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낭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낭포는 현미경으로 확인해야 하는 작은 미세 낭포부터, 정상보다 크거나 다른 것과 비교했을 때 큰 거대 낭포까지, 다양한 크기와 위치에 생길 수 있는 액체로 채워진 주머니 형태의 병변을 의미한다. 낭포는 난소, 질, 음낭, 피부, 두경부, 흉부, 복부 등 신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며, 종류에 따라 가성 낭종, 감염성 낭포, 종양성 낭포 등으로 분류된다. 낭포의 치료는 종류, 크기, 위치, 증상 유무에 따라 다르며, 단순 낭종은 경과 관찰을 하기도 하고, 크기가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악성 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 흡인, 경화 요법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낭포
일반 정보
기관지성 낭종의 조직학적 현미경 사진. 표본의 대비를 개선하기 위해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했다.
H&E 염색된 종격동 기관지성 낭종의 현미경 사진
분야병리학, 일반외과
관련 질병유방암
관련 증상없음
관련 검사복부 초음파
치료외과적 절제
경화 요법
관련 진료과구강외과

2. 용어

'''미세 낭포(microcyst)''' – 현미경으로 확대해야 보이는 작은 낭포이다.

'''거대 낭포(macrocyst)''' – 보통보다 크거나 다른 것과 비교했을 때 큰 낭포이다.

'''가성 낭종'''은 낭종과 매우 유사하지만, 명확한 막(상피 세포 또는 내피 세포)이 없는 세포의 집합체이다.

척수 또는 뇌간의 척수공동은 때때로 부정확하게 "낭종"이라고 불린다.

3. 종류 및 위치

낭포는 발생 부위 및 원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여성 생식기''': 난소에 생기는 난소 낭종(난포 낭종, 황체 낭종, 루테인 낭종, 장액성 낭선종, 점액성 낭선종, 자궁내막 낭종, 다낭성 난소 등), 에 생기는 질 낭종(가트너관 낭종, 바르톨린 낭종, 스키네관 낭종 등), 자궁 경부에 생기는 나보트 낭종, 난관 주위의 난관 주위 낭종
  • '''남성 생식기''': 부고환에 생기는 부고환 낭종, 고환에 생기는 정액류, 고환 물종, 고환 그물에 생기는 세관 그물 확장증
  • '''피부피하''': 여드름 낭종, 거미막 낭종, 표피 낭종, 점액 낭종, 모발 낭종, 모소 낭종, 피지 낭종, 모발 기질 낭종
  • '''머리 및 목''': 치아와 관련된 치성 낭종, 에 생기는 이구선 낭종, 눈꺼풀에 생기는 다래끼 낭종, 구강 점액 낭종, 비순 낭종, 비구개관 낭종, 갑상설관 낭종, 성대 낭종, 갑상선에 액체가 고여 생기는 갑상선 낭포
  • '''가슴''': 유방에 생기는 섬유 낭종(유방 낭종), 폐에 생기는 폐 낭종, 심낭에 생기는 심낭 낭종
  • '''복부''': 낭종, 신장 낭종, 췌장 낭종, 비장 낭종, 부신 낭종, 복막 포함 낭종, 장 중복 낭종
  • '''중추신경계''': 맥락얼기 낭종, 교질 낭종, 송과체에 생기는 송과체 낭종, 신경교 낭종, 척추관에 생기는 탈로프 낭종
  • '''근골격계''': 동맥류성 골낭종, 무릎 관절 뒤에 생기는 베이커 낭종, 손가락에 생기는 점액 낭종, 관절 근처에 생기는 연골하 낭종
  • '''기타''': 피부모양낭종, 부비강 낭포

3. 1. 여성 생식기

여성 생식기에는 다음과 같은 낭포가 발생할 수 있다.


