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DICOM)은 의료 영상 장비의 표준화를 위해 개발된 통신 규격이다. 1983년 ACR-NEMA 디지털 영상전송 표준 위원회 발족을 시작으로, 1993년 DICOM 명칭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DICOM은 의료 영상의 저장, 교환, 전송에 사용되며, CT, MRI, 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DICOM은 데이터 세트, 서비스, 데이터 형식, 보안, 응용 분야 등으로 구성되며, 의료 영상 시스템, PACS, 뷰어, 프린터 등 다양한 장치에서 구현된다. DICOM은 보안, 데이터 입력, 제조사 간의 호환성 등과 같은 한계와 과제를 가지고 있으며, 관련 표준으로는 HL7, IHE, SNOMED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사선학 -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의료 기술로, 근치적 및 완화적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암종에 적용되며, 고정밀 방사선 치료 기술을 통해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 방사선학 - 방사성 추적자
방사성 추적자는 화합물 내 원자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대체하여 화학 반응 연구나 생체 내 분포 영상화에 사용되는 물질로, 핵반응을 통해 인공 생산되며 의학, 생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UUCP
UUCP는 유닉스 시스템 간 파일 복사, 원격 명령 실행, 이메일 및 유즈넷 뉴스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 모음으로, 초기 인터넷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TCP/IP 기반 서비스 보편화로 사용이 감소했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는 LAN 간 또는 WAN 종단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고속 패킷 교환 방식 통신 프로토콜로, X.25 프로토콜을 간소화하여 속도를 높이고, 영구 가상 회선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며, 서비스 품질 설정을 통해 프레임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기술에 밀려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 |
---|---|
DICOM | |
![]() | |
유형 | 표준 |
분야 | 의료 영상 |
개발자 | 미국 방사선 학회 미국 전기 제조업 협회 |
최초 출시 | 1985년 |
최신 버전 | 2023c (2023년 9월 29일 출시) |
상태 | 활성 |
기술적인 세부 사항 | |
유형 코드 | image/dicom |
외부 링크 | |
웹사이트 | DICOM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DICOM)은 미국방사선의학회(ACR)와 미국전기공업회(NEMA)가 의료 영상 장비 간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표준이다. 1980년대 초반에는 컴퓨터 단층 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 같은 장비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제조사가 아닌 다른 시스템에서 해독하기 어려워, 영상 활용에 제약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1983년 'ACR-NEMA 디지털 영상전송 표준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85년 첫 표준인 ACR/NEMA 300(버전 1.0)이 발표되었다. 이후 몇 차례 개정을 거쳐 1993년, 현재의 DICOM이라는 이름으로 세 번째 버전이 발표되었다.[7] 이 버전부터는 TCP/IP 기반의 네트워크 전송을 지원하고, 장비 간 호환성을 명시하는 적합성 선언(Conformance Statement) 개념이 도입되는 등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DICOM 표준은 발표 이후 지속적으로 개정 및 확장되어 왔으며, 이전 버전과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8][9] 표준 관리는 DICOM 표준 위원회와 여러 워킹 그룹(Working Group)을 통해 이루어지며, 2021년 12월 기준으로 33개의 워킹 그룹이 활동하며 표준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웹 환경에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DICOMweb(RESTful 웹 서비스)과 같은 기술이 도입되었다.
DICOM은 의료 영상의 기술적 상호 운용성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 표준이지만, 그 자체로 완전한 임상 워크플로우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부분은 IHE(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와 같은 이니셔티브에서 DICOM과 HL7 표준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 사례에 맞는 프로파일을 정의하여 보완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80년대 ~ 1993년)
1980년대 초반, 컴퓨터 단층 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 장치 제조사가 아닌 다른 사람이 기계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해독하기 매우 어려웠다. 특히 방사선과 의사와 의학 물리학자들은 이 이미지들을 방사선 치료 계획 등에 활용하고자 했으나, 장비 간 호환성 부재가 큰 문제였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3년, 미국방사선의학회(ACR)와 미국전기공업회(NEMA)는 공동으로 'ACR-NEMA 디지털 영상전송 표준 위원회'를 발족했다. 1985년, 위원회는 첫 번째 표준인 'ACR/NEMA 300'(버전 1.0, 출판번호 300-1985)을 북미방사선학회(RSNA) 연례 회의에서 발표했다.

하지만 이 버전은 내용이 모호하고 내부적인 모순이 있어 발표 직후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88년, 개선된 버전 2.0(출판번호 300-1988)이 발표되었다. 버전 2.0은 의료기기 제조사들 사이에서 더 폭넓은 인정을 받았으며, 이미지 전송 방식으로 전용 2쌍 케이블(EIA-485)을 사용하도록 명시했다.
