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이트 미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이트 미술은 북극 지역에 거주하는 이누이트의 전통적인 미술 양식을 의미하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상아, 뼈 등을 이용한 조각이 주를 이루었으며, 종교적, 실용적 목적을 겸했다. 16세기 이후에는 유럽인과의 교역을 통해 새로운 재료와 기법을 받아들였고,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캐나다 정부의 지원으로 조각, 판화, 그림 등 다양한 형태의 예술이 발전했다. 현재는 조각, 판화, 그림,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누이트 예술가들의 작품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누이트 미술 협회와 같은 단체를 통해 활발한 교류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누이트 미술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예술 |
문화권 | 이누이트 |
역사 및 개요 | |
기원 | 이누이트 문화 |
특징 | 동물 형상 묘사 샤머니즘적 요소 반영 일상생활 반영 |
주요 재료 | 돌 뼈 상아 뿔 나무 가죽 |
종류 | |
조각 | 동물 조각 인물 조각 샤먼 조각 |
판화 | 석판화 목판화 스텐실 |
직물 | 자수 아플리케 |
공예 | 바구니 가면 인형 |
주제 | |
주요 주제 | 동물 (북극곰, 바다코끼리, 순록 등) 인간 정령 사냥 가족 신화 |
특징 | 이누이트의 삶과 세계관 반영 |
지역별 특징 | |
캐나다 | 돌 조각, 판화, 직물 공예 발달 |
알래스카 | 바다코끼리 상아 조각, 바구니 공예 발달 |
그린란드 | 뼈 조각, 돌 조각 발달 |
현대 이누이트 미술 | |
특징 | 전통적인 주제와 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
주요 작가 | (정보 없음) |
전시 | 미술관, 갤러리 등에서 전시 |
영향 | |
영향 | 현대 미술에 영감을 제공 |
참고 자료 | |
관련 정보 | 이누이트 문화 에스키모 |
추가 정보 | |
갤러리 및 박물관 | 위니펙 미술관 이누이트 미술관 |
2. 역사
이누이트 예술의 역사는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여러 문화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다.
기원전 4000년경, 베링 해협을 건너 시베리아에서 알래스카, 캐나다 북극, 그린란드, 래브라도로 이동한 프리-도싯(북극 소형 도구 전통) 유목민들이 있었다.[4] 이들에 관해서는 거의 남아있는 것이 없으며, 상아로 조각된 몇 안 되는 보존된 유물만이 예술 작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기원전 600년경 문화적으로 독자성을 갖게 된 도싯 문화는 바다코끼리 상아, 뼈, 순록 뿔, 드물게는 돌을 사용하여 상당한 양의 구상 미술을 제작했다. 주제는 새, 곰, 바다코끼리, 물개, 인물, 그리고 매우 작은 가면 등을 포함했다. 도싯인들은 상아 표면에 골격을 나타내는 선을 새겨 곰과 다른 동물들을 묘사했는데, 이러한 스타일의 곰들은 "날아다니는 곰"으로 알려져 있다.[5] 이 유물들은 마법적 또는 종교적 의미를 지녔으며, 악령을 물리치는 부적으로 착용하거나 이누이트 종교에서 사용되었다.
이피우탁 문화는 이누이트 문화 발달의 고전 시기를 대표한다. 이피우탁 문화의 예술 작품은 기하학적, 동물적, 인체적 디자인을 통합하여 매우 정교하다.[6]
1000년경, 오늘날 이누이트의 조상인 툴레 문화 사람들이 알래스카 북부에서 이주해 왔다.[7] 툴레 예술은 알래스카의 영향을 받았으며, 빗, 단추, 바늘집, 냄비, 화려한 창 및 작살과 같은 실용적인 물건을 포함했다. 그 위에 새겨진 그래픽 장식은 순전히 장식적인 것으로 종교적 의미는 없었지만,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을 매력적으로 만들었다. 이누이트의 도구, 연장, 무기는 돌, 뼈, 상아, 사슴 뿔, 동물의 가죽과 같은 천연 재료로 손으로 만들어졌다. 유목민들은 일상생활의 도구 외에는 다른 것을 거의 가져갈 수 없었으며, 섬세한 귀걸이, 춤 가면, 부적, 페티쉬, 전설을 말하고 그들의 종교와 구전 역사를 객관화하는 데 사용된 정교한 빗과 조각상과 같이 실용적이지 않은 물건도 작게 만들어 휴대하거나 착용할 수 있었다.
