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학은 고등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교육 기관이다. 중세 시대에 유럽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가지며 발전해 왔다. 최초의 대학은 859년 모로코 페스에 설립된 알카라위인 대학교로 여겨진다. 대학은 학문의 자유를 중요하게 여기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대학의 조직은 이사회, 총장, 부총장, 학장 등으로 구성되며, 학과, 단과대학, 학부 등으로 나뉜다. 각국의 대학은 재정, 운영, 분류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국가의 규제를 받거나 독립적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고구려의 태학, 신라의 국학 등이 대학의 기원이며, 조선 시대의 성균관이 근대적 대학의 형태를 갖추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었으며, 광복 이후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이 설립되어 근대적 대학교의 시초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정의 | 고등 교육 기관 |
| 어원 | 라틴어 "universitas" (전체) |
| 역사적 의미 | 라틴어 "universitas magistrorum et scholarium" (교수와 학생의 단체) |
| 특징 | |
| 설립 목적 | 더 높은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 |
| 주요 기능 | 학문 연구 지식 축적 인재 양성 사회 기여 |
| 유형 | 종합 대학, 단과 대학, 기술 대학 등 |
| 역사 | |
| 기원 | 중세 유럽의 성당 학교와 수도원 학교에서 발전 |
| 초기 대학 |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교 (11세기) 프랑스의 파리 대학교 (12세기)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 (12세기)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교 (13세기) |
| 발전 | 르네상스, 종교 개혁 시대에 학문적 자율성 강화 |
| 현대 대학 | 연구 중심 대학, 직업 교육 대학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 |
| 기능 및 역할 | |
| 교육 |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제공 |
| 연구 | 새로운 지식 발견 및 학문 발전 기여 |
| 사회 봉사 | 지역 사회 및 사회 발전에 기여 |
| 대학의 종류 | |
| 종합 대학 |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 |
| 단과 대학 | 특정 학문 분야에 집중 |
| 기술 대학 | 직업 교육 및 실무 중심 교육 제공 |
| 사립 대학 | 개인 또는 사립 재단에서 운영 |
| 공립 대학 | 정부 지원으로 운영 |
| 국제 협력 | |
| 국제 교류 프로그램 | 학생 및 교수진 교환 프로그램 운영 |
| 공동 연구 | 국제 연구 네트워크 구축 |
| 대학의 문제점 | |
| 등록금 문제 | 등록금 인상과 학자금 대출 부담 증가 |
| 취업 문제 | 졸업생 취업 경쟁 심화 |
| 연구 윤리 문제 | 연구 부정행위와 표절 문제 |
| 대학의 서열화 문제 | 대학 간의 서열화와 학벌 사회 문제 |
| 참고 사항 | |
| 동음이의어 | 대학 (동음이의) 참고 |
2. 대학의 역사
대학은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기원을 중국 주나라의 국학이나 기원전 387년 플라톤이 세운 아카데메이아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하지만,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의 대학은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는 859년 모로코 페스에서 파티마 알피흐리가 설립한 알카라이인 대학교가 꼽힌다.[116]
중세 유럽 대학의 등장은 라틴어 단어 universitas|우니베르시타스la와 관련이 깊다. 이 단어는 본래 "하나의 단체로 결합된 여러 사람, 협회, 공동체, 길드, 법인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했다.[13] 중세 도시 생활과 길드가 발전하면서, 학생들과 교사들이 모여 만든 전문적인 조합(길드)을 '우니베르시타스'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들 조합은 다른 길드처럼 자치권을 가졌으며 회원의 자격을 스스로 결정했다.[14] 이러한 교사와 학생의 조합이 현대 대학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대학은 주로 직업과 직접 관련 없는 학문을 가르치고 학위를 수여할 권한을 가진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15] 중세 대학에서 중요했던 법인으로서의 성격은 현대 대학을 규정하는 주요 특징은 아니다.[16]
대학의 구체적인 발전 과정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고대 교육 기관부터 중세 유럽 대학, 근대 대학, 그리고 현대 대학으로 이어지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대학






대학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고대 중국 주나라의 국학이나 전한 시대의 태학(기원전 124년 설립), 기원전 7세기경 인도 탁실라의 사원, 기원전 387년 플라톤이 세운 아카데메이아 등을 대학의 초기 형태로 보기도 한다. 특히 탁실라 사원이나 5세기에 설립된 인도의 날란다 사원에서는 학위와 유사한 증서를 수여했으며, 날란다 사원은 불교를 중심으로 천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가르치고 대학원 과정과 유사한 교육도 제공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아카데메이아 외에도 코스 섬의 의학 학교, 로도스 섬의 철학 학교 등이 있었다. 중국에서는 수나라 이후 국자감이 최고 학부 역할을 담당했으며, 7세기 일본에서는 관료 양성을 위한 대학료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현대적인 의미의 대학은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는 859년 모로코 페스에서 파티마 알피흐리라는 여성이 설립한 알카라이인 대학교가 꼽힌다.[116] 다만, 알카라이인 대학교는 원래 마드라사(이슬람 학교)로 시작하여 1963년에 현대적인 대학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에[35][36][22], 이를 중세 유럽 대학과 동일선상에서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28]
중세 유럽 대학의 등장은 십자군 원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십자군 원정을 통해 유럽은 이슬람 세계와 접촉하게 되었고, 이슬람 세계에서 보존하고 발전시킨 고대 그리스의 철학, 의학, 법학 지식이 유럽으로 다시 유입되었다.[37][38][39] 이러한 지적 자극은 유럽 지식인들의 탐구심을 높였고, 새로운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려는 학생과 교사들의 모임, 즉 길드(Guild)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117] 이 학생과 교사의 조합이 결합하여 대학이라는 조직이 탄생했다.