1990년 5월 21일부터 23일까지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ACR/NEMA 버전 2.0 기술을 이용한 첫 상호 연결 시연이 열렸다. 이 시연에는 DeJarnette Research Systems, GE 헬스케어, Merge Technologies, 지멘스 헬시니어스, Vortech(같은 해 코닥에 인수됨), 3M 등 6개 회사가 참여했다. 같은 해 북미방사선학회(RSNA) 연례 회의에서는 이들 회사가 ACR/NEMA 2.0을 지원하는 상용 장비를 선보였다. 그러나 버전 2.0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스위스 제네바 대학교 병원에서 개발한 파피루스(Papyrus)나 지멘스 헬시니어스와 필립스가 주도한 SPI(Standard Product Interconnect)와 같은 여러 확장 기술이 개발되었다.
ACR/NEMA 기술이 처음으로 대규모로 배포된 것은 1992년, 미국 육군과 미국 공군이 메릴랜드주 포트 데트릭에 기반을 둔 MDIS(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 의료 진단 영상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서였다.[6] Loral Aerospace와 지멘스 헬시니어스가 주도한 컨소시엄은 여러 미군 병원과 진료소에 최초의 군용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를 구축했다. 이때 DeJarnette Research Systems와 Merge Technologies는 다른 제조사의 영상 장비들을 Siemens SPI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했다. 미국 보훈부와 미국 해군도 이 계약을 통해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후 객체지향 정보 모델을 도입하는 등 표준에 큰 수정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992년 북미방사선학회 회의에서 'DICOM'이라는 명칭이 처음 제안되었다. 1993년, 표준의 세 번째 버전이 발표되면서 공식 명칭이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약칭 DICOM으로 변경되었다. 이 버전에서는 새로운 서비스 클래스가 정의되었고, 네트워크 지원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장비 간 호환성을 명시하는 적합성 선언(Conformance Statement) 개념이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이전 버전과 구분하기 위해 'DICOM 3.0'이라고 불렀으나[7], DICOM 표준은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고 공식적으로는 현재 버전을 제외하고는 특정 버전 번호(예: 3.0, 3.1 등)를 사용하지 않는다.[8][9]
2. 2. DICOM 표준의 등장과 발전 (1993년 ~ 현재)
1993년, 표준의 세 번째 버전이 발표되면서 공식 명칭이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DICOM)'으로 변경되었다. 이 버전에서는 새로운 서비스 클래스 정의, TCP/IP 기반 네트워크 지원 추가, 적합성 선언(Conformance Statement) 도입 등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졌다.[7] 초기에는 이전 버전과 구분하기 위해 'DICOM 3.0'으로 불렸으나, DICOM 표준은 특정 버전 번호 없이 지속적으로 개정 및 확장되고 있다.[7] 따라서 현재는 '3.0'과 같은 버전 번호는 사용하지 않으며, 'DICOM 4.0'과 같은 새로운 비호환 버전 개발 계획도 없다.[8] 개정 시 이전 버전과의 하위 호환성 유지를 원칙으로 한다.[8][9]DICOM 표준은 미국방사선의학회(ACR)와 미국전기공업회(NEMA)가 후원하는 DICOM 표준 위원회(DICOM Standards Committee)에 의해 관리되며, 여러 워킹 그룹(Working Group, WG)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33개의 워킹 그룹DICOM Working Groups이 활동 중이며, 표준은 1년에 5회 개정판이 발행된다.DICOM Current Edition
개정 작업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보충(Supplement): 새로운 객체 유형, 서비스, 압축 방식 등 주요 변경사항을 다룬다. 워킹 그룹에 의해 개발되며, 새로운 작업 항목 제안은 DICOM 표준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1년에 약 10개 정도 수행된다.
- 변경 제안(Change Proposal, CP): 기존 내용의 부분적인 수정이나 명확화를 위한 것으로, 누구나 제안할 수 있으며 후위 호환성이 요구된다. 1년에 약 100개 정도 수행된다.
WG-06(기본 표준 담당) 그룹이 기술적 일관성을 검토하며, 모든 변경안은 공개 의견 수렴 및 투표 절차를 거친다. 2021년 12월 현재 최신 버전은 2021e이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관련 기능 통합(2019년 관련 Supplement 개정 진행), 웹 기반 접근성 강화를 위한 DICOMweb(WADO-RS, STOW-RS, QIDO-RS 등 RESTful 웹 서비스), 전송 계층 보안(TLS)을 이용한 보안 강화(2018년 주요 개정) 등이 주요 개정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을 위한 STL 파일 형식 지원 등 새로운 기술과의 연동도 지속적으로 추가되고 있다.
