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악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악전은 산악 지형에서 벌어지는 전투를 의미하며, 지형의 특성을 활용하는 전략과 전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사적으로 산악전은 기원전부터 중요하게 다뤄졌으며, 특히 스위스와의 전쟁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알프스 산맥 등 험준한 지형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로프웨이 등 보급 시스템이 개발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카슈미르 지역,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산악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산악전은 고지 점령을 통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특수한 훈련을 받은 산악 부대가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악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과 아프가니스탄의 공산 정권 및 무자헤딘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소련의 군사 개입, 서방 세계의 제재, 아프가니스탄의 피해, 소련 붕괴 영향, 국제 사회 개입 등을 초래했다.
  • 산악전 - 미마세 고개 전투
    미마세 고개 전투는 1569년 10월 다케다 신겐이 오다와라성에서 철수하는 중 미마세 고개에서 호조 군과 벌인 전투로, 야마가타 마사카게의 기습으로 다케다 군이 승리하여 고호조씨의 이마가와 씨 구원 실패, 다케다 신겐의 스루가 침공 진전, 우에스기 겐신의 에치고 귀환의 배경이 되었다.
  • 산 - 국제 산의 날
    국제 산의 날은 매년 12월 11일로, 지속 가능한 산악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념하기 위해 유엔 총회에서 지정되었다.
  • 산 - 탁상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산악전
개요
유형전술
위치산악 지형
전술적 목표고지대 점령
보급로 차단
적 기습
방어선 구축
위험 요소기상 변화
지형적 제약
보급 어려움
고산병
낙석 및 눈사태
역사
주요 전투테르모필레 전투
알프스 산맥을 넘는 한니발의 군대
차코 전쟁
겨울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이탈리아 전선
대한민국6.25 전쟁장진호 전투
중국-인도 국경 분쟁
베트남 전쟁
포클랜드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전략 및 전술
장비경량화 장비
등반 장비
통신 장비
고산병 대비 장비
특수 훈련등반 기술
생존 기술
통신 기술
고산병 대처 훈련
전술적 고려 사항지형 이용
기상 예측
보급 계획
통신망 확보
적의 매복 및 기습 대비
특수 부대
주요 부대프랑스의 샤스뢰르 알팽
독일의 게비르크스예거
미국의 제10산악사단
이탈리아의 알피니
인도의 고지 보병
네팔의 구르카병
중국의 신장 군구
대한민국의 육군 특수전사령부
관련 정보
관련 용어동계 전투
수색 구조
고산병
참고 서적FM 3-05.201
Mountain Warfare Operations

2. 역사

기원전 500년경에 쓰여진 병법서 『손자』 행군 제9에는, 행군에서는 계곡을 지나, 적진보다 고지에 진지를 구축하고, 고지의 적과 싸우지 않도록 설하고 있다.[17]

산악에서의 전투에 대해, 중세 유럽에서는 스위스와의 싸움을 상정했을 때 정의가 굳어졌다. 이러한 장소에서는, 당시 주력이었던 기병으로는 침공할 수 없어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 뻔했다. 1809년 티롤 반란에서는, 산악전이 큰 역할을 했다[18]

1700년 - 1721년, 스웨덴에서 벌어진 대북방 전쟁에는 스키가 도입되어, 서서히 산악 부대에 도입되었다. 일본에서는, 1902년의 팔갑전 산악 행군 조난 사건을 계기로, 고베에 거주하던 스웨덴·노르웨이 총영사 피터 오테센으로부터 스키와 설명서가 보내져, 일본의 산악 부대에 도입된다[19]

알프스 산맥 주변 국가들은,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로프웨이를 건설하는 자재를 짐승에 분할하여 실을 수 있도록 하여 단기간에 건축하고 이동하는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탈리아인에 의해 2,000개의 로프웨이가 시설되어, 병사나 물자, 부상병의 이송에 사용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중의 군용 로프웨이/Military cableways in the First World War영어)。

제1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에서는, 여러 차례 산악전이 벌어졌는데, 그중에서도 전중 최고 고도의 산악전은 산 마테오 전투/Battle of San Matteo영어의 해발 3,678m였다[20]

또한, 근대사상 가장 고지에서의 전투는, 1999년의 카르길 전쟁/Kargil War영어에서의 해발 5,485m였다[21]

2. 1. 전근대

산악전 개념은 중세 유럽 강대국들이 알프스산맥스위스를 정복하기 어려워하면서 구체화되었다. 스위스는 소수 병력으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여 기동력이 떨어진 대규모 적군을 공격했다. 이후 게릴라, 파르티잔 등 비정규군은 주로 산맥을 은신처로 사용했고, 이들을 공격하는 정규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전역과 티롤 반란 당시에도 산악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3]

