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긴급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긴급군은 1956년 수에즈 위기 이후,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휴전 유지를 위해 창설된 최초의 유엔 군사력이다. 이집트 영토 내에서 평화 유지를 돕고 휴전선 감시를 주요 임무로 수행했다. 캐나다 외무장관 레스터 B. 피어슨의 제안으로 설립되었으며, 총회의 권한 아래 유엔 헌장 제2조 7항의 국가 주권 조항의 적용을 받았다. 브라질, 캐나다, 인도 등 10개국 이상이 병력을 제공했으며, 미국 등도 지원했다. 1967년 이집트의 철수 요구와 이스라엘의 거부로 인해 활동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유엔 관계 - 국제인구개발회의
국제인구개발회의는 인구, 개발, 여성의 권리를 다루는 국제 회의로, 1994년 카이로 회의에서 구체적인 목표에 합의했으나 생식 권리와 낙태 문제에 대한 이견으로 논쟁을 겪기도 했다. - 유엔 평화 유지 활동 -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는 1963년 종교 간 폭력 사태로 설정된 "녹색 선"을 기반으로 1974년 튀르키예의 침공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키프로스 섬을 남북으로 분단하여 설립되었으며, 유엔 키프로스군이 관리하고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다. - 유엔 평화 유지 활동 -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UNFICYP)은 키프로스 내 폭력 사태 종식 및 평화 회복을 위해 1964년 설립되어, 1974년 키프로스 분단 이후 완충지대 감시 및 군사적 현상 유지 임무를 수행하며 평화적 해결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중립성 논란과 철수 요구 등 과제에 직면하고 있는 유엔 평화유지군이다.
유엔 긴급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국제연합 긴급군 |
약칭 | UNEF I |
유형 | 평화유지활동 |
활동 시작일 | 1956년 11월 7일 |
활동 종료일 | 1967년 6월 17일 |
소속 | 국제연합 |
지휘관 | 다그 함마르셸드, 레스터 B. 피어슨 |
휘장색 | 파란색 흰색 |
본부 위치 | 이집트 |
유엔 결의 | 총회 결의 998, 1000, 1001 |
웹사이트 | UNEF I |
작전 | |
주요 전투 | 아랍-이스라엘 분쟁 수에즈 위기 |
훈장 | |
훈장 | [[File:UN Medal UNEF ribbon bar.svg|x15px]] 국제연합 긴급군 훈장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UNEF I 철수 (1967년 5월 16일 - 6월 17일) - 사무총장 보고서, 부록, 정오표 중동 – UNEF II |
2. 역사
최초의 유엔 군사력이었던 유엔긴급군(UNEF)은 이집트 정부의 동의를 얻어 이집트 영토에 진입하여 비이집트군의 철수 동안 및 철수 후의 평온을 유지하고, 수에즈 운하에서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휴전 협정에서 설정된 휴전선까지의 지역을 담당하는 임무를 맡았다. 유엔긴급군은 유엔 총회의 권한 아래 설립되었으며, 유엔 헌장 제2조 7항의 국가 주권 조항의 적용을 받았다. 이집트 정부와 유엔 사무총장 간의 협정인 '선의의 협정' 또는 '선의의 보충 각서'[4]에 따라 유엔긴급군은 이집트 정부의 동의 하에 이집트에 주둔하게 되었다.[5]
1949년 휴전선 복원을 거부한 이스라엘은 자국 영토 또는 점령 지역에 유엔군 주둔을 거부했다.[6][7] 이에 따라 브라질, 캐나다, 콜롬비아, 덴마크, 핀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스웨덴, 유고슬라비아 등 11개국이 휴전선 이집트 측에 군대를 파병했다.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도 지원을 제공했다.
