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장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장려는 전한의 제나라 왕으로, 제도혜왕 유비의 아들이다. 기원전 176년에 양허후에 봉해졌고, 기원전 164년에 제나라 왕이 되었다.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 당시 교동왕, 교서왕, 치천왕, 제남왕의 공격을 받아 임치에서 포위되었으나, 조정의 구원군이 도착하여 포위가 풀렸다. 그러나 반란군과 내통하려 했다는 의심을 받아 두려움에 약을 먹고 자결했다. 이후 그의 아들 유수가 제나라 왕위를 계승했다.

2. 생애

문제 4년(기원전 176년) 양허후(楊虛侯)에 봉해졌고,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제나라 왕이 되었다.[1][2][3][4] 경제 전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이 일어나자, 처음에는 오나라와 초나라 등 다른 제후왕들의 반란 가담 제의를 거절했으나 오히려 교서, 치천, 제남의 공격을 받았다. 수도 임치가 포위되는 등 위급한 상황 속에서 조정에 구원을 요청하는 한편, 공격해 온 세 나라와 내통을 시도하기도 했다. 난포 등이 이끄는 조정의 구원군이 도착하여 포위는 풀렸으나, 내통 시도 사실이 알려지면서 진압군에게 공격받을 위기에 처하자 두려움에 약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3] 사후 경제는 유장려가 본심으로 반란에 가담한 것이 아니라 협박에 못 이겨 잠시 동요한 것으로 보고 죄를 묻지 않았으며, 아들 유수가 왕위를 잇도록 했다.[3]

2. 1. 초기 생애와 제나라 왕 즉위

문제 4년(기원전 176년), 제북왕 유흥거가 반란을 일으켰다가 자살한 이듬해에 형제들과 함께 열후로 봉해져 양허후(楊虛侯)가 되었다.[1][2][3]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전년에 제문왕 유칙이 후사 없이 사망하여 폐지되었던 제나라가 제, 교서, 교동, 치천, 제북, 제남 여섯 나라로 분할되었다. 이때 제도혜왕의 다른 아들들과 함께 봉해지면서 제나라 왕으로 즉위하였다.[4][3]

2. 2. 오초칠국의 난과 죽음

경제 전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이 일어났다. 이때 교동왕 유웅거, 교서왕 유앙, 치천왕 유현, 제남왕 유벽광 등이 난에 호응하며 제나라 왕 유장려에게도 함께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유장려는 이들을 의심하여 제안을 거부했다.[3]

이 결정으로 인해 유장려는 오히려 교서왕, 치천왕, 제남왕 연합군의 공격을 받게 되었고, 수도 임치에서 포위되는 위기에 처했다. 다급해진 유장려는 중대부 노앙(路卬)을 조정에 보내 구원을 요청했다. 포위 상황이 길어지고 사세가 불리해지자, 유장려는 세 나라와 몰래 연합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최종적인 약속이 이루어지기 전에 노앙이 조정에서 돌아왔다. 노앙은 돌아오는 길에 연합군에게 붙잡혀 "조정이 이미 반란군에게 굴복했다"고 거짓말하도록 협박받았지만, 끝까지 "조정에서 굳게 성을 지키라고 명했다"는 원래의 전갈을 전하고 죽음을 맞이했다. 또한, 제나라의 여러 신하들도 항복에 반대하며 항전 의지를 다졌다.[3]

한편, 오초칠국의 난 진압을 위해 파견된 주아부가 이끄는 조정의 군대는 반란군의 주력인 오나라와 초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이와 동시에 제나라 구원을 위해 난포와 조양이 이끄는 별도의 부대가 파견되어, 제나라를 포위하고 있던 교서, 치천, 제남 연합군을 물리치고 포위를 풀었다. 그러나 구원 과정에서 진압군은 유장려가 세 나라와 내통하려 했다는 정보를 입수했고, 이 때문에 제나라 역시 반란에 가담한 것으로 간주하여 공격하려 했다. 이 소식을 들은 유장려는 극심한 두려움 속에서 결국 약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3]

경제는 유장려가 본래 반란 의도가 없었고, 외부의 협박에 못 이겨 잠시 동요했을 뿐 반란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의 죄를 묻지 않고, 태자 유수에게 제나라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여 제나라의 명맥을 잇게 했다.[3]

3. 가계


이름작위
유수제의왕
유취박양경후
유연피양경후
유월정부후
유정도이후
유국산원후
유충번안이후
유양이유강후
유신운이후
유설모평공후
유대시원후
?고락강후



박양경후 유취는 원삭 3년(기원전 126년) 3월 을묘일에 봉해졌고, 피양경후 유연부터 시원후 유대까지는 이듬해인 원삭 4년(기원전 125년) 4월 을묘일에 봉해졌다. 고락강후는 《한서》에만 기록되어 있으며, 이름과 봉작 시기는 알 수 없다.

참조

[1] 서적 사기 (역사서)
[2] 서적 한서
[3] 서적 한서 #같은책
[4] 서적 사기 #같은책
[5] 문서 유명 (제천왕) 관련 내용
[6] 문서 작위 관련 내용
[7] 문서 씨병(氏兵)과 과구(瓜丘) 관련 내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