DICOM은 의료 영상의 기술적 상호 운용성 확보에 중점을 둔 표준이며,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워크플로우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아니다. 이러한 워크플로우 측면은 IHE(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와 같은 이니셔티브에서 DICOM과 HL7 표준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 사례에 맞는 프로파일을 정의하여 보완하고 있다.
3. 구성 (2021년 표준)
DICOM 표준은 여러 파트(Part)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트는 특정 기능이나 정보 객체, 서비스 등을 정의한다. 2021년 기준 표준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파트 번호 | 파트 제목 | 원본 문서 |
---|---|---|
PS 3.1 | 소개 및 개요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1.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1.docx doc] |
PS 3.2 | 적합성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2.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2.docx doc] |
PS 3.3 | 정보대상의 정의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3.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3.docx doc] |
PS 3.4 | 서비스 클래스의 명세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4.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4.docx doc] |
PS 3.5 | 데이터 구조 및 인코딩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5.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5.docx doc] |
PS 3.6 | 데이터 사전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6.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6.docx doc] |
PS 3.7 | 메시지 교환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7.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7.docx doc] |
PS 3.8 | 메시지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 지원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08.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01.docx doc] |
PS 3.9 | 삭제 | |
PS 3.10 | 데이터 교환을 위한 매체 저장 및 파일 포맷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0.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0.docx doc] |
PS 3.11 | 매체 저장 응용 프로필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1.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1.docx doc] |
PS 3.12 |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저장 기능 및 매체 포맷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2.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2.docx doc] |
PS 3.13 | 삭제 | |
PS 3.14 | 그레이스케일 표준 디스플레이 함수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4.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4.docx doc] |
PS 3.15 | 보안 및 시스템 관리 프로필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5.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5.docx doc] |
PS 3.16 | 컨텐트 매핑 자원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6.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6.docx doc] |
PS 3.17 | 서술 정보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7.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7.docx doc] |
PS 3.18 | DICOM 영구 대상의 웹 접속 (WADO)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8.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8.docx doc] |
PS 3.19 | 응용 프로그램 호스팅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19.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19.docx doc] |
PS 3.20 | HL7 표준을 지키는 임상 문서 아키텍처를 사용한 영상 보고서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20.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20.docx doc] |
PS 3.21 | DICOM과 다른 표준 사이의 변환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21.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21.docx doc] |
PS 3.22 | 실시간 통신 |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pdf/part22.pdf pdf] [http://dicom.nema.org/medical/dicom/current/output/docx/part22.docx doc] |
이 외에도 표준에는 인쇄 및 데이터 보존에 관한 규정,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 보안 사양, DICOM 형식 데이터에 대한 웹 접근 규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영문 위키백과에도 관련 사양 목록이 있다.
4. 데이터 형식
DICOM 데이터 형식은 의료 영상과 관련 정보를 하나의 파일 안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JPEG 같은 일반 이미지 파일과 달리, 환자 정보 등이 이미지 데이터와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된 것이다.[17] 파일은 기본적으로 여러 정보 항목(속성)과 실제 이미지 데이터(픽셀)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여러 이미지 프레임이나 음성 같은 추가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포맷의 성격을 띤다. 데이터는 특정 인코딩 규칙과 리틀 엔디안 바이트 순서를 따른다.
4. 1. 데이터 세트와 정보 객체
DICOM은 정보를 데이터 세트로 그룹화한다.[17] 예를 들어, 흉부 엑스선 이미지 파일에는 환자 ID와 같은 정보가 파일 내에 함께 포함되어, 이미지와 해당 정보가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JPEG와 같은 이미지 형식이 이미지 식별 및 설명을 위해 내장된 태그를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하나의 DICOM 데이터 객체(데이터 세트)는 여러 속성(Attribut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환자의 이름이나 ID 같은 정보 속성과 이미지 픽셀 데이터를 담는 하나의 특수한 속성이 포함된다. 논리적으로는 객체 자체에 픽셀 데이터가 포함된 형태이며, 별도의 헤더는 없다 (단, 파일로 기록될 때는 일반적으로 몇 가지 주요 속성과 이를 기록한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사항 사본을 포함하는 진정한 "헤더"가 추가된다). 하나의 DICOM 객체는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속성을 단 하나만 가질 수 있지만, 이 속성 안에 여러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시네 루프나 다른 다중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핵의학(NM) 데이터는 정의상 다차원 다중 프레임 이미지인데, 이러한 3차원 또는 4차원 데이터가 단일 DICOM 객체에 캡슐화될 수 있다.
