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누비알룩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비알룩툰어는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북극해 해안 지역의 이누이트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누크티투트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이누인나크툰어, 움마르미우툰어, 살리르미우툰어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영어 사용의 증가와 공통 방언의 부재가 그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누비알룩툰어는 로마자로 표기하며, 눈과 관련된 다양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이트어 - 이누피아크어
    이누피아크어는 알래스카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5,000년 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수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20진법을 사용하는 다합성어이자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이누이트어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족의 언어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고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누비알룩툰어
개요
언어 이름이누비알룩툰어
원어 이름(제공된 정보 없음)
사용 국가캐나다
사용 지역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
민족3,110명 이누비알루이트
사용자 수680명, 민족 인구의 22% (2016년 인구 조사)
언어 정보
어족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어파1에스칼레우트어파
어파2이누이트어파
조상어원시 에스칼레우트어
조상어2원시 에스키모어
조상어3원시 이누이트어
방언1시글리툰어 (살리르미우툰어)
방언2이누이나크툰어
방언3나칠링미우투트어
방언4움마르미우툰어
방언5캉기류아르미우툰어
문자라틴 문자,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공용어 지정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
관리 기관이누비알루이트 문화 센터, 이누이트 타피리트 카나타미
언어 코드
ISO 639-1iu
ISO 639-2iku (이누크티투트어)
ISO 639-3ikt (이누이나크툰어, 서부 캐나다 이누크티투트어)
Glottologwest2618 (서부 캐나다 이누크티투트어)
기타 정보
어원이누- ᐃᓄ- / 누나 ᓄᓇ "사람" / "땅"
사람이누비알루크
민족이누비알루이트
언어이누비알룩툰어, 우지크수우라크
지역이누비알루이트 누낭기트, 이누이트 누낭가트 ᐃᓄᐃᑦ ᓄᓇᖓᑦ

2. 분포 및 방언

이누이트 언어 및 방언 지도


이누비알룩툰어는 매켄지 강 삼각주, 뱅크스 섬, 빅토리아 섬 일부, 그리고 노스웨스트 준주의 북극해 해안, 즉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 거주하는 이누이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전통적으로 ''이누크티투트어''에 포함되었으나,[8] 정치적인 동기로 묶인 세 가지 뚜렷한 변종들의 집합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이누비알룩툰어는 이누인나크툰어의 방언인 ''캉기리우아르미우툰어''(동부 빅토리아 섬), 이뉴피아크어의 방언인 ''움마르미우툰어''(이누빅과 아클라빅 주변), 그리고 ''살리르미우툰어(구 식리툰어, 이누비알룩툰어 본류)''로 구성된다.[4][9]

이누인나크툰어와 이누크티투트어와 더불어 이누비알룩툰어는 노스웨스트 준주의 11개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3] 이누인나크툰어는 누나부트에서도 이누크티투트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10]

이누비알룩툰어 방언들은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이다.[11] 최근 영어가 지역 사회의 공용어가 되면서 그 사용이 급격히 줄고 있다.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이누크티투트어 사용에 대한 조사는 다양하지만, 사용이 활발하지 않다는 점에는 모두 동의한다. 캐나다 통계청의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3,110명의 이누비알루이트 중 680명(22%)이 이누크티투트어의 어떤 형태든 사용하며, 550명(18%)은 집에서 이 언어를 사용한다.[1] 이누비알루이트 지역에 거주하는 비 이누이트의 수가 많고, 이미 감소한 화자들 사이에서조차 공통 방언이 없다는 점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이누이트 언어의 미래를 암울하게 한다.

캐나다 북극 전역에서 사용되는 이누비알룩툰어 방언 지도

2. 1. 캉기리우아르미우툰어 (Kangiryuarmiutun)

이누비알룩툰어는 매켄지 강 삼각주, 뱅크스 섬, 빅토리아 섬 일부, 그리고 노스웨스트 준주의 북극해 해안에 거주하는 이누이트, 즉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전통적으로는 더 넓은 범위의 ''이누크티투트어''에 포함되었다.[8] 이누비알룩툰어는 세 가지 매우 뚜렷하고 별개의 변종들의 집합 중 하나이며, 동부 빅토리아 섬에서 사용되는 이누인나크툰어의 방언이다.[4][9]

이누인나크툰어는 네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성되는데, 그중 하나인 캉기리우아르미우툰 하위 방언은 작은 지역 사회인 울루카토크에서 사용된다. 캉기리우아르미우툰어는 본질적으로 나칠링미우투트와 동일하다.

