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럽 통화 단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통화 단위(ECU)는 1979년 유럽 통화 제도의 일환으로 도입된 통화 단위로, 유럽 연합의 통화 통합을 목표로 가맹국 환율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ECU는 실제 통화가 아닌 계산 단위로, 유럽 공공 기관 간의 결제 및 예산 계산에 활용되었으며, ERM의 표시 기능, 개입 메커니즘의 기준 등으로 사용되었다. ECU는 1999년 유로화로 대체되었으며, 1 ECU는 1 유로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로존 - 브렉시트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를 의미하며, 2016년 국민투표로 결정되어 2020년 1월 31일 공식 탈퇴 후 영국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유로존 - 그렉시트
    그렉시트는 2010년대 초 그리스 경제 위기를 배경으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의미하며, 긴축 재정 정책 반발과 급진좌파연합 부상으로 현실화되며 유로존 체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냈으나, 2015년 그리스가 EU의 긴축안을 수용하며 유로존에 잔류했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 통화 기호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통화 기호 - 나이지리아 나이라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나이지리아의 통화로, 1973년 도입되어 나이지리아 파운드를 대체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2023년에는 통화 가치 급락을 겪었다.
유럽 통화 단위
일반 정보
ISO 코드XEU
기호
도입일1979년 4월 13일
사용 국가유럽 경제 공동체 (1979–1998)
유럽 연합 (1993–1998)
고정 통화8개 통화 (1979–1989)
12개 통화 (1989–1998)
대체 통화유럽 통화 단위
철회일1998년 12월 31일
대체된 통화유로
통용 중단 여부
명칭
프랑스어Unité de compte européenne
스페인어Unidad Monetaria Europea
독일어Europäische Währungseinheit

2. 역사

1979년 3월 13일, 유럽 통화 제도(EMS)에 기초하여 가맹국의 환율을 고정하고 장래에는 통화 통합을 실시할 목적으로 유럽 통화 단위(ECU)가 도입되었다.[9]

1989년에는 벨기에가 ECU 금화·은화를 발행한 것을 시작으로, 지브롤터, 세인트토머스 프린세스, 프랑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몰타 등에서도 ECU 화폐가 발행되었다.

1995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EU 정상 회의에서 통화 통합 후의 통일 통화 명칭을 ECU 대신 유로로 결정하였다. 이는 프랑스의 옛 은화 "에퀴"와 이름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 대해 독일이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1999년 1월 1일, 유로로 대체되었으며, 환율은 1 ECU = 1 유로였다. ECU 바스켓에 참가했던 영국덴마크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았고, ECU 바스켓에 참가하지 않았던 핀란드오스트리아가 새롭게 유로존에 가입했다.[1]

2. 1. 유럽 환율 조정 메커니즘 (ERM)

유럽 환율 조정 메커니즘(ERM)은 회원국 통화 간의 변동을 최소화하려는 시도였다. 처음에는 각 통화의 ECU 기준 환율에 대한 변동을 관리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 비율을 달성하고, 이를 통해 유럽 단일 통화(유로)가 각국 통화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79년 3월 13일, 유럽 통화 제도(EMS)에 기초하여, 가맹국의 환율을 고정하고 장래에는 통화 통합을 실시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1999년 1월 1일 유로로 대체되었으며, 환율은 1 ECU = 1 유로였다.

유럽 통화 단위(ECU)는 EMS의 탄생과 함께 창설되어 EMS 하에서 활용되었다. EMS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다.[9]

  • ERM
  • ECU의 창설
  • 결제 수단으로서의 ECU 사용
  • 개입 자금을 파이낸스하는 신용 공여 제도의 확충


ECU는 유로와는 달리 실제로 유통되는 통화가 아니며, 법정 통화도 아니었다.[10] 기본적으로 ECU는 유럽의 공공 기관에 의해 중앙 은행 간의 결제나 EC 예산에서의 계산 단위 등으로 활용되었지만,[10]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11]

  • ERM의 표시 기능
  • 괴리 지표의 기준
  • 개입·신용 메커니즘의 계산 단위
  • 통화 당국 간의 결제 수단


이처럼 공공 기관에 의해 사용되는 ECU는 '''공적 ECU'''라고 불린다. 이에 반해, 유럽의 민간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사용되어 민간의 자본 거래나 경상 거래에 사용되던 ECU는 '''민간 ECU'''라고 불린다. 민간 ECU는 구성 통화를 조달하여 그것들을 조합하는 것으로 구축하는 bundle이나, 원래의 각각의 구성 통화로 분해하는 unbundle이 가능했다.[11]

2. 2. 하드 ECU 제안 (1990년)