각 속성은 고유한 태그(Tag)로 식별되며, 데이터 유형을 나타내는 값 표현(Value Representation, VR), 값의 길이를 나타내는 값 길이(Value Length, VL), 그리고 실제 값(Value)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명시적 값 표현(Explicit VR) 데이터 요소의 경우, 특정 VR(OB, OW, OF, SQ, UT, UN 제외)은 그룹(2바이트), 요소(2바이트), VR(2바이트), 바이트 길이(2바이트), 데이터(가변 길이) 순서로 구성된다. 다른 인코딩 방식(암시적 VR 등)도 존재하며, DICOM 표준의 파트 5, 섹션 7.1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속성에는 포함된 데이터 요소의 수를 나타내는 ''값 다중성''이라는 개념도 있으며, 문자열 값 표현에서 여러 데이터 요소는 백슬래시 문자 "\"로 구분된다.[20]
픽셀 데이터는 다양한 표준을 사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촬영 직후에는 원본 데이터를 유지하는 RAW 포맷, 서버 등 단기 저장 시에는 데이터 손실이 없는 무손실 포맷(예: 런 길이 인코딩 (RLE)],
4. 2. 영상 데이터 표현 및 압축
DICOM은 정보를 데이터 세트로 그룹화한다. 예를 들어, 흉부 엑스레이 이미지 파일에는 환자 ID와 같은 정보가 파일 내에 포함되어 있어, 이미지와 해당 정보가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JPEG와 같은 이미지 형식이 이미지를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해 내장된 태그를 가지는 방식과 유사하다.DICOM 데이터 객체는 이름, ID 등 여러 속성과 함께, 이미지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의 특별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논리적으로는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 객체에 별도의 "헤더"가 없는 형태이다. 하나의 DICOM 객체는 픽셀 데이터를 담는 속성을 하나만 가질 수 있다. 많은 촬영 장비(modality)의 경우 이는 단일 이미지에 해당하지만, 해당 속성은 여러 "프레임"을 포함하여 시네 루프나 다른 다중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핵의학(NM) 데이터는 정의상 다차원 다중 프레임 이미지이며, 이러한 3차원 또는 4차원 데이터가 단일 DICOM 객체 안에 캡슐화될 수 있다.
픽셀 데이터는 다양한 표준을 사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여기에는 JPEG, 무손실 JPEG, JPEG 2000, 런 길이 인코딩 (RLE) 등이 포함된다. LZW (zip) 압축은 전체 데이터 세트(픽셀 데이터뿐만 아니라)에 적용될 수 있지만, 실제로 구현된 경우는 드물다.
데이터 저장 및 전송 목적에 따라 다른 압축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 촬영 직후: 비트맵 계열의 RAW 포맷이 주로 사용된다.
- 단기 저장 (서버 등): 데이터 손실이 없는 RAW 포맷, 런 길이 인코딩 (RLE), 무손실 JPEG과 같은 무손실 포맷이 사용된다.
- 장기 저장: JPEG와 같은 손실 포맷이 공간 효율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서버에서 뷰어로 전송: 통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JPEG 계열 포맷이 많이 사용되며, JPEG 2000이나 각 시스템의 독자적인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의료 영상의 색 깊이는 일반적으로 1 바이트(8비트)를 초과하며, 데이터는 리틀 엔디안 바이트 순서로 기록된다.
다양한 모니터나 프린터에서 동일한 흑백 이미지를 일관되게 표시하기 위해, DICOM 위원회는 디지털 픽셀 값을 화면 밝기로 변환하는 표준 조회 테이블을 개발했다. 이를 '''DICOM 흑백 표준 표시 함수(GSDF)'''라고 하며,[18] DICOM 이미지를 정확하게 보거나 인쇄하려면 이 GSDF 곡선을 지원하는 장비 또는 이 곡선에 맞춰 보정된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19]
5. 서비스
DICOM 표준은 다양한 서비스로 구성되며, 이들 대부분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과 관련이 있다. 오프라인 미디어용 파일 형식은 표준에 나중에 추가되었다.