1956년 11월 15일 최초 부대가 카이로에 도착했고, 1957년 2월에는 6,000명의 최정예 병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 부대는 수에즈 운하 주변, 시나이 반도, 가자 지구의 지정된 지역에 배치되었고, 1957년 3월 8일 이스라엘이 라파에서 마지막 병력을 철수하면서 배치가 완료되었다. 유엔 사무총장은 1949년 휴전선 이스라엘 측에도 유엔긴급군을 주둔시키려 했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거부했다.[8]
유엔긴급군의 임무는 다음과 같은 네 단계로 수행될 예정이었다.
1. 1956년 11월과 12월, 영국과 프랑스군이 철수할 때 수에즈 운하 지역의 질서있는 이양 촉진.
2. 1956년 12월부터 1957년 3월까지, 이스라엘군과 이집트군의 분리와 가자와 샤름엘셰이크를 제외한 전쟁 중 점령한 모든 지역에서 이스라엘군의 철수 촉진.
3. 1957년 3월, 가자와 샤름엘셰이크에서 이스라엘군의 철수 촉진.
4. 국경을 따라 감시 목적으로 배치 (1967년 5월까지).
재정적 제약과 변화하는 필요에 따라 이 부대는 1967년 5월까지 3,378명으로 감소했다. 1967년 5월 16일 이집트의 철수 요청과 6월 5일 이스라엘의 이집트 침공으로 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하면서, 유엔긴급군은 6월 17일 철수했다.
- -|]]|thumb|유엔긴급군(UNEF) DHC-4 캐리부(Caribou) 기, 엘 아리시(El Arish), 1962년]]
- -|]]|thumb|6일 전쟁 당시 88고지에서 철수하는 스웨덴 평화유지군]]
2. 1. 창설 배경
1956년 10월 29일,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침공하고, 영국과 프랑스가 수에즈 운하에 개입하면서 제2차 중동 전쟁(수에즈 위기)이 발발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상임이사국인 영국과 프랑스가 분쟁 당사국이었기 때문에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10월 31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19호에 따라 유엔 긴급 특별총회가 소집되었다. 11월 2일, 총회 결의 997호는 관련국들에 즉각적인 휴전과 수에즈 운하의 통행 재개를 요구했다. 레스터 B. 피어슨 당시 캐나다 외무장관은 분쟁 해결을 위해, 강제 조치가 아닌 관련국들의 동의를 얻어 전개하는 유엔 주도의 군대라는 개념을 제시했다.[11] 11월 4일부터 7일까지의 총회 결의 998, 1000, 1001호에 따라 유엔 긴급군(UNEF)이 설립되었다.2. 2. 초기 활동 (1956년 ~ 1957년)
1956년 11월 8일 휴전이 성립되었고, 11월 14일 이집트의 동의를 얻어 11월 15일부터 유엔 긴급군(UNEF)의 배치가 시작되었다.[11] UNEF의 초기 임무는 휴전 감시 및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군대의 이집트 영토 내에서의 철수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UNEF는 유엔 휴전 감시 기구(UNTSO)에서 차출된 일부 인원과 브라질, 캐나다, 콜롬비아, 덴마크, 핀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스웨덴, 유고슬라비아 등에서 제공된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최대 병력 규모는 약 6,000명에 달했다.[8]1956년 11월과 12월, UNEF는 영국과 프랑스 군대가 철수할 때 수에즈 운하 지역의 질서 있는 이양을 촉진했다. 영국과 프랑스 군대는 1956년 12월에 철수를 완료했다. 1956년 12월부터 1957년 3월까지, UNEF는 이스라엘군과 이집트군의 분리와 가자 지구 및 샤름엘셰이크를 제외한 전쟁 중 점령 지역에서 이스라엘군의 철수를 지원했다. 이스라엘은 1957년 3월까지 1949년 휴전선까지 철수했다.[8] 이스라엘은 자국 영토 내 UNEF 주둔을 거부했다.[6][7][8]
2. 3. 휴전 감시 및 철수 (1957년 ~ 1967년)
1956년 11월과 1956년 12월에 걸쳐, 유엔 긴급군은 영국과 프랑스 군이 철수할 때 수에즈 운하 지역의 질서있는 이양을 촉진했다. 1956년 12월부터 1957년 3월까지는 이스라엘군과 이집트군의 분리 및 가자 지구와 샤름엘셰이크를 제외한 전쟁 중 점령 지역에서 이스라엘군 철수를 지원했다. 1957년 3월, 가자와 샤름엘셰이크에서도 이스라엘군이 철수했다.[8] 이후 유엔 긴급군은 국경 감시 목적으로 배치되었다.이스라엘군 철수 이후, 유엔 긴급군은 이집트-이스라엘 접경 지역 이집트 측에 배치되어 휴전 감시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 유엔 긴급군은 수년에 걸쳐 병력이 감축되었으며, 1967년 5월에는 약 3,378명으로 줄었다.