1990년, 영국의 재무장관 존 메이저는 여러 국가의 통화가 경쟁하는 '하드' ECU 창설을 제안했다. ECU가 성공하면 단일 통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구상이었다.[3] 그러나 이 제안은 프랑스와 독일에게 파괴적인 전술로 받아들여졌다. 유럽회의론이 심화되던 상황에서 마거릿 대처는 유럽 연합의 경제 통화 연합(EMU)에 전면 반대했고, 결국 이 아이디어는 폐기되었다.[3]

2. 3. 유로로의 대체 (1999년)

1999년 1월 1일, 유로(코드 EUR, 기호 ⟨⟩)는 유럽 통화 단위(ECU)를 1:1 비율로 대체했다.[1] ECU와 달리 유로는 실제 통화이며, 모든 유럽 연합 회원국이 참여하는 것은 아니었다. ECU 통화 바스켓에 포함되었던 영국덴마크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았고, 그리스는 늦게 가입했다. 반면, 핀란드오스트리아는 1995년에 EU에 가입하여 ECU 구성이 "고정"된 지 2년 후였기에, 자국 통화가 ECU 바스켓에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유로존에 처음부터 참여했다.

2. 3. 1. 법적 문제

1999년 1월 1일, 유로(코드 EUR, 기호 ⟨⟩)는 유럽 통화 단위를 1:1 비율로 대체했다.[1] 유로존 회원 자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로존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영국덴마크는 유럽 통화 단위 통화 바스켓에 포함되었지만 유로존에는 가입하지 않았고, 그리스는 늦게 가입했다. 반면, 핀란드오스트리아는 1995년에 EU에 가입하여 유럽 통화 단위 구성이 "고정"된 지 2년 후였기에, 자국 통화가 유럽 통화 단위 바스켓에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유로존에 처음부터 참여했다.

유럽 통화 단위(ECU)가 일부 국제 금융 거래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외국 법원이 유로를 유럽 통화 단위의 법적 승계자로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는 국제 사법에서 국가가 통화를 결정하고, 따라서 국가가 이에 대한 유럽 연합의 법률을 수용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었기 때문에 문제가 될 가능성은 낮았다. 그러나 만전을 기하기 위해, 여러 외국 관할 구역에서는 원활한 전환을 보장하기 위한 법률을 채택했다. 특히 미국의 일리노이 주와 뉴욕 주는 상당수의 국제 금융 계약이 유로를 유럽 통화 단위의 승계자로 인정하도록 보장하는 법률을 채택했다.[4]

3. 명칭과 기호

ECU의 기호 '''₠'''는 얽혀 있는 ''C''와 ''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많은 유럽의 언어에서 "유럽 공동체"의 머리글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 기호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금융 기관과 정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중 이를 렌더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거의 없었고, 상업 결제 시스템은 널리 인식되는 통화 기호가 없는 다른 통화와 마찬가지로 ISO 코드 XEU를 사용해야 했다. ECU 기호에 대한 유니코드 지정은 1998년 5월 유니코드 v2.1이 출시될 때까지 많은 개인용 컴퓨터 운영 체제에서 구현되지 않았으며, 이 버전에서는 유로 기호도 도입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990년대 초부터 시작하여 많은 유럽 버전의 윈도우에 ECU 기호를 포함시켰지만, 이에 접근하려면 Alt 코드를 사용해야 했으며, 모든 글꼴에서 글리프를 제공하지는 않았다. 2009년까지 마이크로소프트는 ECU 기호를 "역사적"이라고 언급했다.[5] 매킨토시 운영 체제를 포함한 다른 운영 체제 간의 지원은 일관성이 없었다.

ECU의 약어는 이 단위의 영어 이름에서 유래했지만, 에퀴는 프랑스루이 9세 치하에서 주조된 금화의 일종이었다. ECU의 후계자인 유로의 이름은 특정 언어, 국가 또는 역사적 시대를 선호하지 않도록 선택되었다.[6]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명칭
U+20A0-유럽 통화 단위


4. 기능

EMS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다.[9]


  • ERM
  • ECU의 창설
  • 결제 수단으로서의 ECU 사용
  • 개입 자금을 파이낸스하는 신용 공여 제도의 확충


이 EMS에서 ECU는 활용되었다. ECU는 유로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실제로 유통되는 통화가 아니며, 법정 통화도 아니다.[10] 기본적으로 ECU는 유럽의 공공 기관에 의해 중앙 은행 간의 결제나 EC 예산에서의 계산 단위 등으로 활용되었지만[10], 구체적인 기능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11]

