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전사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전사제는 대성당이나 참사회를 감독하는 선임 성직자, 명예직을 받은 사제, 그리고 특정 대학교의 교수직을 겸하는 성공회 사제 등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라틴 교회에서는 대성당 참사회의 일원이며, 잉글랜드 성공회에서는 교구의 구성원으로서 대성당 또는 칼리지 교회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명예 사제는 교구에 오랜 헌신을 한 사람에게 수여되며, 평신도 캐넌은 프랑스 대통령과 스페인 국왕이 해당된다. 캐넌 교수는 성공회 대성당의 캐넌이면서 대학교 교수직을 겸하는 경우를, 마이너 캐넌은 대성당의 구성원인 성직자를, 정규 캐넌은 공동체 생활을 하는 가톨릭 교회의 특정 수도회 구성원을 의미한다.

2. 세속 캐넌 (Secular canons)

2. 1. 라틴 교회 (Latin Church)

라틴 교회에서 캐넌은 대성당 (대성당 참사회) 또는 참사회(參事會, collegiates)를 감독하는 선임 성직자단의 일원이다.[1] 교회의 명칭에 따라, 여러 언어에서 특정 칭호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독일어에서 ''Dom'' (대성당)에서는 ''Domherr'' 또는 ''Domkapitular'', Stift의 지위를 가진 전례원에서는 ''Stiftsherr'' (특히 추기경 아래)를 사용한다.

라틴 교회의 대성당 참사회의 기능 중 하나는 교구의 ''sede vacante'' 기간 동안 봉사할 참사회 대리인(현재는 교구 행정관으로 명명)을 선출하는 것이었다.[1] 1983년 교회법전 개정 이후, 이 책임은 자문관 단체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는 주교회의가 교회법이 자문관 단체에 부여하는 기능, 이를 포함하여 대성당 참사회에 위임하기로 결정하지 않는 한 그렇다.[1]

2. 2. 잉글랜드 성공회 (Church of England)

잉글랜드 성공회의 모든 성직자는 영국 종교 개혁 이후 평신도가 되었지만, 개별 성직자는 종교 단체의 회원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서품을 받은, 즉 사제나 기타 성직자이다. 오늘날 성직자 제도는 거의 독점적으로 대성당과 관련하여 유지되고 있다. 성직자는 교구의 구성원이며, (대부분) 사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구장이 이끌며, 대성당 또는 칼리지 교회라고 불리는 특정 다른 교회를 관리할 책임이 있다. 교구장과 교구는 대성당과 주교 선출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공식 기구이다.

3. 명예 캐넌 (Honorary canons)

명예 사제는 영구적인 직함이 아니며, 특전을 받을 자격이 없는 지위에 더 이상 있지 않을 때는 일반적으로 성직자의 직함 명명법에서 삭제된다. 그러나 많은 교구에서 여전히 수석 교구 사제(일부 농촌 딘 포함, 교구의 더 넓은 삶에서 역할을 한 사람, 교구에서 오랫동안 봉사한 사람 등)에게 주로 명예 직함으로 부여된다. 일반적으로 교구에 대한 오랜 헌신적인 봉사에 대한 인정으로 수여된다. 명예 사제는 명목상으로는 참사회의 구성원이지만 거주하지 않으며 어떠한 봉급도 받지 않는다. 그들은 스스로를 사제라고 부를 자격이 있으며 성당 행정에 참여할 수 있다.

''개방된 무덤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제롬과 함께 있는 네 명의 사제, 방문''. 북부 네덜란드/Meester van de Spes Nostranl (c. 1500–1520 활동)


일반적으로 성공회 교회에서 사제는 사찰에서 일하는 ''거주'' 사제(소수) 또는 명예의 표시로 이 직함을 받은 ''명예'' 사제(종종 다수)이다. 둘 다 보라색 또는 보라색 트리밍된 카소크를 착용할 수 있다. 일부 잉글랜드 교회 교구에서는 성직자가 성당 행정에 관여할 때 ''사제'' 대신 ''프리벤더리''라는 직함이 사용된다. 사제는 교구나 주교의 직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교구 주교를 위해 직접 일하는 수석 사제인 미국의 미국 성공회에서처럼 성당 직원이 아닐 수 있다.[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도 가톨릭 교회 내에서 명예 사제가 여전히 임명될 수 있다. 또한 몰타 기사단과 예루살렘 성묘 기사단의 사제(및 명예 사제)는 실제로 해당 기사단의 명칭 또는 명예 사제이며, 사제복 외에도 "사제"와 "몬시뇰"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권리가 있다. 사제의 모제타(몰타는 보라색 파이핑이 있는 검은색, 성묘는 예루살렘 십자가가 있는 흰색)를 착용한다.[3][4]

