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진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진운수는 1992년 백마운수로 설립되어 인천 마을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후 시내버스 회사로 전환하여 노선을 확장했다. 2003년 원진운수로 상호를 변경하고, 2004년에는 6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여 송도국제도시로 노선을 연장했다. 2010년 지선버스 노선을 매각하고, 2018년 320번 공항좌석버스 노선을 인수하여 운행하고 있다. 현재 6번, 22번 간선버스와 320번 공항좌석버스를 운행하며, 수소전기버스를 도입하는 등 친환경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공항리무진 (기업)
1977년 설립된 공항리무진은 대한민국 최초로 공항리무진 버스를 운행한 기업으로, 2022년 티맵모빌리티가 지분 일부를 인수하여 경영 정상화를 추진 중이며, 인천국제공항과 서울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과 심야 공항버스를 운행한다. - 200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새서울고속
새서울고속은 1962년 충일고속으로 시작하여 2000년 서울고속에 인수되어 재창립되었으며, 서울남부, 청주, 북청주, 포항을 기점으로 노선을 운행하고 기아 그랜버드 차종을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인천 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인천 서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원진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원진운수 주식회사 |
| 원어 | Wonjin Transport Corp. |
![]() |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81, 4층 (원창동)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회사 정보 | |
| 창립 | 2000년 4월 3일 |
| 자본금 | 500,000,000원 |
| 대표이사 | 류광신 |
| 전무 | 이용남 |
| 홈페이지 | 원진운수 공식 홈페이지 |
2. 주요 연혁
- 1992년: 백마운수로 인천마을버스 회사 설립.[1]
- 1992년 7월 22일: 마을버스 부평 16번(前 566번: 새사미아파트 - 한양아파트 - 백운역) 노선 낙찰, 운행.
- 1994년: 백운역 - 한양아파트 - 금호아파트 - 화랑농장 - 백운역 순환 노선 부평 16-1번 노선 신설. 같은 해 16-1번 노선을 백운역 - 부평시장 - 부평역 - 부평경찰서 - 한양아파트 - 백운역으로 변경.
- 1996년: 16-1번 노선을 백운역 - 한양아파트 - 산곡동 - 청천새마을금고 로 변경 (현재 567번).
- 2000년 4월 2일: 주식회사 인천버스 설립, 이인철 대표이사 취임.
- 2000년 6월 28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구 학익동 493-3으로 이전.
- 2001년 10월 9일: 인천 마을버스의 시내버스 전환으로 백마운수, 안남운수, 삼곡운수, 주안교통, 부일운수(부평11번), 관교운수와 연합, 스위트버스 설립.
- 2003년 7월: 스위트버스에서 분리, 용현운수 계열사인 인천버스와 22번 시내버스 인수.
- 2003년 12월: 인천선진교통의 24번 시내버스 인수.
- 2003년 12월 15일: 원진운수 주식회사로 변경, 본사를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265로 이전, 이길영 대표이사 취임.
- 2004년 1월: 경향여객의 6번 시내버스 인수, 회사명을 인천버스에서 '''원진운수'''로 변경.
- 2004년 6월 5일: 6번 시내버스 노선 기·종점을 연수구 동춘동에서 송도신도시로 변경.
- 2005년 5월: 24번(연안부두-동인천-가좌동-부평역)과 24-1번(가좌동-부평역-계산동) 노선 분리.
- 2006년 11월: 24번 시내버스를 부일운수에 매각.
- 2008년 1월: 24-1번 노선도 부일운수에 매각.
- 2008년 12월 3일: 본사 차고지를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326-5로 이전, 류광신 대표이사 취임.
- 2009년 1월 30일: 인천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22번 시내버스 노선이 "신포시장-신흥로터리-남구청"에서 "배다리-도원역-제물포역"으로 변경.
- 2009년 2월 25일: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265에 지점 설치.
- 2009년 11월 3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223-381로 이전.
- 2010년: 지선버스 566번과 567번 노선을 삼환운수에 매각.