DICOM의 통신 규격은 초기에 RS-232와 같은 시리얼 케이블 통신을 포함한 광범위한 통신 수단을 지원하기 위해 OSI 참조 모델을 따랐다. 그러나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RFC 1122를 따르는 제품이 일반화되었고, 이에 따라 최신 DICOM 사양은 통신 프로토콜로 TCP/IP를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기존 사양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TCP/IP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DICOM은 TCP/IP 위에 자체 프로토콜을 캡슐화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기존 사양의 큰 변경 없이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이러한 캡슐화 방식은 단점도 수반한다. TCP/I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카드 수준의 하드웨어에서 효율적으로 처리되는 패킷 재구성 등의 작업을, 캡슐화된 DICOM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수준에서 처리해야 한다. 이로 인해 오버헤드가 발생하여, HTTP와 같이 순수하게 TCP/IP를 사용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비해 처리 부하가 크고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의료기기 제조사들은 다른 회사의 제품과 통신할 때는 표준 DICOM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자사의 제품끼리 통신할 때는 더 효율적인 자체 개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5. 1. 저장 (Store)
DICOM은 여러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과 관련이 있다.[1] DICOM Store 서비스는 영상이나 구조화된 보고서와 같은 영구적인 객체를 영상 보관 전송 시스템(PACS) 또는 워크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2]5. 2. 저장 확인 (Storage Commitment)
DICOM 저장 확인(Storage Commitment) 서비스는 의료 영상이 장치에 의해 영구적으로 저장되었는지(예: 중복 디스크 또는 백업 미디어, CD로 굽기 등)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서비스 클래스 사용자(SCU: 클라이언트와 유사)인 모달리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은 서비스 클래스 제공자(SCP: 서버와 유사)인 아카이브 스테이션으로부터 확인을 받아, 이미지를 로컬 저장소에서 안전하게 삭제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5. 3. 조회/검색 (Query/Retrieve)
DICOM의 조회/검색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워크스테이션은 영상 보관 및 전송 시스템(PACS)에 저장된 영상이나 다른 필요한 정보(객체)의 목록을 찾아보고, 원하는 특정 정보를 검색하여 가져올 수 있다.5. 4. 작업 목록 관리 (Modality Worklist)
DICOM Modality Worklist는 영상 장비가 수행할 검사 목록을 미리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 목록에는 검사 대상 환자의 정보(환자 ID, 이름, 성별, 나이), 검사 종류(장비 유형, 검사 설명, 검사 코드), 그리고 검사 지시 정보(의뢰 의사, 접수 번호, 검사 이유) 등이 포함된다. CT 스캐너와 같은 영상 장비는 RIS 같은 시스템에 이 정보를 요청하여 받아온다. 이렇게 받은 정보는 장비 운영자에게 보여지고, 영상 촬영 시 필요한 세부 정보를 자동으로 채우는 데 사용된다.이 서비스가 도입되기 전에는 장비 운영자가 환자 정보나 검사 정보를 일일이 손으로 입력해야 했다. 이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환자 이름을 잘못 입력하는 등 데이터 입력 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Modality Worklist를 사용하면 이러한 수동 입력 과정을 없애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5. 5. 수행 절차 단계 (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 MPPS)
모달리티 작업 목록을 보완하는 서비스로, 모달리티(의료 영상 장비)가 수행된 검사에 대한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 보고서에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검사 시간, 투여된 선량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이는 방사선과에서 자원(촬영 스테이션) 사용을 보다 정확하게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수행 절차 단계(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 MPPS)라고도 알려진 이 서비스를 통해 모달리티는 객체를 실제로 전송하기 전이나 전송하는 동안 서버에 전송할 객체 목록을 미리 제공하여, 영상 저장 서버와의 조정을 원활하게 한다.
5. 6. 인쇄 (Print)
DICOM 인쇄 서비스는 의료 영상을 DICOM 프린터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X선" 필름을 인쇄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하드 카피 인쇄물 포함) 간의 일관된 영상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 보정 방법이 존재하며, 이는 DICOM 표준의 Part 14에 정의되어 있다.5. 7. 오프라인 미디어 (파일)
DICOM은 주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로 구성되지만, CD, DVD와 같은 오프라인 미디어를 위한 파일 형식도 표준에 나중에 추가되었다.오프라인 미디어 파일의 형식은 DICOM 표준의 파트 10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일은 때때로 "파트 10 파일"이라고 불린다.
DICOM 표준에서는 오프라인 미디어에 저장되는 파일의 이름을 8자로 제한한다. 이는 과거의 오래된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역사적인 요구 사항이다. 일부 시스템에서는 8.3 형식을 잘못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방식이다. 파일 이름 자체에서 어떠한 정보를 추출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PS3.10 섹션 6.2.3.2), 사양을 주의 깊게 확인하지 않은 개발자가 생성한 미디어에서 관련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표준에서는 미디어에 반드시 DICOMDIR 파일을 포함하도록 요구한다. DICOMDIR 파일은 해당 미디어에 있는 모든 DICOM 파일의 목록과 요약 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인덱스 역할을 한다. 이 DICOMDIR 정보는 파일 이름만으로는 알 수 없는 훨씬 상세한 정보를 각 파일에 대해 제공하므로, 파일 이름 자체에 많은 의미를 담을 필요성이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DICOM 파일은 DICOM 미디어의 일부가 아닌 경우 `.dcm` 파일 확장자를 갖는다.
