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크티투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그린란드, 미국 알래스카 지역의 이누이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역사적으로 구두 언어로 전승되었으며, 유럽인과의 접촉 이후 문자를 갖게 되었다. 현재는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와 누나부트, 퀘벡, 래브라도 등에서 공용어 지위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이누크티투트어는 교착어이자 포합어이며, 풍부한 형태론적 체계를 갖추고 있다. 표기 체계는 지역에 따라 라틴 문자, 이누크티투트 음절 문자 등 다양하게 사용되며, 점자 코드도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이트어 - 이누피아크어
이누피아크어는 알래스카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5,000년 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수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20진법을 사용하는 다합성어이자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이누이트어 - 이누비알룩툰어
이누비알룩툰어는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에서 쓰이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캉기리우아르미우툰어, 우움마르미우툰어, 시글리툰어 세 개의 변종으로 구성되며 로마자로 표기하지만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그린란드의 공식 언어로, 1200년대 툴레인의 이주로 전래되어 서그린란드어, 동그린란드어, 북그린란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정부 수립 후 강화 정책으로 지위를 확보했음에도 유네스코는 "취약한" 언어로 분류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진 능격-대격어이지만 주격-대격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유픽어
유픽어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언어군으로, 교착어이며 다합성어의 특징을 보이고,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와 영어 키보드 입력이 가능한 문자가 개발되었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이누크티투트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이누크티투트어 |
다른 이름 | 동부 캐나다 이누크티투트어 |
로마자 표기 | Inuktitut |
원어 이름 | ᐃᓄᒃᑎᑐᑦ, inuktitut |
![]() | |
사용 국가 | 캐나다 |
사용 지역 |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투카부트, 누나치아부트(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누나비크(퀘벡 주), 누나부트 준주 |
모어 화자 | 37,570명 (2021년 센서스) |
전체 화자 | 41,680명 (2021년 센서스, L1 + L2) |
어족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어파 | 에스키모어군 |
어군 | 이누이트어군(이눅투트어) |
조상 언어 |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 |
조상 언어2 | 원시 에스키모어 |
조상 언어3 | 원시 이누이트어 |
방언 | 키키크탈루크 우안나가니(북 배핀) 키키크탈루크 니기아니(남 배핀) 누나비미우티투트(퀘벡) 이누티투트(래브라도) 이눅툰(툴레) |
문자 | 이누크티투트 음절 문자, 이누크티투트 점자, 라틴 문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누나부트 준주, 노스웨스트 준주 |
소수 언어 지정 지역 | 퀘벡 주(누나비크),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누나투카부트(누나치아부트), 유콘 준주(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 |
관리 기관 | 이누이트 타피리이트 카나타미 및 다양한 지역 기관 |
ISO 639-1 | iu |
ISO 639-2 | iku |
ISO 639-3 | iku |
Glottolog | east2534 |
Glottolog 이름 | 동부 캐나다 이누크티투트어 |
사용자 정보 | |
민족 | 이누크, ᐃᓄᒃ, 이누우크, ᐃᓅᒃ(쌍수) |
민족 | 이누이트, ᐃᓄᐃᑦ |
언어 | 이누이트어군 |
국가 | 이누이트 누낭가트, ᐃᓄᐃᑦ ᓄᓇᖓᑦ |
2. 역사적 배경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시기, 이누이트는 모범을 보이고 실제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필요한 기술을 익혔다. 당시 이누크티투트어는 순수한 구두 언어로서, 이누이트의 전통적인 관습과 주변의 자연적 특징을 묘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어휘를 충분히 갖추고 있었다.[7][36]
유럽 식민주의가 확산되면서 캐나다에 유럽식 학교 제도가 도입되었다. 성공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선교사들은 학교를 세워 이누이트에게 정규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교육에 이누크티투트어를 사용하고 이를 위한 문자 체계를 개발하기도 했다.[8][37]
그러나 1928년 최초의 이누이트 기숙 학교가 문을 열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영어가 주요 교육 언어로 지정되었고, 캐나다 정부가 북부 지역에 대한 관여를 늘리면서 이누이트 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영어가 모든 공적 영역에서의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간주되었다. 당시 캐나다 관리들은 이누이트가 영어로 소통하지 못하면 일자리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고, 이로 인해 이누이트는 학교, 직장, 심지어 놀이터에서까지 영어를 사용하도록 강제되었다.[9][38]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누이트는 이누크티투트어를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여겼고, 영어는 주로 경제 활동을 위한 도구로 인식하게 되었다.[7][36]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누크티투트어에 대한 유럽인들의 태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누크티투트어가 보존할 가치가 있는 언어로 여겨지게 되었으며, 특히 학령기 초기 아동에게는 모국어를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이는 이중 언어 학교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마침내 1969년, 대다수의 이누이트는 기존의 연방 학교를 폐지하고 Direction générale du Nouveau-Québec|뉴퀘벡 일반 국프랑스어 (DGNQ)이 운영하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으로 대체하는 데 찬성했다. 이 새로운 시스템 하에서는 이누크티투트어, 영어, 프랑스어 세 언어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9][38]
2. 1. 법적 지위
이누크티투트어는 1984년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10] 이 지위는 1988년 개정된 노스웨스트 준주 공식 언어법에 의해 보장된다.[39] 1999년 노스웨스트 준주가 기존 노스웨스트 준주와 누나부트로 분리된 이후에도 두 준주 모두 이 공용어법을 유지하고 있다.[10][40]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이누이나크툰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두 언어를 합쳐 'Inuktut'이라고 부른다. 또한 노스웨스트 준주의 공식 원주민어 8개 중 하나이다.[40]래브라도 반도의 이누이트 자치 지역인 누나치아부트는 2005년 이누크티투트어를 정부의 공식 언어로 지정했으며,[11] 이는 캐나다 연방 정부 및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와의 협정 비준에 따라 법적으로 승인되었다. 퀘벡 주의 누나빅 지역에서는 제임스 만 및 북부 퀘벡 협정에 따라 이누크티투트어의 법적 사용이 승인되었고, 특히 교육 시스템에서 이 언어의 사용을 인정하고 있다.[11][41] 또한 프랑스어 헌장은 이누크티투트어 사용 지역에서 문자 사용을 포함한 학교 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 방언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의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주요 사용 지역은 수목 한계선 이남,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퀘벡 주, 매니토바 주 북동부, 누나부트 준주, 노스웨스트 준주 등이다. 과거에는 유콘 준주의 북극해 연안에서도 사용되었다.
