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피아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피아크어는 알래스카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약 5,000년 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누피아크어는 다른 이누이트어에 비해 언어적 변화가 적어 보수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19세기 이후 영어 사용을 강요받으면서 사용이 위축되기도 했다. 1972년 알래스카 주의 법안 통과와 2014년 알래스카 주의 공식 언어 지정 등을 통해 이누피아크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페이스북 언어 옵션 추가, 워들 이누피아크어 버전 출시 등 현대 기술과의 융합도 시도되고 있다. 이누피아크어는 4개의 주요 방언으로 구분되며, 문법적으로는 다합성어이며 능격-절대격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20진법을 사용하는 독특한 숫자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어휘를 방언별로 비교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이트어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족의 언어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고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이누이트어 - 이누비알룩툰어
이누비알룩툰어는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서 쓰이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캉기리우아르미우툰어, 우움마르미우툰어, 시글리툰어 세 개의 변종으로 구성되며 로마자로 표기하지만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알래스카주의 언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알래스카주의 언어 - 침시안어족
침시안어족은 4개의 방언, 즉 해안 침시안어, 남부 침시안어, 니스가어, 깃크산어로 구성되며, 남부 침시안어는 멸종되었고 니스가어와 깃크산어는 방언 관계이나 화자들은 민족적으로 별개로 여긴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누피아크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이누피아크어 |
토착어 이름 | Uqausiq/Uqausriq Iñupiatun, Qanġuziq/Qaġnuziq/Qanġusiq Inupiatun |
사용 국가 | 미국, 과거 러시아;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
사용 지역 | 알래스카주; 과거 빅다이오미드 섬 |
사용자 | 20,709명 이누피아크족 (2015년) |
완전한 구사자 | 1,250명 (2023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어계 | 에스키모어 |
어군 | 이누이트어 |
조상 언어 |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 |
조상 언어 2 | 원시 에스키모어 |
조상 언어 3 | 원시 이누이트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이누피아크어 알파벳), 이누피아크어 점자 |
공용어 인정 | |
공용어 | 알래스카주, 노스웨스트 준주 (움마르미우툰 방언으로) |
언어 코드 | |
ISO 639-1 | ik |
ISO 639-2 | ipk |
ISO 639-3 | ipk |
ISO 639-3 (개별 언어) | esi: 북알래스카 이누피아툰어 esk: 북서알래스카 이누피아툰어 |
Glottolog | inup1234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 |
사용자 정보 | |
민족 | 이누피아트 |
인칭 | 이눅/누나 (사람/땅) |
단수 | 이누피아크 |
쌍수 | 이누피아크 |
복수 | 이누피아트 |
언어 | 이누피아크어 |
지역 | 이누피아트 누나트 |
2. 역사
이누피아크어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이 언어의 조상들은 알래스카 북부 지역에서 5,000년 동안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000년에서 800년 전 사이에 이누이트는 알래스카에서 캐나다와 그린란드로 동쪽으로 이주하여 결국 북극 해안 전체와 주변 내륙 지역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이누피아크 방언은 다른 이누이트어보다 언어적 변화가 적어 이누이트어 중 가장 보수적인 형태이다.
이누피아크어에는 크게 4개의 주요 방언이 있으며, 이들은 다시 2개의 더 큰 방언 집단으로 나뉜다.[11]
19세기 중후반에 러시아, 영국, 미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이누피아트족과 접촉했다. 1885년, 미국 자치 정부는 셸던 잭슨 목사를 교육 총괄 대리인으로 임명했다.[6] 그의 행정 아래에서 이누피아트족(및 모든 알래스카 원주민)은 영어만 사용하는 환경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누피아크어 및 알래스카의 다른 원주민 언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수십 년 동안 이누피아크어 사용 시 엄격한 처벌이 가해지는 영어만 사용하는 교육을 받은 후, 1970년대 이후 대부분의 이누피아트족은 자녀가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하다 처벌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이누피아크어를 자녀에게 전수하지 않았다.
1972년, 알래스카 주의회는 "최소 15명 이상의 학생이 다니는 학교의 주 언어가 영어가 아닌 경우, [해당 학교는] 원어에 능통한 교사를 최소 한 명 이상 두어야 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7]
오늘날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는 이누피아크 언어 및 문화 학사 학위를 제공하며, 니카이추아트 일리사그비아트(Nikaitchuat Iḷisaġviat)라는 유치원/초등학교 수준의 이누피아크어 몰입 학교는 코체부에서 유치원-1학년 과정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 이누피아크어는 영어 및 다른 19개 원주민 언어와 함께 알래스카주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5]
2018년, 페이스북은 웹사이트에 이누피아크어를 언어 옵션으로 추가했다.[8] 2022년에는 워들의 이누피아크어 버전이 만들어졌다.[9][10]
3. 방언
방언 집단[11][12] 방언[11][12] 하위 방언[11][12] 부족
국가거주 지역[12] 세워드 반도 이누피아크어 베링 해협 디오메드 이날리트 리틀 디오메드 섬, 빅 디오메드 섬 (1940년대 후반까지) 웨일스 키니크미우트, 타프카그미우트 웨일스, 시시마레프, 브레비그 미션 킹 아일랜드 우기우바그미우트 킹 아일랜드 (1960년대 초까지), 놈 카위아락 텔러 시니가그미우트, 카위아라그미우트 텔러, 샤크툴릭 피시 강 이갈루이그미우트 화이트 마운틴, 골로빈 북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 말리미우툰 코부크 쿠운미우트, 키타아그미우트, 실림 카니아니그미우트, 누르비그미우트, 쿠바움 카니아그미우트, 아쿠니그미우트, 누아타아그미우트, 나파악투그미우트, 키발리니그미우트[13] 코부크 강 계곡, 셀라빅 해안 피타그미우트, 카니그미우트, 키키크타그루그미우트[13] 코체뷰, 노아탁 노스 슬로프 / 실라리니그미우툰 일반 노스 슬로프 우투콰그미우트, 실리나그미우트, 카클리그미우트, 쿠울루그루아그미우트, 익픽파그미우트, 쿠크피그미우트[13][14] 포인트 호프[15] 티키가그미우트 포인트 호프[15] 포인트 바로우 누부그미우트 아나크투부크 패스 누나미우트 아나크투부크 패스 우움마르미우툰 (우우마그미우툰) 우움마르미우트 (우우마그미우트) 아클라빅 (캐나다), 이누빅 (캐나다)
3. 1. 세워드 반도 이누피아크어
세워드 반도에서 사용되는 이누피아크어 방언으로, 유픽어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아 다른 이누이트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1]
방언[11][12] | 하위 방언[11][12] | 부족 국가 | 거주 지역[12] |
---|---|---|---|
베링 해협 | 디오메드 | 이날리트 | 리틀 디오메드 섬, 빅 디오메드 섬 (1940년대 후반까지) |
웨일스 | 키니크미우트, 타프카그미우트 | 웨일스, 시시마레프, 브레비그 미션 | |
킹 아일랜드 | 우기우바그미우트 | 킹 아일랜드 (1960년대 초까지), 놈 | |
카위아락 | 텔러 | 시니가그미우트, 카위아라그미우트 | 텔러, 샤크툴릭 |
피시 강 | 이갈루이그미우트 | 화이트 마운틴, 골로빈 |
'''추가 지리 정보:'''
- '''베링 해협 방언:''' 빅 디오메드 섬의 원주민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베리아 본토로 이주했으며, 그 다음 세대는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또는 러시아어를 사용했다.[12] 킹 아일랜드의 전체 인구는 1960년대 초에 놈으로 이주했다.[12] 베링 해협 방언은 텔러의 세워드 반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15]
- '''카위아락 방언:''' 놈에서 사용된다.[15][12] 코유크,[12] 메리스 이글루, 카운슬, 엘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15] 텔러 하위 방언은 우날라클리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15][12]
3. 2. 북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
북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는 알래스카의 노스웨스트 아크틱 및 노스 슬로프 지역에서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매켄지 삼각주까지 사용된다.[11]방언[11][12] | 하위 방언[11][12] | 부족 국가 | 거주 지역[12] |
---|---|---|---|
말리미우툰 | 코부크 | 쿠운미우트, 키타아그미우트, 실림 카니아니그미우트, 누르비그미우트, 쿠바움 카니아그미우트, 아쿠니그미우트, 누아타아그미우트, 나파악투그미우트, 키발리니그미우트[13] | 코부크 강 계곡, 셀라빅 |
해안 | 피타그미우트, 카니그미우트, 키키크타그루그미우트[13] | 코체뷰, 노아탁 | |
노스 슬로프 / 실라리니그미우툰 | 일반 노스 슬로프 | 우투콰그미우트, 실리나그미우트, 카클리그미우트, 쿠울루그루아그미우트, 익픽파그미우트, 쿠크피그미우트[13][14] | |
포인트 호프[15] | 티키가그미우트 | 포인트 호프[15] | |
포인트 바로우 | 누부그미우트 | ||
아나크투부크 패스 | 누나미우트 | 아나크투부크 패스 | |
우움마르미우툰 (우우마그미우툰) | 우움마르미우트 (우우마그미우트) | 아클라빅 (캐나다), 이누빅 (캐나다) |
'''추가 지리 정보:'''
'''말리미우툰 방언:'''
두 하위 방언은 모두 벅랜드, 코유크, 샤크툴릭, 우날라클리트에서 발견될 수 있다.[15][12] 말리미우툰 방언은 디어링, 키아나, 노어빅, 슁낙, 앰블러에서 사용될 수 있다.[15] 말리미우툰 하위 방언은 또한 "남부 말리미우트"(코유크, 샤크툴릭, 우날라클리트에서 발견됨) 및 "북부 말리미우트"( "다른 마을"에서 발견됨)로 분류되었다.[15]
'''노스 슬로프 방언:'''
일반 노스 슬로프는 "이전에는 해당 지역에서 사용되던 다양한 형태의 언어의 혼합"이다.[12] 포인트 바로우 방언은 2010년에 "소수의 원로들만 사용"했다.[12] 노스 슬로프 방언은 또한 키발리나, 포인트 레이, 웨인라이트, 앳커숙, 우트키아그빅, 누이쿠숫, 바터 아일랜드에서도 사용된다.[15]
'''노스 슬로프 이누피아크어의 음소'''[11][15][17]
무성 파열음 /p/ /t/ /k/ 및 /q/는 무기음이다.[15] 이것은 다른 방언에도 해당될 수 있다.
