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벽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벽광은 전한 문제 시기에 열후로 봉해졌으며, 이후 제남나라의 왕이 되었다. 그는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여 복주되었고, 제남나라는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54년 사망 - 조조 (전한)
    조조는 전한 시대에 활동하며 흉노 대책 마련, 중농억상 정책 주장, 삭번 정책 주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오초칠국의 난으로 처형당한 관료였다.
  • 기원전 154년 사망 - 유비 (오왕)
    유비는 전한 고조 유방의 형 유희의 아들이자 영포 진압에 공을 세워 오왕에 봉해진 황족 제후왕으로, 구리와 소금 생산으로 부를 축적하고 세력을 키웠으나 오초칠국의 난을 일으켜 진압당하고 사망했다.
  • 자살한 왕족 - 유립
    유립은 전한 시대의 제후로, 양왕 유정의 뒤를 이어 양왕이 되었으나, 여러 범죄를 저지르고 봉국을 빼앗긴 뒤 자살했다.
  • 자살한 왕족 - 알리 레자 팔라비
    알리 레자 팔라비는 팔라비 왕조의 왕자로서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학업을 이어갔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고대 이란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2011년 보스턴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자살한 사람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 자살한 사람 - 조소앙
    조소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삼균주의에 입각한 임시 헌장을 기초하고 임시정부 외무부장, 한국독립당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협상에 참여하고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사망했다.
유벽광
인물 정보
이름유벽광
로마자 표기Yu Byeokgwang
한자劉辟光
생몰년도알 수 없음
국적중국
가족 관계
아버지제도혜왕 유비
어머니알 수 없음
형제자매유옹
유장려
유발
유흥거
유언
유모
유취
유치
유강
유경
유량
유불의
관직 및 작위
작위마후 (秺侯)
봉토마 (秺)
기타 정보
사건오초칠국의 난 가담 및 처형
설명경제 (頃) 5년에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여 형벌을 받았다.

2. 생애

유벽광은 전한의 제후왕으로, 문제 때 역후(朸侯) 또는 늑후(扐侯)로 봉해졌다가, 후에 제남나라 왕이 되었다.

전한 경제 시대에 조조의 주도로 제후왕의 영지를 줄이는 정책이 추진되자, 이에 반발한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였다. 오왕 유비의 편에 서서 교서왕 유앙과 함께 거사를 도모하였고, 다른 제나라 왕들과 함께 제나라 서울 임치를 포위하기도 했다. 그러나 조정의 진압군에 의해 난이 진압되면서, 교서왕은 자살하고 유벽광은 처형되었다. 이후 제남나라는 한나라의 군으로 편입되었다.[9][7][8][10]

2. 1. 제후왕 책봉

문제 4년(기원전 176년), 제북왕 유흥거가 반란을 일으켰다가 자살한 이듬해에, 문제에게서 형제들과 함께 열후로 봉해져 역후(朸侯) 혹 늑후(扐侯)가 되었다.[4][5][6][7][10]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전년 제문왕 유칙이 후사 없이 죽어 폐지된 제나라를 일곱으로 나누어 성양공왕과 제도혜왕의 아들들을 봉하면서 제남나라 왕이 되었다.[8][7][10] 제남왕은 재위 4년(기원전 161년)과 6년(기원전 159년) 두 차례 입조했다.[8]

2. 2. 제남왕 즉위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전년 제문왕 유칙이 후사 없이 죽어 폐지된 제나라를 일곱으로 나누어 제도혜왕의 아들들과 성양공왕을 봉하면서 제남나라 왕이 되었다.[8][7][10] 제남왕은 재위 4년(기원전 161년)과 6년(기원전 159년) 두 차례 입조했다.[8]

2. 3. 오초칠국의 난 가담과 죽음

전한 경제 시대에 조조를 중심으로 조정에서 제후왕의 영지를 줄이는 정책을 펴자, 이에 반발한 오왕 유비가 교서왕 유앙을 한편으로 꼬드겼고, 유앙은 성양나라를 제외한 여섯 제나라에 사람을 보내 거사에 함께하도록 권했다.[9][7][8][10] 제남왕도 이에 가담해, 가담 의사를 철회한 제효왕을 교서왕, 교동왕, 치천왕과 함께 공격해 제나라 서울 임치를 포위했다. 그러나 조정의 진압군이 오나라와 초나라를 무찌르고 난포와 조양을 보내 제나라를 구원하자, 제나라를 포위한 세 나라의 군대는 흩어져 각각 자기 나라로 갔다. 교서왕이 용서를 구했으나 자살하자, 제남왕도 처형되었다. 제남나라는 폐지되어 한나라의 군으로 편입되었다.[9][7][8][10]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zh.wikisource[...] 2011-07-15
[2]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7-15
[3]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7-15
[4] 서적 《사기》 한흥이래제후왕표에서는 초후(初侯)라 한다.
[5] 서적 《사기》 권19 혜경간후자연표제7
[6] 서적 《한서》 권15상 왕자후표제3상
[7] 서적 위와 같음, 권38 고오왕전제8
[8] 서적 전게서, 권17 한흥이래제후왕연표제7
[9] 서적 전게서, 권35 형연오전
[10] 서적 위와 같음, 권14 제후왕표제2
[11]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12]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13] 문서 한서에서는 씨병(氏兵), 사기에서는 과구(瓜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