DICOM 파일의 MIME 유형은 RFC 3240에 의해 `application/dicom`으로 정의된다. UTI 유형은 `org.nema.dicom`이다.
IHE(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와 같은 조직에서는 CD 미디어나 네트워크 운영에서의 DICOM 데이터 교환에 대한 지속적인 테스트와 "커넥톤(Connectathon)" 행사를 주최하여 상호 호환성을 검증하고 있다.
6. 응용 분야
DICOM은 전 세계적으로 의료 영상을 저장, 교환,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이다.[5] 이는 의료 영상 기술 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방사선 촬영,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CT), 자기 공명 영상 (MRI),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영상 방식의 표준을 통합한다.[5] DICOM은 단순히 이미지를 교환(예: DVD 등 휴대용 매체)하는 것 외에도 이미지 압축, 3D 시각화, 이미지 표시, 결과 보고를 위한 프로토콜까지 포함하고 있다.[5]
DICOM 표준의 핵심 응용 분야는 의료 영상의 획득, 저장, 배포이다. 이 외에도 영상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영상 절차 작업 목록 관리
- 필름 또는 DVD와 같은 디지털 매체에 영상 인쇄
- 영상 획득 완료와 같은 절차 상태 보고
- 영상의 성공적인 보관 확인
- 데이터 세트 암호화
- 데이터 세트에서 환자 식별 정보 제거 (익명화)
- 검토를 위한 영상 레이아웃 구성
- 영상 조작 및 주석 저장
- 영상 디스플레이 보정
- 심전도(ECG) 인코딩
- 컴퓨터 지원 진단(CAD) 결과 인코딩
- 구조화된 측정 데이터 인코딩
- 영상 획득 프로토콜 저장
DICOM 정보 객체 정의[21]는 다양한 의료 영상 장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다.[22] 주요 장비 유형은 다음과 같다.
장비 유형 | 설명 |
---|---|
CT | 컴퓨터 단층 촬영 |
MRI | 자기 공명 영상 |
초음파 | 초음파 영상 |
X선 | 일반 X선 촬영 |
투시경 검사 | 실시간 X선 영상 |
혈관 조영술 | 혈관 X선 촬영 |
유방 촬영술 | 유방 X선 촬영 |
유방 단층 합성 | 3차원 유방 X선 촬영 |
PET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
SPECT |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
내시경 | 내시경 영상 |
현미경 | 현미경 영상 |
전체 슬라이드 영상 | 병리 슬라이드 전체 디지털 영상 |
OCT | 광 간섭 단층 촬영 |
또한 DICOM은 영상 또는 영상 작업 흐름과 관련된 다양한 시스템 및 장치에서도 구현된다.
시스템/장치 유형 | 설명 |
---|---|
PACS |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
영상 뷰어 및 디스플레이 스테이션 | DICOM 영상 조회 및 판독 장치 |
CAD | 컴퓨터 지원 감지/진단 시스템 |
3D 시각화 시스템 | 3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
임상 분석 애플리케이션 | 영상 기반 분석 소프트웨어 |
영상 프린터 | DICOM 영상 출력 장치 |
필름 스캐너 | 아날로그 필름 디지털화 장치 |
미디어 버너 | DICOM 파일을 CD, DVD 등에 저장하는 장치 |
미디어 임포터 | 외부 매체(CD, DVD, USB 등)에서 DICOM 파일을 가져오는 장치 |
RIS | 방사선과 정보 관리 시스템 |
VNA | 특정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는 중립적 영상 저장소 (Vendor Neutral Archive) |
EMR |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
방사선 보고 시스템 | 영상 판독 결과 보고 시스템 |
의학의 여러 분야에서는 DICOM 표준 활용을 위한 전담 실무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23] 영상 촬영이 널리 사용되는 거의 모든 의학 분야에 DICOM이 적용된다.
DICOM 파일 내의 영상 데이터는 상황에 따라 다른 압축 방식을 사용한다. 촬영 직후에는 비트맵 계열의 RAW 포맷이, 서버 등 단기 저장 시에는 화질 열화가 없는 무손실 포맷(RAW, 런 렝스 압축, 무손실 JPEG 등)이 주로 사용된다. 장기 보관 시에는 저장 공간 효율을 위해 JPEG과 같은 손실 포맷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버에서 뷰어로 영상을 전송할 때는 통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JPEG 계열 포맷이 많이 쓰이며, JPEG 2000이나 각 제조사의 독자적인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의료 영상의 색 깊이는 일반적으로 1 바이트(8비트)를 초과하며, 데이터는 리틀 엔디안 방식으로 저장된다.
