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천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대학교는 1979년 인천공과대학으로 개교하여,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94년 시립으로 전환되었고, 2013년 국립대학법인으로 변경되었다. 송도국제도시로 캠퍼스를 이전했으며, 11개의 단과대학 및 대학원에 65개의 학과 및 프로그램이 있다. 또한, 국제 교류 및 산학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공자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동문으로는 정치인, 기업인, 배우, 가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대학교 - 인천전문대학
    인천전문대학은 1981년 인천공업전문대학과 인천체육전문대학의 통합으로 설립 인가된 2년제 전문대학이며, 1969년 인천공업고등전문학교로 시작하여 시립 전환 및 학과 개편을 거쳐 2010년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 인천 미추홀구의 학교 -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는 1994년 충남산업대학교로 설립되어 1998년 교명을 변경한 사립 산업대학으로, 충청남도 홍성군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캠퍼스를 두고 8개 단과대학, 45개 학부(과)를 운영하며,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등 재정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노력을 하는 가운데 소지섭, 최다니엘 등 유명 연예인을 배출했고 특수대학원 1개원을 운영한다.
  • 인천 미추홀구의 학교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는 1952년 하와이 교포 이주 50주년 기념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로, 인천광역시에 위치하며, 한진그룹 재단 참여, 타슈켄트 인하대학교 개교, QS 세계 대학 랭킹 531-540위를 기록했다.
  • 인천 연수구의 학교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이념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인천 연수구의 학교 -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2012년 인천글로벌캠퍼스에 개교한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의 확장 캠퍼스로, 스토니브룩 대학교와 패션기술대학교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미국 본교와 동일한 학위를 수여한다.
인천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천대학교 로고
표어세계적인 인재를 미래의 리더로
설립일1979년 1월 10일
종류국립
총장박종태
학부생11,776 (2020년)
대학원생1,434 (2020년)
교수진495 (2020년)
행정 직원683 (2020년)
캠퍼스도시
소재지연수구, 인천
국가대한민국
별칭INU
마스코트횃불
주소(송도동) 아카데미로 119
웹사이트www.inu.ac.kr/
웹사이트 (영어)https://www.inu.ac.kr/inuengl/index.do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인천대학교
한자仁川大學校
로마자 표기Incheon Daehakgyo
매큔-라이샤워 표기Inch'ŏn Taehakkyo
대학 정보 (한국어)
원어 이름 (영어)Incheon National University
건학 이념지역의 인재를 창의적인 세계의 인재로 키우는 대학
위치송도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 119
위치 (미추홀캠퍼스)미추홀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규모2캠퍼스, 12대학, 8대학원
웹사이트https://www.inu.ac.kr/inu/index.do?epTicket=LOG
조직
학부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공과대학
정보기술대학
경영대학
동북아경제통상대학
예술·체육대학
사범대학
도시과학대학
대학원일반대학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경영대학원
공학대학원

2. 설립 근거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3. 연혁

인천대학교의 연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시기내용
1979년 1월 10일선인학원 산하 인천공과대학(5개 학과) 설립 인가 (사립, 3월 12일 개교)
1979년 12월인천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1년 11월교육대학원 설립 인가
1984년 11월대학원 설립 인가
1988년 10월 29일종합대학으로 승격 인가
1988년 11월 23일6개 단과대학 설치 승인
1994년 3월 1일인천광역시립으로 전환
2009년 9월송도 캠퍼스로 신축 이전
2010년 3월인천전문대학과 통합
2013년 1월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



인천대학교는 1979년 백인엽이 운영하던 선인학원에 의해 인천공과대학으로 창립되었다.[6] 선인학원은 한때 16개교를 산하에 둘 정도로 규모가 컸으나, 경영 부정[7]으로 인해 1982년 백인엽이 횡령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다. 1992년에는 인천 지역 지식인들이 '선인학원 사태를 우려하는 인천 시민의 모임'을 결성하여 백인엽 배척, 학원 시립화 등을 요구하는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1994년 3월 선인학원이 폐지되고, 인천대학교를 포함한 소속 학교들이 인천 시립으로 전환되었다.[8]

인천광역시는 1급 행정 구역 중 유일하게 국립 종합대학이 없는 지역이었기 때문에[9], 2004년부터 인천대학교의 국립대학화·법인화를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다.[10] 2006년 시와 대학 간에 '국립대 법인 전환에 관한 양해 각서'가 체결되었고[11], 2011년 12월 30일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12],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로 전환되었다.[5]