- 2010년 12월 10일: 산곡동 지점 폐지.
- 2014년 4월 28일: 송도국제신도시 시내 순환버스 6-2번 버스 노선 신설.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1월 31일: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
- 2016년 7월 30일: 인천 시내버스 개편으로 6번 시내버스 노선 경로 변경.
- 2017년 8월 1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81, 4층 (원창동)으로 이전.
- 2018년 9월 15일: 6-2번 노선 폐선, 삼환교통으로부터 320번 공항 좌석버스 노선을 양도받아 대인교통과 공동 배차.
- 2019년 4월 1일: 신형 버스에 에어 서스펜션 장착.
- 2020년 5월 8일: 320번 시내 좌석버스에 차선 이탈 경보 장치(LDWS)와 긴급 자동 제어 시스템(AEBS) 장착.[1]
- 2020년 10월 27일: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전 노선(3개 노선) 변경.
- 2020년 12월 31일: 인천 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320번 노선 기점 변경(송도차고지→더샵센트럴시티), 22번, 6번 노선 변경.
- 2024년 2월 4일: 22번 시내버스 현금 없는 버스 노선 지정, 원진운수 전 노선 통합 요금 단말기 철거.[2]
- 2024년 6월 15일: 현대 일렉시티 FCEV[3] 수소 전기 버스를 6번, 22번 시내버스에 운행.
2. 1. 회사 설립 및 마을버스 운행 (1992년 ~ 2000년)
1992년 백마운수라는 이름으로 인천 마을버스 회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7월 22일 마을버스 부평 16번(새사미아파트 - 한양아파트 - 백운역) 노선 운행을 시작하였다.[1] 1994년 백운역 순환 노선인 부평 16-1번 노선을 신설하였고, 노선을 백운역 - 부평시장 - 부평역 - 부평경찰서 - 한양아파트 - 백운역으로 변경하였다.[2] 1996년에는 16-1번 노선을 백운역 - 한양아파트 - 산곡동 - 청천새마을금고로 변경하였으며, 현재 567번으로 운행되고 있다.[3]2. 2. 시내버스 전환 및 노선 확장 (2000년 ~ 2010년)
- 2000년 4월 2일: 주식회사 인천버스를 설립하고 이인철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 2001년 10월 9일: 인천 마을버스의 시내버스 전환으로 백마운수, 안남운수, 삼곡운수, 주안교통, 부일운수(부평11번), 관교운수와 연합하여 스위트버스 회사를 설립하였다.[1]
- 2003년 7월: 스위트버스에서 분리 독립하였고, 용현운수 계열사인 인천버스와 22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였다.[1]
- 2003년 12월: 인천선진교통의 24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였다.[1]
- 2003년 12월 15일: 상호를 원진운수 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이길영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 2004년 1월: 경향여객의 6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였고, 회사명도 인천버스에서 원진운수로 변경하였다.[1]
- 2004년 6월 5일: 6번 시내버스 노선 기·종점을 송도신도시로 연장하였다.[1]
- 2005년 5월: 24번(연안부두-동인천-가좌동-부평역)과 24-1번(가좌동-부평역-계산동) 노선을 분리하였다.[1]
- 2006년 11월: 24번 시내버스를 부일운수에 매각하였다.[1]
- 2008년 1월: 24-1번 노선도 부일운수에 매각하였다.[1]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및 노선 변경으로 22번 시내버스 노선이 '배다리-도원역-제물포역'으로 변경되었다.[1]
- 2010년: 지선버스 566번, 567번 노선을 삼환운수에 매각하였다.[1]
2. 3. 변화 및 새로운 시도 (2010년 ~ 현재)
2014년 4월 28일, 송도국제도시 시내순환버스 6-2번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1]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는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1]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6번 시내버스 노선의 경로가 변경되었다.[1]2018년 9월 15일, 6-2번 노선이 폐선되고, 삼환교통으로부터 320번 공항좌석버스 노선을 양도받아 대인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19년 4월 1일에는 새로 출고된 신형 버스에 에어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20년 5월 8일, 320번 시내좌석버스에 인천시내버스 최초로 차선이탈경보장치(LDWS)와 긴급자동제어시스템(AEBS)가 장착된 버스 3대를 출고하여 운행하고 있다.[1]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320번 노선은 송도차고지에서 더샵센트럴시티로 기점이 변경되었고, 22번 노선은 미추홀도서관으로, 6번 노선도 변경되어 운행한다.[1]
2024년 2월 4일, 22번 시내버스가 현금 없는 버스 노선으로 지정되어 원진운수 전 노선의 통합 요금 단말기가 철거되었다.[2] 2024년 6월 15일, 신차량으로 현대 일렉시티 FCEV[3]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하여 6번, 22번 시내버스에 운행하고 있다.