누나부트 준주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이누인나크툰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두 언어를 합쳐 'Inuktut'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0] 또한, 퀘벡 주 누나빅 지역에서는 제임스만 및 북부 퀘벡 협정에 따라 법적 사용이 보장되며, 프랑스어 헌장은 이누크티투트어 사용 지역에서의 학교 교육을 규정하고 있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의 누나치아부트 지역 역시 연방 정부 및 주 정부와의 협정에 따라 유사한 법적 지위를 갖는다.
'이누크티투트어'라는 용어는 때때로 이누비알루크툰어를 포함한 캐나다 이누이트어의 여러 지방어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누이트의 생활권이 광범위하여 지역별로 뚜렷한 방언 차이가 나타난다. 주요 방언 권역으로는 노스웨스트 준주 및 유콘 준주(주로 이누비알루크툰어), 누나부트 준주, 퀘벡 주(누나빅 방언),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누나치아부트 방언) 등이 있으며, 그린란드 일부 지역에서도 관련 방언이 사용된다. 각 지역 방언의 구체적인 특징과 현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그린란드와 알래스카를 포함한 이누크티투트어와 다른 이누이트어 간의 관계는 에스키모어족 문서에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캐나다 인구 조사(2006년)에 따르면, 캐나다 내 이누크티투트어 화자는 약 3만 5천 명으로 추산되며, 여기에는 이누이트 전통 거주 지역 외부에 사는 약 200명의 화자도 포함된다.
3. 1. 누나부트 준주
누나부트의 기본법은 영어, 프랑스어, 이누크티투트어, 그리고 이누인나크툰어 네 가지를 공용어로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누크티투트어와 이누인나크툰어를 어느 정도까지 별개의 언어로 간주할지에 대한 정책은 명확하지 않다. 'Inuktitut' 또는 더 정확하게는 'Inuktut'('이누이트어')라는 용어는 이누인나크툰어와 이누크티투트어를 함께 지칭하거나, 영어의 "Inuit languages"에 해당하는 의미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12]누나부트 준주는 약 24,000명의 이누이트가 거주하는 곳이며, 이 중 80% 이상이 이누크티투트어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약 3,500명의 단일 언어 구사자도 포함된다. 2001년 캐나다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젊은 세대가 노년층보다 이누크티투트어 사용 빈도가 낮지만, 캐나다 전체적으로 이누크티투트어 화자 감소세는 멈추었으며 누나부트에서는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이누이트의 생활권이 매우 넓기 때문에 이누크티투트어에는 다양한 방언과 파생어가 존재한다. 누나부트 준주는 지리적으로 캐나다에서 가장 큰 이누이트 생활권이며(그린란드의 거주 부적합 지역 제외), 대륙부 외에도 큰 강이나 허드슨 해협 등으로 분리된 섬들, 연중 일부 기간 얼어붙는 해양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방언의 다양성이 크다.
