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구 (192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영구(1923년)는 일제강점기 송도중학교와 도쿄 농업대학을 졸업하고, 회사원, 농장 경영, 제분공업, 공무원, 기업 임원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교통부 공로과장, 육운국장, 대한통운 상무이사, 국회전문위원회 위원 등을 거쳐 미라마관광 부사장, 하얏트호텔 부사장, 메트로항공 대표이사 및 회장을 지냈다. 윤치호의 손자이자 윤영선의 아들로, 조선일보 사장 방상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신희철 등이 그의 사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일보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조선일보 - 최석채
최석채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현대사의 언론인, 칼럼니스트로, 해방 후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권 시절 언론 자유를 수호하고 부정을 비판했으며, 화랑무공훈장과 금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국제언론인협회에 의해 세계언론자유영웅 50인에 선정되었다. - 윤치영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윤치영 -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 정부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경공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1972년 유신으로 해체되었다. - 윤보선 - 5·16 군사정변
1961년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군부 세력이 일으킨 5·16 군사정변은 제2공화국의 불안정과 혼란을 배경으로, 부패한 민정부 타도와 국가 재건을 명분으로 내세워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독재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윤보선 -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은 4·19 혁명 이후 수립된 의원내각제 정부이며, 6·15 개헌을 통해 내각제로 전환되었으나, 민주당 내분, 사회 혼란 등으로 인해 5·16 군사정변으로 붕괴되었다.
윤영구 (1923년)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3년 6월 14일 |
사망 | 2006년 1월 11일 (향년 82세) |
본관 | 파평 윤씨(坡平 尹氏) |
배우자 | 김영자 |
자녀 | 2남 3녀 |
학력 | |
학력 | 고려대학교 법학과 학사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
경력 | |
경력 | 제11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중앙집행위원 민주정의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국회 내무위원장 국회 예산결산위원장 한일의원연맹 부회장 |
상훈 | |
상훈 | 황조근정훈장 |
2. 생애
윤영구는 송도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농업대학(도쿄대학교의 전신) 전문부 농업척식과(農業拓殖科)를 졸업하였다.
일본 유학 후 귀국하여 회사원으로 근무하다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농장을 경영하였다. 1945년 해방 후에는 제분공업(製粉工業)을 경영하였다. 1948년 내무부 비서관, 1949년 서울특별시 총무과 문서계장과 서울특별시 산업국 공업과 공업계장을 거쳐 1952년 국방부 비서관, 1953년 달성제지주식회사(達成製絲株式會社) 서무부장을 역임하였다. 1960년 6월 교통부 공로국 공로과장(公路課長), 1960년 교통부 공로국 관리과장, 1960년 11월 교통부 육운국 관리과장을 거쳐 교통부 관광국장을 지냈다. 1967년 교통부 육운국장, 1968년 4월 1일 경제과학심의회사무국제일조사분석실장, 1968년 7월 (주) 대한통운 이사, 1969년 2월 대한통운 상무이사를 역임하였다. 1973년 국회전문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그밖에 미라마관광 부사장, 하얏트호텔 부사장, (주)메트로항공 대표이사, (주)메트로항공 회장을 역임하였다.
2. 1. 초기 생애
송도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농업대학(도쿄대학교의 전신) 전문부 농업척식과(農業拓殖科)를 졸업하였다.2. 2. 경력
연도 | 직책 |
---|---|
일본 유학 후 귀국 | |
회사원 | |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농장 경영 | |
1945년 | 해방 후 제분공업(製粉工業) 경영 |
1948년 | 내무부 비서관 |
1949년 | 서울특별시 총무과 문서계장 |
1949년 | 서울특별시 산업국 공업과 공업계장 |
1952년 | 국방부 비서관 |
1953년 | 달성제지주식회사(達成製絲株式會社) 서무부장 |
1960년 6월 | 교통부 공로국 공로과장(公路課長) |
1960년 | 교통부 공로국 관리과장 |
1960년 11월 | 교통부 육운국 관리과장 |
교통부 관광국장 | |
1967년 | 교통부 육운국장 |
1968년 4월 1일 | 경제과학심의회사무국제일조사분석실장 |
1968년 7월 | (주) 대한통운 이사 |
1969년 2월 | 대한통운 상무이사 |
1973년 | 국회전문위원회 위원 |
미라마관광 부사장 | |
하얏트호텔 부사장 | |
(주)메트로항공 대표이사 | |
(주)메트로항공 회장 |
윤영구는 아들이 없어 동생 윤승구의 아들 윤두영을 양자로 들였다.