/c/는 구개음화되고 닿소리가 나지 않는 /t/에서 파생된다.[15]
4. 음운
이누피아크어의 음운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누피아크어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 '''자음군'''
이누피아크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으로 나타나는 자음군은 존재하지 않는다. 단어는 자음군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15]
- '''단어의 시작과 끝'''
단어는 파열음(구개 파열음 /c/ 제외), 마찰음 /s/, 비음 (/m/, /n/), 모음, 반모음 /j/로 시작할 수 있다. 차용어, 고유 명사, 감탄사는 세워드 반도 방언과 북부 경사 방언에서 모든 분절음으로 시작할 수 있다.[15] 움마르미우툰 방언에서는 단어가 /h/로 시작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북부 경사 및 리틀 디오메드 섬 방언에서 "귀"를 뜻하는 단어는 ''siun''이지만, 움마르미우툰에서는 ''hiun''이다.
단어는 모든 비음 (북부 경사에서 발견되는 /ɴ/ 제외), 파열음 /t/, /k/, /q/, 또는 모음으로 끝날 수 있다. 북부 경사 방언에서는 단어가 m으로 끝나고 다음 단어가 파열음으로 시작하면, m은 /p/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aġna'''m t'''upiŋa,''는 /aʁna'''p''' tupiŋa/로 발음된다.[15]
- '''운율'''
이누피아크어의 운율에 대한 정보는 거의 수집되지 않았다.[15]
- '''자음 동화'''
두 자음은 조음 방식이 같지 않으면 함께 나타날 수 없다(이 경우 측면 자음과 접근 자음을 마찰음으로 취급).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유성 마찰 자음이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노스 슬로프의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므로 무성 파열음을 유성 자음으로 동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필요한 동화가 발생한다.
이 과정은 클러스터의 첫 번째 자음을 다음 자음에 동화시켜 실현된다. 1) 동화되는 자음과 동일(또는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를 가지고; 그리고 2) 동화되는 두 번째 자음과 동일한 조음 방식을 가집니다.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인 경우 첫 번째 자음은 가능하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으로 동화된다.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 자음은 마찰음으로 동화된다.
IPA | 예시 | ||||||||||||||||||||||||||||||||||||||||||||||||||||||||||||||||||||||||||||||||||||||||||||||||||||||||||||||||||||||||||||||||||||||||||||||||||||||||||||||||||||||||||||||||||||||||||||||||||||||||||||||||||||||||||||||||||||||||||||||||||||||||||||||||||||||||||||||||||||||||||||||||||||||||||||||||||||||||||||||||||||||||||||||||||||||||||||||||||||||||||||||||||||||||||||||||||||||||||||||||||||||||||||||||||||||||||||||||||||||||||||||||||||||||||||||||||||||||||||||||||||||||||||||||
---|---|---|---|---|---|---|---|---|---|---|---|---|---|---|---|---|---|---|---|---|---|---|---|---|---|---|---|---|---|---|---|---|---|---|---|---|---|---|---|---|---|---|---|---|---|---|---|---|---|---|---|---|---|---|---|---|---|---|---|---|---|---|---|---|---|---|---|---|---|---|---|---|---|---|---|---|---|---|---|---|---|---|---|---|---|---|---|---|---|---|---|---|---|---|---|---|---|---|---|---|---|---|---|---|---|---|---|---|---|---|---|---|---|---|---|---|---|---|---|---|---|---|---|---|---|---|---|---|---|---|---|---|---|---|---|---|---|---|---|---|---|---|---|---|---|---|---|---|---|---|---|---|---|---|---|---|---|---|---|---|---|---|---|---|---|---|---|---|---|---|---|---|---|---|---|---|---|---|---|---|---|---|---|---|---|---|---|---|---|---|---|---|---|---|---|---|---|---|---|---|---|---|---|---|---|---|---|---|---|---|---|---|---|---|---|---|---|---|---|---|---|---|---|---|---|---|---|---|---|---|---|---|---|---|---|---|---|---|---|---|---|---|---|---|---|---|---|---|---|---|---|---|---|---|---|---|---|---|---|---|---|---|---|---|---|---|---|---|---|---|---|---|---|---|---|---|---|---|---|---|---|---|---|---|---|---|---|---|---|---|---|---|---|---|---|---|---|---|---|---|---|---|---|---|---|---|---|---|---|---|---|---|---|---|---|---|---|---|---|---|---|---|---|---|---|---|---|---|---|---|---|---|---|---|---|---|---|---|---|---|---|---|---|---|---|---|---|---|---|---|---|---|---|---|---|---|---|---|---|---|---|---|---|---|---|---|---|---|---|---|---|---|---|---|---|---|---|---|---|---|---|---|---|---|---|---|---|---|---|---|---|---|---|---|---|---|---|---|---|---|---|---|---|---|---|---|---|---|---|---|---|---|---|---|---|---|---|---|---|---|---|---|---|---|---|---|---|---|---|---|---|---|---|---|---|---|---|---|---|---|---|---|---|---|---|---|---|---|---|---|---|---|---|---|---|---|---|---|---|---|---|---|---|---|---|---|---|---|---|---|---|---|---|---|---|---|---|---|---|---|---|---|---|---|---|---|---|---|---|---|---|---|---|---|---|---|---|
/kn/ → /ɣn/ 또는 → /ŋn/ | Kamik + niaq + te|Kamigniaqtuqik 또는 {{lang|ik | } | } (장화를 신다 + will + 그 → 그는 장화를 신을 것이다)
IPA | 예시 | |||||||||||||||||||||||||||||||||||||||||||||||||||||||||||||||||||||||||||||||||||||||||||||||||||||||||||||||||||||||||||||||||||||||||||||||||||||||||||||||||||||||||||||||||||||||||||||||||||||||||||||||||||||||||||||||||||||||||||||||||||||||||||||||||||||||||||||||||||||||||||||||||||||||||||||||||||||||||||||||||||||||||||||||||||||||||||||||||||||||||||||||||||||||||||||||||||||||||||||||||||||||||||||||||||||||||||||||||||||||||||||||||||||||||||||||||||||||||||||||||||||||||||