누나부트 준주 내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방언명 | 주요 사용 지역 | 특징 |
---|---|---|
이누인나크툰어 | 키티크메오트 지역 서부, 노스웨스트 준주 홀만 | 전통적인 이누크티투트어 음절 문자 대신 로마자 표기를 주로 사용. 누나부트 공용어 중 하나이지만, 일부에서는 로마자 표기 방식으로만 간주하기도 한다. 누나부트 서부에서는 독특한 이누인나크툰어 로마자 표기를 사용한다. |
나칠링어 (Natsilingmiutut) | 키티크메오트 지역 동부 일부 | 나칠리크(Natsilik)라고도 불린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Utkuhiksalingmiutut 방언(나칠링어 파생)으로 보기도 하며, 이는 현재 킹 윌리엄 섬의 조아헤이븐에서 사용된다. |
키발리르어 (Kivallirmiutut) | 키바리크 지역 (매니토바 주 경계까지) | |
아이빌림어 (Aivilimmiutut) | 키바리크의 사우스햄턴 섬, 레펄스 베이, 키키크탈루크 지역의 멜빌 반도 | 원래 아이빌리크(Aivilik)라고 불렸다. 이 지역에는 원래 사들러미우트족이 거주했으나 소멸 후 이누이트가 이주했다. 일부 언어학자는 북 바핀 방언과 너무 가깝다고 지적한다. |
북 바핀 방언 (Qikiqtaaluk uannangani) | 배핀 섬 북부 일부, 이글룰리크 부근, 멜빌 반도 근처 일부 지역, 누나부트 준주 북부의 이누이트 커뮤니티(레졸루트, 그리스피오르드 등) 일부 | 영화 아타나주아에서 사용된 방언이다. |
남 바핀 방언 (Qikiqtaaluk nigianiiu, ᕿᑭᖅᑖᓗᒃ ᓂᒋᐊᓂiu) | 배핀 섬 남부, 누나부트 수도 이칼루이트 중심 | 최근 이칼루이트에 기반을 둔 이누크티투트어 방송 매체가 많아지면서, 이 방언을 접할 기회가 늘었다. |
2000년대 초부터 누나부트 준주는 이누크티투트어를 보존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교육 시스템 내에서 유아기부터 초등학교, 중학교 수준까지 점진적으로 모어 교육을 실시해 왔다. 2012년 기준으로, 이칼루이트의 '피루르빅'(Pirurvik)이라는 이누크티투트어 훈련 센터는 누나부트 지역 사회 출신 강사들을 훈련시켜 각자의 지역으로 돌아가 자신의 방언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누크티투트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13]
3. 2. 누나빅
퀘벡주에는 약 15,800명의 이누이트가 거주하며, 이들 중 거의 대부분이 누나빅 지역에 살고 있다. 202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퀘벡 이누이트의 80.9%가 이누크티투트어를 사용한다.[14]누나빅에서 사용되는 이누크티투트어 방언은 Nunavimmiutitut|누나빔미우티투트iu (ᓄᓇᕕᒻᒥᐅᑎᑐᑦiu)라고 불린다. 이 방언은 남부 배핀 방언과 비교적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누나빅과 누나부트 준주 사이의 정치적, 물리적 경계로 인해 누나빅은 이누크티투트어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과는 별개의 정부 및 교육 기관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누나빅 방언은 다른 이누크티투트어 형태와는 별개로 점차 독자적인 표준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누나빅 방언 내에서는 이누크티투트어를 Inuttitut|이누티투트iu (ᐃᓄᑦᑎᑐᑦiu)라고 부르기도 한다. 때때로 이 방언은 Tarramiutut|타라미우투트iu (ᑕᕐᕋᒥᐅᑐᑦiu) 또는 Taqramiutut|타크라미우투트iu (ᑕᖅᕐᕋᒥᐅᑐᑦiu)라고도 불린다.
누나빅 지역의 이누크티투트어 하위 방언으로는 타라르미우트(Tarramiutut|타라르미우트iu)와 이티비무이트(Itivimiut|이티비무이트iu)가 있다.[15][50] 이티비무이트 방언은 퀘벡주 이누크주악 지역과 관련이 있으며, 이 마을 근처에는 Itivimuit River|이티비무이트 강iu이 흐른다.
누나빅 지역에서는 제임스만 및 북부 퀘벡 협정에 따라 이누크티투트어 사용이 법적으로 보장된다. 또한 프랑스어 헌장은 이누크티투트어 사용 지역에서의 학교 교육 실시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문자 사용 교육을 포함한다.