[1]
문서
윤세겸-윤학-윤득화(得華)-재동(載東)-상렬(相烈)-치현-경선-영구
3. 가계
관계 이름 출생일 사망일 비고 할아버지 윤치호 1864년 12월 26일 1945년 12월 9일 할머니 진주 강씨(晉州 姜氏) 1868년 1886년 할머니 마애방 1871년 2월 19일 1905년 2월 14일 청나라 사람 할머니 백매려 1890년 8월 1일 1943년 4월 10일 본관은 남포, 다른 이름은 백미려(白美麗) 아버지 윤영선 1896년 12월 25일 1988년 2월 6일 어머니 민연희(閔蓮禧) 1895년 3월 27일 1950년 7월 20일 참봉 민유식(閔惟植)의 딸, 묘는 망우리에 있다. 계모 김명주(金明珠) 1906년 5월 20일 1981년 7월 25일 강릉 김명신(金明信)의 딸, 묘는 석곡리 선영 근처 처 한경복(韓慶福) 1928년 7월 9일 청주한씨 한명덕(韓明德)의 딸 고모 윤봉희(尹鳳姬) 1894년 12월 31일 ? 로나(Launa), 김긍선과 결혼. 경기도 개성에서 살았음 고모부 김긍선(金兢善) ? ? 소학교 훈도 역임 숙부 윤봉성(尹鳳成) 숙부 윤광선 1898년 11월 17일 ? 샌들러(Candller)[4] 사촌 형 윤용구(尹龍求) 1919년 2월 16일 ? 사촌 형수 한원희 ? ? 5촌 조카 윤시영 ? ? 사촌 동생 윤정구 1927년 4월 7일 2018년 11월 18일 기업인·고려원양(주) 전무 역임 사촌 제수 박혜준 5촌 조카 윤도영 사촌 동생 윤명구(尹明求) 1930년 ? 사촌 여동생 윤자희 음악인 사촌 매제 김명호(金明浩) ? ? 북한 개성시장위원회 부위원장[2], 개성시 인민위원장 역임[2] 사촌 여동생 윤정희 사촌 매제 채동규 1917년 2003년 12월 18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2대 학장, 대한약학회 회장 역임[3] 사촌 여동생 윤성희 1929년 사촌 매제 원석연 1922년 2003년 11월 5일 화가 고모 윤용희(尹龍姬) 1903년 ? 헬렌(Helen) 고모부 백OO 외사촌 백연숙 고모 윤문희 1907년 9월 18일 ? 별칭은 마리(Mary), 정광현(鄭光鉉, 서울대학교 법대 교수)과 결혼. 고모부 정광현 1902년 1980년 12월 7일 법의학자, 호는 설송(雪松) 고모 윤무희(尹武姬) 1912년 5월 4일 1914년 3월 10일 고모 윤은희(尹恩姬) 1917년 11월 11일 ? 고모부 정봉섭 1912년 ? 의학박사, 산부인과 의사 고모 윤명희(尹明姬) 1918년 2월 8일 2013년 10월 30일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사망 (장지: Fairfax Memorial Park, Section 6, Garden of Serenity) 고모부 조인호(趙麟鎬) ? ? 고종사촌 조영숙 1940년 삼촌 윤장선 1920년 2005년 3월 25일 다른 이름은 워싱턴[4], 전(前) 미국 샌프란스시코 총영사관 숙모 기세선 1922년 2007년 9월 28일 [5] [6] 사촌 윤원구(尹元求) [7] 사촌 윤인경 윤장선의 셋째 딸 사촌 윤효진 1958년 대한민국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트 선수 고모 윤보희 1923년 10월 19일 음악가, 이화여자대학교 음대 교수 고모부 현영학 1921년 2004년 1월 14일 기독교 민중신학자이며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장[8][9][10] 고모 윤영희(尹瑛姬) 1926년 3월 5일 미국 거주 고모부 휘스넌트(Whisnant) 미국인 삼촌 윤정선 1928년 2008년 3월 4일 요셉[4], 미국에서 사망 숙모 김영주 이승만 대통령의 주치의 김승현(金承鉉)의 둘째 딸[11] 고모 윤정희 동생 윤승구 1924년 제수 김정옥(金貞玉)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 김명신의 딸[12] 동생 윤용구(尹容求) 공무원, 서울특별시청 총무과에 근무하였음 제수 이름 미상 양자 윤두영(尹斗榮) 1851년 3월 17일 양자부 김신영(金信英) 1956년 4월 30일 김해김씨 김현태(金賢泰)의 딸 첫째 딸 윤순명(尹旬明) 1946년 10월 27일 첫째 사위 방상훈 1948. 2. 6 조선일보 사장 둘째 딸 윤재명(尹在明) 1948. 10. 20. 둘째 사위 신희철(申熙澈) 1947.05.1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직 셋째 딸 윤서명(尹瑞明) 1956. 12. 26 미국 거주 셋째 사위 미국인 디엘 밴 알스텔 넷째 딸 윤영(尹瑛) 1960. 08. 26 넷째 사위 송기섭(宋棋燮) 재당숙 윤보선 1897년 1990년 사돈 방일영 1923년 11월 26일 2003년 8월 8일
4. 기타
참조
[2]
서적
북한 향토사학자가 쓴 개성이야기
도서출판 푸른숲
2000
[3]
웹사이트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s://web.archive.[...]
2013-05-16
[4]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5]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6]
문서
미국 캘리포니아 LA에서 사망
[7]
뉴스
부고 金世容 전 안성상공회의소 회장 별세 外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4-03-29
[8]
웹사이트
https://www.christia[...]
[9]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10]
웹사이트
교수신문
https://web.archive.[...]
2013-05-16
[11]
서적
성공하나 아픔은 아홉
금토
1996
[12]
문서
서울대학교 음대 제1회 졸업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