---|---|---|---|---|---|---|---|---|---|---|---|---|---|---|---|---|---|---|---|---|---|---|---|---|---|---|---|---|---|---|---|---|---|---|---|---|---|---|---|---|---|---|---|---|---|---|---|---|---|---|---|---|---|---|---|---|---|---|---|---|---|---|---|---|---|---|---|---|---|---|---|---|---|---|---|---|---|---|---|---|---|---|---|---|---|---|---|---|---|---|---|---|---|---|---|---|---|---|---|---|---|---|---|---|---|---|---|---|---|---|---|---|---|---|---|---|---|---|---|---|---|---|---|---|---|---|---|---|---|---|---|---|---|---|---|---|---|---|---|---|---|---|---|---|---|---|---|---|---|---|---|---|---|---|---|---|---|---|---|---|---|---|---|---|---|---|---|---|---|---|---|---|---|---|---|---|---|---|---|---|---|---|---|---|---|---|---|---|---|---|---|---|---|---|---|---|---|---|---|---|---|---|---|---|---|---|---|---|---|---|---|---|---|---|---|---|---|---|---|---|---|---|---|---|---|---|---|---|---|---|---|---|---|---|---|---|---|---|---|---|---|---|---|---|---|---|---|---|---|---|---|---|---|---|---|---|---|---|---|---|---|---|---|---|---|---|---|---|---|---|---|---|---|---|---|---|---|---|---|---|---|---|---|---|---|---|---|---|---|---|---|---|---|---|---|---|---|---|---|---|---|---|---|---|---|---|---|---|---|---|---|---|---|---|---|---|---|---|---|---|---|---|---|---|---|---|---|---|---|---|---|---|---|---|---|---|---|---|---|---|---|---|---|---|---|---|---|---|---|---|---|---|---|---|---|---|---|---|---|---|---|---|---|---|---|---|---|---|---|---|---|---|---|---|---|---|---|---|---|---|---|---|---|---|---|---|---|---|---|---|---|---|---|---|---|---|---|---|---|---|---|---|---|---|---|---|---|---|---|---|---|---|---|---|---|---|---|---|---|---|---|---|---|---|---|---|---|---|---|---|---|---|---|---|---|---|---|---|---|---|---|---|---|---|---|---|---|---|---|---|---|---|---|---|---|---|---|---|---|---|---|---|---|---|---|---|---|---|---|---|---|---|---|---|---|---|---|---|---|---|---|---|---|---|---|---|---|---|---|---|---|---|
/t̚ʲɣ/ → /jɣ/ | {{lang|ik|siksriit + guuq|siksriiyguuq|} | } (다람쥐 + 그렇다고 한다 → 다람쥐라고 한다)
IPA | 예시 | |||||||||||||||||||||||||||||||||||||||||||||||||||||||||||||||||||||||||||||||||||||||||||||||||||||||||||||||||||||||||||||||||||||||||||||||||||||||||||||||||||||||||||||||||||||||||||||||||||||||||||||||||||||||||||||||||||||||||||||||||||||||||||||||||||||||||||||||||||||||||||||||||||||||||||||||||||||||||||||||||||||||||||||||||||||||||||||||||||||||||||||||||||||||||||||||||||||||||||||||||||||||||||||||||||||||||||||||||||||||||||||||||||||||||||||||||||||||||||||||||||||||
---|---|---|---|---|---|---|---|---|---|---|---|---|---|---|---|---|---|---|---|---|---|---|---|---|---|---|---|---|---|---|---|---|---|---|---|---|---|---|---|---|---|---|---|---|---|---|---|---|---|---|---|---|---|---|---|---|---|---|---|---|---|---|---|---|---|---|---|---|---|---|---|---|---|---|---|---|---|---|---|---|---|---|---|---|---|---|---|---|---|---|---|---|---|---|---|---|---|---|---|---|---|---|---|---|---|---|---|---|---|---|---|---|---|---|---|---|---|---|---|---|---|---|---|---|---|---|---|---|---|---|---|---|---|---|---|---|---|---|---|---|---|---|---|---|---|---|---|---|---|---|---|---|---|---|---|---|---|---|---|---|---|---|---|---|---|---|---|---|---|---|---|---|---|---|---|---|---|---|---|---|---|---|---|---|---|---|---|---|---|---|---|---|---|---|---|---|---|---|---|---|---|---|---|---|---|---|---|---|---|---|---|---|---|---|---|---|---|---|---|---|---|---|---|---|---|---|---|---|---|---|---|---|---|---|---|---|---|---|---|---|---|---|---|---|---|---|---|---|---|---|---|---|---|---|---|---|---|---|---|---|---|---|---|---|---|---|---|---|---|---|---|---|---|---|---|---|---|---|---|---|---|---|---|---|---|---|---|---|---|---|---|---|---|---|---|---|---|---|---|---|---|---|---|---|---|---|---|---|---|---|---|---|---|---|---|---|---|---|---|---|---|---|---|---|---|---|---|---|---|---|---|---|---|---|---|---|---|---|---|---|---|---|---|---|---|---|---|---|---|---|---|---|---|---|---|---|---|---|---|---|---|---|---|---|---|---|---|---|---|---|---|---|---|---|---|---|---|---|---|---|---|---|---|---|---|---|---|---|---|---|---|---|---|---|---|---|---|---|---|---|---|---|---|---|---|---|---|---|---|---|---|---|---|---|---|---|---|---|---|---|---|---|---|---|---|---|---|---|---|---|---|---|---|---|---|---|---|---|---|---|---|---|---|---|---|---|---|---|---|---|---|---|---|---|---|---|---|---|---|---|---|---|---|---|---|---|---|---|---|---|---|---|---|---|---|---|---|---|---|---|---|---|---|---|---|---|---|---|
/ml/ → /ml/ 또는 → /vl/ | aġnam + lu|aġnamluik 또는 {{lang|ik | } | } (여자 + 그리고 → 그리고 여자)
IPA (발음) | 예시 |
---|---|
/qɬ/ → /χɬ/ | miqłiqtuq|아이ik |
/kʂ/ → /xʂ/ | siksrik|다람쥐ik |
/vs/ → /fs/ | tavsi|벨트ik |
이러한 일반적인 동화 기능은 Uummarmiut, Malimiutun 또는 Seward Peninsula 방언과 공유되지 않는다. Malimiutun과 Seward Peninsula 방언은 "어원적으로(즉, 원래 단어 기반에 속하는 경우) 무성 파열음(k, p, q, t)을 보존한다".[12]
노스 슬로프 | Malimiutun | Seward Peninsula 방언 | Uummarmiut | 영어 |
---|---|---|---|---|
nivliqsuq | nipliqsuq | nivliraqtuq | 소리를 낸다 | |
igniq | ikniq | ikniq | 불 | |
annuġaak | atnuġaak | atar̂aaq | 의복 |
- '''경구개음화'''
다음과 같은 경구개음화 패턴이 북극권 이누피아크어에서 발생할 수 있다: /t/ → /t̚ʲ/, /tʃ/ 또는 /s/; /ɬ/ → /ʎ̥/; /l/ → /ʎ/; 그리고 /n/ → /ɲ/. 경구개음화는 이 네 개의 치경음 중 하나가 강한 ''i'' 앞에 올 때만 발생한다.