3. 3. 누나치아부트
누나치아부트 방언(Inuttitutiu ᓄᓇᑦᓯᐊᕗᒻᒥᐅᑐᑦiu 또는 정부 문서에서는 Labradorimiututiu이라고도 함)은 과거 래브라도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이 방언은 1760년대 그린란드에서 활동하던 모라비안 교회 소속 독일 선교사들이 개발한 독자적인 표기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별도의 문자 전통과 다른 이누이트 공동체와의 지리적 고립은 누나치아부트 방언을 독특하게 만들었다. 누나치아부트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Inuttutiu (ᐃᓄᑦᑐᑦiu)라고 부른다.누나치아부트 지역에는 4,000명 이상의 이누이트 후손이 거주하고 있지만, 200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누크티투트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550명에 불과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나인 마을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해 래브라도 지역에서 이누크티투트어는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또한, 리골레 주변 지역에서는 누나치아부트 방언과 다른 별도의 방언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서부 이누크티투트 방언과 더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99년 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방언을 사용하는 노인 화자는 단 3명만이 남아 있었다.[16][51]
3. 4. 이누비알루이트 (노스웨스트 준주와 유콘 준주)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이누이트는 자신들을 Inuvialuit|이누비알루이트영어라고 부른다. 이들은 주로 이누비알루이트 거류 지역에 거주하지만, 매켄지 강 북부 일부, 노스웨스트 준주와 유콘 준주의 북극해 연안, 뱅크스 섬, 빅토리아 섬 일부에도 살고 있다. 또한 북극해의 먼 섬들에도 불규칙적으로 거주한다.노스웨스트 준주의 이누이트가 사용하는 언어는 이누비알루크툰어( Inuvialuktun|이누비알루크툰ikt, 이누비알루이트어)라고 불리며, 종종 이누크티투트어와 함께 취급되기도 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이누비알루크툰어는 다음의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방언 이름 | 주로 사용되는 지역 | 특징 |
---|---|---|
Kangiryuarmiutun|캉기류아미우툰ikt | 울루칵톡(과거 홀먼) 커뮤니티 | 누나부트 준주 서부의 이누이나크툰어와 매우 유사하다. |
Siglitun|시그리툰ikt | 폴라툭, 삭스 하버, 툭토야툭툭의 시그리트 커뮤니티 | 과거 매켄지 강 삼각주와 주변 연안, 북극해 섬들의 주요 방언이었으나, 19세기 대규모 전염병 유행으로 화자가 급감하여 오랫동안 사멸한 것으로 여겨졌다.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여전히 사용되고 있음이 외부 세계에 알려졌다. |
Uummarmiutun|우마미우툰영어 | 이누빅, 아클라빅(Aklavik)의 우마미우트 커뮤니티 | 기본적으로 알래스카의 이누피아크어 방언과 동일하며, 캐나다 측 이누피아크어로 간주된다. 알래스카 매입으로 매켄지 강 삼각주 지역이 캐나다 영토가 되면서 현재는 캐나다 이누이트 방언으로 취급된다. 우마미우트 사람들은 과거 거주지였던 시그리트 지역의 19세기 전염병을 피해 알래스카에서 이주해 왔으나, 이후 국경 변경 등으로 인해 재이주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들 이누비알루크툰 방언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최근에는 영어가 커뮤니티의 주요 소통 언어가 되었다. 노스웨스트 준주 내 이누비알루크툰어 사용 현황에 대한 조사는 다양하지만, 모두 사용 감소 추세를 보여준다. Inuvialuit Cultural Resource Centre|이누비알루이트 문화 자원 센터영어에 따르면, 약 4,000명의 이누비알루이트 인구 중 10%만이 어떤 형태로든 이누비알루크툰어를 구사하며, 4%는 집 밖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200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서는 자신을 이누비알루이트라고 밝힌 3,905명 중, 765명이 자신이 이누비알루크툰 방언 화자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 지역의 비(非)이누이트 인구 증가, 이누비알루크툰 방언 화자 감소, 그리고 방언 간의 차이로 인한 공통 언어 부재 등을 고려할 때,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이누이트 언어의 미래는 밝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3. 5. 그린란드
Inuktun|이누크툰어영어는 일명 극지 에스키모어라고도 불리며, 흔히 그린란드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18세기 후반에 캐나다 동부 북극 지역에서 그린란드로 비교적 최근에 전파된 언어이다.4. 문법
이누크티투트어는 다른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풍부한 형태론적 체계를 가진다. 이는 영어와 같은 언어에서 여러 단어로 표현해야 할 내용을, 하나의 어근 형태소에 여러 형태소(주로 접미사)를 덧붙여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누크티투트어는 교착어이자 포합어로 분류된다. 모든 단어는 어근으로 시작하며, 그 뒤에 다양한 의미를 가진 접미사들이 순서대로 붙는다. 이누크티투트어에는 수백 개의 서로 다른 접미사가 있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그 수가 700개에 달하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언어의 형태론적 규칙은 인도유럽어족 언어 등에 비해 예외가 적고 매우 규칙적이라는 특징이 있다.[22]
이러한 접사 부착 시스템 때문에 이누크티투트어 단어는 매우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 tusaatsiarunnanngittualuujungaiu
: 나는 잘 들을 수 없습니다.
위 문장은 '듣다'라는 의미의 어근 tusaa-iu에 여러 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단어이다.
흔히 이누이트어에 '눈(snow)'을 가리키는 단어가 수백 개 있다는 속설이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어휘 수를 세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문가들은 핵심적인 '눈' 관련 어근을 약 10개 정도로 본다.[64] 대표적인 예로 qanikiu(내리는 눈)과 aputiu(쌓인 눈)과 같은 어근이 있으며, 이누크티투트어는 여기에 다양한 접사를 붙여 '내리는 눈', '흩날리는 눈', '갓 쌓인 눈' 등 구체적인 상황을 묘사하는 길고 다양한 단어를 만들어낸다. 이는 한국어에서 용언의 어미 활용을 통해 의미를 구체화하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qangatasuukkuvimmuuriaqalaaqtungaiu (ᖃᖓᑕᓲᒃᑯᕕᒻᒨᕆᐊᖃᓛᖅᑐᖓiu)라는 단어는 '나는 공항에 가야 할 것이다'라는 하나의 문장과 같은 의미를 전달한다.[22][52] 이 단어의 형태소 분석은 다음과 같다.