1799년 알프스에서 수보로프 장군이 생고타르 고개를 넘는 모습


기원전 218년, 카르타고의 군 지휘관 한니발은 이탈리아 반도 북쪽에서 로마를 공격하기 위해 병력, 기병, 아프리카 코끼리를 이끌고 알프스 산맥을 넘었다. 당시 로마는 알프스 산맥을 안전한 자연 장벽으로 여겨 방심하고 있었다. 기원전 218년 12월, 카르타고 군대는 북부에서 코끼리를 사용하여 로마 군대를 격파했지만, 많은 코끼리가 추위와 질병으로 죽었다. 한니발 군대는 15년 동안 이탈리아에서 로마 군대와 싸웠지만, 결국 기원전 202년 북아프리카의 자마에서 스키피오에게 패배했다.[2]

수보로프의 이탈리아 및 스위스 원정과 1809년 티롤 반란에서 산악전은 큰 역할을 했다.[3]

1817년 호세 데 산 마르틴 장군이 지휘한 아르헨티나 안데스 군대(()는 안데스 횡단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한 사단은 5,000 미터가 넘는 산을 등반했다.[4]

코카서스 전쟁은 러시아 제국과 북코카서스 민족 간의 19세기 군사적 충돌로, 러시아의 코카서스 정복 과정에서 발생했다.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은 1842년, 16,000명의 영국군과 종군자들이 힌두쿠시 산맥을 통해 카불에서 인도 방향으로 철수하면서 사망하는 결과를 낳았다.[5]

1842년 카불 철수 당시 제44 보병 연대의 최후의 저항

2.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산악전이 다시 중요해졌다. 일부 국가는 이전에 시험되지 않은 산악 사단을 운용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율리안알프스산맥돌로미티산맥의 지형을 이용하여 이탈리아군을 격퇴했는데, 이곳에서는 동상과 눈사태가 총알보다 더 치명적이었다.[6] 1918년 여름, 이탈리아 전선에서 산마테오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는 1999년 카르길 분쟁 이전까지 가장 높은 고도에서 벌어진 전투였다. 1914년 12월, 오스만 제국 최고사령관 엔베르 파샤는 코카서스에서 러시아군을 상대로 공세를 시작했다. 한겨울에 산악 지역의 러시아군 진지에 정면 공격을 고집한 결과, 엔베르는 병력의 86%를 잃었다.[7]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산악전은 다시 화두로 떠올랐다. 일부 국가는 산악사단을 운용했다. 오헝 제국의 방어군은 율리안알프스산맥돌로미티산맥을 이용해 이탈리아군을 격퇴했는데, 이들 산맥에서는 총에 맞아 죽는 사람보다 동상이나 산사태로 죽는 사람이 더 많았다. 1918년 여름, 이탈리아 전선에서 벌어진 산마테오 전투는 해발 3678 미터에서 교전이 발생했으며, 이는 1999년 카르길 분쟁이 해발 5600 미터로 갱신할 때까지 가장 높은 곳에서 발생한 전투로 기록되었다. 1914년 12월, 오스만 제국 최고사령관 엔베르 파샤는 코카서스의 러시아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사리카미시 전투). 한겨울에 산속에 웅거한 러시아군에 대한 공격을 계속한 결과 엔베르는 병력의 86%를 잃었다.

1915년 ~ 1917년 이탈리아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때의 주요 산악전은 다음과 같다:

  • 나르비크 전투[8]
  • 코코다 가도 전역[8]
  • 순록 작전
  • 농수 작전


나르비크 해전에서 독일군을 상대로 사용된 매복 전술 중 하나는 급커브 길을 활용한 것이다. 방어군은 급커브 위에 자리를 잡고 공격자가 자신들과 평행하게 특정 지점에 도달했을 때 사격을 가했다.[8] 또 다른 전술은 '상승 소대 공격'으로, 공격자들은 악천후나 시야 불량의 도움을 받아 지상에서 적의 고지 점령지를 정찰했다. 경기관총 팀은 멀리서 적의 고지 점령지를 향해 사격을 가하여 나머지 병사들이 점차 진격할 수 있도록 엄호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사용된 산악전의 예로는 코카서스 전투, 아투 전투, 렌티어 작전, 건틀렛 작전, 앙코르 작전과 홍콩 전투에서의 영국군의 방어가 있다.