2. 2. 살리르미우툰어 (Sallirmiutun)

이누비알룩툰어의 방언 중 하나인 살리르미우툰어(구 식리툰어, 이누비알룩툰어 본류)는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변종 중 하나이다.[4][9] 1980년대까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폴라투크, 삭스 하버, 툭토야툭 사람들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9]

2. 3. 움마르미우툰어 (Uummarmiutun)

이누피아크어 방언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여 이누피아트 언어로 간주되는 움마르미우툰어는 노스웨스트 준주의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관례적으로 이누비알룩툰어와 함께 분류되었다.[4][9] 움마르미우툰어는 이누빅과 아클라빅 지역에서 사용된다.

2. 4. 기타 방언

이누비알룩툰어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다음과 같은 방언들로 구성된다.

  • '''이글룰링미우트''' 또는 북 배핀 방언은 서부 배핀 섬에서 사용된다. (남 배핀 방언과 대조)
  • '''아이빌링미우투트''' 또는 아빌릭은 키발리크 지역 북부 허드슨 만 해안에서 사용된다.
  • '''키발리르미우투트''' 또는 키발리크 또는 카리부는 키발리크 지역 남부 허드슨 만 해안에서 사용된다.
  • '''나칠링미우투트''' 또는 네칠릭은 ''나칠릭'' 본, ''아빌리지우악'', 웃쿠히살릭의 세 하위 방언으로 구성된다.
  • '''이누인나크툰'''은 강기류아르미우툰, 쿠글루크툭, 배서스트, 케임브리지의 네 하위 방언으로 구성된다. 강기류아르미우툰 하위 방언은 작은 지역 사회인 울루카토크에서 사용된다. 본질적으로 나칠링미우투트와 동일하다.
  • '''시글리툰'''은 1980년대까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폴라투크, 삭스 하버 및 툭토야툭의 사람들이 여전히 사용한다.


누나부트에서 사용되는 이누비알루크 방언(이글룰링미우트, 아이빌링미우투트, 키발리르미우투트, 동부 나칠링미우투트)은 종종 이누크티투트어로 간주되며, 노스웨스트 준주 정부는 이누인나크툰과 이누비알룩툰어만 인정한다. 알래스카에서 사용되는 이누피아트어 방언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여 이누피아트 언어로 간주되는 '''우움마르미우툰'''은 노스웨스트 준주의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관례적으로 이누비알룩툰어와 함께 분류되었다. 우움마르미우툰은 이누빅과 아클라빅 지역에서 사용된다.

3. 역사

20세기 이전에는 이누비알룩툰 정착 지역에 주로 시글리툰어를 사용하는 시글릿 이누이트족이 거주했으나, 19세기 후반에 새로운 질병이 유입되면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알래스카에서 온 이누이트족은 허드슨 베이 회사의 모피 수요가 다시 증가하면서 시글릿족의 전통적인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이 이누이트족은 수목 한계선 근처의 정착지를 일컬어 '녹색 나무의 사람들'이라는 뜻의 움마르미우트라고 불린다. 원래 시글릿족과 움마르미우트족 사이에는 강한 반감이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차이는 희미해졌고, 오늘날에는 두 공동체가 완전히 혼합되었다.

4. 음운론

대부분의 이누이트어는 15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 음질(각각의 음소적 모음 길이)을 가지고 있다. 이누피아툰어와 카위아라크어에는 설단음이 있지만, 캐나다와 그린란드의 방언에서는 설단음이 사라졌다.