형태소 | 의미 | 형태음운론적 변화 / 설명 | |
---|---|---|---|
qangata-iu | 동사 어근 | 들어올리다 / 공중에 뜨다 | |
-suuqiu | 동사 → 명사 접미사 | 습관적으로 행위를 하는 것/사람; qangatasuuqiu: 비행기 | -q 탈락 |
-kkutiu | 명사 → 명사 접미사 | 그룹 | -t 탈락 |
-vikiu | 명사 → 명사 접미사 | 큰 장소; qangatasuukkuvikiu: 공항 | -k가 -m으로 변화 |
-mutiu | 명사 어미 | 여격, 단수, ~로/에게 | -t + -a → -u 융합 |
-aqiu | 명사 → 동사 접미사 | 어떤 장소에 도착하다 / 가다 | -q + -jariaq → -riaq (음운 탈락 및 변화) |
-jariaqiu | 동사 → 명사 접미사 | ~해야 할 의무 | -q 탈락 |
-qaqiu | 명사 → 동사 접미사 | ~을 가지다 / ~하다 | -q 탈락 |
-laaqiu | 동사 → 동사 접미사 | 미래 시제, ~할 것이다 | -q + -junga → -qtunga (음운 변화) |
-jungaiu | 동사 어미 | 서술법, 1인칭 단수, 나 |
5. 음성
이누크티투트어의 캐나다 동부 방언은 15개의 자음과 3개의 기본 모음을 가지고 있다. 모음은 각각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뉘어 음운론적으로 구별된다.[40] 누나부트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인 이누우징가유트(Inuujingajut)에서는 장모음을 모음 글자를 두 번 반복하여 표기한다 (예: '''aa''', '''ii''', '''uu''').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의 6가지로 분류되며, 조음 방법에 따라 무성 파열음, 유성 지속음, 유성 비음으로 나뉜다. 또한 두 종류의 무성 마찰음도 존재한다. 모든 무성 파열음은 다른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무기음이다. 무성 구개수 파열음 /q/는 보통 '''q'''로 표기되지만, 때로는 '''r'''로 표기되기도 한다. 무성 치경 설측 마찰음 /ɬ/는 로마자 표기 시 '''ł'''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 또는 단순히 '''l'''로 표기되기도 한다.
방언에 따라 음운 체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나칠링미우투트어에는 다른 방언에 잘 나타나지 않는 유성 경구개 파열음 /ɟ/가 존재하며, 이는 원시 이누이트어의 영향을 받은 흔적으로 보인다. 반면, 이누인나크툰어는 /s/와 /ɬ/ 소리가 /h/로 합쳐져 다른 방언보다 자음 수가 하나 적다.[40]
5. 1. 자음
이누크티투트어의 캐나다 동부 방언에는 15개의 자음이 있다.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으로 나뉘며, 조음 방법에 따라 무성 파열음, 유성 지속음, 유성 비음으로 분류된다. 또한 2종의 무성 마찰음도 존재한다. 나칠링미우투트어에는 원시 이누이트어의 권설음 흔적인 추가 자음 /ɟ/(유성 경구개 파열음)가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다른 방언에는 존재하지 않고 고유의 문자로 표기되지 않는다. 이누인나크툰어는 /s/와 /ɬ/가 /h/로 병합되어 자음 수가 하나 적다.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비고 | |
---|---|---|---|---|---|---|---|
비음 | m /m/ | n /n/ | ng /ŋ/ | 이중화된 ng는 nng로 표기된다. | |||
무성 파열음 | p /p/ | t /t/ | (j /ɟ/) | k /k/ | q /q/ | ||
무성 마찰음 | s /s/ ł /ɬ/ | h /h/ | |||||
유성 지속음 (접근음, 마찰음) | v /v/ | l /l/ | j /j/ | g /ɡ/ | r /ɢ/ |
5. 2. 모음
이누크티투트어의 모든 방언은 3개의 기본 모음을 가진다. 각 모음은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별이 음운론적으로 중요하다. 누나부트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인 이누우징가유트(Inuujingajut)에서는 장모음을 모음 글자를 두 번 반복하여 표기한다 (예: /aː/는 '''aa'''로 표기).IPA | 이누우징가유트 | 비고 | ||
---|---|---|---|---|
전설 비원순 저모음 | 단모음 | /a/ | a | |
장모음 | /aː/ | aa |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단모음 | /i/ | i | 단모음 i는 구개수 자음 /ʁ/ 및 /q/ 앞에서 [e] 또는 [ɛ]로 소리나기도 한다. |
장모음 | /iː/ | ii | ||
후설 원순 고모음 | 단모음 | /u/ | u | 단모음 u는 구개수 자음 /ʁ/ 및 /q/ 앞에서 [o] 또는 [ɔ]로 소리나기도 한다. |
장모음 | /uː/ | uu |
6. 표기 체계
이누크티투트어는 사용하는 지역과 방언, 역사적·정치적 요인에 따라 여러 다른 표기 체계를 사용한다. 크게 로마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과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에 기반한 표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로마 문자 표기법은 누나부트 준주의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는 Inuujingajutiu를 비롯하여, 서부 누나부트와 노스웨스트 준주의 이누인나크툰어 표기, 알래스카 방식, 그리고 크라(ĸ)를 포함하는 누나치아부트 방식 등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이러한 로마자 표기법 중 일부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성경 보급 등을 목적으로 개발하여 전파한 것에서 유래했다.
