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은 지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지원 요소 등으로 구성되며, 보병, 전투 차량, 포병 등으로 분류된다. 육군은 지형, 공방, 부대 배치, 작전 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분류되며, 지형을 전력화하고 작전선 관리, 후방 지원, 지휘 통제 등을 통해 작전을 수행한다. 육전의 형태는 결전과 지구전으로 나뉘며, 한국 육군 역시 이러한 육전의 원칙에 따라 작전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군 - 병역
    병역은 국가가 국민에게 부과하는 국방의 의무로, 군 복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징병제, 모병제, 민병제 등의 제도를 통해 부과되고 국가별로 제도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미래 병역 제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육군 - 대포
    대포는 고대 투석기부터 현대 정밀 유도 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용도, 구조, 발사각 등에 따라 분류되고, 포신, 포가, 포탄 등의 구성 요소를 통해 야전, 곡사, 대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된다.
  • 육전 - 쿨리코보 전투
    쿨리코보 전투는 1380년 드미트리 돈스코이가 이끄는 루스 연합군이 마마이가 이끄는 킵차크 칸국 군대에 돈 강 유역 쿨리코보 평원에서 기습적인 승리를 거두어, 모스크바 대공국의 위상을 높이고 러시아 국가 형성의 토대를 마련한 사건이다.
  • 육전 - 제2차 진주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는 임진왜란 중 일본군이 진주성을 함락시킨 전투로, 일본군의 압도적인 병력에 맞서 조선군이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결국 함락되어 수많은 조선군과 민간인이 학살당한 임진왜란 최악의 참극 중 하나이다.
육전
전쟁의 양상
정의육지에서 벌어지는 군사 작전
관련 용어지상전
야전
시가전
참호전
기동전
포위전
소모전
국지전
전면전
역사
고대전차를 이용한 전투
보병 중심의 전투
중세기사 중심의 전투
공성전 발달
근세화약 무기 등장
보병 전술 발전
현대기갑 부대 운용
항공 전력 지원
정보전 중요성 증대
주요 전술
공격돌격
포위
기습
양동 작전
방어참호 구축
지뢰 설치
매복
초토화 작전
장비 및 기술
개인 화기소총
기관총
권총
수류탄
중화기기관포
박격포
대전차 화기
기갑 장비전차
장갑차
자주포
공병 장비지뢰 제거 장비
교량 가설 장비
굴착기
통신 장비무전기
위성 통신 장비
기타군용 차량
드론
정찰 장비
환경적 요소
지형산악 지형
평야 지형
사막 지형
도시 지역
기후고온
저온
습도
강우량
시야야간
안개
연기
관련 인물
주요 인물알렉산드로스 대왕
율리우스 카이사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게오르기 주코프
더글러스 맥아더
같이 보기
관련 항목해전
공중전
정보전
심리전
특수전

2. 구성

지상군은 할당된 임무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육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그리고 지원 요소를 포함한다.[2]

2. 1. 보병

보병은 주로 조직화된 군 부대에서 소화기를 휴대하고 도보로 전투를 수행하는 군인이다. 그러나 선박, 자동차, 스키, 수송기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전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2]

처칠 전차와 영국 육군 병사들이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엡솜 작전에 참여한 모습

2. 2. 전투차량

육군은 할당된 임무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육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그리고 지원 요소를 포함한다.[2]

전투 차량은 다른 전투 차량을 포함한 적대 세력과 교전하기 위해 강력한 화력을 동원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전투 차량은 일반적으로 험준한 지형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장비되어 있으며, 장갑 및 기타 대응책을 통해 다른 일반적인 위협으로부터 보호된다.

전투 차량의 예로는 주력 전차, 보병 전투차 및 자주포가 있다.