16세기부터 이누이트는 유럽 고래잡이, 선교사 등 북부 방문객들과 물물교환을 통해 차, 무기, 알코올 등을 얻었다. 이전에는 동물 조각, 사냥, 캠핑 장면 등을 묘사한 장식 도구나 무당(앙아쿠)의 부적을 만들었으나, 이때부터는 무역 상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누이트 예술가들은 유럽의 소총, 도구, 보트, 악기 등을 장식하기 위한 상아 미니어처를 만들었으며, 특히 크리비지 보드나 바다코끼리, 일각고래 엄니 조각은 고래잡이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이었다. 선교사들은 기독교 이미지 사용을 장려했고, 이는 이누이트 예술에 제한적으로 수용되었다.[1]
1945년 이후, 이누이트는 공동체에 정착하기 시작하고 캐나다 정부가 이누이트의 소득원으로 조각 산업을 장려하기 시작하면서 이누이트 조각의 본질과 기능은 급격히 변화하였다. 예술은 과거에 만연했던 형태와 크기, 매체, 모티프, 스타일에서 현저하게 변화했다.[8] 1940년대와 1950년대 킨가이트(구 케이프 도르셋)의 이누이트 예술가들은 그들의 조각품을 Baffin Trading Company (1939–1946)와 허드슨 만 회사에 판매했다. 1959년 킨가이트에 웨스트 배핀 에스키모 협동조합이 설립되었으며 예술 및 공예품의 주요 구매자가 되었다.[9]
2. 1. 프리-도싯 문화와 도싯 문화 (기원전 4000년경 ~ 기원후 1000년경)

대략 기원전 4000년경, 베링 해협을 건너 시베리아에서 알래스카, 캐나다 북극, 그린란드, 래브라도로 이동한 프리-도싯 (또는 북극 소형 도구 전통(ASTT)) 유목민들이 있었다.[4] 이들에 관해서는 거의 남아있는 것이 없으며, 상아로 조각된 몇 안 되는 보존된 유물만이 예술 작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기원전 600년경 문화적으로 독자성을 갖게 된 도싯 문화는 바다코끼리 상아, 뼈, 순록 뿔, 드물게는 돌을 사용하여 상당한 양의 구상 미술을 제작했다. 주제는 새, 곰, 바다코끼리, 물개, 인물, 그리고 매우 작은 가면 등을 포함했다. 도싯인들은 상아 표면에 골격을 나타내는 선을 새겨 곰과 다른 동물들을 묘사했는데, 이러한 스타일의 곰들은 "날아다니는 곰"으로 알려져 있다.[5] 이 유물들은 마법적 또는 종교적 의미를 지녔으며, 악령을 물리치는 부적으로 착용하거나 이누이트 종교에서 사용되었다.