DICOM은 단순히 이미지만 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포맷이다. 파일 내의 태그 정보를 통해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포맷명)와 크기(길이)를 명시한다. 태그 정보가 여러 개 있으면 여러 장의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 프레임 데이터가 된다. 예를 들어, 초음파 진단 장치의 경우 영상과 함께 심박 등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이를 동시에 재생하여 음성이 첨부된 동영상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DICOM 준수"를 표방하는 기기들 사이에서도 제조사마다 이미지 포맷이나 텍스트 데이터 처리 방식에 차이가 있는 이른바 "제조사 방언"[33]이 존재하여, 서로 다른 시설 간의 장비 호환성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34] 또한 DICOM 규격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의료 정보" 저장에 특화되어 있어, 경주마의 X선 사진과 같은 동물의 생체 정보 저장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수의학이나 축산 분야에서는 DICOM을 해당 용도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7. 관련 표준 및 단체
DVTk는 의료 환경에서 통신 프로토콜 및 시나리오를 테스트, 검증, 진단하기 위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DICOM, HL7, IHE 통합 프로파일을 지원한다.
헬스 레벨 7(Health Level 7)은 국제 의료 정보학 상호 운용성 표준 개발에 참여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HL7과 DICOM은 두 표준이 겹치는 부분을 조화시키고 전자 의료 기록에서 이미징 통합을 처리하기 위해 공동 작업 그룹을 운영한다.
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IHE)는 특정 의료 사용 사례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 사용을 프로파일링하는 업계 후원 비영리 단체이다. DICOM은 다양한 이미징 관련 IHE 프로파일에 통합되어 있다.[26][27]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SNOMED)은 인의 및 수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체계적이고 컴퓨터 처리 가능한 의학 용어 모음으로, 해부학, 질병, 소견, 절차, 미생물, 물질 등에 대한 코드, 용어, 동의어 및 정의를 제공한다. DICOM 데이터는 관련 개념을 인코딩하기 위해 SNOMED를 사용한다.
8. 보안
DICOM 데이터는 민감한 개인 건강 정보(PHI, Protected Health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정보 보안이 매우 중요하다. 환자 정보의 무단 접근, 수정, 공개를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접근 제어, 감사 추적 등의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
2023년 12월, 사이버 보안 연구원 시나 야즈단메르(Sina Yazdanmehr)는 블랙 햇(Black Hat Briefings)에서 DICOM 저장(Store) 서비스의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악의적인 공격자가 기존 의료 영상 시리즈를 파괴하거나 거짓 질병 징후를 삽입하는 등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위험성을 보여주었다.[30][31]
이러한 위험 때문에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의료 기록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나 유럽 연합의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과 같은 데이터 보호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DICOM 표준 자체에도 인쇄 및 데이터 보존 규정,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 보안 사양, 웹을 통한 DICOM 형식 접근에 관한 규정 등 보안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9. 한계 및 과제
2008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DICOM 표준은 데이터 입력과 관련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표준의 주요 단점 중 하나는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필드가 너무 많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모든 필드를 일관성 있게 채우기 어려우며, 일부 이미지 객체는 특정 필드가 비어 있거나 잘못된 데이터로 채워져 불완전한 경우가 발생한다.[24]
또한, 'DICOM 준거' 기기라 하더라도 제조사마다 이미지 형식이나 텍스트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 이른바 "제조사 방언"[33]이 존재한다. 이는 의료 시설 간의 상호 운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4]
보안 측면에서는 파일 형식이 실행 코드를 허용하여 악성 코드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25]
더불어 DICOM 표준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의료 정보 저장에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경주마의 X선 사진과 같은 동물의 생체 정보 저장에는 적합하지 않아, 수의학이나 축산 분야에서는 이를 개조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10. 한국의 현황과 미래 전망
DICOM 표준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1년에 5번 개정판이 편찬된다. [https://www.dicomstandard.org/current] 표준 개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보충(Supplement): 새로운 객체 유형, 새로운 서비스, 새로운 압축 방식 등 주요 변경 사항을 다룬다. 워킹 그룹이 개발을 주도하며, 연간 약 10개의 보충 문서가 발행된다. 새로운 작업 항목 제안은 DICOM 표준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 변경 제안(Change Proposal): 기존 표준의 부분적인 수정이나 명확화를 위한 것으로, 연간 약 100건 정도 처리된다. 누구나 변경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 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개정 과정은 기술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WG-06(기본 표준 담당 워킹 그룹)의 검토를 거치며, 모든 표준안은 공개적인 의견 수렴 절차와 공적 투표를 통해 확정된다.[1]
2020년 6월 기준으로 33개의 워킹 그룹이 활동 중이며[https://www.dicomstandard.org/wgs/], 이들 중 절반 이상은 최소 1년에 한 번 이상 회의를 개최하며 표준 개발 및 개정에 참여하고 있다.[1]
최근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1]
참조
[1]
웹사이트
1 Scope and Field of Application
http://dicom.nema.or[...]