2. 3. 포병

역사적으로 야포(프랑스어: artillerie에서 유래)는 전쟁 중 투사체를 발사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엔진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또한 주로 그러한 무기를 운용하는 지상 병력을 묘사하기도 한다. 이 단어는 "장비하다"를 의미하는 옛 프랑스어 동사 attilier에서 파생되었다.[2]

이 용어에는 전통적으로 해상 공격으로부터 해안 지역을 방어하고 해안 포격의 위협을 통해 접근을 막는 능력을 사용하여 선박의 통행을 통제하는 해안 포병이 포함된다. 또한 지상 기반의 야포도 포함된다. 20세기 초 동력 비행의 출현으로 야포는 지상 기반의 대공 포대도 포함하게 되었다.

3. 제병 연합 부대

지상군에는 할당된 임무와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지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및 지원 요소가 포함된다.[2]

합동 작전은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군대의 다양한 병과(예: 자주포, 기계화 보병, 항공기 등)를 통합하는 전쟁 접근 방식이다.

4. 조건에 따른 분류

5. 전략

육군은 할당된 임무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육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지원 요소를 포함한다.[2]

헤이그 육전 협약과 같은 국제 조약으로 각국에서 육전에서의 금지 사항을 합의하여 분쟁 당사자 모두가 원치 않는 사태를 예방하기도 한다.

5. 1. 지형

지상군은 할당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지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및 지원 요소를 포함한다.[2] 육전에서는 지형을 전력화하는 경우가 있다. 해군력・공군력과 비교하여 육군력은 지형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는다. 육지에는 고저 기복, 지표면 토질, 수계, 식생, 인공물 등 다양한 특징이 있으며, 기후,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화한다. 이들은 육상 작전에서 유리하게도 불리하게도 작용하며, 지형은 부대의 위치적 우위, 시계, 사계, 위장, 은폐, 엄폐 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형을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축성은 이 효과를 높인다.

지형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착상륙 작전''' - 상륙전의 일환으로, 적 영토의 해안 지역을 기동 공격하는 공세 작전
  • '''대착상륙 작전''' - 상륙을 시도하여 기동 공격하는 적에 대한 방세 작전
  • '''야전''' - 인공 건축물·요새 등이 존재하지 않는 지형에서의 작전 전투
  • '''진지전·요새전''' - 축성이 존재하는 지형에서의 작전 전투
  • '''산림전''' - 열대 우림 등 식생이 짙은 지형에서의 작전 전투
  • '''습지전''' - 늪지 등의 습한 장소에서의 작전 전투
  • '''산악전''' - 고저 기복이 심한, 특히 고지에서의 작전 전투
  • '''설중전''' - 한랭지에서의 작전 전투
  • '''사막전''' - 사막 지대에서의 작전 전투
  • '''시가전''' - 인공 건축물이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도시에서의 작전 전투

5. 2. 작전선

육전에서는 작전 지역이 확대될수록 작전선이 연장되어 전력의 밀도가 낮아지고, 병참의 부담은 늘어나며, 지휘 통솔은 더욱 어려워진다. 특히 적지에 침공하는 경우에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2] 작전선 연장에 따른 전력 저감과 반대의 경우 전력 증강의 원칙은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가 "정점의 사상"에서 언급했으며, "산은 병사를 삼킨다"라는 말은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훈이다.[2]

5. 3. 후방 지원

육상 작전은 후방 지원에 기반하여 전개되며, 후방 지원은 도로, 철도, 수로, 도시 등에 기반하여 수행되므로 작전은 고정적인 성격을 띤다.[2] 또한 후방 지원은 엄격한 계획에 따라 업무를 진행하므로 쉽게 변경할 수 없다.

5. 4. 지휘 통제

육군력은 해군력, 공군력에 비해 지휘 통제에 한계가 있다. 작전 지역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투가 발생하고,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며, 현장 지휘관은 자신의 판단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대규모 육전일수록 이러한 특징은 두드러지며, 전체 전투를 모두 일원적으로 완전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육군력의 최소 단위는 한 명의 병사이며, 한 사람 한 사람의 판단이 모여 전투 행동이 진행된다. 이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개별 현장 지휘관과 그 지휘 하에 있는 병사들의 높은 사기, 굳건한 의지, 팀워크와 각급 지휘관의 리더십이 중요해진다.