I의 유형 | 예시 | ||||||||||||||||||||||||||||||||||||||||||||||||||||||||||||||||||||||||||||||||||||||||||||||||||||||||||||||||||||||||||||||||||||||||||||||||||||||||||||||||||||||||||||||||||||||||||||||||||||||||||||||||||||||||||||||||||||||||||||||||||||||||||||||||||||||||||||||||||||||||||||||||||||||||||||||||||||||||||||||||||||||||||||||||||||||||||||||||||||||||||||||||||||||||||||||||||||||||||||||||||||||||||||||||||||||||||||||||||||||||||||||||||||||
---|---|---|---|---|---|---|---|---|---|---|---|---|---|---|---|---|---|---|---|---|---|---|---|---|---|---|---|---|---|---|---|---|---|---|---|---|---|---|---|---|---|---|---|---|---|---|---|---|---|---|---|---|---|---|---|---|---|---|---|---|---|---|---|---|---|---|---|---|---|---|---|---|---|---|---|---|---|---|---|---|---|---|---|---|---|---|---|---|---|---|---|---|---|---|---|---|---|---|---|---|---|---|---|---|---|---|---|---|---|---|---|---|---|---|---|---|---|---|---|---|---|---|---|---|---|---|---|---|---|---|---|---|---|---|---|---|---|---|---|---|---|---|---|---|---|---|---|---|---|---|---|---|---|---|---|---|---|---|---|---|---|---|---|---|---|---|---|---|---|---|---|---|---|---|---|---|---|---|---|---|---|---|---|---|---|---|---|---|---|---|---|---|---|---|---|---|---|---|---|---|---|---|---|---|---|---|---|---|---|---|---|---|---|---|---|---|---|---|---|---|---|---|---|---|---|---|---|---|---|---|---|---|---|---|---|---|---|---|---|---|---|---|---|---|---|---|---|---|---|---|---|---|---|---|---|---|---|---|---|---|---|---|---|---|---|---|---|---|---|---|---|---|---|---|---|---|---|---|---|---|---|---|---|---|---|---|---|---|---|---|---|---|---|---|---|---|---|---|---|---|---|---|---|---|---|---|---|---|---|---|---|---|---|---|---|---|---|---|---|---|---|---|---|---|---|---|---|---|---|---|---|---|---|---|---|---|---|---|---|---|---|---|---|---|---|---|---|---|---|---|---|---|---|---|---|---|---|---|---|---|---|---|---|---|---|---|---|---|---|---|---|---|---|---|---|---|---|---|---|---|---|---|---|---|---|---|---|---|---|---|---|---|---|---|---|---|---|---|---|---|---|---|---|---|---|---|---|---|---|---|---|---|---|---|---|---|---|---|---|---|---|---|---|---|---|---|---|---|---|---|---|---|---|---|---|---|---|---|---|---|---|---|---|---|---|---|---|---|---|---|---|---|---|---|---|
강함 | {{lang|ik|qimmiq|qimmit|} | } (/qimːiq/ → /qimːit̚ʲ/) (개 → 개들)
I의 유형 | 예시 | ||||||||||||||||||||||||||||||||||||||||||||||||||||||||||||||||||||||||||||||||||||||||||||||||||||||||||||||||||||||||||||||||||||||||||||||||||||||||||||||||||||||||||||||||||||||||||||||||||||||||||||||||||||||||||||||||||||||||||||||||||||||||||||||||||||||||||||||||||||||||||||||||||||||||||||||||||||||||||||||||||||||||||||||||||||||||||||||||||||||||||||||||||||||||||||||||||||||||||||||||||||||||||||||||||||||||||||||||||||||||||||||||||
---|---|---|---|---|---|---|---|---|---|---|---|---|---|---|---|---|---|---|---|---|---|---|---|---|---|---|---|---|---|---|---|---|---|---|---|---|---|---|---|---|---|---|---|---|---|---|---|---|---|---|---|---|---|---|---|---|---|---|---|---|---|---|---|---|---|---|---|---|---|---|---|---|---|---|---|---|---|---|---|---|---|---|---|---|---|---|---|---|---|---|---|---|---|---|---|---|---|---|---|---|---|---|---|---|---|---|---|---|---|---|---|---|---|---|---|---|---|---|---|---|---|---|---|---|---|---|---|---|---|---|---|---|---|---|---|---|---|---|---|---|---|---|---|---|---|---|---|---|---|---|---|---|---|---|---|---|---|---|---|---|---|---|---|---|---|---|---|---|---|---|---|---|---|---|---|---|---|---|---|---|---|---|---|---|---|---|---|---|---|---|---|---|---|---|---|---|---|---|---|---|---|---|---|---|---|---|---|---|---|---|---|---|---|---|---|---|---|---|---|---|---|---|---|---|---|---|---|---|---|---|---|---|---|---|---|---|---|---|---|---|---|---|---|---|---|---|---|---|---|---|---|---|---|---|---|---|---|---|---|---|---|---|---|---|---|---|---|---|---|---|---|---|---|---|---|---|---|---|---|---|---|---|---|---|---|---|---|---|---|---|---|---|---|---|---|---|---|---|---|---|---|---|---|---|---|---|---|---|---|---|---|---|---|---|---|---|---|---|---|---|---|---|---|---|---|---|---|---|---|---|---|---|---|---|---|---|---|---|---|---|---|---|---|---|---|---|---|---|---|---|---|---|---|---|---|---|---|---|---|---|---|---|---|---|---|---|---|---|---|---|---|---|---|---|---|---|---|---|---|---|---|---|---|---|---|---|---|---|---|---|---|---|---|---|---|---|---|---|---|---|---|---|---|---|---|---|---|---|---|---|---|---|---|---|---|---|---|---|---|---|---|---|---|---|---|---|---|---|---|---|---|---|---|---|---|---|---|---|---|---|---|---|---|---|---|---|---|---|---|---|---|
강함 | {{lang|ik|qimmiq + tigun|qimmisigun|} | } (/qimmiq/ + /tiɣun/ → /qimːisiɣun/) (개 + 복수적 대상들 중 → 개들 중에서)
i의 종류 | 예시 |
---|---|
약한 | tumi|tumaasmn /tumi/ → /tumaː/ 발자국 → {그녀/그의 발자국} |
강한 | qimmiq|qimmiasmn /qimːiq/ → /qimːia/ 개 → {그녀/그의 개} |
약한 | kamik|kammaksmn /kamik/ → /kamːak/ 부츠 → {두 개의 부츠} |
> 위 모음의 IPA 표기는 처음 두 예시처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4. 2. 자음
이누피아크어 방언은 사용되는 자음에서 광범위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두 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으로 나타나는 자음군은 존재하지 않으며, 단어는 자음군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15]모든 이누피아크어 방언에는 세 가지 기본 모음 /a i u/가 있다.[15][12] 이 모음들의 이음을 구별하기 위한 계측 연구는 현재 없다. 세 모음은 모두 길거나 짧을 수 있으며, 여섯 개의 음소 모음 /a aː i iː u uː/ 체계를 갖는다. 모음 길이는 ⟨aa⟩, ⟨ii⟩, ⟨uu⟩와 같이 두 개의 문자로 표기한다.[15] 이중 모음 /ai ia au ua iu ui/가 나타난다.[15][18] 이누피아크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모음이 연속해서 나타나지 않는다.[15]
베링 해협 방언은 네 번째 모음 /e/를 가지는데, 이는 재구축된 네 번째 원시 에스키모어 모음 */ə/를 보존한 것이다.[15][12] 다른 방언에서는 원시 에스키모어 */e/가 닫힌 전설 모음 /i/와 병합되었다. 병합된 /i/는 "강한 /i/"라고 불리며, 북부 경사 방언에서 자음군 앞에 오면 구개음화를 유발한다 (아래 구개음화 섹션 참조). 다른 /i/는 "약한 /i/"라고 불린다. 약한 /i/와 강한 /i/는 표기법에서 구별되지 않으므로,[15] "두 개의 i의 구별에 의존하는 다른 과정을 보거나 다른 에스키모어 언어의 데이터를 검토하지 않고서는" ⟨i⟩가 구개음화를 나타내는지 알 수 없다.[16] 그러나 단어 내에서 구개 자음 앞에 ⟨i⟩가 오면 강한 /i/라고 가정할 수 있다. 치경 자음 앞에 ⟨i⟩가 오면 약한 /i/이다.[16]
단어는 파열음(구개 파열음 /c/ 제외), 마찰음 /s/, 비음 /m n/, 모음 또는 반모음 /j/로 시작한다. 차용어, 고유 명사, 감탄사는 세워드 반도 방언과 북부 경사 방언 모두에서 모든 분절음으로 시작할 수 있다.[15] 움마르미우툰 방언에서는 단어가 /h/로 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북부 경사 및 리틀 디오메드 섬 방언에서 "귀"를 뜻하는 단어는 ''siun''인 반면, 움마르미우툰에서는 ''hiun''이다.
단어는 모든 비음 (북부 경사에서 발견되는 /ɴ/ 제외), 파열음 /t k q/ 또는 모음으로 끝날 수 있다. 북부 경사 방언에서는 단어가 m으로 끝나고 다음 단어가 파열음으로 시작하면, m은 /p/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aġna'''m t'''upiŋa,''는 /aʁna'''p''' tupiŋa/로 발음된다.[15]
두 자음은 조음 방식이 같지 않으면 함께 나타날 수 없다(이 경우 측면 자음과 접근 자음을 마찰음으로 취급).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유성 마찰 자음이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노스 슬로프의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므로 무성 파열음을 유성 자음으로 동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필요한 동화가 발생한다.
이 과정은 클러스터의 첫 번째 자음을 다음 자음에 동화시켜 실현된다. 1) 동화되는 자음과 동일(또는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를 가지고; 그리고 2) 동화되는 두 번째 자음과 동일한 조음 방식을 가집니다.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인 경우 첫 번째 자음은 가능하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으로 동화된다.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 자음은 마찰음으로 동화된다. 따라서:
IPA | 예시 |
---|---|
/kn/ → /ɣn/ 또는 → /ŋn/ | |
/qn/ → /ʁn/ 또는 → /ɴ/ * | iḷisaq + niaq + tuq → iḷisaġniaqtuq|공부하다 + will + 그 → 그는 공부할 것이다ik |
/tn/ → /nn/ | aqpat + niaq + tuq → aqpanniaqtuq|달리다 + will + 그 → 그는 달릴 것이다ik |
/tm/ → /nm/ | makit + man → makinman|일어나다 + 그가 → 그가 일어났을 때ik |
/tɬ/ → /ɬɬ/ | makit + łuni → makiłłuni|서다 + ---하는 것으로 → 일어나서, 그 ...ik |
:
파열음 /t̚ʲ/와 /t/는 해당 유성 마찰음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로 동화된다. 이 경우 /t̚ʲ/는 유성 접근음 /j/로 동화된다. /t/는 로 동화된다. 따라서:
IPA | 예시 |
---|---|
/t̚ʲɣ/ → /jɣ/ | siksriit + guuq → siksriiyguuq|다람쥐 + 그렇다고 한다 → 다람쥐라고 한다ik |
/TV/ → /ʐv/ | aqpat + vik → aqparvik|달리다 + 장소 → 경마장ik |
(위의 첫 번째 예에서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인 경우 측면 자음은 다시 마찰음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IPA | 예시 |
---|---|
/ml/ → /ml/ 또는 → /vl/ | |
/nl/ → /nl/ 또는 → /ll/ |
유성 마찰음이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므로 두 자음 클러스터 모두 가능하다.
