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는 1958년 유엔 총회 결의안에 따라 설립된 기구로, 우주 공간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국제 협력을 증진하고 우주 활동의 혜택을 모든 국가가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원회는 우주 조약 등 5개의 유엔 조약 및 여러 국제 협정을 감독하며, 지구 근접 물체(NEO) 위협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을 주도한다. 2022년 기준 102개 회원국과 다수의 옵서버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은 1994년에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 인간 개발 지수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 1인당 국민 총소득을 종합하여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유엔 - 유엔 본부
    유엔 본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로서 뉴욕 맨해튼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국가 출신 건축가들의 협업으로 설계되어 사무국 건물, 총회 건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치외법권을 가진 국제 사회의 중심지이다.
  • 1959년 설립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1959년 설립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셰레메티예보 알렉산드르 S. 푸시킨 국제공항은 모스크바에 있는 4개의 국제공항 중 하나로, 군용 비행장에서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어 2019년에 러시아 대문호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북쪽과 남쪽 터미널로 나뉘어 지하 셔틀로 연결되고 아에로플로트를 비롯한 여러 항공사가 취항하는 러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

2. 역사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유엔은 우주 공간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표명했다. 1958년 12월, 유엔 총회는 임시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를 설립하여 관련 활동 및 자원에 대해 보고하도록 했다.[3] 1959년 12월, 임시 위원회는 상설 기구로 전환되었으며, 회원국은 24개국으로 확대되었다.[4]

미국과 소련우주 경쟁 심화로 우주의 군사적 이용 가능성에 대한 국제적 우려가 커졌다. 1962년 3월, 결의안 1721 (XVI)에 따라 위원회가 재소집되어 과학, 기술, 법률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재개되었다.[5][6] 결의안 1721은 국제법유엔 헌장이 우주 공간에 적용됨을 명시하고, 위원회에 우주 탐사 관련 법적 문제 연구 및 보고를 지시했다.[6][7]

유엔 우주국(UNOOSA)은 1958년 창설 이후 위원회의 사무국 역할을 해왔다.[7][9]

3. 주요 조약 및 협정

유엔 우주국(UNOOSA)은 1958년 창설 이후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의 사무국 역할을 해왔으며, 위원회 소위원회에도 사무국 서비스를 제공한다.[7][9] 위원회 및 소위원회와 관련된 모든 문서는 UNOOSA에서 발행한다.[10]

COPUOS는 5개의 유엔 조약 및 우주 공간 활동과 관련된 협정을 감독하며,[11] 우주 공간 활동과 관련된 다른 국제 협정 또한 추적한다.[12]

3. 1. COPUOS 주도 조약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는 다음 5개의 유엔 조약 및 우주 공간 활동과 관련된 협정을 감독한다.[11]

  • 우주 조약 – 달 및 기타 천체를 포함한 우주 탐사 및 이용에 관한 국가 활동 원칙 조약
  • 구조 협정 – 우주 비행사의 구조, 우주 비행사의 귀환 및 우주로 발사된 물체의 반환에 관한 협정
  • 손해 책임 협약 – 우주 물체로 인한 국제적 손해 책임에 관한 협약
  • 등록 협약 – 우주로 발사된 물체의 등록에 관한 협약
  • 달 조약 – 달 및 기타 천체에서 국가 활동을 규율하는 협정

3. 2. 기타 관련 협정

다음은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가 추적하는 우주 공간 활동 관련 국제 협정들이다.[12]