음절 문자 표기법( Qaniujaaqpaitiu )은 19세기 중반 선교사 제임스 에번스가 크리어를 위해 고안한 것을 바탕으로 하며, 캐나다 동부 이누이트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1970년대 캐나다의 이누이트 문화 연구소(Inuit Cultural Institute)에 의해 공식 표기 체계 중 하나로 채택되었으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이 문자는 아부기다의 특징을 가지기도 한다.
6. 1. 라틴 문자
누나부트의 서부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누인나크툰어( Inuinnaqtuniu ) 또는 칼리우자아파이트( Qaliujaaqpaitiu )라고 불리는 라틴 문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이 지역에 도착한 선교사들의 영향을 반영한다.모라비아 선교사들은 이누이트에게 기독교와 성경을 소개할 목적으로 1760년대 그린란드에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이누크티투트 문자 체계를 처음 개발했다. 이 표기법은 문자 크라(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나중에 1800년대에 래브라도로 이동하여 이 라틴 문자 표기법을 전파했다.
누나치아부트 방언(이누티투트( Inuttitutiu ) ᓄᓇᑦᓯᐊᕗᒻᒥᐅᑐᑦiu)은 1760년대 모라비아 교회 소속 독일 선교사들이 그린란드에서 개발한 독자적인 라틴 문자 표기 체계를 가지고 있다.[16] 이러한 별도의 문어 전통과 다른 이누이트 공동체로부터의 고립은 이 방언을 독특하게 만들었다.
알래스카의 유픽과 이누피아트(이들은 추가로 자신들의 음절 문자를 개발하기도 했다) 및 시베리아 유픽도 라틴 문자를 채택하여 사용한다.
6. 2. 이누크티투트 음절 문자 (Qaniujaaqpait)
누나부트와 누나빅 지역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이누크티투트어는 Qaniujaaqpaitiu 또는 이누크티투트어 음절 문자라고 불리는 표기 체계를 사용한다. 이 체계는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누크티투트어 음절 문자는 선교사 제임스 에번스가 크리어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한 크리 음절 문자에 뿌리를 두고 있다.[29] 1860년대, 선교사들은 크리족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 Qaniujaaqpaitiu 체계를 캐나다 동부 이누이트에게 소개했다. 쿠가루크와 북부 배핀 섬의 네칠릭 이누이트는 1920년대에 이 표기법을 받아들였다.
캐나다의 이누이트 문화 연구소(Inuit Cultural Institute)는 1970년대에 이 음절 문자를 이누크티투트어의 공식 표기 체계 중 하나로 채택했다. 일반적으로 음절 문자로 불리지만, 일부 학자들은 같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들이 서로 연관된 글리프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이를 아부기다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누크티투트어 음절 문자에 필요한 모든 글자는 유니코드의 통합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블록에 포함되어 있어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누나부트 자치 정부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용 TrueType 글꼴로 Pigiarniqiu[30][31](ᐱᒋᐊᕐᓂᖅ), Uqammaqiu[30][32](ᐅᖃᒻᒪᖅ), 그리고 Euphemiaiu[30][33](ᐅᕓᒥᐊ) 등을 개발했다. 이 글꼴들은 밴쿠버에 위치한 Tiro Typeworks에서 디자인했다.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는 키보드 언어 옵션에 이누크티투트어 IME(입력 방식 편집기)를 포함하고 있으며,[34] 리눅스 배포판에서도 이누크티투트어를 포함한 여러 원주민 언어에 대한 로케일 및 언어 지원을 제공한다.
한편, 알래스카의 이누이트, 이누비알루이트, 이누인나크툰어 사용자, 그리고 그린란드와 래브라도의 이누이트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한다.