3. 운행 노선
원진운수는 간선버스 2개 노선(6번, 22번)과 공항좌석버스 1개 노선(320번)을 운행하고 있다. 320번 버스는 대인교통과 공동 배차한다.
3. 1. 간선버스
|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6번 |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스마트밸리, 송도컨벤시아, 동막역, 선학역,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만수3지구, 서창2지구, 논현지구, 남동산단, 인천가톨릭대학교 | 10 - 13 | 19 | |
| 22번 | 원창동 원진운수 ↔ 시흥시 은행지구 | 엠파크타워, 동인천역, 도원역, 제물포역, 인천기계공고,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모래내시장, 미추홀도서관, 남동구청, 인천대공원, 신천역, 은행초교 | 14 - 17 | 21 |
3. 2. 공항좌석버스
320번은 대인교통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며, 송도더샵센트럴시티에서 LH7단지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셀트리온, 신송고, 해양경찰청, 인천대교, 운서역, 영종고, 전소, 한양수자인이다.
Airport Seat Bus영어는 제거되었다.
4. 과거 보유 노선
| 노선 번호 | 노선 경로 요약 | 비고 |
|---|---|---|
| 6-2번 | 송도버스공영차고지 ↔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순환) | 2018년 9월 14일 폐선 |
| 24번 | 연안부두 ↔ 부평역 ↔ 부평시장로터리 | 2006년 11월 부일운수에 매각 |
| 24-1번 | 가좌 범양아파트 ↔ 임학역 | 2008년 1월 세운교통에 매각 |
| 566번 | 가좌 범양아파트 ↔ 백운역 | 2010년 삼환운수에 매각, 2016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556번으로 대체[1] |
| 567번 | 백운역 ↔ 롯데마트 부평점 (순환) | 2010년 삼환운수에 매각[2] |
4. 1. 간선버스
- 6-2번: 송도버스공영차고지 - 셀트리온(주) - 미관광장 - 지식정보단지역(4번출구) - 웰카운티 - 인천가톨릭대학교 입구 - 인천가톨릭대학교 - 인천대입구역 - 인천송일초등학교 - 송도더샵퍼스트파크 15단지 - 송도더샵퍼스트파크 14단지 - 송도더샵마스터뷰21단지 - 예송중학교 - 더샵퍼스트파크 13단지 - 송도아트윈푸르지오 - 송도센트럴파크역 - 경제자유구역청 - 커넬워크 - 송도2동 주민센터 - 엑스포빌리지 10단지 - 더샵엑스포빌리지 - 더샵하버뷰 - 송도 힐스테이트 - 송도풍림아이원 2단지 - 금호어울림아파트 - 신송고등학교 - 한진해모로아파트 - 캠퍼스타운역 - 송도테크노파크 IT센터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 인천글로벌캠퍼스 - 문화공원 - 글로벌캠퍼스푸르지오 - 송도더샵그린스퀘어 - 지식정보단지역 - 웰카운티 - 인천가톨릭대학교 입구 - 인천가톨릭대학교 - R&D 써비스 - 인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 송도버스공영차고지 (2018년 9월 14일 폐선)