  • 대기권, 우주 공간 및 수중 핵무기 시험 금지 조약 (NTB)
  • 위성을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 전달 신호의 배포에 관한 협약 (BRS)
  • 국제 통신 위성 기구 (ITSO) 관련 협정
  • 국제 우주 통신 시스템 및 기구 (INTERSPUTNIK) 설립에 관한 협정
  • 유럽 우주국 (ESA) 설립 협약
  • 아랍 우주 통신 공사 (ARABSAT) 협정
  • 인테르코스모스 (INTERCOSMOS) - 평화적 목적을 위한 우주 탐사 및 이용 협력에 관한 협정
  • 국제 이동 위성 기구 (IMSO) 협약
  • 유럽 통신 위성 기구 (EUTELSAT) 설립 협약
  • 유럽 기상 위성 활용 기구 (EUMETSAT) 설립 협약
  • 국제 전기 통신 헌장 및 협약 (ITU)

4. 지구 근접 물체(NEO) 위협 대응

우주 탐험가 협회(ASE)는 B612 재단 회원들과 협력하여 COPUOS와 그 전문가 그룹인 액션 팀 14(AT-14)를 통해 근지구 천체(NEO) 추적 및 궤도 변경 임무에 대한 유엔 감독에 기여했다. B612와 ASE의 여러 회원들은 2001년부터 COPUOS와 협력하여 충돌 재해 대응과 궤도 변경 임무에 대한 국제적 참여를 확립했다.[13]

2013년 10월, 유엔 위원회는 위험한 소행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지구 충돌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국제 소행성 경보 네트워크(IAWN)를 설립하는 등 지구 소행성 충돌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승인했다. 또한 유엔 우주 임무 계획 자문 그룹(SMPAG)은 궤도 변경 임무에 대한 기술 연구를 조정하고 실제 임무를 감독한다.[15]

IAWN과 SMPAG의 첫 회의는 2014년에 열렸다.[18]

5. 회원국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는 1958년 창설 당시 18개 회원국으로 시작하여 2022년 현재 102개국으로 확대되었다.[3][19] 2016년 기준으로 84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국


5. 1. 회원국 변동 현황

녹색은 회원국, 연두색은 참여 희망국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는 1958년 12월 13일 총회 결의안 1348(XIII)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으며, 원래 18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102개 회원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유엔 총회에서 가장 큰 위원회 중 하나이다.[3][19] 위원회의 구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회원국 수비고
195818
195924
196128
197337
197747
198053
199461대한민국 가입
200164
200265
200467
200769
201070
201171
201274
201376
201477
201583
201684
201787
201892
201995
2021100
2022102


5. 2. 대한민국 관련 사항

대한민국은 1994년에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2016년 기준으로 COPUOS에는 한국을 포함하여 84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연합에서 가장 큰 위원회 중 하나이다.[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2017년 6월에 개최된 회의에서 옵서버 참가가 승인되었으나, 아직 정식 회원국은 아니다.[23]

6. 옵서버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에는 회원국 외에도 다수의 국제기구가 옵서버 지위를 가지고 있다. 우주 연구 위원회(COSPAR), 유럽 우주국(ESA), 국제 우주 연맹(IAF) 등 다양한 기구가 참여하고 있다. 2018년에는 유럽 연합(EU)도 옵서버로 참여했다.[20]

옵서버 목록과 옵서버 지위를 부여받은 연도는 다음과 같다.[20]