원래 라틴어 단어 universitas|우니베르시타스la는 '하나의 단체로 결합된 여러 사람, 협회, 공동체, 길드' 등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13] 중세 도시와 길드가 발전하면서, 학생들과 교사들의 전문적인 협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들 조합은 다른 길드처럼 자치권을 가졌으며, 회원의 자격을 스스로 결정했다.[14] 현대적인 의미의 대학은 주로 직업과 직접 관련 없는 학문을 가르치고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하지만[15], 중세 대학의 핵심은 이러한 자치적인 조합, 즉 법인으로서의 성격이었다.[16]
중세 대학은 다양한 특권을 누렸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세금, 병역 등의 부담 면제가 있었으며, 대학 관계자의 범죄에 대해 학내에서 재판권을 행사하는 치외법권도 인정되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학위를 수여할 권한, 자유로운 여행권, 총장 자치 선출권 등도 보장되었다. 대학의 특권이 침해될 경우, 대학 구성원들은 지역 사회 물품 불매 운동을 벌이거나 대학 이전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권리를 지켜나갔다.
대학의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인 학문의 자유 개념 역시 중세 대학에서 비롯되었다. 1155년 또는 1158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가 볼로냐 대학교에 부여한 학문 헌장인 Authentica habita|아우텐티카 하비타la는[18] 학업을 위해 이동하는 학자들의 자유로운 통행과 안전을 보장했는데,[19] 이것이 학문의 자유의 시초로 여겨진다.[20]
유럽 최초의 대학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후원 아래 studium generale|스투디움 게네랄레la(보편 학문 연구소)로 발전했으며, 일부는 대성당학교에서 유래하기도 했다(파리 대학이 대표적).[47] 이후에는 교황의 승인을 받아 국왕(나폴리 프리드리히 2세 대학교, 프라하 카를 대학교, 크라쿠프 야기엘론 대학교)이나 시 정부(쾰른 대학교, 에르푸르트 대학교)가 대학을 설립하기도 했다.[48]
대표적인 중세 대학들은 다음과 같다.
- '''볼로냐 대학교''' (1088년경): 현대적 의미의 대학 중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54][55], 법학, 특히 로마법 연구로 명성을 떨쳤다. 이탈리아 북부 볼로냐는 고대 로마의 법 전통이 강한 지역이었으며, 도시의 성장과 함께 법률 지식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법학 중심 대학으로 발전했다. 볼로냐 대학은 학생 조합이 주도권을 가지는 모델을 확립했다.[57][58]
- '''파리 대학교''' (1109년경): 신학과 철학 연구의 중심지였다. 노트르담 대성당 부속학교 등 기존의 학교들이 발전하여 형성되었으며, 1200년 프랑스 왕의 칙허를 받고 1231년 교황의 칙서로 자치권을 인정받았다. 파리 대학은 교수 조합이 운영을 주도하는 모델을 발전시켰다.[63]
- '''옥스퍼드 대학교''' (1167년경)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1209년): 영국의 대표적인 초기 대학이다. 특히 케임브리지 대학은 옥스퍼드 대학에서 이주한 학자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들 영국 대학 모델은 이후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1636년), 프린스턴 대학교(1746년) 등 초기 대학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
- '''살레르노 대학''' (1231년 정식 승인): 이탈리아 남부 살레르노에 위치했으며, 의학으로 유명했다. 지리적으로 그리스와 가까워 요양지로 알려졌던 지역 특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1231년 프리드리히 2세 황제의 칙령으로 정식 대학이 되었으나, 이후 쇠퇴하여 19세기 초 폐교되었으나 1970년에 재건되었다.
이 외에도 몽펠리에 대학교, 오를레앙 대학교, 파도바 대학교, 툴루즈 대학교, 살라망카 대학교, 나폴리 대학교, 프라하 대학교, 빈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등 많은 대학들이 중세 시대에 설립되었다.
중세 대학은 크게 4개의 학부로 구성되었다. 먼저 모든 학생이 거쳐야 하는 '''교양학부'''(Faculty of Arts)에서는 문법, 수사학, 논리학(삼학, trivium)과 산술, 기하학, 음악, 천문학(사과, quadrivium) 등 자유 7과를 가르쳤다. 이 과정을 마치고 학사 학위를 받으면,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 중 하나의 상급 학부로 진학하여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었다. 당시 학문의 여왕으로 불렸던 신학이 가장 권위 있는 분야로 여겨졌다.
스콜라 철학은 중세 대학의 중요한 특징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재발견되면서[60][61], 학자들은 그의 논리학과 사상을 성경과 조화시키고 이성적으로 증명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Sententiarum libri quatuor|센텐티아룸 리브리 콰투오르la(명제집)는 중요한 교과서로 사용되었고, 이에 대한 주석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중세 대학의 학생들은 대개 14~15세에 입학했으며, 수업은 라틴어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준성직자 신분으로 취급되어[111][112] 세속 법정의 처벌에서 면제되는 등 특권을 누렸지만, 이로 인해 절도, 폭행 등 방종한 행동을 저지르는 경우도 많았다.[110] 이러한 특권은 때때로 도시 당국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대학에서 대학으로 옮겨 다니며 공부하거나 중퇴하여 방랑하는 학생들도 있었는데, 이들을 고리아르(Goliard) 또는 방랑 학생(clerici vaganti)이라고 불렀다.[110] 여성은 대학에 입학할 수 없었다.