  • '''난소 낭종'''[2]: 난소에 발생하는 낭포이다.
  • 난포 낭종: 과립막 세포와 그 외측의 난포막 세포로 덮인 생리적 낭포로 지름 3cm를 넘는 것을 말하며, 대부분 자연 소실된다.[40]
  • 황체 낭종: 지름 3cm를 넘는 낭포화된 황체로, 증상이 없어 자연적으로 퇴축되는 경우가 많지만, 파열되어 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40]
  • 루테인 낭종
  • 장액성 낭선종: 낭포의 내강을 단층으로 배열하는 난관 상피 세포와 유사한 원주 상피 세포가 덮고 있는 경우가 있는 양성 종양이다.[40]
  • 점액성 낭선종: 세포질 내 점액을 갖는 위·장형 또는 뮬러관형 상피 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이다.[40]
  • 자궁내막 낭종: 자궁내막선과 내막 간질로 덮인 낭포성 병변으로, 임상적으로 초콜릿 낭종이라고 불린다.[40]
  • 다낭성 난소
  • '''질 낭종'''[5]: 에 발생하는 낭포이다.
  • 가트너관 낭종: 질벽 측면에 발생한다.[5]
  • 바르톨린 낭종: 질 입구에 발생한다.[5]
  • 스키네관 낭종: 요도 구멍 옆에 발생한다.[5]
  • '''나보트 낭종'''[1]: 자궁 경부 표면에 발생한다.
  • '''난관 주위 낭종'''[3]: 난소 뒤, 난관 앞에 발생한다.

3. 2. 남성 생식기


  • 부고환 낭종 (부고환): 부고환에 생기는 낭포이다.[6]
  • 정액류 (고환): 고환에 생기는 낭포로, 부고환 머리 내에 액체가 고여 형성된다.[6]
  • 고환 물종 (고환): 음낭강 내에 맑은 액체가 고이는 질환이다.[6]
  • 세관 그물 확장증 (고환 그물): 고환 그물에 생기는 낭포이다.[6]
  • 정상 상체 낭포는 음낭 내에 생기는 무통성 낭포성 종괴로, 내용액에 정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정액류와 동의어로 간주된다. 커지면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6]

3. 3. 피부 및 피하


  • 여드름 낭종 - 낭성 여드름과 관련된 가성 낭종으로, 표피 포함 낭종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염증성 결절이다.[1]
  • 거미막 낭종 - 뇌 표면과 두개골 바닥 사이 또는 거미막에 발생하는 낭종이다.[1]
  • 표피 낭종[1]
  • 점액 낭종 - 손톱판 함몰 및 홈이 특징인 피부 낭종이다.[1]
  • 모발 낭종 - 두피에 발생하는 낭종이다.[1]
  • 모소 낭종 - 꼬리뼈 근처의 피부 감염으로 발생하는 낭종이다.[1]
  • 피지 낭종 - 피부 아래에 생기는 주머니 형태의 낭종이다.[1]
  • 모발 기질 낭종 - 모발 낭종과 동일하며, 두피에 발생하는 가족성 낭종이다.[1]

3. 4. 두경부 (머리 및 목)


  • 치성 낭종: 치아와 관련된 낭종으로, 치근 낭종 등이 있다.[7]
  • 이구선 낭종: 귀에 발생하는 낭종이다.
  • 다래끼 낭종: 눈꺼풀에 발생하는 낭종이다.
  • 구강 점액 낭종
  • 비순 낭종
  • 비구개관 낭종
  • 갑상설관 낭종
  • 성대 낭종
  • 갑상선 낭포: 갑상선에 액체가 고여 발생하는 낭포로, 특히 학동기~중고등학생에게 흔하다.[32][33]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거나 사라지며, 크기도 자주 변한다.[34]

3. 5. 흉부 (가슴)


  • 섬유 낭종(유방 낭종)
  • 폐 낭종 (폐의 공기 주머니)
  • 심낭 낭종 (심낭의 비정상적인 확장)


유방의 단순성 낭종은 유선증의 부분적인 모습으로 유관이 확장된 것이다. 내부에는 액체가 저류된다. 빈도가 높으며, 대부분 양측성, 다발성이다. 보통 부드럽지만, 팽만된 것은 단단하게 만져진다. 내부가 무에코이고 벽에 실질 부분이 없는 단순성 낭종에 관해서는 무조건 카테고리 2 양성(명백한 양성 소견을 나타내며, 추가적인 검사, 경과 관찰 불필요)으로 간주해도 좋다.[30]