3. 1. 인천대학교

1979년 1월 학교법인 선인학원(善仁學園)에 의해 '''인천공과대학'''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2월 6개 학과를 증설하면서 '''인천대학'''으로 변경되었고, 1984년 대학원을 설립하였다. 1988년 10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선인학원의 사학비리로 인해 1994년 3월 시립으로 전환되었다. 2007년 4월 송도캠퍼스 건설에 착수하여 2009년 7월 30일 준공하고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에서 송도국제도시 안의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6년 4월 국립 대학 특수법인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2010년 3월 인천전문대학과 통합하여 국립대학 특수법인으로의 전환을 추진,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였다.[5]

2019년 기준 8개 대학원(일반대학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육대학원, 정책대학원, 공학대학원, 정보기술대학원, 경영대학원, 문화대학원)과 11개 단과대학(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글로벌법정경대학, 공과대학, 정보기술대학, 경영대학, 예술체육대학, 사범대학, 도시과학대학, 생명과학기술대학) 및 1개 독립학부(동북아국제통상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학산도서관, 정보전산원, 외국어교육센터, 평생교육원, 국제교류원, 교육혁신원 교수학습지원팀, 취업경력개발원, 공학교육혁신센터, 인천한국어학당, 생활원, 체육진흥원, 공자아카데미, 기초교육원, 창업지원단, 중국학술원, 인천국제개발협력센터, 혁신인력개발센터가 있다. 부설연구소 및 기관으로는 공학기술연구소, 기초과학연구소, 인문학연구소, 후기산업사회연구소, 스포츠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원, 동북아발전연구원, 인천학연구원, 통일통합연구원, 인천방재연구센터, 경영혁신원, 법학연구소, 생물자원환경연구소, 조형연구소, 신약개발연구소, 유라시아연구소, 일본문화연구소, 도시과학연구원, 녹색환경과학센터, 중국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소, 소방방재연구센터, 교육발전연구소, 숲유아교육연구소, 노동과학연구소, 동아시아평화경제연구원, 아시아환경에너지연구원, 에너지환경보건안전연구원(EEHS), 첨단소프트웨어연구센터, 동북아물류•경영연구소, 지능형센서융합연구센터, 인천과학영재교육원, 국제교육사자격교육센터,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 에너지엑셀런스 및 스마트시티 연구센터(ES Lab),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 인천대기계전자기술혁신센터, 멀티미디어연구센터, 창업보육센터,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 동북아전자물류연구센터, 동북아물류혁신클러스터, 서구건강가정지원센터, 대학신문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대학출판부가 있다. 법인기관에는 특수법인인천대학교산학협력단과 재단법인인천대학교발전기금이 있다.

문화, 체육, 교양학술, 취미전시, 종교, 전시 관련 여러 동아리가 개설되어 있으며, 중국, 대만, 프랑스, 미국, 독일, 호주, 스페인, 필리핀 등 여러 외국 유명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선진 외국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 119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2018년 4월 1일 기준 정규과정 학생수는 학부생 17,048명, 대학원생 1,571명으로 총 18,619명이 재적하고 있다. 학생 커뮤니티로는 아이엔유(www.inu4u.net)가 있다.

(구)인천대학교와 (구)인천전문대학 통폐합으로 한시적으로 운영되었던 제물포캠퍼스는 2013년 2학기까지만 특례편입학 학생을 받고, 2014년 1, 2학기 특례편입학생은 송도캠퍼스로 받았다. 2014년 2학기부로 특례편입학 전형은 종료되었고, 2015년 1학기(2015년 6월 19일)까지만 제물포캠퍼스가 운영된 뒤 2015년 6월 20일부로 여름학기부터 송도캠퍼스로 완전히 철수하였다. 학위과정의 경우 제물포캠퍼스 운영을 종료하였으며, 현재는 무한상상실, 시민대학, 인천전문학교 등으로 성지관 건물 하나만 시민대학으로 운영하고 있다.

3. 2. 인천전문대학

1960년 1월 13일 인천공업고등전문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9년 3월 10일 개교하였고, 1969년 5월 본관 건물이 준공되었다. 1971년 2월 27일에는 첫 졸업생 335명을 배출하였다.

1972년 12월 16일 인천체육전문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75년 5월 26일 인천공업고등전문학교를 인천공업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9년 1월 1일 인천공업전문학교는 인천공업전문대학으로, 인천체육전문학교는 인천체육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0년 4월 종합실습관, 1980년 6월 체육관이 준공되었다. 1981년 3월 1일 인천공업전문대학과 인천체육전문대학이 통합되어 인천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4년 3월 전자계산학과, 환경관리과, 세무회계과, 유아교육과가 신설되었고, 경기과는 체육행정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4년 3월 1일, 선인학원의 시·공립화 정책에 따라 인천전문대학은 시립인천전문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체육행정과는 사회체육과로, 환경관리과는 환경공업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8년 3월 인쇄과는 화상매체과로, 공예디자인과는 산업디자인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1년 9월 17일 건축과와 유아교육과가 3년제로 연장 승인되었고, 2001년 10월 29일 화상매체과는 화상인쇄과로, 산업경제과는 e-비즈니스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1일 시립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3. 3. 통합 이후