2. 2. 이피우탁 문화
이피우탁 문화는 이누이트 문화 발달의 고전 시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피우탁 문화의 예술 작품은 기하학적, 동물적, 인체적 디자인을 통합하여 매우 정교하다.[6]2. 3. 툴레 문화 (기원후 1000년경 ~ 16세기)
1000년경, 오늘날 이누이트의 조상인 툴레 문화 사람들이 알래스카 북부에서 이주해 왔다.[7] 툴레 예술은 알래스카의 영향을 뚜렷하게 받았으며, 빗, 단추, 바늘집, 냄비, 화려한 창 및 작살과 같은 실용적인 물건을 포함했다. 그 위에 새겨진 그래픽 장식은 순전히 장식적인 것으로, 종교적 의미는 없었지만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을 매력적으로 만들었다.이누이트의 도구, 연장, 무기는 돌, 뼈, 상아, 사슴 뿔, 동물의 가죽과 같은 천연 재료로 손으로 만들어졌다. 유목민들은 일상생활의 도구 외에는 다른 것을 거의 가져갈 수 없었으며, 섬세한 귀걸이, 춤 가면, 부적, 페티쉬, 전설을 말하고 그들의 종교와 구전 역사를 객관화하는 데 사용된 정교한 빗과 조각상과 같이 실용적이지 않은 물건도 축소되어 조각되어 휴대하거나 착용할 수 있었다.
2. 4. 16세기 이후의 변화
16세기부터 이누이트는 유럽 고래잡이, 선교사 등 북부 방문객들과 물물교환을 통해 차, 무기, 알코올 등을 얻었다. 이전에는 동물 조각, 사냥, 캠핑 장면 등을 묘사한 장식 도구나 무당(앙아쿠)의 부적을 만들었으나, 이때부터는 무역 상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누이트 예술가들은 유럽의 소총, 도구, 보트, 악기 등을 장식하기 위한 상아 미니어처를 만들었으며, 특히 크리비지 보드나 바다코끼리, 일각고래 엄니 조각은 고래잡이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이었다. 선교사들은 기독교 이미지 사용을 장려했고, 이는 이누이트 예술에 제한적으로 수용되었다.[1]2. 5. 1945년 이후의 현대 이누이트 예술
전통적으로 이누이트는 장식, 놀이, 종교적 목적, 또는 자기 위안을 위해 조각품을 만들었다. 그러나 유럽 및 유럽계 캐나다 사회와의 접촉 이후 이누이트 조각의 본질과 기능은 급격히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이누이트가 공동체에 정착하기 시작하고, 캐나다 정부가 이누이트의 소득원으로 조각 산업을 장려하기 시작한 1949년경 이후 가속화되었다. 예술은 과거에 만연했던 형태와 크기, 매체, 모티프, 스타일에서 현저하게 변화했다.[8]캐나다 정부의 상업 조각 장려는 초기에 강압적이었으며, 이는 1950년대 초 이누이트 공동체에 배포된 "에스키모 수공예품" 팸플릿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이 팸플릿은 이누이트 조각가들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캐나다 문명 박물관 소장품의 유물을 묘사했다. 묘사된 많은 물건들은 토템 기둥과 같이 이누이트 문화와 관련이 없었다.
1940년대와 1950년대 킨가이트(구 케이프 도르셋)의 이누이트 예술가들은 그들의 조각품을 Baffin Trading Company (1939–1946)와 허드슨 만 회사에 판매했다. 1959년 킨가이트에 웨스트 배핀 에스키모 협동조합이 설립되었으며 예술 및 공예품의 주요 구매자가 되었다.[9]
3. 종류
이누이트 예술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판화: 1940년대 후반 제임스 아치볼드 휴스턴이 캐나다 공예 길드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1951년 배핀 섬 킨가이트에서 이누이트 예술가들에게 판화를 소개하면서 시작되었다.[10][11] 동물, 사냥꾼, 가족, 신화적 이미지를 담은 판화는 큰 인기를 얻었다.
- 그림: 제임스 휴스턴이 1940년대 후반 북극에 오기 전까지, 이누이트는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전통이 없었다.[15]
- 패션: 이누이트 의복은 오랫동안 이누이트 재봉사들의 예술적 표현 수단이었다.