낭성 패턴의 종괴(무에코)는 카테고리 2로 정밀 검사를 요하지 않지만, 혼합성 패턴(실질부와 액상 부분을 갖는)은 15mm 이하인 경우는 카테고리 2, 15mm 보다 큰 것은 카테고리 3, 4(3: 양성의 가능성이 높음, 4: 악성의 가능성이 높음)로 한다.[21] 농축 낭종은 초음파 검사에서 내부 에코를 갖는 낭종을 말한다. 일반적인 전문 서적에는 이 용어의 기재는 없지만, 초음파 분야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점조도가 높은 치즈, 우유 모양, 또는 오일 모양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실질성 종괴이다.[21]

3. 6. 복부


: Simple cyst|단순 낭종영어[8], 포충낭[8], 담관 낭선종[8], 담관 낭선암[8], 다낭성 간 질환[8] 등이 있다. 낭포는 통상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임상적인 의의는 없으나, 선천성 다발성 간 낭포는 신장이나 다른 장기의 다낭성 질환에 합병되기도 한다. 큰 낭포는 다른 장기를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창 개방술이나 배액 등의 치료를 고려할 수 있지만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23] 다발 간 낭포증은 간에 낭포가 다발하는 질환으로 여성에게 많으며, 낭포 증가로 주변 장기가 압박되어 호흡 곤란이나 운동 제한 등이 발생할 수 있고, 감염이나 낭포 내 출혈 등의 위험성도 있으며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24] 복부 초음파 검진에서는 경도 이상으로 분류된다.[22]

  • 신장 낭종

: 신장에 액체가 고인 주머니 모양의 병변으로, 단발성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나이가 들면서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양성으로 방치해도 괜찮지만, 크기가 크고 주변 장기를 압박하거나 파열 위험이 있거나, 수신증을 유발하는 경우 등에는 외과적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20] 다낭성 신장 질환은 양쪽 신장에 다발성 낭종이 생겨 만성 신부전을 유발하는 유전성 질환으로 치료가 필요하다. 복부 초음파 검진에서는 경도 이상으로 분류되지만, 여러 개의 얇은 격벽 또는 조대 석회화 소견이 동반될 때는 재검사가 필요하다.[22] 신 낭포성 종양은 신 낭포의 벽이나 격벽이 두꺼워지거나 내부에 충실성분을 보이는 경우로, 악성 가능성이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다방성 신 낭포와 다방성 낭포성 신장암은 구별이 어려우며, 낭포 벽의 불규칙한 비후, 격벽에 혈류, 낭포 내 격벽, 집괴성 낭포일 때는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5] 신 낭포는 영상 검사에서 보스니아크(Bosniak) 분류로 분류되며, Ⅳ로 갈수록 악성 가능성이 높다. ⅡF는 경과 관찰을 의미한다.[26]

: 보스니아크(Bosniak) 분류[27] [28]

카테고리설명
단방성, 얇은 낭포 벽, 격벽·석회화·조영 효과가 없는 수농도
소수의 얇은 격벽, 작은 석회화를 갖는, 3cm 이하의 고농도 낭포
ⅡF다수의 얇은 격벽, 약간의 조영 효과, 3cm 이상의 고농도성 낭포
격벽이 불규칙하고 두꺼우며, 명료한 조영 효과를 갖는다.
벽이나 격벽에 명백한 악성 소견(융기·침윤)을 갖는 종괴를 인정한다.


: 췌장에 액체가 들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병변으로, 췌액이 고이거나 액체를 생성하는 종양이 생기는 경우 등이 있다. 5mm 미만의 작은 낭포는 문제없지만, 5mm 이상의 낭포나 복잡한 형태의 낭포는 경과 관찰이나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복부 초음파 검진에서는 5mm 미만은 경도 이상, 5mm 이상은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되며, 낭포 내부에 충실 부분 등이 있으면 췌 낭포성 종양 의심으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2] 췌 낭포성 종양은 낭포 안에 덩어리가 있거나 낭포 벽이 두꺼운 경우로, 췌관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 장액성 낭포선종, 점액성 낭포 종양 등 양성, 악성 모두 가능하여 감별을 위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췌장의 염증으로 생긴 염증성 낭포와 종양에 의해 분비된 점액이 고인 종양성 췌 낭포는 구별하기 어렵고, 종양성 췌 낭포는 양성, 악성 여부를 신중하게 판별해야 하는데, 췌장의 악성 종양은 생존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29]
: 지라에 액체가 고인 주머니 모양의 병변으로, 양성이며 특별히 걱정할 필요는 없다.[20] 복부 초음파 검진에서는 경도 이상으로 분류된다.[22] 지라 낭포성 종양은 낭포 안에 덩어리가 있거나 낭포 벽이 두꺼운 경우로, 지라 표피 낭포, 지라 림프관종과 같은 종양일 수 있으므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부신 낭종: 신장 위에 위치한 부신에 발생하는 드문 낭종으로, 부검 연구에서 0.06~0.18%의 유병률을 보인다. 부신 질환의 5.4~6.0%를 차지하며, 단순 또는 내피 낭종, 진성 또는 상피 낭종, 가성 낭종, 기생충 낭종, 기타 분류되지 않은 낭종의 다섯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낭종의 7%는 악성일 수 있다.[9]
  • 복막 포함 낭종: 골반, 복부 수술 또는 복부 염증의 병력이 있는 가임기 여성의 복강 내벽을 따라 액체로 채워진 낭종 덩어리이다.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수개월 동안 지속되는 복부, 골반, 허리 통증을 보일 수 있다.[11]
  • 장 중복 낭종[12]

