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종 아메바성 뇌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은 자유 생활 아메바에 의해 발생하는 드문 중추신경계 감염 질환이다. 원인 아메바에는 아칸타모에바,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 사피니아 페다타 등이 있으며, 사피니아 페다타는 과거 사피니아 디플로이데아로 알려졌다.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은 두통, 메스꺼움, 행동 변화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시작하여 발작, 국소 신경학적 징후 등 중추신경계 증상으로 이어진다. 뇌 생검을 통해 진단하며, 항진균제, 항생제 등을 사용한 치료가 시도되지만, 예후는 매우 좋지 않아 사망률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염 - 바이러스성 뇌염
바이러스성 뇌염은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뇌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감기 유사 증상을 보이지만 급성 뇌증으로 진행되면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항바이러스제 투여와 대증 치료, 재활 치료를 병행하고 모기 방지와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 뇌염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은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아메바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물이 코를 통해 뇌로 이동하여 심각한 뇌 손상을 일으키고, 초기에는 수막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빠르게 진행되어 치사율이 높은 드문 감염 질환이다. - 희귀감염병 - 히스토플라스마증
히스토플라스마증은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토양에서 포자를 흡입하여 감염될 수 있고, 무증상부터 호흡기 증상, 심각한 합병증까지 유발하며, 항진균제로 치료하는 감염 질환이다. - 희귀감염병 -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은 홍역 바이러스 감염 후 수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는 희귀한 진행성 뇌 질환으로, 신경성 열화가 서서히 진행되어 인격 변화, 지능 저하, 근육간대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며, 홍역 백신 접종으로 발병률이 감소하고 진단은 뇌파 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 수인성 질병 -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세로바르 티피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으로, 고열, 두통,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고 개인 위생과 환경 위생을 통해 예방한다. - 수인성 질병 - 이질
이질은 세균이나 기생충 감염으로 발병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혈액이 섞인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이며, 세균성과 아메바성으로 나뉘고 위생 환경 개선으로 발생 빈도는 감소했으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주요한 건강 문제이다.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 | |
---|---|
일반 정보 | |
![]() | |
증상 | 발열 두통 성격 변화 |
합병증 | 발작 혼수 사망 위험 |
원인 | 아칸토아메바 spp.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 사피니아 페다타 |
진단 및 치료 | |
치료 | 니트록솔린 밀테포신 |
기타 정보 | |
질병 종류 | 드물고 일반적으로 치명적인 특정 아메바에 의한 뇌 감염 |
발병 빈도 | 알 수 없음 |
사망률 | 높음 |
2. 원인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은 주로 아칸타모에바(Acanthamoeba),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Balamuthia mandrillaris), 사피니아 페다타(Sappinia pedata)와 같은 자유 생활 아메바에 의해 발생한다. 이 아메바들은 흙, 물, 먼지 등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며, 주로 호흡기나 피부 상처를 통해 인체에 침입한다.
2. 1. 사피니아 페다타 (Sappinia pedata)
사피니아 페다타( ''Sappinia pedata'')는 과거 사피니아 디플로이데아( ''Sappinia diploidea'')로 알려졌던 자유 생활 아메바[14][15]로, 드물게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을 유발한다.[16]3. 증상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GAE)은 서서히 시작되며, 두통, 메스꺼움, 현기증, 과민성, 미열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10] 감염된 뇌 부위에 따라 중추신경계(CNS)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행동 변화는 중요한 징후이다. 다른 중추신경계 증상으로는 발작, 국소 신경학적 징후, 복시(겹보임), 뇌신경 마비, 운동실조, 혼란, 성격 변화 등이 있다.[10]
이러한 증상들은 교종(특히 뇌간 교종)이나 다른 뇌 질환과 유사하여 적절한 시기에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11] 뇌 조직의 염증성 괴사는 유기체에서 방출된 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며, 이로 인해 증상이 발생한다.[11]
4. 진단
이 질환은 드문 질병이기 때문에 의사가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12] 뇌 생검을 통해 병원성 아메바에 의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GAE)의 경우, 이는 전반적인 염증과 희소한 과립으로 나타난다. 현미경 검사에서 아메바 낭포 및/또는 영양형의 침윤을 확인할 수 있다.[13]
5. 치료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은 치료가 매우 어렵고 제한적이다. 현재까지 확립된 표준 치료법은 없지만, 여러 항진균제 및 항생제를 병용하는 약물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5. 1. 아칸타모에바 (Acanthamoeba)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플루시토신, 펜타미딘 등의 항진균제는 ''Acanthamoeba''에 대해 ''시험관 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5. 2.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 (Balamuthia mandrillaris)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Balamuthia mandrillaris) 감염은 대부분 빠르게 치명적으로 진행되지만, 일부 생존 사례가 보고되었다.[18]플루사이토신, 펜타미딘, 플루코나졸, 설파디아진, 아지트로마이신을 함께 사용하고, 티오리다진 또는 트리플루오페라진을 추가 투여하는 치료법으로 두 명의 환자가 성공적으로 치료받았다. 이러한 치료 성공은 "뇌염 원인 물질로서 발라무티아(Balamuthia)에 대한 인식과 항균 치료의 조기 시작" 덕분이었다.[19]
클록사실린, 세프트리악손, 암포테리신 B를 사용한 치료는 효과가 없었다.[20]