- 조각: 서구와 접촉하기 전부터 제작되었던 이누이트 조각은 주로 작은 상아 조각품이었다. 1951년, 제임스 휴스턴은 킨가이트의 이누이트들에게 석조 조각 제작을 권장했다.[24]
3. 1. 판화
제임스 아치볼드 휴스턴은 1940년대 후반 캐나다 공예 길드가 이누이트 조각에 관심을 갖도록 도왔으며, 1951년에는 배핀 섬의 킨가이트(당시 케이프 도르셋)로 가서 그곳 예술가들에게 판화를 소개했다.[10][11] 이누이트 판화는 동물, 사냥꾼, 가족, 신화적 이미지를 담아내며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에는 대부분의 이누이트 공동체에 협동조합이 설립되면서 이누이트 미술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
1950년대 초, 스텐실과 블록 인쇄 같은 이누이트 그래픽 스타일이 개발되면서, 일부 이누이트 예술가들은 자연주의에 기반한 세련된 스타일을 채택했다. 존 팡나크 같은 예술가들은 고도로 추상적인 스타일을 개발하기도 했다. 두 스타일 모두 전통적인 믿음이나 동물을 묘사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돌은 블록 인쇄에 흔히 사용되는 재료였는데, 이는 돌을 쉽게 구할 수 있고 판화 제작자들이 돌 조각에 익숙했기 때문이다. 1980년대 중반, 판화가 중 한 명인 이욜라는 풀 테이블용 슬레이트를 실험했고, 이후 이 슬레이트가 판화 제작에 사용되었다. 그 전에는 스티어타이트와 활석을 포함한 지역의 돌이 사용되었다.
최종 판화는 프린터/돌 조각가와 예술가가 협력한 결과물이다. 프린터는 최종 결과물에 대해 몇 가지 예술적 결정을 내린다. 예를 들어 원래 그림에 얇은 선이나 복잡한 부분이 많으면 프린터/조각가는 돌에 새길 수 있도록 그림을 수정해야 한다. 돌에 맞추기 위해 그림의 특정 부분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오리의 목을 짧게 하거나, 예술가 원본 그림의 일부만 복제본으로 선택하는 경우도 있었다.[14]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미시간 대학교 미술관은 ''이누이트 미술을 위한 파워 가족 프로그램: 틸리르난기투크''라는 이누이트 블록 판화 전시를 열었다.[12][13] 틸리르난기투크는 이누크티투트어로 "예상치 못한"을 의미하며,[13] 이 전시에는 케노주악 아셰바크, 루시 퀴누야우악, 니비악시아크, 오수이토크 이피리, 카낭기낙 푸투구크, 조니 이누크푸크가 참여했다.[13]
3. 2. 그림
1940년대 후반 제임스 휴스턴(James Houston)이 북극에 도착하기 전까지 이누이트는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전통이 없었다.[15] 화가들은 그림을 제작하여 지역 협동조합이나 판화 스튜디오에 판매했고, 스튜디오는 판화로 제작될 이미지를 선정했다.[15] 휴스턴은 화가들이 전통적인 이누이트의 삶의 방식을 그림으로 묘사하도록 장려했다. 킨가이트에 거주하는 피첼락 아슈나(Pitseolak Ashoona)는 자신의 작품에 자전적인 내용을 명시적으로 포함시킨 최초의 이누이트 화가 중 한 명이었다.[15] 그녀는 손녀인 애니 푸토구크(Annie Pootoogook)와 조카인 슈비나이 아슈나(Shuvinai Ashoona)에게 중요한 예술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은 북부의 일상생활을 생생하게 그린 그림을 통해 이누이트 미술을 현대 미술 형식으로 자리 잡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16]3. 3. 패션

이누이트 의복은 오랫동안 이누이트 재봉사들의 예술적 표현 수단이었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장식적인 기법을 사용했는데, 장식적인 트림과 상감 세공, 염료 및 기타 채색 방법, 펜던트와 구슬 공예와 같은 장식 부착물, 그리고 디자인 모티브 등을 활용하여 문화적 접촉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재료를 통합하고 적응시켰다.[17][18]