음소 및 는 정자법으로 표현되지 않는다(모음 사이에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제외). 따라서 위에 표시된 /ɴn/ 예와 마찬가지로 철자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동화가 여전히 발생한다. 따라서:
IPA (발음) | 예시 |
---|---|
/qɬ/ → | miqłiqtuq|아이ik |
/kʂ/ → /xʂ/ | siksrik|다람쥐ik |
/vs/ → /fs/ | tavsi|벨트ik |
이러한 일반적인 동화 기능은 Uummarmiut, Malimiutun 또는 Seward Peninsula 방언과 공유되지 않는다. Malimiutun과 Seward Peninsula 방언은 "어원적으로(즉, 원래 단어 기반에 속하는 경우) 무성 파열음(k, p, q, t)을 보존합니다".[12] 비교:
노스 슬로프 | Malimiutun | Seward Peninsula 방언 | Uummarmiut | 영어 |
---|---|---|---|---|
nivliqsuq | nipliqsuq | nivliraqtuq | 소리를 낸다 | |
igniq | ikniq | ikniq | 불 | |
annuġaak | atnuġaak | atar̂aaq | 의복 |
다음과 같은 경구개음화 패턴이 북극권 이누피아크어에서 발생할 수 있다: /t/ → /t̚ʲ/, 또는 /s/; → ; → ; 그리고 /n/ → 경구개음화는 이 네 개의 치경음 중 하나가 강한 ''i'' 앞에 올 때만 발생한다. 다음을 비교하라:
I의 유형 | 예시 |
---|---|
강함 | qimmiq → qimmit|/qimːiq/ → /qimːit̚ʲ/|개 → 개들ik |
약함 | tumi → tumit|/tumi/ → /tumit/|발자국 → 발자국들ik |
강함 | iġġi → iġġiḷu|/iʁːi/ → /iʁːiʎu/|산 → 그리고 산ik |
약함 | tumi → tumilu|/tumi/ → /tumilu/|발자국 → 그리고 발자국ik |
: /t̚ʲ/ 음은 자체적인 문자가 없으며, 단순히 T t로 표기된다는 점에 유의하라. 위의 모음의 IPA 표기는 부정확할 수 있다.
모음을 선행하는 t가 경구개음화되면 /s/가 된다. 강한 ''i''는 전체 자음군에 영향을 미쳐, 군 내에서 경구개음화될 수 있는 모든 자음을 경구개음화시킨다. 따라서:
I의 유형 | 예시 |
---|---|
강함 | qimmiq + tigun → qimmisigun|/qimmiq/ + /tiɣun/ → /qimːisiɣun/|개 + 복수적 대상들 중 → 개들 중에서ik |
강함 | puqik + tuq → puqiksuq|/puqik/ + /tuq/ → /puqiksuq/|똑똑하다 + 그녀/그/그것 → 그녀/그/그것은 똑똑하다ik |
: 첫 번째 예시에서, 접미사의 특성상 /q/가 탈락된다는 점에 유의하라. 첫 번째 예시 세트와 마찬가지로, 위의 모음의 IPA 표기는 부정확할 수 있다.
강한 ''i''가 이중 자음에 선행하는 경우, 전체 연장된 자음이 경구개음화된다. 예를 들어: niġ'''ḷḷ'''aturuq와 tiki'''ññ'''iaqtuq.[15]
강한 ''i''는 모음과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약한 ''i''는 그렇지 않다.[16] 약한 i는 다른 모음과 결합되거나, ''i'' 앞의 자음이 중복될 경우 ''a''가 된다. 이 규칙은 다른 방언에는 적용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따라서:
i의 종류 | 예시 |
---|---|
약한 | tumi → tumaa|/tumi/ → /tumaː/|발자국 → 그녀/그의 발자국ik |
강한 | qimmiq → qimmia|/qimːiq/ → /qimːia/|개 → 그녀/그의 개ik |
약한 | kamik → kammak|/kamik/ → /kamːak/|부츠 → 두 개의 부츠ik |
>위 모음의 IPA 표기는 처음 두 예시처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Uummarmiutun 방언의 경우:[18]
다음은 음운 규칙이다.
/f/는 항상 중자음으로 나타난다.
/j/는 중자음이 될 수 없으며, 항상 모음 사이에 오거나 /v/ 앞에 위치한다. 드물게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다.
/h/는 중자음이 되지 않으며, 단어의 첫 글자, 모음 사이, 또는 /k/ /ɬ/ 또는 /q/ 앞에 나타날 수 있다.
와 는 항상 중자음이거나 /t/ 앞에 위치한다.
는 모음 사이, 자음 /k/ /q/ /t/ 또는 /v/ 앞에 나타나거나, , /v/, 의 뒤에 올 수 있다.
4. 3. 음운 규칙
이누피아크어 방언은 사용되는 자음에서 광범위한 차이를 보이지만, 두 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으로 나타나는 자음군은 존재하지 않는다. 단어는 자음군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15]모든 이누피아크어 방언은 세 가지 기본 모음 /a i u/를 가진다.[15][12] 세 모음 모두 길거나 짧을 수 있으며, 이는 여섯 개의 음소 모음 /a aː i iː u uː/의 체계를 형성한다. 모음 길이는 표기법에서 두 개의 문자로 표시된다: ⟨aa⟩, ⟨ii⟩, ⟨uu⟩.[15] 다음과 같은 이중 모음이 발생한다: /ai ia au ua iu ui/.[15][18] 이누피아크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모음이 연속해서 나타나지 않는다.[15]
베링 해협 방언은 네 번째 모음 /e/를 가지며, 이는 재구축된 네 번째 원시 에스키모어 모음 */ə/를 보존한다.[15][12] 다른 방언에서는 원시 에스키모어 */e/가 닫힌 전설 모음 /i/와 병합되었다. 병합된 /i/는 "강한 /i/"라고 불리며, 북부 경사 방언에서 자음군 앞에 오면 구개음화를 유발한다. 다른 /i/는 "약한 /i/"라고 불린다. 약한 /i/와 강한 /i/는 표기법에서 구별되지 않으므로,[15] ⟨i⟩가 구개음화를 나타내는지 알 수 없다.[16] 그러나 단어 내에서 구개 자음 앞에 ⟨i⟩가 오면 강한 /i/라고 가정할 수 있다. 치경 자음 앞에 ⟨i⟩가 오면 약한 /i/이다.[16]
단어는 파열음(구개 파열음 /c/ 제외), 마찰음 /s/, 비음 /m n/, 모음 또는 반모음 /j/로 시작한다. 차용어, 고유 명사, 감탄사는 세워드 반도 방언과 북부 경사 방언 모두에서 모든 분절음으로 시작할 수 있다.[15] 움마르미우툰 방언에서는 단어가 /h/로 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북부 경사 및 리틀 디오메드 섬 방언에서 "귀"를 뜻하는 단어는 ''siun''인 반면, 움마르미우툰에서는 ''hiun''이다.
단어는 모든 비음 (북부 경사에서 발견되는 /ɴ/ 제외), 파열음 /t k q/ 또는 모음으로 끝날 수 있다. 북부 경사 방언에서는 단어가 m으로 끝나고 다음 단어가 파열음으로 시작하면, m은 /p/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aġna'''m t'''upiŋa,''는 /aʁna'''p''' tupiŋa/로 발음된다.[15]
이누피아크어의 운율에 대한 정보는 거의 수집되지 않았다.[15]
두 자음은 조음 방식이 같지 않으면 함께 나타날 수 없다(이 경우 측면 자음과 접근 자음을 마찰음으로 취급).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유성 마찰 자음이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노스 슬로프의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므로 무성 파열음을 유성 자음으로 동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필요한 동화가 발생한다.
이 과정은 클러스터의 첫 번째 자음을 다음 자음에 동화시켜 실현된다. 1) 동화되는 자음과 동일(또는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를 가지고; 그리고 2) 동화되는 두 번째 자음과 동일한 조음 방식을 가집니다.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인 경우 첫 번째 자음은 가능하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으로 동화된다.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 자음은 마찰음으로 동화된다. 따라서:
IPA | 예시 |
---|---|
/kn/ → /ɣn/ 또는 → /ŋn/ | |
/qn/ → /ʁn/ 또는 → /ɴ/ * | |
/tn/ → /nn/ | |
/tm/ → /nm/ | |
/tɬ/ → /ɬɬ/ |
- 음소 /ɴ/은 정자법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철자 '''ġn'''은 /ʁn/ 또는 /ɴn/으로 발음할 수 있다.
