 왕가의 계곡에 있는 세티 1세의 무덤에서 볼 수 있다.[15] 태양 원반과 함께 있는 와제트의 이미지는 우라에우스라고 불렸으며, 하 이집트 통치자들의 왕관에 있는 문장이었다. 그녀는 왕들과 출산하는 여성의 보호자였으며, 그들을 해칠 수 있는 적들로부터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와제트는 일반적으로 이 지역에 흔한 독이 있는 뱀인 이집트 코브라로 묘사되었다. 이집트 단어 ''wꜣḏ''는 파란색과 녹색을 의미하며, "달의 눈"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26] 후기에는 뱀의 머리를 가진 여자, 우라에우스를 착용한 여자, 또는 우라에우스를 착용한 사자 머리 여신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우라에우스는 원래 파라오나 다른 신의 머리 주위에 감겨 있거나 감겨 있던 그녀의 몸체였다.[23] 뱀의 형태에서 그녀는 왕을 해치려는 사람들을 쏘고 물어뜯는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이 때문에 왕관 문장과 부적에 보호 상징으로 등장한다.[27]
와제트는 하 이집트의 수호신이자 보호자로 알려져 있었다.[14] 상 이집트의 여신인 네크베트와 통합된 후에는 이집트 전체의 공동 보호자이자 후원자가 되었다. 두 자매가 함께 있는 모습은 왕가의 계곡에 있는 세티 1세의 무덤에서 볼 수 있다.[15] 태양 원반과 함께 있는 와제트의 이미지는 우라에우스라고 불리며, 하 이집트 통치자들의 왕관에 있는 문장이었다. 그녀는 왕들과 출산하는 여성의 보호자였으며, 그들을 해칠 수 있는 적들로부터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집트학의 여러 측면과 마찬가지로, 대중 매체는 비디오 게임, 영화 등에 이집트의 영향을 통합하는 경향이 있다. 우제트 또한 예외는 아니며, 현대 미디어의 수많은 다양한 형태에서 언급된다.
3. 역사
와제트의 가족사는 주로 신화와 구전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확인되지 않았다. 한 신화에서 와제트는 라의 딸이라고 전해졌으며, 라의 눈으로 묘사되었다. 그녀의 임무는 슈와 테프누트를 찾는 것이었고, 성공적으로 해냈다.[16]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매우 자랑스러워했고, 그녀가 곁에 머물며 적들로부터 그를 보호하도록 명령함으로써 그녀를 존경했다. 그녀는 뱀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아버지를 해치려는 적들을 공격했다. 또한 라의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했다.[17] 이 신화는 아버지로서의 라, 딸로서의 와제트, 라의 경호원으로서의 세트를 포함한 신들의 가족을 묘사하는 삼위일체 봉인, 부적 등으로 표현된다.[18] 이러한 세 신이 묶여 있다는 명확한 예는 예루살렘 근처의 텔 아제카에서 발견된 삼위일체 부적에서 발견되었다.[18]
또 다른 신화에서 와제트는 어린 신 호루스의 간호사였다고 전해진다.[14] 그의 어머니 이시스의 도움으로 나일 삼각주의 늪지에서 피신했을 때 그의 교활한 삼촌 세트로부터 호루스를 보호했다.[19]
와제트와 네크베트는 사후 세계에서 다양한 왕들에게 간호사로 묘사되어, 왕족으로서의 자질을 유지하기 위해 젖을 먹였다. 두 여신은 피라미드 텍스트에 등장하여 왕의 신성을 유지한다.[20]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견된 펜던트에는 와제트가 간호사로서 왕이 완전히 성장한 채로 똑바로 서서 젖을 먹는 모습을 묘사한다. 그는 전통적인 왕실 복장을 입고 있으며, 여신의 젖을 사용하여 왕으로서의 지위를 돕는다.[20] 와제트와 왕의 이 펜던트는 장례 의식에서 발견되었으며, 부활과 대관식이라는 여러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이미지는 페피 2세의 장례 사원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와제트가 왕에게 젖을 먹이는 손상된 부조를 보여준다.[21]
와제트의 신탁은 그녀를 숭배하기 위해 헌정된 페르-와제트의 유명한 사원에 있었으며, 이 도시의 이름을 부여했다. 이 신탁은 이집트에서 그리스로 퍼진 신탁 전통의 근원이었을 수 있다.[22]
기원전 4왕조부터 와제트는 하 이집트 전체의 수호 여신이자 보호자로 주장되었다. 그녀는 이집트 독수리로 묘사된 네크베트와 연관되었으며, 통일된 이집트를 지배했다. 통일 후 네크베트의 이미지가 와제트와 왕관에 합쳐져, 이후 우라에우스의 일부로 나타났다. 전체 국가의 이들 수호 신들에 대한 종교적 칭호는 "nebty ('두 숙녀')"였다.[23]