2019년 9월, 8년간의 논의 끝에 캐나다 전국 이누이트 조직인 이누이트 타피리잇 카나타미는 Inuktut Qaliujaaqpaitiu라는 통합된 정서법을 채택했다. 이는 이누크티투트어의 모든 방언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라틴 알파벳 기반의 표기법으로, 발음 구별 기호가 없다. 이누이트가 직접 개발했으며, 특정 지역이나 방언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특수 키보드 설정 없이도 전자 기기에서 쉽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새로운 표기법은 기존의 음절 문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며, 각 지역 공동체는 익숙한 표기 체계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각 지역별 시행 계획은 추후 수립될 예정이다. 이 표기법에는 'ff', 'ch', 'rh'와 같이 일부 방언에는 존재하지만 기존 음절 문자에는 표준적인 표기가 없었던 소리를 위한 문자도 포함된다. 이 정서법은 표준 알파벳을 제시하지만, 철자법이나 문법 규칙까지 규정하지는 않는다.[23][24] 장모음은 모음을 두 번 반복해서 쓰고(예: aa, ii, uu), 아포스트로피는 모음 뒤에 올 때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거나(예: ma'naiu), 'n'과 'ng' (avin'ngaqiu), 'r'과 'rh' (qar'rhukiu)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25]
국제 음성 기호 | 자음 | a | i | u |
---|---|---|---|---|
p | p | pa | pi | pu |
t | t | ta | ti | tu |
k | k | ka | ki | ku |
q | q | qa | qi | qu |
s | s | sa | si | su |
ɬ | hl | hla | hli | hlu |
ʂ | shr | shra | shri | shru |
h | h | ha | hi | hu |
v | v | va | vi | vu |
l | l | la | li | lu |
ɟ | rh | rha | rhi | rhu |
j | j | ja | ji | ju |
g | g | ga | gi | gu |
ʁ | r | ra | ri | ru |
m | m | ma | mi | mu |
n | n | na | ni | nu |
ŋ | ng | nga | ngi | ngu |
ŋŋ | nng | nnga | nngi | nngu |
ʔ | ' | a' | i' | u' |
6. 3. 기타
캐나다 북부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목 한계선 이남,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와 퀘벡 주를 중심으로 매니토바 주 북동부, 누나부트 준주, 노스웨스트 준주의 일부 지역에서 쓰인다. 과거에는 유콘 준주의 북극해 연안에서도 사용되었다.누나부트 준주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이누이나크툰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두 언어를 합쳐 '이눅투트(Inuktut)'라고 부르기도 한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공식 원주민어 8개 중 하나이다.[40] 퀘벡 주 누나빅 지역에서는 제임스 베이 및 북부 퀘벡 협정에 따라 법적 사용이 보장되며, 프랑스어 헌장은 이누크티투트어 사용 지역에서의 문자 사용 및 학교 교육을 규정하고 있다. 래브라도 반도의 이누이트 지역인 누나츠아부트(Nunatsiavut)에서도 캐나다 연방 정부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간의 협정에 따라 법적 사용이 인정된다.
2006년 캐나다 인구 통계에 따르면, 이누크티투트어 화자는 약 3만 5천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약 200명은 전통적인 이누이트 거주 지역 외부에 거주한다.
'이누크티투트어'라는 용어는 캐나다 이누이트어의 여러 방언, 예를 들어 이누비알루크툰어(때로는 이누뱌르크툰어 또는 이누비아르크툰어로 표기) 등을 통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other tongue by geography, 2021 Census
https://www12.statca[...]
2022-08-17
[2]
웹사이트
Knowledge of languages by age and gende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and census subdivisions
https://www150.statc[...]
2022-08-17
[3]
웹사이트
Inuktitut
2024-03-24
[4]
웹사이트
field to show translation -> 10 facts about Canadian Aboriginal Languages
http://www.wintransl[...]
Wintranslation.com
2015-07-15
[5]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Comprehensive download files,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https://www12.statca[...]
2023-01-07
[6]
웹사이트
Inuktitut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2023-08-30
[7]
간행물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some Inuit examples
http://www3.brandonu[...]
1995
[8]
웹사이트
Inuktitut – the Inuit Language
http://www.k12studyc[...]
2018-03-15
[9]
간행물
The roots of Inuktitut-language bilingual education
http://www3.brandonu[...]
1999
[10]
서적
The language of the Inuit: syntax, semantics, and society in the Arcti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0
[11]
웹사이트
Inuktitut
http://www.thecanadi[...]
2018-03-15
[12]
웹사이트
Consolidation of (S.Nu. 2008, c.10) (NIF) Official Languages Act
https://www.gov.nu.c[...]
[13]
뉴스
A new way to nurture the Inuit language: train the instructors
http://www.nunatsiaq[...]
2013-01-24
[14]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Profile table, Quebec15800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3-01-07
[15]
웹사이트
Review
http://arctic.synerg[...]
Arctic.synergiesprairies.ca
2015-07-15
[16]
웹사이트
A precious Inuktitut dialect slowly dies in Rigolet
http://www.nunatsiaq[...]
Nunatsiaq News
2012-06-13
[17]
웹사이트
Inuktut
https://www.itk.ca/p[...]
Inuit Tapiriit Kanatami
2024-06-17
[18]
웹사이트
The Inuit Circumpolar Council Political Universe
https://www.inuitcir[...]
Inuit Circumpolar Council
2021-08-14
[19]
웹사이트
Fun Facts
https://www.inuitcir[...]
Inuit Circumpolar Council
2022-08-11
[20]
웹사이트
Information
https://langcom.nu.c[...]
Office of the Languages Commissioner of Nunavut
[21]
웹사이트
Your Linguistic Rights
https://langcom.nu.c[...]
Office of the Languages Commissioner of Nunavut
2024-06-17
[22]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an Inuktitut and English Language Screening Tool in Nunavut
http://cjslpa.ca/fil[...]
2015-08-03
[23]
뉴스
Inuit combine nine different scripts for writing Inuktitut into one
https://www.theglobe[...]
2019-10-07
[24]
웹사이트
National Inuit org approves new unified writing system
https://nunatsiaq.co[...]
2019-10-07
[25]
웹사이트
Inuktut Qaliujaaqpait
https://www.itk.ca/w[...]
[26]
뉴스
Hebrew Bible published in Eskimo language
http://nnsl.com/nort[...]
News/North
2012-04-23
[27]
웹사이트
"MARKOOSIE, 1942-: LMS-0017"
http://www.collectio[...]
