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은둔의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둔의 왕국은 쇄국 정책이나 고립주의를 통해 외부 세계와 단절된 국가를 묘사하는 용어이다. 역사적으로는 17세기부터 쇄국 정책을 펼친 조선이 윌리엄 엘리엇 그리피스의 저서 《한국: 은둔의 나라》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1905년 일본의 보호령이 될 때까지 이 용어로 묘사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이 스탈린주의 정권으로 시민의 국외 출국을 금지하고 자급자족을 추구하여 은둔의 왕국으로 여겨졌다. 오늘날에는 북한,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에리트레아, 아프가니스탄 등이 이 용어로 불리며, 과거에는 네팔, 라다크, 부탄에도 적용되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서호주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개념 - 서방 세계
  • 한국의 이름 - 청구 (고조선)
    청구는 고조선과 관련된 지명으로, 동쪽의 푸른 땅이나 하늘의 별에서 유래했다는 해석이 있으며, 고조선을 포함한 한반도 일대를 지칭하며 한국인의 정체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재해석된다.
  • 1880년대 신조어 - 범죄학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 발생, 결과, 예방 및 통제를 연구하는 학제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범죄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안전망 구축과 범죄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880년대 신조어 - 발광
    발광은 에너지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조명, 디스플레이,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는 빛 방출 현상이다.
은둔의 왕국
개요
기원
어원이 용어는 19세기 중반에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최초 사용"The Hermit Nation"이라는 용어는 윌리엄 엘리엇 그리피스가 1882년에 쓴 책인 "Corea: The Hermit Nation"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리피스의 설명그리피스는 조선이 쇄국정책을 통해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제한했기 때문에 "은둔의 왕국"이라고 불렀다고 설명했다.
역사적 맥락
조선의 쇄국정책조선은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쇄국정책을 시행하여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제한했다.
이러한 정책은 일본의 침략과 청나라의 간섭을 경험한 이후, 국가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서양의 인식서양인들은 조선의 쇄국정책을 야만적이고 미개한 것으로 여겼다.
현대적 의미
고립주의 국가오늘날 "은둔의 왕국"은 외부 세계와 고립을 추구하는 국가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시북한: 북한은 핵무기 개발과 인권 문제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어 있으며, 종종 "은둔의 왕국"으로 불린다.
투르크메니스탄: 엄격한 통제와 제한된 정보 접근으로 "새로운 은둔의 왕국"으로 불린다.
벨라루스: 반정부 시위 진압 이후 "유럽의 북한"으로 불리며 고립이 심화되고 있다.
에리트레아: 아프리카의 "은둔의 왕국"으로 불리며 외부 세계와 단절된 모습을 보인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집권 이후 "위험한 은둔의 왕국"으로 변모하고 있다.
알바니아: 엔베르 호자의 독재 정권 시절 극단적인 고립 정책을 시행하여 "은둔의 왕국"으로 불렸다.
서호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엄격한 국경 통제로 인해 "호주의 은둔 왕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다른 예시네팔, 라다크, 부탄 등도 과거에 외부 세계와 교류가 적어 "은둔의 왕국"으로 불린 적이 있다.
비판적 시각
부정적인 의미"은둔의 왕국"이라는 용어는 국가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서구 중심적인 시각을 반영한다는 비판이 있다.
문화적 상대주의각 국가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서구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도 있다.
같이 보기
관련 용어고립주의
쇄국정책
은둔자

2. 역사적 용례

"은둔의 왕국"이라는 표현은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극도로 제한하고 고립주의적인 정책을 펼친 국가를 묘사할 때 사용된다.[1][2][3][4]

2. 1. 조선 (대한민국)

"은둔의 왕국"으로 묘사된 최초의 국가는 조선 시대의 대한민국이었으며, 이는 윌리엄 엘리엇 그리피스의 1882년 저서 《한국: 은둔의 나라》에서 언급되었다.[1] 17세기부터 점차 쇄국 정책을 펼쳐온 한국은 1905년 일본의 보호령이 될 때까지 종종 은둔의 왕국으로 묘사되었다.[2]

2. 2. 냉전 시대

냉전 시대 동안,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은 스탈린주의 정권이었고, 일반 시민의 국외 출국을 허용하지 않았으며, 완전한 자급자족을 추구했기 때문에 널리 "은둔의 왕국"으로 여겨졌다.[3][4] 중국-알바니아 분열 이후 호자의 정권은 북한과는 달리 누구와도 동맹을 맺기를 거부하고 전 세계에 적대적이었으며, 이는 당시 스탈린주의였지만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 동맹을 맺었고 냉전 종식 이후에야 고립주의가 된 북한보다 더 고립주의적이었다.[3][4]

3. 현대적 용례

오늘날 '은둔의 왕국'이라는 용어는 북한을 지칭하는 말로 자주 사용되며, 2009년 당시 미국 국무부 장관이었던 힐러리 클린턴도 이 용어를 사용한 바 있다.[5] 그 외에도 투르크메니스탄,[6][7] 벨라루스,[8][9] 에리트레아,[10] 아프가니스탄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11] 등이 고립주의적인 "은둔의 왕국"으로 여겨진다. 역사적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의 네팔,[12] 라다크,[13] 부탄[14][15] 등에 이 용어가 적용되기도 했다.