3. 1. 평신도 캐넌 (Lay canons)

앙리 4세의 치세 이후, 프랑스의 국가 원수는 교황으로부터 성 요한 라테란 대성전과 성 베드로 대성당의 유일한 명예 사제라는 칭호를 받았다.[5][6] 프랑스 왕국이 멸망하면서 이 명예는 프랑스 대통령에게 이전되었고, 현재는 에마뉘엘 마크롱이 그 자리에 있다. 이는 프랑스 대통령이 가톨릭 신자가 아니거나 심지어 무신론자일 경우에도 적용된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수석 사제는 현재 펠리페 6세스페인 국왕이다.[7][8]

영국 종교 개혁 이전에는 잉글랜드 국왕이 성 바오로 대성당의 사제였다.

성직 서품을 받은 성직자인 사제 외에도, 성공회 대성당은 평신도를 사제로 임명할 수 있다. "평신도 사제" 직함은 특히 교구 행정관에게 수여된다.

전통적으로 잉글랜드 국왕 (현재 영국 군주 )은 웨일스의 성 다윗 대성당의 사제 또는 프리벤더리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오해에 근거한 것이다. 성 다윗 대성당의 성 마리아 칼리지의 사제직은 수도원 해산으로 인해 왕실의 소유가 되었다. 국왕은 평신도였을 때에도 성 다윗 대성당의 사제가 아니었다. 다만 군주는 국왕의 사용을 위해 지정된 첫 번째 프리벤달 칸막이석을 사용할 수 있다.

4. 캐넌 교수 (Canon professors)

캐넌 교수는 성공회 대성당의 캐넌(평신도 또는 서품된 사람)이면서 동시에 대학교 교수직을 겸하는 사람을 말한다. 옥스퍼드 대학교에는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과 연계된 4개의 캐넌 교수직이 있으며, 더럼 대학교에는 더럼 대성당과 연계된 2개의 캐넌 교수직이 있다.[9][10] 하지만 "캐넌 교수"라는 칭호를 가진 학자들은 캐넌 임명과 교수 임명이 별도로 이루어진 다른 대학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1][12][13]

영국 국교회 (기타 조항) 법령 1995의 제2조[14]는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이 두 명 이하의 평신도 캐논을 임명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통과되었다. 이 조항의 동기 중 하나는 교회 위원회법 1840 제6조에 따라 옥스퍼드 대학교의 교회사 레지우스 교수 직이 대성당의 상주 캐노리 직에 부속되어 레지우스 교수직은 성공회 사제만이 맡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피터 힌클리프가 1995년에 사망한 후, 레지우스 교수직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가톨릭 평신도인 헨리 메이어-하팅이 맡았고, 2007년 마이클마스 학기에 또 다른 평신도인 세라 풋이 맡았다. 다른 세 개의 법정 교수직, 즉 신학 레지우스 교수, 레이디 마가렛 신학 교수, 최근 유명한 성공회 신학자인 존 맥쿼리가 역임한 도덕 및 목회 신학 레지우스 교수는 크라이스트 처치의 캐노리에 부속되어 있었고, 최근까지 성공회 사제만이 맡았다.

더럼에서 캐논 교수직은 반 밀더트 신학 교수와 마이클 램지 성공회 연구 교수이다. 반 밀더트 신학 교수는 성공회 사제여야 하며, 마이클 램지 성공회 연구 교수는 성공회 신자여야 하지만 서품을 받을 필요는 없었다.[15][16][17] 역사적으로, 대학교의 그리스어 학과장도 캐논 교수였다. 이 캐노리는 1940년에 신학 라이트풋 교수로 이전되었다.[18] 라이트풋 교수직은 1985년까지 캐노리에 부속되어 있었으며,[19], 그때 비성공회 신자인 제임스 던이 임명되었다.