2. 2. 유럽 최초의 대학
중세 중기 십자군 원정을 통해 유럽은 아랍 문화와 접하게 되었고, 그곳에 보존되어 있던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철학, 의학, 법학 지식이 다시 유럽으로 전해졌다.[117] 또한 아랍인들이 발전시킨 지식까지 접하게 되면서 지식인들의 탐구심이 높아졌고, 새로운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려는 학생과 교사의 집단(Guild)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이들 학생과 교사의 조합이 결합하여 대학이 탄생했다.현대 대학은 일반적으로 중세 기독교 전통에서 유래한 공식 기관으로 여겨진다.[44][45] 유럽의 고등 교육은 오랫동안 대성당학교나 수도원 학교(scholae monasticaela)에서 이루어졌으며, 일부 대학의 직접적인 전신은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6] 젊은 남성들은 7자유과(문법, 수사학, 논리학의 3학과 산술, 기하학, 음악, 천문학의 4과)를 마친 후 대학에 진학했다.
가장 초기의 대학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후원 아래 studia generaliala로서, 그리고 대성당학교로부터 교황령에 따라 발전했다. 하지만 대성당학교가 대학으로 직접 발전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파리 대학교가 예외적인 사례로 꼽힌다.[47] 이후에는 왕(나폴리 프리드리히 2세 대학교, 프라하 카를 대학교, 크라쿠프 야기엘론 대학교)이나 시 정부(쾰른 대학교, 에르푸르트 대학교)에 의해서도 대학이 설립되었다.[48] 많은 역사가는 대학과 대성당학교가 수도원에서 장려된 학문 탐구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본다.[49]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1079년 교황령을 통해 대성당학교의 설립을 규제했는데, 이는 최초의 유럽 대학 설립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50]
중세 대학은 다양한 특권을 누렸다. 대표적으로 병역, 복역, 세금 등의 부담을 면제받아 독립된 사회로 인정받았다. 또한 대학 관계자의 범죄에 대해서는 학내에서 별도의 재판권을 행사하는 등 치외법권이 인정되었다. 이 외에도 사회적으로 공인된 학위를 수여할 권한, 자유로운 여행권, 총장 자치 선출권 등이 있었다. 만약 외부 세력이 대학의 특권을 침해하려 하면, 대학은 지역 사회 물품 불매 운동을 벌이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겠다고 위협하며 자신들의 권리를 지켜나갔다.
유럽 최초의 대학들은 조합(길드)의 형태를 띠었다. 대표적인 초기 대학은 다음과 같다.
- '''볼로냐 대학교''' (1088년경): 현대적 의미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여겨지며, 법학으로 명성이 높았다.[51][54][55] 이탈리아 북부 볼로냐는 고대 로마의 법 전통이 강한 지역이었고, 도시가 성장하며 교황, 황제와 갈등을 겪으면서 법률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르네리우스가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로마법 대전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을 계기로[56], 여러 나라에서 온 학생들이 모여들었고, 이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조합을 결성했다. 볼로냐 대학은 학생 조합이 주도권을 가졌다는 특징이 있다.[57][58]
- '''파리 대학교''' (1109년경): 신학과 철학으로 유명했다.[52]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부속학교 등 기존 학교들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대학을 운영했다. 1200년 프랑스 왕의 칙허를 받았고, 1231년 교황의 칙서로 자치권을 인정받았다.
- '''옥스퍼드 대학교''' (1167년경), '''케임브리지 대학교''' (1209년): 영국의 대표적인 초기 대학이다.[53] 옥스퍼드 대학에서 일부 교사와 학생들이 이주하여 케임브리지 대학이 설립되었다. 이들 대학은 이후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1636년), 프린스턴 대학교(1746년) 등 초기 대학 설립에 모델이 되었다.
- '''살레르노 대학''' (1231년 정식 승인): 이탈리아 남부에 위치했으며 의학으로 유명했다. 동부 그리스와 가까워 요양지로 알려졌던 지역 특성상 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1231년 프리드리히 2세의 칙령으로 대학으로 승인받았으나, 19세기 초 폐교되었다가 1970년에 다시 문을 열었다.
초기 대학들은 라틴어를 공용어로 사용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과 히포크라테스, 갈레노스, 아비센나 등의 의학 서적을 주요 교재로 삼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재발견은 12세기에 시작된 자연 탐구 정신을 더욱 고취시켰고[60], 그의 사상을 기독교 교리와 조화시키려는 스콜라 철학의 발전을 이끌었다.[61]
대학 문화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남부 대학들은 법학과 의학에 중점을 두었고 학생 중심의 운영(볼로냐 모델)이 특징이었던 반면[63], 독일, 프랑스, 영국 등 북부 대학들은 예술(교양)과 신학에 중점을 두었으며 교사 중심의 운영(파리 모델)을 따랐다.[62] 학위 종류도 달라, 북부 대학들은 주로 학사 학위를, 남부 대학들은 박사 학위를 주로 수여했는데, 이는 졸업 후 진로(북부: 교직, 남부: 전문직)와 관련이 있었다.[62]
대학 교육은 보통 6년간의 학예과(7자유과) 과정을 거쳐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법학, 의학, 신학 중 하나의 상급 학부에서 추가로 공부하여 석사나 박사 학위를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신학이 가장 권위 있는 학문 분야로 여겨졌다. 학생들은 보통 14~15세에 대학에 입학했으며[110], 준성직자로 간주되어 세속 법정 대신 교회 재판소에서 재판받는 등 특권을 누렸다.[111][112] 하지만 이러한 특권으로 인해 학생들이 범죄를 저지르고도 제대로 처벌받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고[110], 세속 권력과의 갈등이 잦았다. 학생들은 때때로 수업 거부나 집단 이주(파업)를 통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 했다. 여성은 대학에 입학할 수 없었다.