파열음 /t̚ʲ/와 /t/는 해당 유성 마찰음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로 동화된다. 이 경우 /t̚ʲ/는 유성 접근음 /j/로 동화된다. /t/는 /ʐ/로 동화된다. 따라서:
IPA | 예시 |
---|---|
/t̚ʲɣ/ → /jɣ/ | |
/TV/ → /ʐv/ |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인 경우 측면 자음은 다시 마찰음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IPA | 예시 |
---|---|
/ml/ → /ml/ 또는 → /vl/ | |
/nl/ → /nl/ 또는 → /ll/ |
유성 마찰음이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므로 두 자음 클러스터 모두 가능하다.
음소 /f/, /x/ 및 /χ/는 정자법으로 표현되지 않는다(모음 사이에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제외). 따라서:
IPA (발음) | 예시 |
---|---|
/qɬ/ → /χɬ/ | |
/kʂ/ → /xʂ/ | |
/vs/ → /fs/ |
이러한 일반적인 동화 기능은 Uummarmiut, Malimiutun 또는 Seward Peninsula 방언과 공유되지 않는다. Malimiutun과 Seward Peninsula 방언은 "어원적으로(즉, 원래 단어 기반에 속하는 경우) 무성 파열음(k, p, q, t)을 보존합니다".[12] 비교:
노스 슬로프 | Malimiutun | Seward Peninsula 방언 | Uummarmiut | 영어 |
---|---|---|---|---|
nivliqsuq | nipliqsuq | nivliraqtuq | 소리를 낸다 | |
igniq | ikniq | ikniq | 불 | |
annuġaak | atnuġaak | atar̂aaq | 의복 |
다음과 같은 경구개음화 패턴이 북극권 이누피아크어에서 발생할 수 있다: /t/ → /t̚ʲ/, /tʃ/ 또는 /s/; /ɬ/ → /ʎ̥/; /l/ → /ʎ/; 그리고 /n/ → /ɲ/. 경구개음화는 이 네 개의 치경음 중 하나가 강한 ''i'' 앞에 올 때만 발생한다. 다음을 비교하라:
I의 유형 | 예시 |
---|---|
강함 | |
약함 | |
강함 | |
약함 |
: /t̚ʲ/ 음은 자체적인 문자가 없으며, 단순히 T t로 표기된다.
모음을 선행하는 t가 경구개음화되면 /s/가 된다. 강한 ''i''는 전체 자음군에 영향을 미쳐, 군 내에서 경구개음화될 수 있는 모든 자음을 경구개음화시킨다. 따라서:
I의 유형 | 예시 |
---|---|
강함 | |
강함 |
강한 ''i''가 이중 자음에 선행하는 경우, 전체 연장된 자음이 경구개음화된다. 예를 들어: niġ'''ḷḷ'''aturuq와 tiki'''ññ'''iaqtuq.[15]
강한 ''i''는 모음과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약한 ''i''는 그렇지 않다.[16] 약한 i는 다른 모음과 결합되거나, ''i'' 앞의 자음이 중복될 경우 ''a''가 된다. 이 규칙은 다른 방언에는 적용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따라서:
i의 종류 | 예시 |
---|---|
약한 | |
강한 | |
약한 |
다음은 음운 규칙이다.
/f/는 항상 중자음으로 나타난다.
/j/는 중자음이 될 수 없으며, 항상 모음 사이에 오거나 /v/ 앞에 위치한다. 드물게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다.
/h/는 중자음이 되지 않으며, 단어의 첫 글자, 모음 사이, 또는 /k/ /ɬ/ 또는 /q/ 앞에 나타날 수 있다.
/tʃ/와 /dʒ/는 항상 중자음이거나 /t/ 앞에 위치한다.
/ʐ/는 모음 사이, 자음 /ɣ/, /k/, /q/, /ʁ/, /t/ 또는 /v/ 앞에 나타나거나, /ɣ/, /v/, /ʁ/의 뒤에 올 수 있다.
5. 문자 체계
19세기 중후반, 러시아, 영국, 미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이누피아트족과 접촉하였다. 1885년, 미국 자치 정부는 셸던 잭슨 목사를 교육 총괄 대리인으로 임명했다.[6] 그의 행정 아래에서 이누피아트족(및 모든 알래스카 원주민)은 영어만 사용하는 환경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누피아크어 및 알래스카의 다른 원주민 언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수십 년 동안 이누피아크어 사용 시 엄격한 처벌이 가해지는 영어만 사용하는 교육을 받은 후, 1970년대 이후 대부분의 이누피아트족은 자녀가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하다 처벌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이누피아크어를 자녀에게 전수하지 않았다.
1972년, 알래스카 주의회는 "최소 15명 이상의 학생이 다니는 학교의 주 언어가 영어가 아닌 경우, [해당 학교는] 원어에 능통한 교사를 최소 한 명 이상 두어야 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7]
오늘날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는 이누피아크 언어 및 문화 학사 학위를 제공하며, 니카이추아트 일리사그비아트(Nikaitchuat Iḷisaġviat)라는 유치원/초등학교 수준의 이누피아크어 몰입 학교는 코체부에서 유치원-1학년 과정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 이누피아크어는 영어 및 다른 19개 원주민 언어와 함께 알래스카주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5]
2018년, 페이스북은 웹사이트에 이누피아크어를 언어 옵션으로 추가했다.[8] 2022년에는 워들의 이누피아크어 버전이 만들어졌다.[9][10]
세워드 반도 이누피아크어:[11]
colspan=2| | 치경음 | 경구개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mipa | n|nipa | ŋ|ŋipa | |||||
파열음 | p|pipa | t|tipa | tʃ|tʃipa | k|kipa | q|qipa | ʔ|ʔipa | ||
b|bipa | ||||||||
마찰음 | s|sipa | ʂ|ʂipa | h|hipa | |||||
v|vipa | z|zipa | ʐ|ʐipa | ɣ|ɣipa | ʁ|ʁipa | ||||
설측음 | ɬ|ɬipa | |||||||
l|lipa | ||||||||
접근음 | w|wipa | j|jipa | ɻ|ɻipa |
다른 이누피아크어 방언과 달리 세워드 반도 방언은 중설 모음 e를 가지고 있다(음운론 부분의 시작 부분을 참조).
6. 문법
이누피아크어는 단어가 매우 길어질 수 있는 다합성어이다. 단어는 동사, 명사, 지시사 어간 중 하나와 후어, 문법적 어미, 첨철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15] 어간은 단어의 의미를, 어미는 격, 법, 시제, 인칭, 복수 등을 나타낸다. 어간은 단순형(후어가 없음) 또는 복합형(하나 이상의 후어가 있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누피아크어에서 "후어"는 영어의 부사, 형용사, 접두사, 접미사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시제를 표시한다.[15]
말리미우툰 이누피아크어에는 명사, 동사, 부사, 대명사, 접속사, 감탄사 등 여섯 개의 품사가 있다. 모든 지시사는 부사 또는 대명사로 분류된다.[21]
이누피아크어는 단수, 이중수, 복수의 수 범주를 가진다. 능격-절대격 체계를 따르며, 명사는 수, 격, 소유에 따라 굴절된다.[15] 이누피아크어(말리미우툰)는 9개의 격(능격, 절대격, 도구격, 향격, 탈격, 위격, 통과격, 유사격, 호격)을 갖는다.[21] 북부 슬로프 이누피아크어는 호격이 없다.[15] 성과 관사는 없다.
이누피아크어(말리미우트 방언 포함)는 대부분 형태론적 수단으로 구문 작업을 수행한다.[21] 명사 격 표시와 동사 일치를 통해 능격-절대격 격 체계를 따른다.[21]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유연하며 주어/목적어가 생략될 수 있다. 타동사 주어(능격)는 목적어(절대격)보다 앞에, 자동사 주어(절대격)는 동사보다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자동사 주어와 목적어(절대격)는 보통 동사 바로 앞에 온다.[21]
이누피아크어 문법은 형태론적 수동태, 반수동태, 사동태, 적용태를 포함한다. 명사 결합은 말리미우툰 이누피아크어에서 흔하다.
6. 1. 명사
이누피아크어의 명사는 다른 문법 요소들과 결합하여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자음 동화이누피아크어는 자음이 연속될 때, 발음의 편의를 위해 앞 자음이 뒷 자음에 동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 두 자음은 조음 방식이 같지 않으면 함께 나타날 수 없다(측면 자음과 접근 자음을 마찰음으로 취급).