3. 7. 중추신경계

맥락얼기 낭종, 교질 낭종, 송과체 낭종(뇌의 송과체 내), 신경교 낭종, 탈로프 낭종(척추관)

3. 8. 근골격계


  • 동맥류성 골낭종 - 방사선학적으로 낭성 형태로 나타나는 양성 골종양이다.[13]
  • 베이커 낭종 (슬와 낭종) - 무릎 관절 뒤에 발생한다.
  • 점액 낭종 - 손가락에 발생하는 결절종이다.
  • 연골하 낭종 - 뼈 관절 근처에 발생하는 낭종이다.[14]

3. 9. 기타

피부모양낭종은 난소, 고환 및 머리에서 꼬리뼈까지 다양한 부위에서 발견되는 낭종이다. 부비강에 낭포가 생겨 골벽을 압박하여 안구 변위, 복시, 뺨 부위 부종 등을 일으키는 상태를 부비강 낭포라고 한다. 낭포는 저장액의 성상에 따라 세균 감염을 동반하지 않는 점액 낭포와 세균 감염을 동반하는 농 낭포로 나뉜다. 동내 점막 낭포는 통상 상악동의 바닥에서 발견된다.[41] 정상 상체 낭포는 음낭 내에 생기는 무통성 낭포성 종괴로, 내용액에 정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정액류와 동의어로 간주된다.[42]

4. 감염성 낭포


  • 낭미충 낭종 - Taenia sp.la (촌충) 유충 단계로 인한 감염이다.[1]
  • 포충 낭종 - Echinococcus granulosusla (촌충)의 유충 단계로 인한 간 또는 신체의 다른 부위 감염이다.[2]

5. 종양성 낭포


  • 각화낭종성 치성 종양: 치아에서 발생하는 낭종성 종양이다.
  • 석회화 치성 종양: 치아에서 발생하는 낭종성 종양이다.

6. 진단

낭포의 진단에는 영상 검사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 ''' 낭포''': 복부 초음파 검진 판정 매뉴얼 개정판(2021년)에서는 낭성 병변에 대해 경도 이상 B, 카테고리 2 양성으로 판정한다.[22]
  • ''' 낭포''': 복부 초음파 검진 판정 매뉴얼 개정판(2021년)에서는 경도 이상 B, 카테고리 2 양성으로 판정한다.[22] 여러 개의 얇은 격벽 또는 조대 석회화 소견이 동반될 때는 재검사 필요(3·6·12개월)인 C, 카테고리 3으로 판정한다.[22] 신 낭포성 종양은 악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신 낭포는 영상 검사에서 보스니아크(Bosniak) 분류 Ⅰ~Ⅳ로 분류되며, Ⅳ가 될수록 악성의 가능성이 높다.
  • '''보스니아크(Bosniak) 분류'''[27][28]

카테고리설명
단방성, 얇은 낭포 벽, 격벽·석회화·조영 효과가 없는 수농도.
소수의 얇은 격벽, 작은 석회화를 갖는, 3cm 이하의 고농도 낭포.
ⅡF다수의 얇은 격벽, 약간의 조영 효과, 3cm 이상의 고농도성 낭포.
격벽이 불규칙하고 두꺼우며, 명료한 조영 효과를 갖는다.
벽이나 격벽에 명백한 악성 소견(융기·침윤)을 갖는 종괴를 인정한다.