2. 3. 근대 대학의 발전
최초의 대학들이 유럽에 설립된 뒤 많은 대학들이 뒤따라 세워졌고,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와 학문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대학 발전 과정에서 특히 독일, 영국, 미국의 대학 모델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베를린 대학'''(1809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훔볼트 우니베르지테트 추 베를린de)는 근대적 대학의 효시로 평가받는다.[113] 프로이센의 빌헬름 폰 훔볼트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칙령으로 설립을 주도했으며, '정치 권력에 제약받지 않는 교수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핵심 이념으로 삼았다. 또한 연구와 교육의 일체화를 추구하는 혁신적인 발상으로 이후 여러 나라의 대학 모델에 큰 영향을 주었다.[113] 베를린 대학 모델은 법학, 신학, 의학 등 전통 학문과 더불어 철학이 모든 학문의 이론적 연구를 지도하는 구조를 가졌다. 19세기 독일 대학 모델(훔볼트 모델)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자유주의 사상에 기반하여 자유, 세미나, 실험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영국의 대학''': 잉글랜드의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는 오랜 역사와 함께 인격 교육을 중시하는 귀족 중심의 학풍을 유지하며 신사도 교육과 지도자 양성에 힘썼다. 스코틀랜드에서는 15세기부터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1413년), 글래스고 대학교(1451년), 애버딘 대학교(1495년), 에든버러 대학교(1583년) 등 고대 대학(Ancient Universities)들이 설립되었다. 하지만 이들 초기 대학은 주로 신학자와 귀족 중심의 폐쇄적인 교육 기관이라는 비판 속에서 폭넓은 학문 탐구와 지식인 양성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산업혁명 이후 맨체스터, 버밍엄, 런던 등 도시의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왕실과 의회는 대학 확대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설립된 대학들은 당시 건물의 특징을 따 '레드 브릭 대학교'(Red Brick Universities)로 불린다. 대표적으로 산업 혁명의 중심지 맨체스터에서 1824년 기초 과학 원리를 중심으로 한 맨체스터 대학교가 세워졌고, 1826년에는 제임스 밀 등 공리주의자들이 평등한 교육 기회를 주장하며 유니버시티 칼리지를 설립했다. 이에 맞서 성공회 신학자 양성을 위해 1829년 킹스 칼리지 런던이 세워졌다. 이후 리즈 대학교(1831년), 더럼 대학교(1832년), 뉴캐슬 대학교(1834년), 코번트리 대학교(1843년),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1851년), 엑서터 대학교(1855년), 사우샘프턴 대학교(1862년), 브리스틀 대학교(1876년), 리버풀 대학교(1881년), 노팅엄 대학교(1881년), 퀸 메리 런던 대학교(1882년), 로열 홀러웨이 런던 대학교(1886년), 골드스미스 런던 대학교(1891년), 시티 런던 대학교(1894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1895년), 셰필드 대학교(1897년), 버밍엄 대학교(1900년),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1907년) 등이 연이어 설립되어 영국과 유럽의 근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0년대부터는 서식스 대학교, 요크 대학교, 랭커스터 대학교, 워릭 대학교 등 소위 '판유리 대학'(Plate glass universities)들이 설립되었다. 영국 대학들은 여전히 신사 교육과 지도자 양성을 중시하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91][92]

- '''미국의 대학''': 미국 최초의 대학인 하버드 대학교(1636년)를 비롯하여 프린스턴 대학교(1746년) 등 초기 대학들은 영국 대학 모델의 영향을 받아 설립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독일의 연구 중심 대학 모델이 도입되었는데, 1876년 설립된 존스 홉킨스 대학교가 대표적이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는 독일에서 공부한 교수진을 중심으로 연구 중심 대학 모델을 미국에 정착시키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90] 이후 많은 미국 대학들이 이 모델을 따랐다. 이 시기부터 미국 대학들은 대학원 교육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 '''프랑스의 대학''': 프랑스에서는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기존 대학들이 전문학교로 개편되고, 신설된 앙피리얼 대학(L'Université impériale)이 국가 주도로 교육을 관리하는 중앙집권적 모델이 채택되었다. 연구는 주로 별도의 아카데미에서 이루어졌다. 프랑스 모델은 대학의 모든 측면에 대한 엄격한 규율과 통제를 특징으로 했다.
18세기까지 대학은 학술지를 발행하기 시작했고, 19세기에는 연구 중심 대학이 부상하면서 종교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했다. 대학 교육은 과학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점차 대중에게 개방되었다. 19세기에는 역사학, 사회학, 교육학, 민속학 등 새로운 학문 분야가 등장했으며, 수학, 물리학, 화학 등 기존 학문도 급속히 발전했다. 철학에서 심리학, 철학사 등이 분리되면서 오늘날 대학 학문 분야의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졌다. 20세기에는 유럽 외 지역에서도 많은 대학이 설립되었고, 경영학, 음악, 미술, 공학 등 실용 학문 분야도 점차 대학의 주요 구성 부분으로 인정받게 되었다.[114] 21세기 들어서는 정보과학, 사회복지학, 도시공학 등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학문 분야들이 각국의 상황에 맞게 생겨나고 있다.
2. 4. 식민지 대학
제국주의 국가는 식민지에서 지배 체제를 확립하고 본국의 지식 체계를 식민자의 자제와 현지 주민에게 교육시키기 위해 대학을 설립했는데, 이를 식민지 대학이라고 부른다.최초의 식민지 대학은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의 페루 리마에 1551년 설립한 산 마르코스 대학이다. 이외에도 아메리카 대륙에는 콜롬비아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 도미니카 공화국의 산토 도밍고 대학 등 여러 식민지 대학이 세워졌다. 영국은 인도 지배 과정에서 지식인들을 친영파로 만들기 위해 1912년까지 라호르 대학, 알라하바드 대학, 캘커타 대학, 마드라스 대학, 봄베이 대학 등 5개의 대학을 설립하였다.