하 이집트의 여신인 와제트는 나일 삼각주의 고대 이메트 (현재 텔 네베샤)에 큰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이 지역에서 "이메트의 여인"으로 숭배되었다. 나중에 그녀는 민과 호루스와 합쳐져 세 신의 삼위일체를 형성했다.[24] 이집트 파이윰의 테브투니스 유적지에는 와제트에게 헌정된 사원이 있었고, 그녀를 기리는 의식이 거행되었다.[23]
고대 그리스에 따르면, 와제트는 그들의 신화에도 존재했다. 부토, 우토, 레토 또는 라토나로 알려진 여신은 부토 마을의 중심 인물 중 하나였다.[25]
4. 외형
와제트는 크고 화려한 날개를 가진 이집트 코브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녀는 뱀 머리와 날개 깃털에 그녀의 특징적인 녹색과 파란색으로 묘사되지만, 뱀의 꼬리까지 내려가는 생생한 빨간색과 금색으로도 묘사된다. 금은 일반적으로 신들의 영원한 살을 나타내는 반면, 빨간색은 위협으로 무언가를 나타내기 위해 위험과 불을 나타냈다.[28] 와제트의 코브라를 묘사한 장식 패널이 어두운 색상의 화강암으로 된 마루-아텐 사원에서 발견되었다. 이 어두워진 재료는 역사가들이 태양과 영원한 살의 색을 나타내는 노란색 석영암 색상을 추론하는 데 도움이 된다.[29]
후기에 와제트는 종종 라의 머리에 감겨 있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녀가 그의 보호자 역할을 하기 위해 이 이미지는 왕실 왕관에 사용된 우라에우스 상징이 되었다.[23] 와제트의 또 다른 초기 묘사는 선왕조 시대(기원전 3100년 이전)부터 시작된 파피루스 줄기에 얽힌 코브라로,[19] 이는 막대기 상징에 얽힌 뱀을 보여주는 최초의 이미지로 여겨진다. 이것은 지중해를 둘러싼 문화의 후기 이미지와 신화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신성한 이미지로, 아마도 별개의 기원을 가졌을 수도 있는 카두세우스라고 불린다. 그녀의 이미지는 또한 "우라에우스"와 다른 곳에서 "여신"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에서 볼 수 있듯이 신들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깃대"의 막대기에서 솟아오른다.
그녀의 자매 네크베트와 마찬가지로 와제트는 독수리 형태로도 발견될 수 있다.[30] 코브라 형태가 보호를 나타내기 위해 더 인기가 있기 때문에 이 형태로 그녀를 찾는 것은 덜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부 부조에는 왕과 파라오의 머리 위를 맴도는 조류 형태의 와제트가 묘사되어 있다.[30]
와제트는 때때로 다른 동물 머리를 가진 존재로 묘사되거나 사자, 몽구스, 몽구스과와 같은 다른 동물로 묘사된다. 특히 몽구스의 묘사는 자연의 포식자라는 점에서 코브라와 정반대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케우몬은 호루스를 위해 보는 와제트의 역할을 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와제트의 많은 청동 조각상에 이케우몬 유물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것이 법의학적 증거인지 시각적 관찰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23]
와제트가 사자로 묘사될 때 그녀는 일반적으로 그녀를 나타내는 청동 조각상에 앉아 있다. 그녀는 입을 다물고 팔을 옆구리에 둔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적에게 덤벼드는 뱀으로 묘사되는 모습과는 매우 다르다. 사자 머리 여신으로 묘사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강력하거나 위험한 여신으로서의 연관성을 통해 여신 세크메트에서 비롯될 수 있다.[31] 일부 역사가들은 이러한 청동 조각상이 와제트가 아니라 세크메트 여신을 나타내는 것인지 확신하지 못한다.[32]
때때로 그녀는 하이집트의 붉은 왕관을 착용했다. 와제트는 그녀의 코브라 형태로 상이집트의 상대인 네크베트와 함께 벽화나 파라오의 머리 장식에 붉은 왕관을 쓰고 있는 독수리 형태로 여러 번 묘사되었다.[33]
5. 국가, 파라오 및 다른 신들의 보호자