2. 4. 현대

라다크의 인도 군 검문소


1947년 인도 분할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은 카슈미르 지역을 두고 분쟁을 겪어왔다. 양국은 이 지역에서 두 차례의 전쟁과 수많은 추가적인 교전 또는 국경 분쟁을 벌였다.[9] 카슈미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맥인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해 있다.[10]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양국 간의 최초의 적대 행위는 양국 모두 혹독한 추위와 세계 최고 고도에서 싸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1] 중국-인도 전쟁(1962) 동안, 인도와 중국 사이의 적대 행위가 같은 지역에서 발생했다.[9] 이어진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주로 카슈미르의 계곡에서 벌어졌지만, 여러 산악 전투가 벌어졌다.

시아첸 분쟁은 5000m 이상의 많은 초소가 점령되거나 쟁탈전을 벌였던 전투, 작전 및 교전의 증인이 되었다. 이곳에서의 전투는 인도가 능선 대부분을 점령하는 한편 파키스탄군이 기지를 따라 서쪽에 위치하며 살토로 능선의 봉우리, 산등성이 및 고개에 집중되었다.

카르길 전쟁(1999) 동안, 인도군은 높은 산악 초소를 점령한 적들을 몰아내려 했다. 그 대리전은 산악에서만 전개된 유일한 현대전이었다.[12] 카르길 전쟁 이후, 인도군은 해수면에서와는 다른 탄도 발사체의 특성을 가지는 산악에서의 포병 사용에 대한 전문 훈련을 실시했다.[13]

사우스조지아 섬 풍경


포클랜드 전쟁의 대부분은 포클랜드 제도의 반극지 기후의 언덕에서 벌어졌다. 그러나 전쟁 초기 단계에서 영국 원정대는 점령 중인 아르헨티나군을 몰아내기 위해 황량하고 산이 많은 사우스조지아 섬에서 군사 작전을 펼쳤다. 사우스조지아 섬은 남극해 섬이며, 분쟁은 남반구 겨울 동안 발생하여 해수면 근처까지 거의 고산 지대가 형성되었다. 이 작전(암호명 파라켓 작전)은 장거리 수륙 양용 작전, 극지 작전 및 산악 작전의 측면을 결합한 특이한 작전이었다. 여기에는 여러 척의 함선, 특수 부대 병력 및 헬리콥터가 동원되었다.[14]

thumb

|thumb|right|아프가니스탄 우루즈간주 산악 지역을 순찰하는 호주군]]

역사를 통틀어, 특히 1979년 이후 많은 산악전 작전이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수행되었다. 2001년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연합군의 침공 이후, 이 작전들은 주로 쿤라르주와 누리스탄주의 동부 지역에서 수행되었다.[15]

쿤라르주와 동부 누리스탄주는 전략적 요충지인데, 그 이유는 이 지역이 파키스탄과의 국경을 따라 수많은 지역에서 반군이 아프가니스탄으로 침투하여 광대한 강 계곡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주요 침투 경로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아프가니스탄의 해당 지역(지역 사령부 동부)에서 미국 군대는 대반군 작전 (COIN) 이론을 통합한 혼합형 산악전 방식을 채택했는데, 이 이론에서는 전투의 중심으로서 인구가 가장 중요하다.[16]

대반군 작전에서 영토를 점령하고 유지하는 것은 민간인 사상자를 피하는 것보다 덜 중요하다. 대반군 작전의 주요 목표는 군사적으로 반군을 격퇴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정부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대반군 작전 교리는 쿤라르주와 누리스탄주에서 실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인구 밀도가 낮은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산악 지역에서 전략가들은 고지 점령을 주장했는데, 이는 고전적인 산악전의 원칙이다. 이 주장은 반군 진압군이 적에게 고지를 허용하지 않으면 반군이 마음대로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쿤라르주와 누리스탄주에서 미국군은 민심 확보에 중점을 둔 대반군 작전과, 고지를 점령하고 유지하는 산악전을 결합한 혼합형 작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했다.

그 외에도,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전선, 한국 전쟁, 중국-인도 국경 분쟁, 미얀마 내전(샨 주, 카친 주, 카렌 주) 등에서도 산악전이 벌어졌다.

3. 전략 및 전술

고지를 점령하면 적을 먼저 발견하고, 유효 사정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적의 원거리 무기 사거리가 닿기 어렵게 만들어 접근을 강요할 수 있다. 물체를 떨어뜨려 접근을 방해할 수도 있다. 언덕이나 능선 등에 몸을 숨겨 피탄 면적을 줄이는 헐다운을 할 수 있고, 적은 머리나 차량 윗면 등 약점을 노출하게 된다.