Collections Canada
[28]
뉴스
Southern readers finally get a chance to read Mitiarjuk Nappaaluk, the accidental Inuit novelist
https://www.theglobe[...]
2014-10-18
[29]
웹사이트
Aboriginal syllabic scripts
https://thediscoverb[...]
Library and Archives Canada
[30]
웹사이트
Tiro Typeworks: Syllabics Resources
http://www.tiro.com/[...]
[31]
웹사이트
Pigiarniq Font Download
http://www.tiro.com/[...]
[32]
웹사이트
Uqammaq Font Download
http://www.tiro.com/[...]
[33]
웹사이트
Euphemia Font Download
http://www.tiro.com/[...]
[34]
웹사이트
Inuktitut Syllabic Fonts – Download
http://www.pirurvik.[...]
2015-10-02
[35]
웹사이트
'10 Facts About Canadian Indigenous Languages'
http://www.wintransl[...]
Wintranslation.com
2015-07-15
[36]
논문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some Inuit examples
1995
[37]
웹사이트
Inuktitut – the Inuit Language
http://www.k12studyc[...]
2018-03-15
[38]
논문
The roots of Inuktitut-language bilingual education
1999
[39]
문서
Northwest Territories Official Languages Act
http://www.nwtlangua[...]
[40]
서적
The language of the Inuit : syntax, semantics, and society in the Arctic
https://www.worldcat[...]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0
[41]
뉴스
Inuktitut
http://www.thecanadi[...]
2018-03-15
[42]
문서
図「北極海周辺のイヌイット諸語の分布状況」に示された言語名を記す。'''図の右半分'''、右上から左下へ縦方向に。東グリーンランド語(ねずみ色)、[[グリーンランド語]](空色)、南バフィン方言(藍色)、[[イヌクティトゥット語#ヌナツィアヴト地域|ヌナツィアブト]]方言(ピンク色)、[[イヌクティトゥット語#ヌナヴィク地域|ヌナヴィク]]方言(赤色)。
[43]
문서
図「北極海周辺のイヌイット諸語の分布状況」'''中央列'''の上から下へ。グリーンランド・アヴァンナア方言(こげ茶色)、北バフィン方言(うす水色)、東中部ヌナブト準州方言(アイリク語 = 紺色)、[[:d:Q4811101|イヌヴィアルイト]]族の[[キヴァリク地域|キヴァリク]]方言(青緑色)。
'''図の左半分'''、右上下へ縦方向、次に左に。[[イヌピアック語]](オレンジ色)、シグリトゥン語(紫色)、イヌイナクトゥン語 (うぐいす色)、ナツィリ語(濃紺)、イヌピアック語(ばら色)。
[44]
웹사이트
Arctic languages: an awakening
http://unesdoc.unesc[...]
[45]
웹사이트
Culture {{!}} Language
http://www.irc.inuvi[...]
Inuvialuit Regional Corporation
2019-05-29
[46]
웹사이트
The Inuvialuit (in detail) : Retracing an Archaeological Expedition
http://www.canadiana[...]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2013-01-24
[47]
웹사이트
Aboriginal Languages Initiative Evaluation - Site Visit
http://www.pch.gc.ca[...]
Inuvialuit Cultural Resource Centre (ICRC), Inuvik N.W.T.
2012-06-13
[48]
웹사이트
Arctic languages: an awakening
http://unesdoc.unesc[...]
[49]
뉴스
A new way to nurture the Inuit language: train the instructors
http://www.nunatsiaq[...]
2013-01-17
[50]
웹사이트
Review
http://arctic.synerg[...]
Arctic.synergiesprairies.ca
2015-07-15
[51]
웹사이트
A precious Inuktitut dialect slowly dies in Rigolet
http://www.nunatsiaq[...]
Nunatsiaq.com
2012-06-13
[52]
논문
The Development of an Inuktitut and English Language Screening Tool in Nunavut
http://cjslpa.ca/fil[...]
2015-08-03
[53]
뉴스
ヘブライ語版聖書をエスキモーの言語で出版
http://nnsl.com/nort[...]
2012-04-23
[54]
서적
MARKOOSIE, 1942-: LMS-0017
http://www.collectio[...]
カナダ国立図書館
[55]
뉴스
たまたま出現したイヌイット小説家ミティアルジュク・ナッパアルク、南部の読者にとうとう読むチャンス到来
https://www.theglobe[...]
2014-01-17
[56]
웹사이트
Aboriginal syllabic scripts
https://thediscoverb[...]
[57]
문서
Uqammaq Font Download
http://www.tiro.com/[...]
[58]
문서
Euphemia Font Download
http://www.tiro.com/[...]
[59]
웹사이트
Tiro Typeworks: Syllabics Resources
http://www.tiro.com/[...]
[60]
문서
Pigiarniq Font Download
http://www.tiro.com/[...]
[61]
웹사이트
Inuktitut Syllabic Fonts – Download
http://www.pirurvik.[...]
[62]
웹사이트
Liblouis User's and Programmer's Manual
http://liblouis.org/[...]
2019-05-30
[63]
서적
The Orphan and the Polar Bear
Inhabit Media
[64]
서적
언어본능
동녘사이언스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