1979년 1월 학교법인 선인학원(善仁學園)에서 인천공과대학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2월 6개 학과를 증설하면서 '''인천대학'''으로 변경하고, 1984년 대학원을 설립하였다. 1988년 10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선인학원의 사학비리로 인해 1994년 3월 시립으로 전환되었다. 2007년 4월 송도캠퍼스 건설에 착수하여 2009년 7월 30일 준공하고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에서 송도국제도시 안의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6년 4월 국립 대학 특수법인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2010년 3월경에 인천전문대학과 통합하여 국립대학 특수법인으로의 전환을 추진해,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였다.[5]

2010년 3월 1일 시립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고, 2013년 3월에는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가 출범하였다. 2015년 6월 19일 학부생 과정 제물포캠퍼스 운영이 종료되면서, 제물포캠퍼스는 시민대학과 인천전문학교가 쓰는 건물인 성지관만 남게 되었다. 이후 성지관은 시민대학, 인천전문학교, 무한상상실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4. 캠퍼스

인천대학교는 1979년 1월 도화동에 인천공과대학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979년 12월 인천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88년 10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94년 3월 시립으로 전환되었으며, 2009년 7월 30일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였다. 2010년 3월 1일 인천전문대학과 통합되었고,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캠퍼스는 크게 송도캠퍼스와 제물포캠퍼스로 나뉜다. 송도캠퍼스는 2009년 7월 30일 준공되어 현재 인천대학교의 주 캠퍼스 역할을 하고 있다. 제물포캠퍼스는 2015년 6월 19일 학부생 과정 운영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시민대학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4. 1. 송도캠퍼스

인천대학교의 캠퍼스는 송도국제도시에 있다.

2007년 4월 27일 송도캠퍼스 건설에 착수하여 2009년 7월 30일 준공하고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에서 송도국제도시 안의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는 송도캠퍼스 생활관 및 게스트하우스가 개관하였다. 2015년 9월에는 학부생 과정의 제물포캠퍼스 운영 종료로 학위 과정 전체가 송도캠퍼스(국립 인천대학교 본교)로 완전히 통합되었고, 8호관의 공과대학 건물에서 도시과학대학과 공과대학(공과대학의 경우 실습실) 일부는 27호관과 28호관으로 재배치되었으며, 제물포캠퍼스의 대체 건물인 송도캠퍼스 27호관(공동실습관), 28호관(도시과학대학), 29호관(생명공학부) 건물 개관으로 송도캠퍼스 확장이 완료되었다.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핵심 구역인 송도국제도시에는 벨기에의 겐트 대학교, 미국의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영국플리머스와 같은 국제 대학의 연구 개발 센터와 분교를 유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송도 캠퍼스

4. 2. 제물포캠퍼스 (구 도화동 캠퍼스)

1979년 1월 학교법인 선인학원에서 인천공과대학으로 설립되었다가, 1979년 12월 인천대학으로 변경되었다. 1988년 10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94년 3월 시립으로 전환되었다. 2009년 7월 30일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기 전까지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에 위치했다.

2010년 3월 1일 인천전문대학과 통합되었고,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되었다. (구)인천대학교와 (구)인천전문대학의 통폐합으로 인해 제물포캠퍼스는 한시적으로 운영되었다. 2013년 2학기까지만 특례편입학 학생을 받고, 2014년부터는 특례편입학생을 송도캠퍼스에서 받았다. 2014년 2학기를 마지막으로 특례편입학 전형은 종료되었다.

2015년 6월 19일 학부생 과정의 제물포캠퍼스 운영이 종료되었고, 이후 제물포캠퍼스는 시민대학, 인천전문학교, 무한상상실 등으로 활용되며 성지관 건물 하나만 시민대학으로 운영되고 있다.

과거 도화동 캠퍼스

5. 학부

1979년 1월 학교법인 선인학원에서 인천공과대학으로 설립되었다.[13] 1979년 12월 6개 학과를 증설하면서 인천대학으로 변경[13], 1988년 10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13] 1994년 3월 시립으로 전환[13],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였다.[13]

2019년 기준 11개 단과대학 및 1개 독립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3]