5. 마이너 캐넌 (Minor canons)

마이너 캐넌은 대성당이나 멤버십으로 구성된 기관의 구성원인 성직자이다. 그들은 매일의 예배에 참여한다. 때때로 런던의 세인트 폴 대성당과 같이 별개의 단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더블린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에서는 성가대 부제와 구별되며 그들보다 먼저 순위를 가진다. 그러나 두 그룹은 겹치기도 한다. 두 명의 선임 부제, 학장의 부제와 수석 부제는 또한 두 명의 선임 마이너 캐논이기도 하다. 일부 마이너 캐논은 챕터에 참석하지만 투표권은 없다. 현재 마이너 캐논은 일반적으로 더 젊은 성직자이지만, 이는 최근의 발전이다. 살아있는 기억 속에서 이러한 직책은 종종 자유보유지였고, 뛰어난 지위와 연륜을 가진 성직자들이 맡았다.

6. 정규 캐넌 (Canons regular)

정규 캐넌(Canons regular)은 평신도 형제들과 함께 공동체 생활을 하는 가톨릭 교회의 특정 수도회 구성원을 말한다. 이들은 사제직과 수도원 생활을 결합하여 목회 사역과 시간 전례의 공동 축하에 헌신한다. 다양한 성직자회 수도회가 있으며, 일부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성직자회 연합의 일부이다.

많은 주교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에우세비우스를 본받아 교회의 사제들과 함께 공동 생활을 하려고 노력했다. 메츠 주교 성 크로데강 (766)의 규칙이 대표적이다. 10세기에 이 제도는 쇠퇴했고, 교회에 소속되어 공동 생활을 하는 사제인 성직자들은 분리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 중 일부는 이러한 규율 완화에 저항했고, 심지어 그들의 공동 생활에 가난을 더했다. 이것이 정규 성직자회의 기원이다.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헌장 ''Ad decorem''(1339년 5월 15일)을 통해 정규 성직자회의 일반적인 개혁을 규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anon 502 §3 https://www.vatican.[...] The Vatican 2013-12-01
[2] 웹사이트 Episcopal Church Terminology https://www.diocesen[...] The Episcopal Diocese of New York 2019
[3] 문서 Insignia according to [[Gammarelli]] and Barbiconi
[4] 웹사이트 Canon information http://www.google.co[...] 2018-01-14
[5] 웹사이트 Ente - Santissimo Salvatore e Santi Giovanni Battista ed Evangelista in Laterano http://www.vicariatu[...] Vicariate of the Diocese of Rome 2014-06-18
[6] 웹사이트 Ente - San Pietro in Vaticano http://www.vicariatu[...] Vicariate of the Diocese of Rome 2014-06-18
[7] 웹사이트 Liberian Chapter. The Chapter of Saint Mary Major https://www.vatican.[...] The Vatican 2018-01-14
[8] 웹사이트 Ente - San Paolo fuori le Mura http://www.vicariatu[...] Vicariate of the Diocese of Rome 2018-01-14
[9] 서적 Religion and Law in the United Kingdom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2011
[10] 웹사이트 Cathedral and university welcome new professors http://www.premier.o[...] Premier Christian Media Trust 2016-12-30
[11] 웹사이트 Canon Professor Elaine Graham https://www.chester.[...] Chester University 2016-12-30
[12] 웹사이트 The Revd Canon Professor Richard Burridge http://www.kcl.ac.uk[...] King's College London 2016-12-30
[13] 웹사이트 The Revd Canon Professor Leslie Francis https://www2.warwick[...] University of Warwick 2016-12-30
[14] 웹사이트 Church of England (Miscellaneous Provisions) Measure 1995 No. 2 http://www.legislati[...] legislation.gov.uk 2019-04-30
[15] 웹사이트 Two new Canon Professors appointed https://www.dur.ac.u[...] Durham University 2016-12-30
[16] 웹사이트 Van Mildert Canon Professor of Divinity http://scholarshipdb[...] 2016-12-30
[17] 웹사이트 Michael Ramsey Professor of Anglican Studies http://scholarshipdb[...] 2016-12-30
[18] 서적 The Universities Review, Volumes 13-17 https://books.google[...] 1940
[19] 뉴스 The Rev Professor Douglas Jones https://www.independ[...] 2005-12-02
[20] 웹사이트 Canon http://www.newadv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