  • '''비장 낭포''': 복부 초음파 검진 판정 매뉴얼 개정판(2021년)에서는 낭성 병변에 대해 경도 이상 B, 카테고리 2 양성으로 판정한다.[22] 낭포 안에 덩어리가 있거나 벽이 두꺼운 경우에는 낭포성 종양일 수 있으므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췌장 낭포''': 복부 초음파 검진 판정 매뉴얼 개정판(2021년)에서는 5mm 미만은 경도 이상 B, 카테고리 2 양성, 5mm 이상은 정밀 검사가 필요한 D2, 카테고리 3으로 판정한다.[22] 낭포 내부에 충실 부분 등이 있으면 췌장 낭포성 종양 의심으로 D2, 카테고리 4로 판정한다.[22] 췌장 낭포성 종양은 양성, 악성 감별을 위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유방 낭포''': 단순성 낭종은 유선증의 부분적인 모습으로, 대부분 양측성, 다발성이며 부드럽지만 팽만된 것은 단단하게 만져진다. 무에코이고 벽에 실질 부분이 없는 단순성 낭종은 카테고리 2 양성으로 간주한다.[30] 낭성 패턴의 종괴(무에코)는 카테고리 2로 정밀 검사를 요하지 않지만, 혼합성 패턴은 15mm 이하는 카테고리 2, 15mm 초과는 카테고리 3, 4로 판정한다.[21]
  • '''갑상선 낭포''': 건강한 사람에게도 흔하며, 특히 학동기~중고등학생에게 많이 나타난다. 낭포는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거나 사라지며, 크기도 빈번하게 변한다. 미국 갑상선 학회(ATA)의 2015년 가이드라인에서는 단순성 갑상선 낭포는 양성으로 분류되어 세침 흡인 세포 검사를 권장하지 않는다.[35]
  • '''난소 낭포''':
  • 장액성 낭포선종, 점액성 낭포선종, 유사내막 낭포선종, 명세포 낭포선종, 장액점액성 낭포선종: 양성 종양이다.[40]
  • 자궁내막증성 낭포: 임상적으로 초콜릿 낭종이라고 불린다.[40]
  • 난포 낭포: 지름 3cm를 넘는 생리적 낭포로, 대부분 자연 소실된다.[40]
  • 황체 낭포: 지름 3cm를 넘는 낭포화된 황체로, 무증상으로 자연 퇴축되는 경우가 많지만 파열되어 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40]
  • '''부비강 낭포''': 부비강에 낭포가 생겨 골벽을 압박하여 안구 변위, 복시, 뺨 부위 부종 등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저장액의 성상에 따라 세균 감염을 동반하지 않는 점액 낭포(mucocele)와 세균 감염을 동반하는 농 낭포(pyocele)로 나뉜다.[41]

7. 치료

낭포의 치료는 낭포의 종류, 크기, 위치, 증상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단순 낭종은 경과를 지켜보는 경우가 많지만, 크기가 크거나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 또는 악성(암) 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수술, 흡인, 경화 요법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15] 협측 분지 낭종처럼 저절로 낫는 낭종은 감염되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관찰만 할 수 있다.[15]


  • 간 낭포:
  • 대부분 증상이 없고 임상적인 의미도 없어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23]
  • 의 낭성 병변(크기에 관계없이 충실 부분 및 내용액의 변화 등의 소견이 없는 경우)은 경도 이상으로, 명백한 양성 병변으로 간주한다.[22]
  • 선천성 다발성 간 낭포는 드물게 다른 장기를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낭포의 창 개방술이나 배액을 고려할 수 있지만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23]
  • 다발 간 낭포증은 간 내에 낭포가 여러 개 생기는 질환으로, 여성에게 흔하다. 낭포가 커지면서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이나 운동 제한을 유발할 수 있고, 감염이나 낭포 내 출혈의 위험도 있으며, 간 기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24]