[2]
간행물
DICOM brochure
http://medical.nema.[...]
nema.org
[3]
웹사이트
Members of the DICOM Standards Committee
http://medical.nema.[...]
[4]
웹사이트
NEMA Members – NEMA
http://www.nema.org/[...]
2016-09-15
[5]
논문
DICOM and Radi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2007-09
[6]
논문
Evaluation of the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 system based on 2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1995-05
[7]
논문
Update of the ACR-NEMA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standard
1992-07-01
[8]
웹사이트
7 Referencing The DICOM Standard
http://dicom.nema.or[...]
[9]
웹사이트
1.4.2 Continuous Maintenance
http://dicom.nema.or[...]
[10]
웹사이트
ASTM DICONDE Standard
https://www.astm.org[...]
2018-12-21
[11]
웹사이트
ASTM E2738-18 Standard Practice for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DICONDE) for Computed Radiography (CR) Test
https://www.astm.org[...]
[12]
웹사이트
ASTM E2699-20 Standard Practice for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DICONDE) for Digital Radiographic (DR) Test Methods
https://www.astm.org[...]
[13]
웹사이트
ASTM E2767-21 Standard Practice for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DICONDE) for X-ray Computed Tomography (CT) Test Methods
https://www.astm.org[...]
[14]
웹사이트
ASTM E2663-23 Standard Practice for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DICONDE) for Ultrasonic Test Methods
https://www.astm.org[...]
[15]
웹사이트
ASTM E2934-23 Standard Practice for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DICONDE) for Eddy Current (EC) Test Methods
https://www.astm.org[...]
[16]
웹사이트
http://www.nema.org: Industri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Section
http://www.nema.org/[...]
2010-02-11
[17]
웹사이트
K.1.2: DICOM File
https://dicom.nema.o[...]
2023
[18]
문서
http://medical.nema.[...]
[19]
논문
An introduction to DICOM
2006-12
[20]
문서
Table 6.2-1 of PS 3.5
http://dicom.nema.or[...]
[21]
웹사이트
PS3.3
http://dicom.nema.or[...]
[22]
웹사이트
C.7.3 Common Series IE Modules
http://dicom.nema.or[...]
[23]
웹사이트
DICOM Strategy Document
http://dicom.nema.or[...]
[24]
간행물
Overview of the DICOM Standard
http://www.vcl.fer.h[...]
2008-09
[25]
웹사이트
HIPAA-Protected Malware? Exploiting DICOM Flaw to Embed Malware in CT/MRI Imagery
https://labs.cylera.[...]
2019-04-23
[26]
웹사이트
Profiles – IHE Wiki
https://wiki.ihe.net[...]
[27]
문서
Understanding DICOM and IHE
2003
[28]
간행물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 Application/dicom MIME Sub-type Registration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14-03-02
[29]
웹사이트
DICOM
https://www.dicomsta[...]
[30]
웹사이트
Millions of Patient Records at Risk: The Perils of Legacy Protocols
https://i.blackhat.c[...]
[31]
웹사이트
Millions of patient scans and health records spilling online thanks to decades-old protocol bug
https://techcrunch.c[...]
2023-12-06
[32]
웹사이트
DICOM De-identification/Anonymization: Protecting Patient Privacy in Medical Imaging
https://apicom.pro/d[...]
[33]
문서
FAQ (PMAに関するよくある質問)
http://ctp.umin.jp/p[...]
[34]
문서
DICOM接続の問題点
http://www.ihe-j.org[...]
[35]
웹사이트
GIMP
https://www.gimp.org
2020-11-19
[36]
웹사이트
ImageJ
https://imagej.nih.g[...]
2020-11-19
[37]
웹사이트
OsiriX DICOM Viewer
https://www.osirix-v[...]
2020-11-19
[38]
웹사이트
Pydicom
https://pydicom.gith[...]
2020-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