와제트는 라의 딸로 묘사되기도 하였으며, 라의 눈으로 여겨졌다. 그녀는 슈와 테프누트를 찾아오는 데 성공했고,[16]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매우 자랑스러워하여 곁에 머물며 적들로부터 그를 보호하도록 했다. 그녀는 뱀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아버지를 해치려는 적들을 공격했으며, 라의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도 했다.[17] 이러한 신화는 아버지로서의 라, 딸로서의 와제트, 그리고 라의 경호원으로서의 세트를 포함한 신들의 가족을 묘사하는 삼위일체 부적 등으로 표현된다.[18]
또 다른 신화에서 와제트는 어린 신 호루스의 간호사였다.[14] 그의 어머니 이시스의 도움으로 그들은 나일 삼각주의 늪지에서 피신했을 때 그의 삼촌 세트로부터 호루스를 보호했다.[19]
와제트와 네크베트는 사후 세계에서 다양한 왕들에게 간호사로 묘사되어, 그들의 왕족으로서의 자질을 유지하기 위해 젖을 먹였다. 이 두 여신은 피라미드 텍스트에 등장하여 왕의 신성을 유지했다.[20]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견된 펜던트에는 와제트가 왕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0] 와제트와 왕의 이 펜던트는 장례 의식의 맥락에서 발견되었으며, 부활과 대관식이라는 여러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이미지는 페피 2세 네페르카레의 장례 사원에서도 발견되었다.[21]
와제트의 신탁은 페르-와제트의 유명한 사원에 있었으며, 이 도시의 이름을 부여했다. 이 신탁은 이집트에서 그리스로 퍼진 신탁 전통의 근원이었을 수 있다.[22]
기원전 4왕조부터 와제트는 하 이집트 전체의 수호 여신이자 보호자로 여겨졌다. 그녀는 이집트 독수리로 묘사된 네크베트와 연관되었으며, 통일된 이집트를 지배했다. 통일 후 네크베트의 이미지가 와제트와 왕관에 합쳐져 우라에우스의 일부로 나타났다. 이들 수호 신들에 대한 종교적 칭호는 "nebty ('두 숙녀')"였다.[23]
하 이집트의 여신인 와제트는 나일 삼각주의 고대 이메트 (현재 텔 네베샤)에 큰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이 지역에서 "이메트의 여인"으로 숭배되었다. 나중에 그녀는 민과 호루스와 합쳐져 세 신의 삼위일체를 형성했다.[24] 이집트 파이윰의 테브투니스 유적지에는 와제트에게 헌정된 사원이 있었고, 그녀를 기리는 의식이 거행되었다.[23]
와제트는 보호를 상징하기 위해 왕과 여왕의 여러 무덤에서 발견된다. 특히, 그녀는 왕비 네페르타리의 무덤에서 이중 왕관(프셰트)을 쓴 채 솟아오르는 자세로 발견된다.[34] 프셰트는 하이집트와 로어집트의 통일을 묘사한다.[35] 그녀의 이중 왕관과 함께, 와제트는 와스 홀(Was-sceptre)을 들고 있다.[36] 와제트는 세티 1세의 무덤에서 여동생 네크베트와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37]
와제트는 종종 날개 달린 코브라로 묘사되며, 이러한 날개는 보호적인 포옹과 생명의 숨결을 만들어낼 수 있다.[23]
콤옴보 신전에서 조각은 와제트의 눈 세트를 포함한 외과 장비를 묘사하여 의료 품목으로서의 사용과 보호 여신으로서의 와제트의 역할을 나타낸다. 부조의 하단 부분만 남아 있지만, 그 비문은 파라오가 하로에리스가 이집트의 두 부분을 상징하는 눈을 정화하고, 결과적으로 이집트 자체를 회복시켜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설명한다. 이것은 다시 한번 와제트가 이집트의 보호자이자 통일자로서의 역할을 나타낸다.[38]
6. 현대 매체에서의 와제트
7. 기타 용도
엘리자베스 골드스미스에 따르면, 우제트에 대한 그리스 이름은 부토였다.[40] 금성의 산인 나지트 몬스는 "이집트 날개 달린 뱀 여신"인 우제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9]
8. 갤러리
참조
[1]
문서
Also spelled '''Wadjit''', '''Wedjet''', '''Uadjet''' or '''Ua Zit'''
[2]
서적
Gods of the Egyptians, The (Studies in Egyptian Mythology)
1969
[3]
문서
Early Dynastic Egypt
[4]
문서
"The Early Dynastic Period", in ''The Oxford Handbook of Egyptology'' (2020)
[5]
웹사이트
Wadjet
https://ancientegypt[...]