  • 신장 낭포:
  • 신장에 액체가 고인 주머니 모양의 병변으로, 단발성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양성 병변이므로 방치해도 괜찮지만, 낭종이 크거나 주변 장기를 압박하는 증상, 파열 위험이 있거나 수신증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20]
  • 다낭성 신장 질환은 유전 질환으로, 양쪽 신장에 다발성 낭종이 생겨 만성 신부전을 유발하므로 치료가 필요하다.
  • 여러 개의 얇은 격벽 또는 조대 석회화 소견을 동반하는 신장 낭포는 재검사(3, 6, 12개월)가 필요하다.[22]
  • 신 낭포성 종양은 신 낭포의 벽이나 격벽이 두꺼워지거나 내부에 덩어리 성분을 보이는 경우를 말하며, 악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다방성 신 낭포와 다방성 낭포성 신장암은 구별하기 어려우며, 낭포 벽의 불규칙한 비후, 격벽에 혈류, 낭포 내 격벽, 집괴성 낭포일 때는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5]
  • 신 낭포는 영상 검사에서 Bosniak 분류(보스니아크 분류) Ⅰ~Ⅳ로 분류되며, Ⅳ로 갈수록 악성 가능성이 높다. ⅡF는 경과 관찰을 의미한다.[26]


  • 지라 낭포:
  • 지라에 액체가 고인 주머니 모양의 병변으로, 양성 병변이므로 특별히 걱정할 필요는 없다.[20]
  • 지라 낭포성 종양은 낭포 안에 덩어리가 있거나 낭포 벽이 두꺼운 경우를 말하며, 지라 표피 낭포, 지라 림프관종과 같은 종양일 수 있으므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췌장 낭포:
  • 췌장에 액체가 들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병변으로, 췌액이 고이거나 액체를 생성하는 종양이 생기는 경우 등이 있다. 작고 단순한 형태의 낭포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5mm 이상의 낭포나 복잡한 형태의 낭포는 경과 관찰이나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췌장의 낭포성 병변이 5mm 미만은 경도 이상으로 양성, 5mm 이상은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낭포 내부에 충실 부분 및 내용액의 변화 등을 인정하는 것은 췌 낭포성 종양 의심으로, 악성을 의심한다.[22]
  • 췌 낭포성 종양은 낭포 안에 덩어리가 있거나 낭포 벽이 두꺼운 경우를 말하며, 췌관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 장액성 낭포선종, 점액성 낭포 종양 등 양성, 악성 모두 가능하므로 감별을 위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20]
  • 췌장의 염증으로 생긴 "염증성 낭포"와 종양에 의해 분비된 점액이 고인 "종양성 췌 낭포"는 구별하기 어렵고, 종양성 췌 낭포의 경우 양성인지 악성인지 신중하게 판별해야 한다. 췌장의 악성 종양은 생존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29]

  • 유방 낭포:
  • 유방의 단순 낭종은 유선증의 부분적인 모습으로, 유관(젖샘관)이 확장된 것이다. 내부에 액체가 고여 있으며, 양측성, 다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부드럽지만 팽만된 것은 단단하게 만져진다. 내부에 덩어리가 없고 벽에 실질 부분이 없는 단순 낭종은 양성으로 추가 검사나 경과 관찰이 필요없다.[30]
  • 낭성 패턴의 종괴(액체만 있는 경우)는 정밀 검사가 필요 없지만, 혼합성 패턴(실질과 액체 부분이 함께 있는 경우)은 15mm 이하는 양성, 15mm보다 크면 양성 또는 악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21]
  • 농축 낭종은 초음파 검사에서 내부 에코를 갖는 낭종을 말하며, 점도가 높은 치즈, 우유 모양, 또는 오일 모양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실질성 종괴이다.[21]