3.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오늘날 이 용어는 뉴스 및 소셜 미디어에서 종종 북한에 적용되며, 2009년 당시 미국 국무부 장관이었던 힐러리 클린턴이 사용하기도 했다.[5]

3. 2. 기타 국가

오늘날 이 용어는 뉴스 및 소셜 미디어에서 종종 북한에 적용되며, 2009년 당시 미국 국무부 장관이었던 힐러리 클린턴이 사용하기도 했다.[5] 고립주의적 "은둔의 왕국"으로 여겨지는 다른 현재 국가로는 투르크메니스탄,[6][7] 벨라루스,[8][9] 에리트레아,[10] 아프가니스탄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가 있다.[11] 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히말라야 산맥의 네팔,[12] 라다크,[13] 부탄에 적용되어 왔다.[14][15]

4. 기타 용례

"은둔 왕국"이라는 용어는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국경을 폐쇄했을 때 서호주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16]

참조

[1] 서적 Korean Government Publications: An Introductory Guide Scarecrow Press 2000
[2] 뉴스 The Obliteration of the Kingdom of Korea https://www.nytimes.[...] 2024-10-08
[3] 웹사이트 Suspicious Minds – Enver Hoxha & Albania: A Cult of Capriciousness https://www.linkedin[...] 2024-10-08
[4] 웹사이트 Enver Hoxha: The Lunatic Who Took Over the Asylum https://isnblog.ethz[...] CSS Blog Network 2024-10-08
[5] 뉴스 Hillary Clinton's New Approach to Diplomacy https://abcnews.go.c[...] ABC News (United States) 2024-10-08
[6] 웹사이트 Turkmenistan: The New Hermit Kingdom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 RadioLiberty 2024-10-08
[7] 웹사이트 Turkmenistan: the central Asian hermit state 'teetering on the edge of catastrophe'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4-10-08
[8] 뉴스 Opposition leader says Belarus has become 'North Korea of Europe' https://www.reuters.[...] 2024-10-08
[9] 웹사이트 Belarus is becoming Europe's 'North Korea.' What can EU do about it? https://www.csmonito[...] Christian Science Monitor 2024-10-08
[10] 웹사이트 Eritrea: Can You Travel to Africa's Hermit Kingdom? https://www.newsweek[...] Newsweek 2024-10-08
[11] 뉴스 The Taliban's dangerous hermit kingdom https://thehill.com/[...] 2024-10-08
[12] 서적 Once a Hermit Kingdom: Ethnicity, Education, and National Integration in Nepal https://books.google[...] Manohar 1989
[13] 서적 Hermit Kingdom, Ladakh https://books.google[...] Vikas 1980
[14] 뉴스 Nepali Influx Threatens the Hermit Kingdom 1990-12-20
[15] 서적 Bhutan: Society and Polity Indus Publishing 1996
[16] 뉴스 'He has pulled the rug': Mark McGowan's backflip on Covid reopening splits WA https://www.theguard[...] 2024-10-08
[17] 서적 Historians' Fallacies: Toward a Logic of Historical Thought https://archive.org/[...] 1970
[18] 서적 Korean Government Publications: An Introductory Guide. Lantham, MD: Scarecrow Press, 2000.
[19] 뉴스 The Obliteration of the Kingdom of Korea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907-07-28
[20] 서적 Once a Hermit Kingdom: Ethnicity, Education, and National Integration in Nepal https://books.google[...] Manohar 1989
[21] 서적 Hermit Kingdom, Ladakh https://books.google[...] Vikas 1980
[22] 뉴스 Nepali Influx Threatens the Hermit Kingdom 1990-12-20
[23] 서적 Bhutan: Society and Polity https://books.google[...] Indus Publishing 1996
[24] 웹사이트 http://beta.mytelus.[...]
[25] 웹인용 Turkmenistan: The New Hermit Kingdom https://worldview.st[...] 2022-11-11
[26] 웹인용 The horse crazy leader and a hermit state ‘on the edge of catastrophe’ https://www.scmp.com[...] 2022-11-11
[27] 뉴스 Opposition leader says Belarus has become 'North Korea of Europe' https://www.reuters.[...] 2022-11-11
[28] 웹인용 Belarus is becoming Europe’s ‘North Korea.’ What can EU do about it? https://democratic-e[...] 2022-11-11
[29] 웹인용 Eritrea: Can You Travel to Africa's Hermit Kingdom? https://www.newsweek[...] 2022-11-11
[30] 뉴스 The Taliban’s dangerous hermit kingdom https://thehill.com/[...] 2023-01-13
[31] 웹인용 Suspicious Minds – Enver Hoxha & Albania: A Cult of Capriciousness https://www.linkedin[...] 2022-11-11
[32] 웹인용 Enver Hoxha: The Lunatic Who Took Over the Asylum https://isnblog.ethz[...] 2022-11-11
[33] 뉴스 'He has pulled the rug': Mark McGowan's backflip on Covid reopening splits WA https://www.theguard[...] 2022-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