일본 역시 자신들의 식민지에 대학을 세웠다. 일제강점기 한반도에는 경성제국대학을, 대만일치시기 타이완에는 타이베이 제국대학을, 만주국에는 건국대학을 설립하여 식민 통치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고자 했다.
2. 5. 대한민국의 대학
한국의 고등 교육 기관은 역사적으로 고구려의 태학(4세기), 신라의 국학, 고려의 국자감으로 이어졌다. 현재 대학 구조와 유사한 형태는 조선 태조 이성계가 고려의 성균관을 계승하여 설립한 국립 고등교육기관 성균관에서 찾을 수 있다. 지방에는 유림들이 세운 사립 고등교육기관인 서원이 있었다. 성균관은 조선 왕실 교육과 인재 등용의 중심지였다. 1895년에는 칙령으로 3년제 경학과가 설치되어 근대 교육 체제를 갖추면서 근대 대학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대한제국 시기에도 성균관은 국립 고등교육기관으로 유지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독립운동의 근거지로 지목되어 1910년 국권 침탈 후 조선총독부의 민족말살정책에 따라 경학원으로 격하되었다. 이후 명륜학원(1930년), 명륜전문학원, 명륜전문학교(1939년), 명륜연성소(1944년) 등으로 개편되는 과정을 겪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일제의 불법적인 조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성균관의 정통성을 이어가다가 1945년 광복 후 성균관의 명칭을 회복시켰다. 1946년에는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성균관을 계승하는 성균관대학교로 개편되었으며, 김구가 위원장을, 이승만이 고문을 맡고, 김창숙이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일제가 조선에 세운 유일한 근대적 대학은 1924년 설립된 경성제국대학이다. 이는 조선 말기부터 민립대학설립운동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방해로 좌절되었기 때문이다. 일제는 유일한 국립 고등교육기관인 성균관마저 격하시켰고, 광복 때까지 경성제국대학 외에는 어떠한 국립 또는 사립대학의 설립도 허가하지 않았다. 이는 제국주의적 차별 의식에 기반하여 식민지 조선인에게 고등 교육 기회를 제한하려는 의도였다.
민립대학설립운동은 1920년 6월 이상재, 한규설, 윤치호 등 100여 명이 조선교육회설립발기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조선에 대학이 없는 현실을 개탄하며 민립대학 설립을 결의했다. 1922년 1월에는 이상재, 조만식, 윤치호 등이 모여 조선민립대학기성준비회를 정식으로 결성했다. 1923년 3월 29일에는 발기인 1170명 중 462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총회를 열고, '민립대학 발기 취지서'를 채택하며 대학 설립 계획을 확정했다. 취지서에는 한민족의 운명 개척에 교육이 가장 중요하며, 문화 발전과 생활 향상을 위해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 설립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근대 대학의 설립 과정을 살펴보면, 국립대학으로는 서울대학교[118], 여자대학으로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립대학으로는 숭실대학교[119]와 연세대학교 등이 초기에 설립되었다. 많은 대학들이 성경학교, 강원, 강습소, 학당, 실업학교, 중등학교 시절의 연혁을 포함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1945년 광복 이후에야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문교부에 등록된 《대학설립인가의 현황[120]》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학 설립 인가 과정을 보면, 1946년 8월 22일을 서울대학교의 개교 기념일로 삼고 있다.[121] 미군정청 학무국으로부터 받은 인가서 기준으로, 2년제 전문대학 형식이던 이화여자전문대가 1946년 6월 24일 자로 제1호 인가서를 받았고, 연희전문대는 1946년 7월 31일 자로 제2호 인가서를 받았다. 보성전문대는 1946년 8월 5일 자로 제3호 인가서를 받아 8월 15일 고려대학교로 종합대학 승격의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종로구 혜화동의 혜화전문은 1946년 9월 20일 동국대학교로, 종로구 명륜동의 명륜전문은 1946년 9월 25일 성균관대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종로구 낙원동의 단국대학교는 1947년 11월 1일, 광복 후 최초 4년제 대학으로 정식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이후 1948년에는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국민대학교가, 1949년에는 건국대학교, 홍익대학교가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49년에 가인가를 받았던 경희대학교는 1952년에 정식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평양에 있다가 폐교되었던 숭실대학교는 1954년 4월 15일 문교부로부터 정식 설립 인가를 받아 서울에서 재건되었다.