5. 문자 체계

이누비알룩툰어와 이누인나크툰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하며, 이누크티투트 음절 문자를 사용하는 전통은 없다.[12] 하지만 이누인나크툰어 지역 동쪽의 누나부트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음절 문자를 사용한다.[6]

6. 어휘

이누비알룩툰어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눈(雪) 관련 어휘가 발달했다.[13]

6. 1. 예시 표현

(놀라거나 두려울 때 사용하는 표현)알리나중에 봐요아나카나알루와/굉장하다아칼리들어봐!아타!또 봐요일라안닙타욱이렇게 되어있어요이마아니잇투아크이렇게이만나누구의?키아?이 사람은 누구입니까?키나 우나?어디?나니?/나웅?/수미?/ /어디 출신이세요?나킨가아크핀?/수미우타우빈?/얼마입니까?카누크 아키투티기바?그/그녀는 몇 살입니까?카누크 우키우크투티기바?뭐라고 부르나요?카누크 타이바크피웅?지금 몇 시입니까?수무크파웅?무엇을 위해?숙사크?왜? 또는 어째서?수우크?뭐?수바?/수나?~괜찮아요/문제없어요숭기투크뭐 하고 있어요?수빈?어쩔 수 없어요! 안됐네요.카누르비이투크!사실, 실제로누팀다시 해!피사아루웅!어서 해피웅밖이 추워요!키카우니크투아크크리스마스키치르빅사탕우쿠미아카타아크음악 연주아투크투야크투아크북춤킬라운/킬라시야크투아크/교회안가아드주빅종아비루라운보석사바쿠티트에스키모 아이스크림아쿠툭그게 전부야!타이마!



시글리툰 이누비알룩툰어 눈 용어[13]영어 의미
아피카운가을에 처음 내리는 눈으로 쌓여 있는 것
아푸시크카운처음 내리는 눈
아키우야크작고 신선한 눈 덮개
마삭물에 젖은 눈
마우야깊고 부드러운 눈
밍기리우크투아크젖은 눈이 날리는 것
피앙낙썰매 여행에 좋은 눈 상태


6. 2. 눈(雪) 관련 어휘

시글리툰 이누비알룩툰어 눈 용어[13]영어 의미
아피카운가을에 처음 내려 쌓인 눈
아푸시크카운처음 내리는 눈
아키우야크작고 신선한 눈 덮개
마삭물에 젖은 눈
마우야깊고 부드러운 눈
밍기리우크투아크젖은 눈이 날리는 것
피앙낙썰매 여행에 좋은 눈 상태


참조

[1] 간행물 Aboriginal Population Profile, 2016 Census, Inuvialuit region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 문서 Figures are for the [[Inuvialuit Settlement Region]] only
[3] 간행물 Official Languages Act https://www.pwnhc.ca[...] Prince of Wales Northern Heritage Centre
[4] 간행물 Inuvialuit Digital Library – Language Resources https://inuvialuitdi[...] Inuvialuit Cultural Centre
[5] 웹사이트 Inuvialuktun Dialects https://irc.inuvialu[...]
[6] 웹사이트 Iñuvialuktun/Inuvialuktun/Inuinnaqtun / ᐃᓄᐃᓐᓇᖅᑐᓐ http://www.languageg[...]
[7] 웹사이트 Consolidation of (S.Nu. 2008, c.10) (NIF) Official Languages Act https://www.gov.nu.c[...]
[8] 문서 '"Inuktitut" includes Inuvialuktun and Inuinnaqtun' https://canlii.ca/t/[...]
[9] 간행물 Tusaavik with Dodie Malegana https://www.cbc.ca/l[...] CBC North Inuvik
[10] 간행물 Official Languages Act https://www.canlii.o[...]
[11]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12] 서적 Current Status of Writing Systems for Inuktitut, Inuinnaqtun and Inuvialuktun Northwest Territories, Culture and Communications 1992
[13] 웹사이트 Inuvialuit Settlement Region Traditional Knowledge Report http://www.capekruse[...] 2006-08
[14] 간행물 Aboriginal Population Profile, 2016 Census, Inuvialuit region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15] 간행물 Official Languages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https://www.pwnhc.ca[...] Prince of Wales Northern Heritage Centre
[16] 간행물 Inuvialuit Digital Library – Language Resources https://inuvialuitdi[...] Inuvialuit Cultural Centre
[17] 간행물 Aklavik http://www12.statcan[...] Canada 2006 Census
[18] 웹사이트 The People of the Boreal Forest http://www.albertaso[...] albertasource.ca 2021-05-03
[19]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