1967년 5월 16일, 이집트 정부는 유엔 긴급군의 철수를 요구했다.[9] 우탄 유엔 사무총장은 완충 지역 유지를 위해 국경 이스라엘 측에 유엔 긴급군을 재배치하려 했으나, 이스라엘은 이를 거부했다.[10] 1967년 5월 31일까지 캐나다군은 항공편으로 완전 철수했고, 브라질, 인도, 스웨덴군은 철수 준비 중이었다.
1967년 6월 5일,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침공하면서 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2] 제3차 중동 전쟁 중 이스라엘군은 유엔 긴급군 호송대, 캠프, 본부 등을 공격하여 브라질 평화유지군 1명과 인도군 14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당했다.[2] 마지막 유엔 긴급군 병력은 1967년 6월 17일에 이 지역을 떠났다.[2]
3. 주요 임무
유엔 긴급군(UNEF)은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정전 협정을 감시하고, 이집트 영토에서 외국군 철수를 확인하며, 수에즈 운하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는 임무를 맡았다. 또한, 이집트와 이스라엘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수행했다.[4][5]
유엔긴급군의 구체적인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
- 이집트 정부의 동의를 받아 이집트 영토에 진입하여 비이집트 군대의 철수 과정과 철수 이후의 평온을 유지.[4]
- 수에즈 운하에서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휴전 협정에 의해 설정된 휴전선까지의 지역을 담당.[4]
- 1956년 11월과 12월, 영국과 프랑스군이 철수할 때 수에즈 운하 지역의 질서있는 이양을 촉진.
- 1956년 12월부터 1957년 3월까지 이스라엘군과 이집트군의 분리와 가자와 샤름엘셰이크를 제외한 전쟁 중 점령한 모든 지역에서 이스라엘군의 철수를 촉진.
- 1957년 3월, 가자와 샤름엘셰이크에서 이스라엘군의 철수를 촉진.
- 국경을 따라 감시 목적으로 배치 (1967년 5월까지).
유엔긴급군은 총회의 권한 아래 설립되었으며, 유엔 헌장 제2조 7항의 국가 주권 조항에 따라 운영되었다. 이집트 정부와 유엔 사무총장 간의 '선의의 협정'에 따라 이집트의 동의를 얻어 배치되었다.[4][5]
1949년 휴전선 복원을 거부한 이스라엘은 자국 영토나 점령 지역에 유엔군 주둔을 거부했다.[6][7] 다자간 협상 끝에 브라질, 캐나다, 콜롬비아, 덴마크, 핀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스웨덴, 유고슬라비아 등 11개국이 이집트 측에 군대를 파병했다.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도 지원을 제공했다. 1957년 2월, 유엔긴급군은 최대 6,000명의 병력을 갖추게 되었다.[8]
1967년 5월 16일, 이집트 정부는 유엔군 철수를 명령했고, 우탄 사무총장은 이스라엘 측에 유엔긴급군 재배치를 시도했으나 이스라엘이 거부했다.[9][10] 1967년 6월 5일 6일 전쟁 발발과 함께, 마지막 유엔 평화유지군은 6월 17일에 이 지역을 떠났다.[2]
4. 참여 국가
유엔긴급군(UNEF)에는 다음과 같은 국가들이 참여했다.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도 지원을 제공했다.[4] 이집트와의 다자간 협상 끝에 위에 언급된 11개국이 휴전선 이집트 측에 군대 파병을 제안했다.[6][7] 최초 부대는 1956년 11월 15일 카이로에 도착했고, 1957년 2월에는 6,000명의 최정예 병력을 갖추게 되었다.[8]
1967년 5월 16일, 이집트 정부는 브라질, 캐나다, 인도 군사 대원이 주축을 이루고 소규모 스웨덴 대원이 포함된 모든 유엔군에게 시나이에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9] 6월 5일 이스라엘의 이집트 침공으로 6일 전쟁이 발발하자, 이스라엘군은 유엔긴급군을 공격하여 브라질 평화유지군 1명과 인도 관리 14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당했다.[2] 마지막 유엔 평화유지군은 6월 17일에 이 지역을 떠났다.[2]