2018년, 메타게놈 시퀀싱 분석 결과 니트로솔린이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Balamuthia mandrillaris)에 대해 아메바 살충제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21]
2021년에는 니트로솔린으로 치료받은 환자가 회복되었다. 이 환자는 펜타미딘, 설파디아진, 아지트로마이신/클래리스로마이신, 플루코나졸, 플루사이토신, 밀테포신 등 권장 약물 요법을 받았으나 상태가 악화되었다. 이후 FDA 승인을 받아 니트로솔린을 추가 투여한 결과, 뇌농양이 1주일 만에 축소되었고 환자는 회복되었다. 니트로솔린은 이전 임상 메타게놈 차세대 시퀀싱 분석을 통해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Balamuthia mandrillaris)에 대한 약물 재창출로서 아메바 살충제로 활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 확인된 바 있다.[21]
5. 3. 사피니아 페다타 (Sappinia pedata)
아지트로마이신, 펜타미딘, 이트라코나졸, 플루시토신으로 치료받았다.[15]6. 예후
아칸토아메바에 의한 중추신경계 감염은 치료를 받더라도 종종 치명적이며, 생존자는 극소수에 불과하고, 거의 모두 영구적인 신경인지 결손을 겪는다.[17] 예후는 진단 시점, 아칸토아메바 균주의 독성 및 민감도, 그리고 가장 중요한 환자의 면역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는 흔히 기회 감염이기 때문에, 예후는 일반적으로 좋지 않으며, 사망률은 90%에 육박한다.[10]
사피니아 페다타는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GAE)을 유발할 수 있지만, S. 페다타 감염으로 인한 GAE 사례는 단 한 건만 보고되었으며, 환자는 장기적인 후유증 없이 생존했다.[24]
참조
[1]
논문
A rare but fatal case of granulomatous amebic encephalitis with brain abscess: the first case reported from Turkey
2009-07
[2]
논문
Amebic Meningoencephalitis: Overview
http://emedicine.med[...]
2018-07-24
[3]
논문
Histopathologic spectrum and immunohistochemical diagnosis of amebic meningoencephalitis
2007-12
[4]
논문
Post-mortem culture of Balamuthia mandrillaris from the brain and cerebrospinal fluid of a case of granulomatous amoebic meningoencephalitis, using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2004-10
[5]
논문
Diagnosis of infections caused by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6]
논문
Balamuthia mandrillaris interactions with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tro
2007-08
[7]
논문
Balamuthia amoebic encephalitis: an emerging disease with fatal consequences
2008-02
[8]
논문
Under the radar: balamuthia amebic encephalitis
2009-04
[9]
논문
Diagnosis of infections caused by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10]
논문
Role of Acanthamoeba in Granulomatous Encephalitis: A Review
https://www.research[...]
2018-01-22
[11]
논문
Leptomyxid amebic meningoencephalitis mimicking brain stem glioma
1995-04
[12]
논문
A case report of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by Group 1 Acanthamoeba genotype T18 diagnosed by the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genetic analysis
2018-05
[13]
논문
Infections Caused by Free-Living Amoebae
2022-01
[14]
논문
Amoebic encephalitis due to Sappinia diploidea
[15]
논문
Neuropathological and ultrastructural features of amebic encephalitis caused by Sappinia diploidea
[16]
논문
Molecular confirmation of Sappinia pedata as a causative agent of amoebic encephalitis
[17]
웹사이트
Final Diagnosis --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Due to Acanthamoeba castellanii
http://path.upmc.edu[...]
University of Pittsburgh
[18]
논문
Granulomatous amebic encephalitis: an under-recognized cause of infectious mortality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2011-08
[19]
논문
Successful treatment of Balamuthia amoebic encephalitis: presentation of 2 cases
2003-11
[20]
논문
Balamuthia mandrillaris meningoencephalitis: the first case in southeast Asia
2004-06
[21]
논문
Functional Assessment of 2,177 U.S. and International Drugs Identifies the Quinoline Nitroxoline as a Potent Amoebicidal Agent against the Pathogen Balamuthia mandrillaris
[22]
뉴스
Repurposed drug battles 'brain-eating' amoeba
https://doi.org/10.1[...]
Science
2023-02-10
[23]
논문
Successful Treatment of Balamuthia mandrillaris Granulomatous Amebic Encephalitis with Nitroxoline
2023
[24]
웹사이트
Sappinia -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s)
https://www.cdc.gov/[...]
[25]
웹인용
Amebic Meningoencephalitis: Overview - eMedicine
http://emedicine.med[...]
[26]
저널 인용
Histopathologic spectrum and immunohistochemical diagnosis of amebic meningoencephalitis
[27]
저널 인용
Post-mortem culture of Balamuthia mandrillaris from the brain and cerebrospinal fluid of a case of granulomatous amoebic meningoencephalitis, using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28]
저널 인용
Diagnosis of infections caused by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29]
저널 인용
Balamuthia mandrillaris interactions with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tro
[30]
저널 인용
Balamuthia amoebic encephalitis: an emerging disease with fatal consequences
[31]
저널 인용
Under the radar: balamuthia amebic encephalitis
https://archive.org/[...]
[32]
문서
Final Diagnosis - Case 156
http://path.upmc.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