골란 고원, 티베트 고원과 같은 고원은 중요한 수원지이며, 국가 전략 차원에서 보전 가치가 높다.

4. 산악 부대



산악전 부대는 산악전을 수행하기 위한 부대로, 고도의 등산 기술과 생존술을 갖추고 있다. 중장비를 휴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산악병 자신의 전투 능력에 의존해야 하며, 공수부대나 해병대와 함께 정예 보병으로 분류된다.

대륙 국가는 산악 지대가 자연 국경이 되는 경우가 많아 대규모 산악 부대를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유럽에는 전통 있는 산악 부대가 많이 편성되어 있다.

4. 1. 대한민국

4. 2. 기타 국가

독일 연방군의 제23산악엽병여단과 오스트리아군의 제6산악여단(오스트리아 연방군)이 있다.[22] 미국 육군에는 제10산악사단이 있다.[22] 프랑스 육군에는 제27산악보병여단이 있다.[22]

이탈리아군에는 알피니가 있으며, 이스라엘 방위군에는 알피니즘 부대가 있다.[22] 육상자위대에는 제13보통과연대와 쓰시마 경비대가 있고, 오키나와현 경찰에는 국경・낙도 경비대가 있다.[22]

러시아 육군에는 제33독립 자동차화 저격 여단과 제34독립 자동차화 저격 여단이 있다.[22] 우크라이나 육군에는 산악병 (우크라이나 육군)이 있다.[22]

루마니아군에는 산악엽병/Vânători de muntero이 있고, 폴란드군에는 포드할레 저격병/Strzelcy podhalańscypl이 있다.[22] 미얀마군은 1980년대까지 산악전 및 대게릴라전에 적합한 경보병 부대 육성에 주력했는데, 이는 제10산악사단을 참고한 것이다.[22] 파키스탄군에는 Special Services Group이 있다.[22]

5. 훈련

영국 해병대가 히말라야 산맥에서 훈련 중, 2007년


육상자위대의 알펜 레인저 훈련


산악 부대 훈련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군대에서는 산악 지형에서의 전투가 예상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투 서열에 산악 부대를 포함시키기 어렵다. 산악전 훈련은 고되고, 많은 국가에서 특수 부대 또는 코만도와 같은 정예 부대의 전유물이며, 이는 영국 해병대와 같이 어려운 지형에서 싸울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정규 부대 역시 때때로 이러한 성격의 훈련을 받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 report https://www.rand.org[...] www.rand.org 2020-01-26
[2] 뉴스 The truth about Hannibal's route across the Alps https://www.theguard[...] 2016-04-03
[3] 웹사이트 PBS - Napoleon: Napoleon at War https://www.pbs.org/[...]
[4] 웹사이트 Data https://www.loc.gov/[...] www.loc.gov 2020-01-26
[5] 뉴스 Britain's Retreat from Kabul 1842 https://www.historic[...]
[6] 웹사이트 The Most Treacherous Battle of World War I Took Place in the Italian Mountains https://www.smithson[...] 2016-06
[7] 웹사이트 Siachen Glacier: Mountain Warfare http://www.siachengl[...]
[8] 서적 World War II Winter and Mountain Warfare Tactics Osprey
[9] 웹사이트 The Kashmir conflict: How did it start? https://web.archive.[...] 2019-03-02
[10] 웹사이트 Himalayan Peaks https://www.its.calt[...]
[11] 웹사이트 Indo-Pakistani Conflict of 1947-48 https://www.globalse[...]
[12] 웹사이트 When Pakistan and India went to war over Kashmir in 1999 http://herald.dawn.c[...] 2016-07-30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0-01-07
[14] 문서 "Sink the Belgrano" Transworld
[15] 웹사이트 On the ground in Afghanistan https://www.marines.[...] 2012
[16] 간행물 Counterinsurgency and Operational Art
[17] 웹사이트 孫子兵法
[18] 웹사이트 PBS - Napoleon: Napoleon at War https://www.pbs.org/[...] 2020-01-26
[19] 간행물 日本スキーの発祥前史についての文献的研究 https://doi.org/10.1[...] 北海道大学大学院
[20] 서적 Battaglie per il San Matteo. Le battaglie più alte della storia
[21] 웹사이트 War in Kargil – The CCC's summary on the war https://web.archive.[...] 2023-09-18
[22] 뉴스 沖縄県警、国境離島警備隊を新設、尖閣不法上陸に即応 自衛隊の連携に不安も https://web.archive.[...] 2020-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