6.25 전쟁 중이던 1952년에는 미국 하와이 교포 이주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낙후된 대한민국의 공업 수준 향상을 위해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발의로 인하공과대학 설립이 추진되었다. 하와이 한인기독학원(Korea Christian Instituteeng) 처분 대금, 교포 및 국내 유지들의 성금, 국고 보조를 바탕으로 인천시로부터 부지를 기증받아 1954년 4월 개교하였다. 이는 광복 후 최초의 국립 공과대학이었다.[122][121][123][124]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제도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 제도 명칭 | 시행 기간 | 주요 특징 |
|---|---|---|
| 대학별 단독 출제 입학고사 | 1945년 ~ 1953년, 1955년 ~ 1961년, 1964년 ~ 1968년 |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시험을 출제하고 학생을 선발. |
| 대학입학연합고사[125] | 1954년 (1년 시행) | 여러 대학이 공동으로 시험을 실시. |
| 대학입학자격국가고사 | 1962년 ~ 1963년 | 국가 주관으로 대학 입학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 |
| 대학입학예비고사[126] | 1969년 ~ 1981년 | 대학 본고사에 앞서 치르는 예비 시험 성격. 선발 기능도 일부 담당. |
| 대학입학학력고사[127] | 1982년 ~ 1993년 | 국가 주관의 표준화된 시험으로, 선지원 후시험 방식. 총점 위주 선발. |
| 대학수학능력시험[128] | 1994년 ~ 현재 | 통합 교과적 사고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 수시와 정시[129]로 나뉘어 다양한 전형 요소 활용. |
현대적 의미의 대학은 직업과 직접 관련 없는 과목을 가르치고 일반적으로 학위를 수여할 권한을 가진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15] 과거 중세 길드와 같이 집단적 법적 권리를 가진 법인 조직이라는 성격은 더 이상 현대 대학교를 인식하는 주요 특징이 아니다.[16]
대학의 정의는 국가별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명확한 정의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부 기관에서 설정한다.
현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중심으로 수시와 정시 전형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수시 전형은 대학별로 입학사정관제를 포함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며, 정시 전형은 주로 수능 성적을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3. 현대 대학의 특징
학문의 자유는 현대 대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볼로냐 대학교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155년 또는 1158년에 채택된 학문적 헌장인 Constitutio Habitala''[18]는 교육을 위해 이동하는 학자의 자유로운 통행권을 보장했다.[19] 이는 오늘날 "학문의 자유"의 기원으로 여겨지며,[20] 국제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개념이다. 1988년 9월 18일, 볼로냐 대학교 설립 900주년을 기념하여 430명의 대학 총장이 ''Magna Charta Universitatumla''[21]에 서명했으며, 이 문서에 서명하는 대학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19세기 독일의 빌헬름 폰 훔볼트가 구상하고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사상에 기반한 훔볼트 모델은 연구와 교육의 일체화를 강조하며 현대 대학의 중요한 특징을 확립했다. 이 모델은 세미나와 실험실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대학의 연구 기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미국의 존스 홉킨스 대학교는 1876년 설립 당시 독일 유학 경험이 있는 교수진을 중심으로 독일식 연구 중심 대학교 모델을 미국에 처음 도입하며 다른 대학들에 영향을 미쳤다.[90] 영국에서는 1963년 로빈스 보고서가 대학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교육은 학문 발전과 진리 탐구와 분리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교육과 연구의 균형 유지"를 제시하며 연구와 교육의 연계를 강조했다.[92] 또한 산업혁명 이후 과학과 공학을 강조하는 새로운 시민 대학들이 등장했는데,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설립이 그 시작을 알렸다.[91]
현대 대학은 중세의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 자유학예 학부 중심 구성에서 벗어나 매우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한다. 19세기에는 역사학, 사회학, 교육학, 민속학 등 새로운 인문사회과학 분야가 등장하고 수학, 물리학, 화학 등 자연과학 분야도 급속히 발전했다. 20세기에는 경영학, 음악, 미술, 공학 등이 대학의 주요 구성 학부로 인정받게 되었으며,[114] 21세기에는 정보과학, 사회복지, 도시개발 등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학문 분야들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현대 대학은 지식 창출과 교육뿐 아니라 사회적 역할 또한 중요하게 여겨진다. 로빈스 보고서는 대학의 목표로 기술 교육, 교양 함양, 연구와 교육의 균형 외에도 "공통 문화와 시민의식의 공통 기준 전달"을 강조했다.[92] 국립대학교는 국가의 문화적, 정치적 열망과 연관되어 설립되거나 운영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국립대학교는 아일랜드어와 아일랜드 문화 연구에 기여했다. 또한 유럽법 아카데미, 유클리드 대학교(EUCLID), 국제연합대학교, 유럽대학교와 같이 특정 목적을 위해 설립된 정부간 대학들은 유럽법 교육, 지속 가능한 발전, 세계적 문제 해결 등 특화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대학 운영에서 효율성과 표준화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경영 모델이 확산되면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러한 모델은 "기업 대학"화를 초래하여, 경제적 논리가 교육적, 지적 관심사를 압도하고 권력이 교수진에서 행정 관리자로 넘어가는 경향을 보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93][94]

4. 대학의 조직 및 운영

대학의 조직 구조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이사회, 총장(president|eng, chancellor|eng, rector|eng), 최소 한 명 이상의 부총장(vice president|eng, vice-chancellor|eng, vice-rector|eng), 그리고 각 부서의 학장(dean|eng) 등으로 구성된다. 대학 내부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학과(academic department|eng), 단과대학(school|eng) 또는 학부(faculty|eng)로 나뉜다.
공립 대학은 일반적으로 정부가 운영하는 고등교육위원회의 관리를 받는다. 이 위원회는 재정 지원을 결정하고 예산을 배분하며, 새로운 교육 과정을 승인하거나 기존 과정을 변경 또는 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국가나 지역 내 고등 교육 기관들의 균형 있는 발전을 계획하기도 한다. 하지만 세계의 많은 공립 대학들은 재정, 연구, 교육 방식(pedagogical|eng) 등에서 상당한 자율성을 누리고 있다.
사립 대학은 민간에 의해 운영되며, 일반적으로 정부 정책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그러나 재정을 지원하는 주체,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의 영향력 아래 놓일 경우 독립성이 제한될 수도 있다.