- 유성 마찰 자음은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 노스 슬로프의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므로, 무성 파열음을 유성 자음으로 동화시켜야 한다.
동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동화되는 자음과 동일(또는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를 가진다.
2. 동화되는 두 번째 자음과 동일한 조음 방식을 가진다.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인 경우, 첫 번째 자음은 가능하면 측면 자음 또는 접근 자음으로 동화된다.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 자음은 마찰음으로 동화된다.
IPA | 예시 | 설명 |
---|---|---|
/kn/ → /ɣn/ 또는 → /ŋn/ | 장화를 신다 + will + 그 → 그는 장화를 신을 것이다 | |
/qn/ → /ʁn/ 또는 → /ɴ/ | 공부하다 + will + 그 → 그는 공부할 것이다 | |
/tn/ → /nn/ | 달리다 + will + 그 → 그는 달릴 것이다 | |
/tm/ → /nm/ | 일어나다 + 그가 → 그가 일어났을 때 | |
/tɬ/ → /ɬɬ/ | 서다 + ---하는 것으로 → 일어나서, 그 ... |
- /ɴ/ 음소는 정자법으로 표현되지 않아, '''ġn'''은 /ʁn/ 또는 /ɴn/으로 발음될 수 있다.
파열음 /t̚ʲ/와 /t/는 해당 유성 마찰음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조음 위치로 동화된다.
- /t̚ʲ/는 유성 접근음 /j/로 동화
- /t/는 /ʐ/로 동화
IPA | 예시 | 설명 |
---|---|---|
/t̚ʲɣ/ → /jɣ/ | 다람쥐 + 그렇다고 한다 → 다람쥐라고 한다 | |
/TV/ → /ʐv/ | 달리다 + 장소 → 경마장 |
두 번째 자음이 측면 자음인 경우, 측면 자음은 마찰음으로 취급되어 동화된다.
IPA | 예시 | 설명 |
---|---|---|
/ml/ → /ml/ 또는 → /vl/ | (의) 여자 + 그리고 → 그리고 (의) 여자 | |
/nl/ → /nl/ 또는 → /ll/ | 남자 + 그리고 → 그리고 남자 |
- 유성 마찰음이 비음 자음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므로 두 자음 클러스터 모두 가능하다.
/f/, /x/, /χ/는 정자법으로 표현되지 않지만(모음 사이에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제외), 동화는 여전히 발생한다.
IPA (발음) | 예시 | 설명 |
---|---|---|
/qɬ/ → /χɬ/ | 아이 | |
/kʂ/ → /xʂ/ | 다람쥐 | |
/vs/ → /fs/ | 벨트 |
경구개음화북극권 이누피아크어에서는 /t/ → /t̚ʲ/, /tʃ/ 또는 /s/; /ɬ/ → /ʎ̥/; /l/ → /ʎ/; /n/ → /ɲ/ 와 같은 경구개음화 패턴이 나타난다.
- 경구개음화는 이 네 개의 치경음 중 하나가 강한 ''i'' 앞에 올 때만 발생
I의 유형 | 예시 | 설명 |
---|---|---|
강함 | 개 → 개들 | |
약함 | 발자국 → 발자국들 | |
강함 | 산 → 그리고 산 | |
약함 | 발자국 → 그리고 발자국 |
- /t̚ʲ/ 음은 자체적인 문자가 없으며, 단순히 T t로 표기된다.
모음을 선행하는 t가 경구개음화되면 /s/가 된다. 강한 ''i''는 전체 자음군에 영향을 미쳐, 군 내에서 경구개음화될 수 있는 모든 자음을 경구개음화시킨다.
I의 유형 | 예시 | 설명 |
---|---|---|
강함 | 개 + 복수적 대상들 중 → 개들 중에서 | |
강함 | 똑똑하다 + 그녀/그/그것 → 그녀/그/그것은 똑똑하다 |
- 첫 번째 예시에서, 접미사의 특성상 /q/가 탈락된다.
강한 ''i''가 이중 자음에 선행하는 경우, 전체 연장된 자음이 경구개음화된다. (예: niġ'''ḷḷ'''aturuq와 tiki'''ññ'''iaqtuq)
격조사이누피아크어는 명사에 격조사를 붙여 문장에서의 역할을 나타낸다.
- 도구격: 주어가 어떤 것을 달성하는 수단, 자동사의 객체, 새로운 정보, 일부 타동사의 부정 객체, 다른 명사의 의미 구체화 등을 나타낸다.
예시 | 설명 |
---|---|
사냥꾼은 작살로 회색 고래를 죽였습니다. | |
우리는 배에 페인트칠을 하고 있습니다. | |
그들은 그에게 편지를 보냈습니다. | |
우리(2인칭)는 음식으로 순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 |
딸이 몇 명 있습니까? |
어미 | 예시 | 설명 | |
---|---|---|---|
단수 | -mik | 부츠 → (~으로) 부츠 | |
쌍수 | [쌍수 절대격 어간] -nik | (두 개) 부츠 → (두 개의) 부츠로 | |
복수 | [단수 절대격 어간] -nik | 부츠 → (여러 개) 부츠로 |
- 어미가 쌍수와 복수 모두 동일하므로 다른 어간이 사용된다.
- 모든 예에서 k는 ŋ으로 동화된다.
- 전향격: 목표를 향한 움직임이나 행위, 진술의 목적, 수혜자, 주소를 지정하는 명사 등을 나타낸다.
전향격의 용법[21] | 예시 | 설명 |
---|---|
Qaliŋak이 Nauyaq에게 코트를 빌려주었다. | |
그는 집 안으로 들어갔다. | |
우리는 축제를 위해 식사를 준비할 것이다. | |
분명히 Piquk은 아기를 위해 담요를 짠다. | |
그들(복수)은 Qaliŋak에게 말했다. |
어미 | 예시 | 설명 | |
---|---|---|---|
단수 | -mun | 소녀 → (그 소녀에게) | |
쌍수 | [쌍수 절대격 어간] -nun | ((두 명의) 소녀들) → ((두 명의) 소녀들과 함께) | |
복수 | [단수 절대격 어간] -nun | 소녀 → (두 명의 소녀들에게) |
- 이 예시가 쌍수형에 정규적인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6. 2. 동사
이누피아크어는 다합성어로, 단어가 매우 길어질 수 있으며, 세 가지 어간(동사 어간, 명사 어간, 지시사 어간) 중 하나와 세 가지 어미(후어, (문법적) 어미, 첨철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15] 어간은 단어의 의미를, 어미는 격, 법, 시제, 인칭, 복수 등을 나타낸다. 어간은 단순형(후어가 없음) 또는 복합형(하나 이상의 후어가 있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누피아크어에서 "후어"는 영어에서 부사, 형용사, 접두사 및 접미사가 하는 역할과 다소 유사하며 다양한 시제를 표시한다.[15] 말리미우툰 이누피아크어에는 명사, 동사, 부사, 대명사, 접속사, 감탄사 등 여섯 개의 품사가 있다. 모든 지시사는 부사 또는 대명사로 분류된다.[21]말리미우툰 이누피아크어를 기준으로 동사의 기본 구조는 [(동사) + (파생 접사) + (굴절 접사) + (첨철어)]이다. Lanz (2010)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선택적인 접사를 ... 분석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21] 모든 동사는 인칭, 수, 법에 대한 필수적인 굴절(모두 단일 접사로 표시)을 가지며, 시제, 상, 양태와 같은 다른 굴절 접사와 부사적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접사를 가질 수 있다.[21]
시제 표시는 항상 선택 사항이며, 명시적으로 표시되는 유일한 시제는 미래 시제이다. 과거 및 현재 시제는 표시할 수 없으며 항상 암시된다. 모든 동사는 부사를 통해 상대적인 시간(예: "어제" 또는 "내일"과 같은 단어 사용)을 표시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가 모두 없는 경우 동사는 과거, 현재 또는 미래 시제를 암시할 수 있다.[21]
이누피아크어 동사에서 상(aspect) 표시는 선택 사항이다. 북부 슬로프 방언과 말리미우트 방언 모두 상에서 완료상과 미완료상의 구분을 가지며, 다음과 같은 다른 구분도 존재한다. 빈도상 (-ataq; "반복적으로 동사"), 습관상 (-suu; "항상, 습관적으로 동사"), 개시상 (-łhiñaaq; "막 동사하려 하다"), 의도상 (-saġuma; "동사할 의도"). 상 접미사는 동사 어근 뒤, 그리고 의무적인 인칭-수-법 접미사 앞 또는 그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누피아크어는 직설법, 의문법, 명령법 (긍정, 부정), 공동법, 조건법을 가진다.[21][22] 분사는 때때로 무드로 분류되기도 한다.[21]
직설법 어미는 아래 표와 같이 타동사 또는 자동사가 될 수 있다.