연도회원
1962우주 연구 위원회(COSPAR)
1972유럽 우주국(ESA)
1976국제 우주 연맹(IAF)
1985국제 우주 통신 기구(INTERSPUTNIK), 국제 통신 위성 기구(ITSO)
1986국제 이동 위성 기구(IMSO)
1990국제 법률 협회(ILA), 국제 사진 측량 및 원격 탐사 학회(ISPRS)
1993우주 탐험가 협회(ASE)
1995국제 우주 항공 아카데미(IAA), 국제 천문 연맹(IAU)
1996행성 협회(TPS)
1997국제 우주 대학교(ISU)
2001유럽 국제 우주의 해 협회(EURISY), 우주 세대 자문 위원회(SGAC), 국립 우주 협회(NSS)
2002지구 관측 위성 위원회 (CEOS), 세계 우주 주간 협회(WSWA)
2003북아프리카 국가 지역 원격 감지 센터(CRTEAN), 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IIASA)
2005유럽 우주 정책 연구소(ESPI)
2007아프리카 지도 제작 및 원격 탐사 기구(AOCRS)
2008유럽 남반구 천문대(ESO), 유럽 통신 위성 기구(EUTELSAT-IGO), 국제 우주법 연구소(IISL), 술탄 빈 압둘 아지즈 국제 물상(PSIPW), 안전한 세계 재단(SWF)
2009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
2010우주 안전 증진을 위한 국제 협회(IAASS)
2011아랍 세계 원격 감지 센터 협회(ARSCAW)
2012이베로 아메리카 항공 및 우주법 및 상업 항공 연구소, 태양-지구 물리학 과학 위원회(SCOSTEP)
2013우주 과학 기술에 대한 이슬람 네트워크(ISNET)
2014아프리카 환경 원격 감지 협회(AARSE)
2016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
2017유럽 과학 재단(ESF), 대학 우주 공학 컨소시엄-글로벌(UNISEC-Global)
2018CANEUS-International, 유럽 연합(EU), 모두를 위한 달, 국제 표준화 기구(ISO)


7. 의장단

다음은 2020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된 제65차 회의의 위원회 의장단이다. 의장단은 사무국과의 협의를 거쳐 공식적인 서면 절차를 통해 선출되었다.[21][22]

이름국가직책
옴란 샤라프아랍에미리트의장
제니 타피오핀란드제1 부의장
올레그 벤츠코프스키우크라이나제2 부의장 및 보고관
후안 프란시스코 파체티파라과이과학기술 소위원회 의장
놈푸네코 마자자남아프리카 공화국법률 소위원회 의장


참조

[1] 학술지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in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https://www.scienced[...] 2021-02-18
[2] 학술지 United Nations Handbook 2019–2020 https://www.mfat.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New Zealand 2019
[3] R Question of the peaceful use of outer space 1958-12-13
[4] 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1959-12-12
[5] 학술지 Outer Space Co-Operation in the United Nations https://www.jstor.or[...] 2021-02-19
[6] 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1961-12-20
[7] 웹사이트 UNOOSA and COPUOS https://onu-vienne.d[...] Republic of France 2021-02-19
[8] 웹사이트 COPUOS History https://www.unoosa.o[...] UN 2021-02-18
[9]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unoosa.o[...] UN 2021-02-19
[10] 웹사이트 Past Sessions of the Committee and its Subcommittees https://www.unoosa.o[...] UN 2021-02-19
[11] 웹사이트 COPUOS https://www.unoosa.o[...]
[12] 문서 Status of International Agreements relating to activities in outer space as at 1 January 2012 http://www.oosa.unvi[...]
[13] 뉴스 Astronauts and Cosmonauts Call for Global Cooperation on Asteroid Threat http://earthsky.org/[...] Earth & Sky 2013-10-28
[14] 뉴스 United Nations to Spearhead Asteroid Deflection Plan http://news.discover[...] Discovery.com 2013-10-28
[15] 뉴스 UN Sets Up Asteroid Peacekeepers to Defend Earth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3-10-28
[16] 뉴스 UN Aims to Fight Asteroids, Creates a Global Warning Network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3-10-28
[17] 뉴스 More Asteroid Strikes Are Likely, Scientists Sa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11-06
[18] 문서 Building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for Planetary Defense http://spacenews.com[...] 2015-07
[19] 웹사이트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Membership Evolution http://www.unoosa.or[...] United Nations 2019-05-15
[20] 웹사이트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Observer Organizations http://www.unoosa.or[...] United Nations 2019-05-15
[21] 웹사이트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2022 https://www.unoosa.o[...] U.N. 2022-08-23
[22] Supplement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Draft Report of the Sixty-fifth session. Chapter I
[23] 뉴스 北朝鮮 国連宇宙委にオブザーバー承認 人工衛星関心か https://mainichi.jp/[...] 2017-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