5. 세계 각국의 대학

전 세계 대학의 재정 및 조직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다. 어떤 국가에서는 주로 국가가 대학을 지원하는 반면, 다른 국가에서는 기부금이나 학생들이 내는 수업료로 재정을 충당하기도 한다. 학생들의 거주 형태도 다양하여, 대다수 학생이 지역 대학에 통학하는 국가가 있는가 하면, 전 세계 학생들이 모여 대학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국가도 있다.[95]
많은 국가에서 학생들은 대학 교육을 받기 위해 등록금을 납부해야 한다. 이 때문에 많은 학생이 대학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학금을 받으려 노력한다. 예를 들어, 2016년 미국에서는 학생 1인당 평균 미상환 학자금 대출 잔액이 3만달러에 달했다.[100] 미국의 여러 주에서는 공립 대학교에 대한 주 정부 지원이 줄어들면서 학생들의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101] 또한 미국의 많은 대학교는 학생들이 학업 성취도에 따라 등록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재정 장학금을 신청할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등록금이 없는 경우도 있다. 특히 많은 유럽 국가에서는 등록금 없이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북유럽 국가의 공립 대학교는 2005년경까지 등록금이 완전히 없었으나, 이후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은 유럽 연합(EU)이나 유럽 경제 지역(EEA) 회원국, 스위스 국민을 제외한 외국 학생들에게 등록금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다만, 유망한 외국 학생에게 지급되는 공적 장학금 액수도 늘어나 이러한 변화의 영향을 일부 상쇄하고 있다.[102] 독일의 상황도 비슷하여, 공립 대학교는 보통 소액의 행정 수수료 외에는 등록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일부 대학원 전문 과정에서는 등록금이 부과되기도 하지만, 사립 대학교는 거의 항상 등록금을 부과한다.
6. 대학의 분류
7. 비판 및 과제
많은 국가에서 학생들은 대학 교육을 받기 위해 등록금을 내야 한다. 높은 등록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학생이 장학금을 받으려 노력한다. 예를 들어, 2016년 미국에서는 학자금 대출을 받은 사람 한 명당 평균 미상환 잔액이 3만달러에 달했다.[100] 특히 미국의 여러 주에서는 공립 대학에 대한 주 정부 지원이 줄어들면서 학생들의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101] 많은 미국 대학들은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등록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재정 장학금 신청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일부 국가에서는 등록금 부담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다수의 유럽 국가, 특히 북유럽 국가의 공립 대학들은 2005년경까지 등록금을 전혀 받지 않았다. 이후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 일부 국가에서 비유럽연합 출신 유학생들에게 등록금을 부과하기 시작했지만, EU 및 EEA 회원국 국민과 스위스 국민은 여전히 등록금이 면제된다. 또한, 유망한 외국 학생들을 위한 공적 장학금 규모가 늘어나면서 등록금 부과의 영향을 일부 상쇄하고 있다.[102] 독일의 상황도 비슷하여, 공립 대학은 일반적으로 소액의 행정 수수료 외에는 등록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다만, 일부 대학원 전문 과정이나 사립 대학에서는 등록금을 부과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3.1
http://wordnetweb.pr[...]
2023-08-30
[2]
백과사전
Universities
[3]
서적
Managing the University Campus: Information to Support Real Estate Decisions
Academische Uitgeverij Eburon
[4]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Rowman & Littlefield
[5]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Routledge
[6]
서적
Sciences in the Universities of Europ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Academic Landscapes
Springer
[7]
서적
First Peoples of the Americas and the European Age of Exploration
Cavendish Square Publishing
[8]
웹사이트
The University from the 12th to the 20th century - University of Bologna
https://www.unibo.it[...]
2021-03-23
[9]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www.topuniver[...]
2010-01-06
[10]
서적
The Challenge of Bologna
https://books.google[...]
Stylus
2016-07-07
[11]
서적
The university in medieval life, 1179–1499
McFarland
[12]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ume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A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14]
서적
Medieval Foundations of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400-1400
Yale Univ. Pr.
[15]
웹사이트
OED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27
[16]
웹사이트
OED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27
[17]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ume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8]
서적
Statuti delle Università e dei Collegi dello Studio Bolognese
Zanichelli
[19]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Ideas
Weidenfeld and Nicolson
[21]
웹사이트
Magna Charta delle Università Europee
http://www2.unibo.it[...]
.unibo.it
2010-05-28
[22]
간행물
Gender, Education, and Feminist Knowledge in al-Maghrib (North Africa) – 1950–70
[23]
학술지
Harran: Last Refuge of Classical Paganism
https://journal.equi[...]
1999
[24]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 I: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 Islamic Cultures: Economics, education, mobility, and space
Brill
[27]
서적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Authentic
[28]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 I: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30]
서적
A History Of African Higher Educa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A Critical Synthesis Studies in Higher Educ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3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Fitzroy Dearborn
[32]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33]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Routledge
[34]
간행물
Madrasa and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35]
서적
A History Of African Higher Educa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A Critical Synthesis
Greenwood Publishing Group
[3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rocco
Scarecrow Press
[37]
서적
The heritage of European universities, Volume 548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2006-01-01
[38]
학술지
Scholasticism and Humanism in Classical Islam and the Christian West; The Islamic Origins of the Common Law
1989-04-01; 1999-06-01
[3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Edinburgh University Press
[40]
학술지
Review of "The Rise of Colleges. Institutions of Learning in Islam and the West by George Makdisi"
[41]
서적
History of Universit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01
[42]
서적
Storia d'Italia
UTET
1981-08-07
[43]
서적
Storia dello Studium di Napoli in età sveva
Mario Adda Editore
[44]
서적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Universities and Scholastic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47]
서적
Paris and Oxford Universities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An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History
Wiley
[48]
웹사이트
Univerzita Karlova získala dva unikátní dokumenty z historie české a evropské vzdělanosti
https://cuni.cz/UK-9[...]