  • ERM의 표시 기능
  • 괴리 지표의 기준
  • 개입·신용 메커니즘의 계산 단위
  • 통화 당국 간의 결제 수단


이처럼 공공 기관에 의해 사용되는 ECU는 '''공적 ECU'''라고 불린다. 이에 반해, 유럽의 민간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사용되어 민간의 자본 거래나 경상 거래에 사용되던 ECU는 '''민간 ECU'''라고 불린다. 민간 ECU는 구성 통화를 조달하여 그것들을 조합하는 것으로 구축하는 bundle이나, 원래의 각각의 구성 통화로 분해하는 unbundle이 가능했다.[11]

5. 기념 주화 및 지폐

ECU는 전자적인 회계 단위였을 뿐 완전한 통화가 아니었으므로 일상적인 거래에 사용할 수 있는 공식적인 동전이나 지폐가 없었다. 하지만 여러 유럽 국가와 유럽 의회와 같은 단체에서 기념 주화와 모형 동전 및 지폐를 만들었다. 동전의 일반적인 주제는 보통 유럽 통합, 예를 들어 유럽 연합 가입을 기념하는 것이었다.[7]

지브롤터는 1993년부터 1998년까지 기념 주화를 발행했지만, 이는 파운드 스털링을 사용하는 지브롤터에서만 (명목상) 법정 통화였다.

6. 통화 바스켓 구성

유럽 통화 제도(EMS)에 기초하여 1979년 3월 13일, 가맹국의 환율을 고정하고 장래에는 통화 통합을 실시할 목적으로 유럽 통화 단위(ECU)가 도입되었다.[1] ECU는 회원국 통화 간의 변동을 최소화하려는 "터널 속의 뱀" 메커니즘을 사용했다. 처음에는 각 통화의 ECU 기준 환율에 대한 변동을 관리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 비율을 달성하고, 이를 통해 유럽 단일 통화(유로)가 각국 통화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 ECU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1]

1 ECU의 구성
기간국가 통화 단위 수 (가중치, 즉 총 가치에 대한 % 기여도)LUF기타
1979–1984 BEF DEM DKK FRF GBP IEP ITL NLG알 수 없음
3.80 (9.64%)0.828 (32.98%)0.217 (3.06%)1.15 (19.83%)0.0885 (13.34%)0.00759 (1.15%)109 (9.49%)0.286 (10.51%)
1984–1989 BEF DEM DKK FRF GBP IEP ITL NLG
3.85 (8.57%)0.719 (32.08%)0.219 (2.69%)1.31 (19.06%)0.0878 (14.98%)0.00871 (1.20%)140 (9.98%)0.256 (10.13%)
1989–1998 BEF DEM DKK FRF GBP IEP ITL NLG LUF ESP GRD PTE
3.301 (8.183%)0.6242 (31.915%)0.1976 (2.653%)1.332 (20.306%)0.08784 (12.452%)0.008552 (1.086%)151.8 (7.84%)0.2198 (9.87%)0.13 (0.322%)6.885 (4.138%)1.44 (0.437%)1.393 (0.695%)
1999 EUR[8]
1.0 (100%)



1999년 1월 1일, ECU는 유로로 대체되었으며, 환율은 1 ECU = 1 유로였다. 단, ECU 바스켓에 참가했던 영국덴마크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았고, ECU 바스켓에 참가하지 않았던 핀란드오스트리아가 새롭게 유로존에 가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uropean Currency Unit (ECU) http://fx.sauder.ubc[...] 2020-04-25
[2] 서적 Wall Street Words: An Essential A to Z Guide for Today's Investor Houghton Mifflin 2003-09
[3] 서적 John Major: The Autobiography HarperCollins 1999-07-24
[4] 웹사이트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European Monetary Union under U.S. and New York Law https://ec.europa.eu[...] Directorate General for Economic and Financial Affairs 1998
[5] 웹사이트 euro Currency Symbol FAQ https://www.microsof[...] 2009-06-25
[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European Monetary Integration: From EPU to EMU Quorum Books 1997-07
[7] 웹사이트 Gibraltar Coinage (Ecu) Act, 1990 https://www.gibralta[...] 2007-06-14
[8] 웹사이트 The EURO - Europes's New Currency http://fx.sauder.ubc[...] 2001-12-07
[9] 간행물 EU通貨統合の歴史的背景 http://id.nii.ac.jp/[...] 流通科学大学学術研究会 2009
[10] 간행물 EUの通貨統合と金融・財政政策の規律 https://mpra.ub.uni-[...] 2009
[11] 간행물 人工国際通貨としてのECU http://www.lib.kobe-[...] 神戸大学経済経営学会 1994
[12] 서적 Wall Street Words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