2024-02-29
[6]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7]
논문
The Cosmic Eyes
https://opensiuc.lib[...]
2018-11-01
[8]
웹사이트
Wedjat Eyes
https://archaeologic[...]
2024-02-29
[9]
문서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10]
문서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11]
문서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https://onlinelibrar[...]
Wiley
2013-01-30
[13]
웹사이트
Egypt: Wadjet, Goddess of Lower Egypt, Papyrus, and Protector of Pharaoh
https://www.touregyp[...]
2024-03-17
[14]
서적
World History: Our Human Story
Sheridan Kentucky
2021-05
[15]
웹사이트
Wadjet and Nekhbet
https://thebanmappin[...]
2024-03-17
[16]
웹사이트
Wadjet: Origin Story, Meaning, Symbols & Eye
https://worldhistory[...]
2021-08-25
[17]
논문
A Bronze Reliquary for an Ichneumon Dedicated to the Egyptian Goddess Wadjet
2022-02
[18]
논문
A Triad Amulet from Tel Azekah
https://www.jstor.or[...]
2018
[19]
뉴스
Wadjet
https://www.britanni[...]
2018-04-19
[20]
웹사이트
Milk in Ancient Egyptian Religion
https://www.diva-por[...]
2009
[21]
웹사이트
Representations of a Goddess Suckling a King in Ancient Egypt
https://cguaa.journa[...]
2012
[22]
문서
Herodotus ii. 55 and vii. 134
[23]
논문
A Bronze Reliquary for an Ichneumon Dedicated to the Egyptian Goddess Wadjet
2022
[24]
문서
D'Imet à Tell Farâoun : recherches sur la géographie, les cultes et l'histoire d'une localité de Basse-Égypte orientale.
http://athena.u-pec.[...]
[25]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Book V. An Account of Contries, Nations, Seas, Towns, Havens, Mountains, Rivers, Distances and Peoples Who Now Exist or Formerly Existed., Chap. 11. – The Cities of Egypt
https://www.perseus.[...]
2024-02-29
[26]
문서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27]
웹사이트
ODYSSEY/Egypt/Mythology
https://carlos.emory[...]
2024-02-29
[28]
논문
https://www.stomaeduj.com/wp-content/uploads/BR-2-3.pdf
2022
[29]
웹사이트
Cobra Head from Decorative Panel (Uraeus)
https://carnegiemnh.[...]
2024-02-29
[30]
웹사이트
Structure of Ritual Scenes
https://www.memphis.[...]
2024-03-17
[31]
논문
A Wooden Figure of Wadjet with Two Painted Representations of Amasis.
https://www.jstor.or[...]
1982
[32]
웹사이트
Brooklyn Museum
https://www.brooklyn[...]
2024-02-29
[33]
웹사이트
Nekhbet and Wadjet
https://oritkaye.wor[...]
2011-07-07
[34]
웹사이트
East outer thickness of Gate C in the tomb of Queen Nefertari
https://thebanmappin[...]
2024-03-17
[35]
웹사이트
The royal crowns of Egypt
https://www.ees.ac.u[...]
2024-03-17
[36]
논문
The Egyptian wȝs-Scepter and its Modern Analogues: Uses as Symbols of Divine Power or Authority
https://www.jstor.or[...]
1995
[37]
웹사이트
Sety I's names flanked by Nekhbet vulture and Wadjet cobra
https://thebanmappin[...]
2001-04
[38]
논문
Medicine, Mathematics and Magic Unite in a Scene from the Temple of Kom Ombo (Ko 950)
https://www.jstor.or[...]
2010
[39]
웹사이트
Nazit Mons
http://planetaryname[...]
[40]
서적
Life Symbols as Related to Sex Symbolism
https://archive.org/[...]
Putnam
[41]
웹사이트
ウアジェト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