5. 지휘관
기간 | 지휘관 | 국적 |
---|---|---|
1956년 11월 – 1959년 12월 | E. L. M. 번즈 | 캐나다 |
1959년 12월 – 1964년 1월 | P. S. 갸니 | 인도 |
1964년 1월 – 1964년 8월 | 카를로스 F. 파이바 차베스 | 브라질 |
1964년 8월 – 1965년 1월 | 라자르 무시츠키 (권한대행) | 유고슬라비아 |
1965년 1월 – 1966년 1월 | 시세노 사르멘토 | 브라질 |
1966년 1월 – 1967년 6월 | 인다르 짓 리크예 | 인도 |
6. 사상자
이스라엘군에 의해 사망한 브라질 평화유지군은 아달베르토 일랴 드 마세도(Adalberto Ilha de Macedo) 상사였다.[2]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사망한 UN 파견군 인도군은 다음과 같다.[2]
- 대위 비자이 사차르(Vijay Sachar)
- 수바다르 아짓 싱(Ajit Singh)
- 시포이 소한 싱(Sohan Singh)
- 시포이 조긴더 싱(Joginder Singh)
- 시포이 프리탐 싱(Pritam Singh)
- 시포이 사두 싱(Sadhu Singh)
- 시포이 모힌더 싱(Mohinder Singh)
- 밴즈맨 고팔 싱(Gopal Singh)
- 시포이 무크티아르 싱(Mukhtiar Singh)
- L/Naik 술라칸 싱(Sulakhan Singh)
- 시포이 지트 싱(Jit Singh)
- 시포이 G. K. 쿠티(G. K. Kutty)
- Nce 소나 바이타(Sona Baitha)
- 시포이 조라 싱(Zora Singh)
참조
[1]
UN Resolution
Resolution 1001 (ES-1)
https://www.un.org/g[...]
1956-11-05
[2]
웹사이트
UNEF I withdrawal (16 May - 17 June 1967) - SecGen report, addenda, corrigendum
https://www.un.org/u[...]
2022-05-19
[3]
웹사이트
Middle East – UNEF II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ited Nations
2014-12-14
[4]
문서
Good Faith Aide-Memoire
UN GAOR
[5]
웹사이트
The Withdrawal of UNEF and a New Notion of Consent
https://web.archive.[...]
2012-07-31
[6]
서적
Eisenhower and Israel: U.S.-Israeli Relations, 1953–19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7]
서적
A Restless Mind: Essays in Honor of Amos Perlmutt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서적
A Life in Peace and War
[9]
웹사이트
on 16 May 1967, as was his right, the Egyptian President ordered UNEF to leave his country
https://www.canada.c[...]
[10]
서적
U Thant's Memoir
[11]
문서
ピアソンはこの活動を評価され、1957年にノーベル平和賞を受賞した。
[12]
UN Resolution
Resolution 1001 (ES-1)
https://www.un.org/g[...]
1956-11-05
[13]
웹인용
UNEF I withdrawal (16 May - 17 June 1967) - SecGen report, addenda, corrigendum
https://www.un.org/u[...]
2022-05-19
[14]
웹인용
Middle East – UNEF II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ited Nations
2014-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