  • 갑상선 낭포:
  • 갑상선 낭포는 갑상샘 소포에 콜로이드(갑상샘 호르몬의 원료)가 차서 늘어나거나, 출혈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낭포가 된 경우를 말한다.[31]
  • 갑상선 낭포는 안에 액체만 고인 주머니 모양으로, 세포가 없기 때문에 암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건강한 사람에게도 흔하며, 특히 학동기~중고등학생에게 많이 나타난다. 낭포의 수와 크기는 자주 변하며, 많은 사람이 여러 개의 낭포를 가지고 있다. 성장하면서 낭포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아기에는 적고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에게 많이 나타난다.[32][33] 낭포는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거나 사라지며, 크기도 자주 변한다.[34]
  • 미국 갑상선 학회(ATA)의 2015년 가이드라인에서는 단순 갑상선 낭포(고형 성분이 없는 순수한 낭성 결절)는 양성으로 분류되어 세침 흡인 세포 검사를 권장하지 않는다.[35]
  • 일본의 갑상선 초음파 진단 가이드북에서는 2008년에는 단순 낭포는 경과 관찰만 하도록 했지만, 2012년부터는 20.1mm 이상은 세침 흡인 세포 검사를 하도록 변경되었다. 이는 삼킴(연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부위에서는 증상이 나타난 후에 치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소실될 가능성이 있는 낭포에 대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세침 흡인 검사를 하는 것이다.[33][36]
  • 보통은 증상이 없고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아 낭포를 가진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불분명했지만, 후쿠시마현민 건강 관리 조사를 통해 많은 사람에게서 낭포가 발견되었다. 30만 명의 18세까지의 사람 중 3mm 이하의 낭포를 포함하면 거의 50%인 14.4만 명, 27세까지의 18만 명 중에서는 66%인 12만 명에게서 낭포가 확인되었다.[37][38] 갑상선 낭포에 A2 판정을 내린 문제로 인해 삼현 조사를 시행했고, 삼현 조사에서도 18세까지의 4365명 중 56.9%에서 낭포를 확인했다.[39]

  • 난소 낭포:
  • 난소 낭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40]


  • 부비강 낭포:
  • 부비강에 낭포가 생겨 골벽을 압박하여 안구 변위, 복시, 뺨 부위 부종 등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점막의 만성 염증, 외상 등으로 인해 부비강이 고유 비강과의 교통로가 폐쇄되면서 발생한다. 낭포는 저장액의 성상에 따라 세균 감염을 동반하지 않는 점액 낭포(mucocele)와 세균 감염을 동반하는 농 낭포(pyocele)로 나뉜다. 동내 점막 낭포(mucosal retention cyst)는 통상 상악동의 바닥에서 발견된다[41]
  • 낭포는 분비물이 고인 주머니가 서서히 커진 상태를 말하며, 특별한 원인이 없는 원발성과 과거의 외상이나 수술의 영향으로 일어나는 속발성으로 분류된다. 낭포는 주변의 뼈를 파괴하며 확대되기 때문에, 그 압박으로 인해 뺨의 부기나 안구의 돌출, 그리고 치통 등이 생길 수 있다[42]

  • 기타 낭포:
  • 정상 상체 낭포: 음낭 내에 생기는 무통성 낭포성 종괴로, 내용액에 정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정액류와 동의어로 간주된다. 커지면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 치주 낭포, 치근 낭포 등이 있다.

8. 낭성 섬유증과의 관계

1938년에 췌장의 낭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묘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16] 낭성 섬유증은 낭관(담낭에 연결됨)의 섬유증과 관련이 있으며, 낭포를 포함하지 않는 유전 질환의 한 예이다.[17]

이는 그리스어 어근 'cyst-'가 단순히 액체로 채워진 주머니를 의미하며, 낭포를 포함하지 않는 방광 및 담낭과 관련된 의학 용어에서도 발견되는 한 가지 예이다.