6. 전쟁론

육군은 육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여기에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지원 요소가 포함된다.[2] 육전은 지형을 전력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해군력, 공군력과 달리 육군은 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육지는 고저, 토질, 수계, 식생, 인공물 등 다양한 특징이 있으며, 기후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요소는 육상 작전에 유리하게 또는 불리하게 작용하며, 부대 위치, 시야, 사격, 위장, 은폐, 엄폐 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지형을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축성은 이러한 효과를 증대시킨다.

육전에서는 작전 지역이 넓어질수록 작전선이 길어져 전력 밀도가 낮아지고, 병참 부담이 커지며, 지휘 통솔이 어려워진다. 특히 적지에 침공할 때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정점의 사상"에서 작전선 연장에 따른 전력 감소와 증강의 원칙을 언급했으며, "산은 병사를 삼킨다"라는 말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훈이다.

육상 작전은 후방 지원을 기반으로 하며, 후방 지원은 도로, 철도, 수로, 도시 등에 의존하므로 작전은 고정적인 성격을 띤다. 또한 후방 지원은 엄격한 계획에 따라 진행되므로 변경이 쉽지 않다.

육군력은 해군력, 공군력에 비해 지휘 통제에 한계가 있다. 작전 지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투가 발생하고, 상황이 동시 진행되며, 현장 지휘관은 자신의 판단에 따라 행동한다. 대규모 육전일수록 이러한 특징은 심화되며, 전체 전투를 일원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육군력의 최소 단위는 한 명의 인간이며, 개개인의 판단이 모여 전투 행동이 이루어진다. 이를 모두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장 지휘관과 병사들의 사기, 의지, 팀워크, 그리고 지휘관의 리더십이 중요하다.

헤이그 육전 협약과 같은 국제 조약을 통해 육전에서의 금지 사항을 합의하여 분쟁 당사자 모두가 원치 않는 상황을 예방하기도 한다.

6. 1. 결전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적 전투력의 격멸"과 "자기 전투력의 유지"로 전투의 형태를 대별하고 있으며, 마오쩌둥도 마찬가지로 분류했다. 이 두 가지 측면 중 어느 쪽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작전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결전: 적의 격멸을 중시하여, 적을 격멸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공격하려는 작전. 쌍방 또는 일방이 결전의 의지를 가지고 움직이는 경우에 발생한다.
  • 지구전: 자기 보전을 중시하여, 결전을 회피하기 위한 수동적으로 방어하는 작전.

6. 2. 지구전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저서 전쟁론에서 전투의 형태를 "적 전투력의 격멸"과 "자기 전투력의 유지"로 구분했다. 마오쩌둥도 이와 유사하게 전투를 분류했다. 이 두 가지 측면 중 어느 쪽을 중시하는지에 따라 작전 형태가 달라지는데, 그중 하나가 지구전이다. 지구전은 자기 보전을 중시하며, 결전을 회피하기 위해 수동적으로 방어하는 작전이다.

과거 유럽미국에서는 전쟁을 육전으로 여겼다. 정부 내에 전쟁 장관(육전 장관)이 있었지만, 해군은 정치적으로 보조적이거나 부차적인 역할로 간주되어 서열이 낮았고, 해군 장관은 낮은 계급의 각료였다. 이러한 이유로 1832년 프로이센 왕국 군인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저서 『전쟁론』(『ON WAR』)은 육상 전쟁 전반을 의미했다.[5]

7. 한국의 육군

지상군은 할당된 임무와 임무 완수를 위해 지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 무기 플랫폼, 차량, 지원 요소를 포함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Ground Warfare in 2050: How It Might Look https://apps.dtic.mi[...] 2018-08-24
[2]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 Definition of "Land Forces" http://www.dtic.mil/[...] 2006-08-12
[3] 문서 デジタル大辞泉
[4] 서적 国防用語辞典 朝雲新聞社
[5] 서적 新訳 戦争論 隣の大国をどう斬り伏せるか PHP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