- 24번: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앞 - 국제여객터미널 - 연안여객터미널 - 라이프쇼핑 - 연안부두 어시장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비축기지 - 출입국관리사무소 - 삼익아파트 - 경남아파트 - 제2국제여객터미널 -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 신포시장 - 동인천역 - 화평철교 - 동인천역 북광장[4] - 송현시장 - 솔빛마을 - 솔빛마을 주공아파트 - 동국제강 - 현대제철[5] - 서흥초등학교 - 현대,동부시장 - 재능대학교 - 송림고개 - 서화초등학교 - 인천교3거리 - 인천의료원 - 성보공업 - 코스모화학 - 가재울4거리 - 가좌고등학교 - 가림고등학교 - 한신휴아파트 - 가좌현대아파트 - 새사미아파트(세일고등학교) - 명신여자고등학교 - 삼보아파트 - 한양쇼핑 - 한양아파트 - 무지개아파트 - 대륭맨션 - 산곡여자중학교 - 팔도주유소 - 인평자동차고등학교 - 양로원 - 부평서중학교 - 현대아파트 - 2001아울렛 부평점 - 부원중학교 - 부평역 - 진선미예식장(한남시티플라자) - 부평시장로터리(종점) (2006년 11월 부일운수에 매각)
- 24-1번: 가좌 범양아파트 - 한신휴아파트 - 가좌주공아파트 - 가좌초등학교 - 가좌4동 주민센터 - 가좌교회 - 가재울4거리 - 가좌고등학교 - 가림고등학교 - 한신휴아파트 - 가좌현대아파트 - 새사미아파트(세일고등학교) - 명신여자고등학교 - 삼보아파트 - 한양아파트 - 미추홀아파트 - 산곡여자중학교 - 팔도주유소 - 인평자동차고등학교 - 양로원 - 부평서중학교 - 현대아파트 - 2001아울렛 부평점 - 부원중학교 - 부평역 - 진선미예식장(한남시티플라자) - 부평시장 - 부흥5거리(소망병원) - 나누리병원 - 더필립요양병원 - 굴포천역(신복4거리) - 롯데마트 삼산점 - 삼산주공7단지 - 삼산주공6단지 - 삼산주공1단지 - 삼산1지구 주공1단지 - 삼산4거리 - 엠코타운 - 작전동 풍림아파트 - 광명아파트 - 한림병원 - 계양CGV - 계양경찰서 - 홈플러스 계양점 - 롯데마트 계양점(임학역) (2008년 1월 세운교통에 매각)
4. 2. 지선버스
- 566번: 가좌 범양아파트 - 범양상가 - 가좌현대아파트 - 새사미아파트(세일고등학교) - 명신여자고등학교 - 삼보아파트 - 산곡중학교 - 한양아파트 - 무지개아파트 - 대륭맨션 - 산곡여자중학교 - 운화교회 - 인평자동차고등학교 - 현대3단지 아파트 - 현대자동차 백운지점 - 백운역(종점) (2010년 삼환운수에 매각, 2016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556번 대체)[1]
- 567번: 백운역 - 현대아파트 113동 - 현대3단지 - 인평자동차고등학교 - 팔도주유소 - 산곡여자중학교 - 대륭맨션 - 무지개아파트 - 롯데마트 부평점(산곡동 입구) - KB국민은행 산곡동지점 - 산곡동 천주교회 - 대우아파트(청천동 새마을금고) (반환: 청천하우스디아파트 - 부평우체국 - 현대5차아파트 - 한화아파트 - 한화2차 아파트 - 한양아파트) (2010년 삼환운수에 매각)[2]
5. 보유 차량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FCEV를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정보
최초 등록 차량 정보
[2]
정보
승차 방식
[3]
차량
현대자동차 수소버스
[4]
노선
부평역 발 - 연안부두행 노선 정보
[5]
노선
부평역 발 - 연안부두 행 노선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