2018-06-29
[49]
서적
The Renaissance : a short history
Modern Library
[50]
백과사전
Pope St. Gregory VII
Robert Appleton Company
[51]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10-16
[52]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10-16
[53]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10-16
[54]
서적
Rise of Colleges: Institutions of Learning in Islam and the West
Edinburgh University Press
[55]
서적
Islamic Education
Springer
[56]
서적
The Rise of Early Modern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The Uses of the University
Harva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Mythologies and Historiography of the Beginn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학술지
The universities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60]
서적
Aristotle's children: how Christians, Muslims, and Jews rediscovered ancient wisdom and illuminated the dark ages
Harcourt
[61]
서적
Medieval discussions of the eternity of the world
Brill Archive
[62]
학술지
The universities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63]
학술지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Medieval to Postmodern transformations
[64]
서적
Universities and Schooling in Medieval Society
Brill
[65]
웹사이트
University League Tables 2021
https://www.thecompl[...]
2021-05-02
[66]
웹사이트
The best UK universities 2021 – rankings
http://www.theguardi[...]
2021-05-02
[67]
학술지
The universities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68]
서적
Patter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Patter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학술지
The universities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71]
논문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Medieval to Postmodern transformations
[72]
서적
Patter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서적
Epilogue: the rise of hum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서적
The universities of the Italian renaissa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universities of the Italian renaissa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6]
서적
The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논문
The universities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78]
서적
Disputation and description in the renaissance pulse controvers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Gutenberg and the Impact of Printing
Ashgate Pub.
[80]
서적
The construction of modern science: mechanisms and mecha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서적
The role of scientific societi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2]
서적
A reappraisal of the role of the universities in the Scientific Revolution
[83]
논문
The Melanchthon circle:, rheticus, and the Wittenberg interpretation of the Copernicantheory
[84]
서적
A reappraisal of the role of the universities in the Scientific Revolution
[85]
서적
A reappraisal of the role of the universities in the Scientific Revolution
[86]
서적
Tradition vs novelty: universities and scientific societi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87]
서적
Tradition vs novelty: universities and scientific societi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88]
논문
The snakestone experiments: an early modern medical debate
[89]
서적
Death of Guilds:Professions, States, and The Advance of Capitalism, 1930 to The Present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90]
뉴스
Gener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01-25
[91]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http://www.oxforddnb[...]
2010-05-28
[92]
웹사이트
The 'Idea of a University' today
http://www.historyan[...]
2010-12-09
[93]
서적
The Slow Professor: Challenging the Culture of Speed in the Academy
Toronto University Press
[94]
서적
The Slow Professor: Challenging the Culture of Speed in the Academy
Toronto University Press
[95]
웹사이트
Basic Classification Technical Details
http://www.carnegief[...]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07-03-20
[96]
웹사이트
Massachusetts Board of Education: Degree-granting regulations for independen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http://www.mass.edu/[...]
2010-05-28
[97]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http://www.privy-cou[...]
Privy Council Office
2007-12-06
[98]
웹사이트
Deemed University
http://mhrd.gov.in/d[...]
MHRD
[99]
웹사이트
'Deemed' status distributed freely during Arjun Singh's tenure - LearnHub News
http://learnhub.com/[...]
Learnhub.com
2010-07-29
[100]
웹사이트
Students are graduating with $30,000 in loans
https://money.cnn.co[...]
2017-09-21
[101]
뉴스
Students at Public Universities, Colleges Will Bear the Burden of Reduced Funding for Higher Education
https://business.tim[...]
2013-01-14
[102]
간행물
Studieavgifter i högskolan
https://web.archive.[...]
2013-05-15
[103]
웹사이트
東大は「日本の最高学府」ではありません
https://www.insightn[...]
2021-11-03
[104]
텍스트
[105]
텍스트
[106]
서적
大学の起源
八坂書房
2009
[107]
서적
大学で学ぶ西洋史 [古代・中世]
ミネルヴァ書房
[108]
서적
15のテーマで学ぶ中世ヨーロッパ史
[109]
서적
大学の起源
[110]
서적
中世ヨーロッパ生活誌
論創社
2014
[111]
서적
中世ヨーロッパ生活誌
論創社
2014
[112]
서적
Magic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
일반
Doctor of Philosophy (Ph.D.)
[114]
일반
독일의 단과대학과 Hochshule
[115]
일반
일본의 교육훈련기관 용어
[116]
서적
1001가지 발명 -이슬람이 남긴 위대한 유산-
내셔널 지오그래픽
[117]
웹사이트
20강 교회와 함께 성장하는 중세대학
http://www.cpbc.co.k[...]
가톨릭평화방송
2014-10-14
[118]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관련 기록
http://archives.snu.[...]
[119]
웹사이트
숭실대학교 숭실史
http://www.ssu.ac.kr[...]
2010-05-01
[120]
뉴스
미 군정기 대학 설립 봇물
http://www.unn.net/C[...]
한국대학신문
2009-02-25
[121]
뉴스
미 군정기 대학 설립 봇물
http://www.unn.net/C[...]
한국대학신문
2010-03-01
[122]
웹사이트
하와이 동포 성금으로 인하대 설립
http://www.dongponew[...]
2016-03-07
[123]
뉴스
"1953년 戰禍 속 졸업생에게" 김창숙 선생 친필 훈사 발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6-25
[124]
뉴스
成大 창립자 김창숙 선생의 1953년 졸업훈사 공개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6-25
[125]
일반
연합고사
[126]
일반
예비고사
[127]
일반
학력고사
[128]
일반
수능
[129]
일반
정시모집 군 배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