참조

[1] 논문 MR imaging of the uterine cervix: imaging-pathologic correlation 2003-03
[2] 논문 Current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varian cysts 2014
[3] 논문 Clinical diagnosis and complications of paratubal cyst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uncommon presentations 2012-06
[4] 논문 Review of 244 cases of ovarian cysts 2015-07
[5] 논문 Vaginal cysts: a pathology review 2012-04
[6] 논문 Benign intratesticular cystic lesions: US features 2001-10
[7] 논문 Odontogenic lesions of the jaw: a clinical-pathological study of 461 cases. http://revodonto.bvs[...]
[8] 논문 An updated review of cystic hepatic lesions 2019-03
[9] 논문 Laparoscopic treatment of adrenal cysts--own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2015
[10] 논문 Pancreatic Cyst Disease: A Review 2016-05
[11] 논문 Peritoneal inclusion cysts: a review 2009-05
[12] 논문 Duplication cysts: Diagnosis, management, and the role of endoscopic ultrasound 2014-07
[13] 논문 Aneurysmal bone cyst of mandibular condyl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2-12
[14] 논문 Cysts, geodes, and erosions 2004-01
[15] 논문 On the self-resolution nature of the buccal bifurcation cyst 2011-07
[16] 논문 Cystic fibrosis of the pancreas and its relation to celiac disease
[17] 논문 Biliary obstruction in infants with cystic fibrosis requiring Kasai portoenterostomy 1997-02
[18] 웹사이트 乳がん Q&A 乳腺専門医が分かりやすく解説 https://www.jsoms.or[...] 大鵬薬品 2023-10-30
[19] 웹사이트 口腔外科で扱う主な病気 嚢胞(のうほう) https://nyugan.info/[...] 口腔外科相談室 2023-10-30
[20] 웹사이트 腹部超音波 https://www.ningen-d[...] 日本人間ドック学会 2023-10-30
[21] 서적 乳房超音波診断ガイドライン改訂第4版 南江堂 2020-10
[22] 웹사이트 腹部超音波検診判定マニュアル改訂版(2021年) https://www.ningen-d[...] 日本人間ドック学会 2023-10-30
[23] 웹사이트 肝嚢胞 https://www.msdmanua[...] MSDマニュアル プロフェッショナル版 2023-10-30
[24] 웹사이트 肝臓疾患分野 多発肝のう胞症(平成24年度) https://www.nanbyou.[...] 難病情報センター 2023-10-30
[25] 웹사이트 腎臓、尿路、膀胱領域の Tips 日本総合健診医学会 総合健診 2021 48(6) 525-533 https://www.jstage.j[...] 2023-10-30
[26] 웹사이트 癌腎嚢胞性疾患の診断の順序は?Bosniak分類とは? 画像診断まとめ https://xn--o1qq22cj[...] 2023-11-18
[27] 웹사이트 嚢胞性腎疾患(私の治療)東京大学医学部泌尿器科 日本医時新報社 https://www.jmedj.co[...] 2023-11-18
[28] 웹사이트 癌の画像診断(胸部・泌尿器・その他)広島市立広島病院 放射線科 https://www.city-hos[...] 2023-11-18
[29] 웹사이트 膵のう胞性腫瘍(IPMN、MCN) https://www.tmd.ac.j[...] 東京医科歯科大学 肝胆膵外科 2023-10-30
[30] 서적 乳房超音波診断ガイドライン改訂第4版 南江堂 2020-10
[31] 서적 甲状腺超音波診断ガイドブック改訂第3版 南江堂 2016-06
[32] 웹사이트 甲状腺検査 のう胞とは https://www.env.go.j[...] 環境省 2023-10-30
[33] 웹사이트 「のう胞」と「結節」とは https://fukushima-mi[...] 福島県放射線医学県民健康管理センター 2023-10-30
[34] 웹사이트 甲状腺検査 よくあるご質問 https://fukushima-mi[...] 福島県放射線医学県民健康管理センター 2023-10-30
[35] 웹사이트 2015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Adult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e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Task Force on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https://www.ncbi.nlm[...] 2023-10-07
[36] 서적 甲状腺超音波診断ガイドブック改訂第2版日本乳腺甲状腺超音波医学会 甲状腺用語診断基準委員会編集 南江堂 2012-04
[37] 웹사이트 県民健康調査「甲状腺検査(先行検査)」結果概要(平成 27 年度追補版) https://www.pref.fuk[...] 福島県 2023-10-30
[38] 웹사이트 県民健康調査「甲状腺検査(本格検査(検査4回目))」実施状況 https://www.pref.fuk[...] 福島県 2023-10-30
[39] 웹사이트 福島県外3県における甲状腺有所見率調査結果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env.go.j[...] 環境省 2023-10-30
[40] 서적 卵巣腫瘍・卵管癌・腹膜癌取扱い規約 病理編 第2版 日本産婦人科学会, 日本病理学会 2022-12
[41] 웹사이트 副鼻腔嚢胞 今日の臨床サポート https://clinicalsup.[...] 2023-10-30
[42] 웹사이트 副鼻腔嚢胞 時事メディカル https://medical.jiji[...] 2023-10-30
[43] 웹사이트 両側同時発生多房性精巣上体嚢胞の1例 日泌尿学誌90(7) 1999, 692-695 https://www.jstage.j[...] 2023-10-30
[44] 웹사이트 類皮嚢腫 日本形成外科学会 https://jsprs.or.jp/[...] 2023-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