직설법 자동사 어미 | 직설법 타동사 어미 | ||||||||||||||
---|---|---|---|---|---|---|---|---|---|---|---|---|---|---|---|
colspan="4" rowspan="2" | | 목적어 | colspan="2" rowspan="2" | | |||||||||||||
무드 표시자 | 3인칭 단수 | 3인칭 복수 | 3인칭 복수 | 2인칭 단수 | 2인칭 복수 | 2인칭 복수 | 1인칭 단수 | 1인칭 복수 | 1인칭 복수 | ||||||
+t/ru | ŋa | 1인칭 단수 | 주어 | +kI/gI | ga | kka | tka | kpiñ | vsik | vsI | 1인칭 단수 | 주어 | |||
tin | 2인칭 단수 | n | kkiñ | tin | ŋma | vsiguk | vsigut | 2인칭 단수 | |||||||
q | 3인칭 단수 | +ka/ga | a | ik | I | atin | asik | asI | aŋa | atiguk | atigut | 3인칭 단수 |
6. 3. 통사
이누피아크어는 다합성어로서, 단어가 매우 길어질 수 있으며, 세 가지 어간(동사 어간, 명사 어간, 지시사 어간) 중 하나와 세 가지 어미(후어, (문법적) 어미, 첨철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15] 어간은 단어의 의미를, 어미는 격, 법, 시제, 인칭, 복수 등을 나타낸다. 어간은 단순형(후어 없음) 또는 복합형(하나 이상의 후어 있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누피아크어에서 "후어는 영어에서 부사, 형용사, 접두사 및 접미사가 하는 역할과 다소 유사하며" 다양한 시제를 표시한다.[15]말리미우툰 이누피아크어에는 명사, 동사, 부사, 대명사, 접속사, 감탄사 등 여섯 개의 품사가 있다. 모든 지시사는 부사 또는 대명사로 분류된다.[21]
이누피아크어의 수 범주는 단수, 이중수, 복수를 구분한다. 이 언어는 능격-절대격 체계를 따르며, 명사는 수, 여러 격, 소유에 따라 굴절된다.[15] 이누피아크어(말리미우툰)는 9개의 격을 가지며, 2개의 핵심 격(능격 및 절대격)과 7개의 사격(도구격, 향격, 탈격, 위격, 통과격, 유사격, 호격)이 있다.[21] 북부 슬로프 이누피아크어는 호격이 없다.[15] 이누피아크어는 성과 관사의 범주를 갖지 않는다.
이누피아크어의 말리미우트 방언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이누이트어의 거의 모든 구문 작업은 형태론적 수단을 통해 수행된다.[21] 이 언어는 주로 명사 격 표시와 동사 일치를 통해 나타나는 능격-절대격 격 체계를 따른다(위 참조).[21]
기본적인 단어 순서는 주어-목적어-동사이다. 그러나 단어 순서는 유연하며 주어 및/또는 목적어가 생략될 수 있다. 타동사의 주어(능격으로 표시)가 절의 목적어(절대격으로 표시)보다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자동사의 주어(절대격으로 표시)가 동사보다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자동사의 주어와 절의 목적어(둘 다 절대격으로 표시)는 일반적으로 동사 바로 앞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경향일 뿐이다."[21]
이누피아크어 문법은 또한 형태론적 수동태, 반수동태, 사동태, 적용태를 포함한다.
명사 결합은 말리미우툰 이누피아크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첫 번째 유형의 명사 결합은 ''어휘 복합''이다. 이 명사 결합의 하위 집합 내에서 동사에 관련된 도구, 위치 또는 대상체를 나타내는 명사는 동사 어간의 앞에 붙어 새로운 자동사를 생성한다. 두 번째 유형은 ''격 조작''이다. 이 형태의 명사 결합이 이누피아크어에서 명사 결합으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의미적으로 타동적인 명사 결합"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 유형의 명사 결합에서는 동사가 타동사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명사구 주어는 통사적으로 동사에 결합되지 않고 도구격으로 표시된 객체로 결합된다. 세 번째 유형의 결합인 ''담화 구조 조작''은 Mithun (1984)에 의해 지지되고 Lanz (2010)에 의해 반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Lanz의 논문을 참조하라.[21] 마지막 유형의 결합은 ''분류 명사 결합''으로, "일반 명사가 동사에 결합되는 반면, 더 구체적인 명사는 범위를 좁힌다".[21] 이 유형의 결합을 사용하면 외부 명사가 외부 수식어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결합과 마찬가지로 동사는 자동사가 된다.
교체 참조는 종속절에서만 3인칭 주어와 함께 나타난다. 종속절의 3인칭 주어가 주절(더 구체적으로는 모절)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 동사는 재귀적으로 표시되어야 한다.[21]
예시 | 비고 |
---|---|
모절의 동사(먹다)는 종속절의 동사(배고파지다)가 재귀적이기 때문에 동일한 사람을 가리킨다. 따라서 한 사람이 배고파서 먹었다. | |
모절의 동사(먹다)는 종속절의 동사(배고파지다)가 비재귀적이기 때문에 다른 단일 사람을 가리킨다. |
7. 어휘 비교
이누피아크어의 4가지 방언(노스 슬로프 이누피아크어, 노스웨스트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 킹 아일랜드 이누피아크어, 카위아락 방언)에 따른 어휘 비교는 다음과 같다.[26][27][28]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kipigniu[...]
Kipiġniuqtit Iñupiuraallanikun
2023-09-11
[2]
웹사이트
Alaska OKs Bill Making Native Languages Official
https://www.npr.org/[...]
2014-04-21
[3]
웹사이트
Populations and Speakers |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https://web.archive.[...]
2016-08-11
[4]
웹사이트
Iñupiatun, North Alaskan
https://www.ethnolog[...]
[5]
뉴스
Alaska's indigenous languages now official along with English
https://www.reuters.[...]
2017-02-19
[6]
웹사이트
Sheldon Jackson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alaskool.[...]
2016-08-11
[7]
논문
Alaska Native language legislation
1974
[8]
웹사이트
Facebook adds Alaska's Inupiaq as language option
https://www.pbs.org/[...]
NewsHour Productions LLC
2021-12-03
[9]
웹사이트
Alaskan doctoral student creates Iñupiaq Wordle version
https://www.alaskasn[...]
2022-02-22
[10]
웹사이트
Wordle takes off — this time, in Iñupiaq
https://www.adn.com/[...]
[11]
웹사이트
Iñupiaq/Inupiaq
http://www.languageg[...]
languagegeek.com
2007-09-28
[12]
서적
The Language of the Inuit: Syntax, Semantics, and Society in the Arcti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3]
서적
Traditional Eskimo Societies in Northwest Alaska
[14]
서적
The North Alaskan Eskimo: A study in ecology and society
[15]
서적
North Slope Iñupiaq Grammar: First Year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College of Liberal Arts;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16]
서적
Phonological Issues In North Alaska Iñupiaq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Fairbanks
[17]
서적
North Slope Iñupiaq Literacy Manual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18]
서적
Uummarmiut Uqalungiha Mumikhitchiȓutingit: Basic Uummarmiut Eskimo Dictionary
Committee for Original Peoples Entitlement
[19]
웹사이트
Project Naming
http://www.collectio[...]
[20]
논문
L'Iñupiaq et les contacts linguistiques en Alaska
CNRS Éditions
[21]
논문
A grammar of Iñupiaq morphosyntax
https://scholarship.[...]
Rice University
2010
[22]
서적
Iñupiatun Eskimo Dictionary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3]
서적
Iñupiatun Uqaluit Taniktun Sivuninit / Iñupiaq to English Dictionary
[24]
웹사이트
Inupiaq numbers
https://www.language[...]
[25]
서적
Iñupiatun Uqaluit Taniktun Sivuninit/Iñupiaq to English Dictionary
University of Alaska
2014
[26]
웹사이트
Interactive IñupiaQ Dictionary
http://www.alaskool.[...]
Alaskool.org
2012-08-23
[27]
웹사이트
Ugiuvaŋmiuraaqtuaksrat / Future King Island Speakers
http://www.ankn.uaf.[...]
Ankn.uaf.edu
2012-08-23
[28]
서적
Iġałuiŋmiutullu Qawairaġmiutullu Aglait Nalaunaitkataat
Atuun Publishing Company
[29]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6-08-11
[30]
웹인용
Inupiatun, North Alaskan
https://www.ethnolog[...]
[31]
뉴스
Alaska's indigenous languages now official along with English
https://www.reuters.[...]
2017-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