대학학과 및 학부
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중어중국학과
자연과학대학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패션산업학과, 해양학과
사회과학대학사회복지학과, 신문방송학과, 문헌정보학과, 창의인재개발학과
글로벌법정경대학행정학과,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무역학부, 소비자학과
공과대학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안전공학과, 에너지화학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정보기술대학컴퓨터공학부, 정보통신공학과,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경영대학경영학부, 세무회계학과
예술체육대학조형예술학부(한국화전공), 조형예술학부(서양화전공), 디자인학부, 공연예술학과, 체육학부, 운동건강학부
사범대학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일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체육교육과, 유아교육과, 역사교육과, 윤리교육과
도시과학대학도시행정학과, 도시환경공학부(건설환경공학전공), 도시환경공학부(환경공학전공), 도시공학과, 도시건축학부(도시건축학전공), 도시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생명과학기술대학생명과학부(생명과학전공), 생명과학부(분자의생명전공), 생명공학부(생명공학전공), 생명공학부(나노바이오전공)
동북아국제통상학부


6. 대학원

1984년 대학원을 설립하였다.[1] 2019년 기준 일반대학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육대학원, 정책대학원, 공학대학원, 정보기술대학원, 경영대학원, 문화대학원 8개의 대학원이 있다.[2] 1984년 11월 27일에 설립된 대학원은 현재 35개의 석사 과정과 28개의 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3]

2019년 기준 인천대학교 대학원 현황[4]
종류학과
일반대학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육대학원
정책대학원행정학, 사법행정, 위기관리, 사회복지, 입법 및 보안학
공학대학원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섬유·패션산업학과, 산업공학과, 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 산업디자인학과,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건축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정보기술대학원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경영대학원경영학과, 부동산학과
문화대학원(학과 정보 없음)


7. 국제 교류

국제교류처는 학생 교환 프로그램, 단기 어학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전 세계 대학과의 자매 관계 확대를 통해 대학의 세계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제교류처 웹사이트

인천대학교 한국어학당은 외국인 및 해외 한국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설립되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언어 능력을 중점적으로 교육하며, 한국어와 함께 한국의 역사, 문화 및 사회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당은 대학원 교육을 받고 풍부한 교육 경험을 가진 자격을 갖춘 교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중국, 몽골, 태국, 캐나다,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학생들이 수업에 등록하여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8. 산학 협력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IACF영어)은 2004년 5월 특수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산학협력단은 창의적 사고를 가진 인재 양성, 산업 중심 교육 장려, 산업 발전을 위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 개발, 지적 재산권 수익의 교육 및 연구 재정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INU 홀딩스는 인천대학교 학생과 교수진이 개발한 기술을 다루는 기술 지주 회사로, 국내에서 6번째로 설립되었다. 작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3개의 자회사를 설립했으며, IACF영어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Green Pioneer영어는 인천대학교(UI) 생물학 교수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스핀오프 회사로, 현재 INU 홀딩스의 자회사이다. 주요 사업 분야는 광합성 평가 기기(PAM영어) 및 바이오키트 유통이며, 독성학 분야에서 ISO 인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9. 공자학원

인천대학교의 공자학원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 중국 정부는 중국어와 문화 보급을 위해 전 세계의 언어 교육 기관을 지원해 왔다. 한국에서는 중국 정부가 인천대학교를 선정하여 공자학원 설립을 지원했다. 교육 과정은 중국 교육부의 학문적 지도를 받는다.

10. 주요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2022 중앙일보 대학평가 https://www.joongang[...] 2022-11-14
[2] 웹사이트 인천대 학생당 창업 최다…서강대, 졸업생 취업비결 제공[2022 대학평가] https://www.joongang[...] 2022-11-14
[3] 웹사이트 Global Top 100 Innovative Universities https://www.wuri.wor[...]
[4] 웹사이트 2020 한경 대학 취업·창업 평가 https://magazine.han[...] 2020-12-08
[5] 뉴스 国立大学法人 仁川大学校 出帆 http://www.incheon.a[...] 仁川大ニュース:インサイド仁川 2013-01-18
[6] 웹사이트 善仁高等学校 学校沿革 http://www.sunin.ice[...]
[7] 서적 現代韓国の市民社会論と社会運動 成文堂 2011-03-00
[8] 문서
[9] 웹사이트 蔚山科学技術大学校沿革 http://www.unist.ac.[...] 蔚山科学技術大学校
[10] 뉴스 仁川大「国立大法人化」事実上確定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1-12-28
[11] 뉴스 仁川、「国立大なき悲しみ」吹き飛ばす http://www.incheon.a[...] 仁川大ニュース:インサイド仁川 2012-01-05
[12] 뉴스 仁川大が国立大学校となる法、国会本会議通過 http://www.incheon.a[...] 仁川大ニュース:インサイド仁川 2012-01-03
[13] 웹사이트 http://www.incheon.a[...]
[14] 뉴스 選手(선수)24명 公開(공개)선발 仁川大(인천대) 축구팀出帆(출범 http://newslibrary.n[...] 1981-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