현대 이누이트 패션은 더 광범위한 아메리카 원주민 패션 운동의 하위 집합이다. 현대 이누이트와 북부 디자이너들은 현대적이고 전통적인 재료를 혼합하여 전통적인 실루엣과 현대적인 실루엣 모두에서 의류를 제작한다. 많은 디자이너들은 또한 뼈와 같은 지역 또는 지속 가능한 재료로 보석을 만든다.[19][20] 전통적인 스타일의 파카를 주력으로 하는 패션 디자이너 빅토리아 카쿠크틴닉의 작품은 이누이트 패션의 현대화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용되었다.[19] 일부 디자이너는 전통적인 도구, 현대 북부 식품, 그리고 전통적인 이누이트 문신에서 유래된 기하학적 디자인을 포함하여 제품의 시각적 디자인을 통해 이누이트 문화의 측면을 중심에 둔다.[21][22][23]
3. 4. 조각

이누이트 조각은 서구 세계와 접촉하기 전부터 제작되었으며, 주로 작은 상아 조각품이었다. 1951년, 제임스 휴스턴은 킨가이트의 이누이트들에게 석조 조각 제작을 권장했다.[24] 초기에는 주로 남자들이 조각을 시작했으나, 오빌루 터닐리는 조각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몇 안 되는 여성 작가 중 한 명이었다.[25] 오늘날에도 이누이트들은 여전히 손으로 조각품을 만들고 있다. 전동 공구가 가끔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예술가들은 돌에 대한 정교한 조작을 위해 도끼와 줄을 선호한다. 조각의 마지막 단계는 여러 등급의 방수 사포로 수 시간 동안 문질러 연마하는 것이다. 가장 흔한 재료는 비누돌과 사문석으로, 북극에서 채취되는 검은색에서 밝은 녹색을 띠거나 브라질에서 수입되는 오렌지색-빨간색을 띤다. 이누이트 조각에는 순록 뿔, 해양 포유류의 상아, 그리고 다양한 동물의 뼈도 사용된다.
4. 이누이트 미술 협회
미국 중서부를 중심으로 2003년에 설립된 이누이트 미술 협회는 "북극의 문화, 예술 형식, 그리고 예술가들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6] 약 100명의 회원이 회비를 납부하고 있으며, 이틀간 진행되는 연례 회의에서는 캐나다 출신 이누이트 예술가, 이누이트 미술과 문화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강사, 이누이트 미술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장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참석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으며, 대부분 회의에는 회의 장소 근처 개인 소장품 및 공공 소장품 투어 기회가 포함된다.
5. 주요 예술가
- 마나시 아크팔리아픽
- 제르맹 아르낙토요크
- 캉게크의 아론
- 카루 아셰박
- 케노주악 아셰박
- 피체올락 아슈나
- 슈비나이 아슈나
- 시아시 아티투
- 알루투크 이펠리
- 오수이톡 이필리
- 조세피나 칼레오
- 헬렌 칼박
- 시메오니 키나이나크
- 시아시 케넬리
- 루벤 코망가픽
- 플로이드 쿱타나
- 앤디 미키
- 애니 니비악시
- 제시 오오나크
- 존 팡나크
- 파
- 데이비드 루벤 피크투쿤
- 피터 피체올락
- 티모테(팀) 피치울락
- 애니 푸토고옥
- 카난기낙 푸토고옥
- 푸들로 푸들라트
- 앤드루 캪픽
- 리시 사기악
- 파우타 사이라
- 닉 시쿠아크
- 조 탈리루닐리
- 타냐 타가크
- 닝기우쿨루 티비
- 아이린 아바알라아키악 틱타알라악
- 존 틱탁
- 버나데트 이구프타르크 통겔릭
- 시몬 투쿠메
- 오빌루 툰닐리
- 마리온 투울루크
- 나타르 웅갈라악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Winnipeg Art Gallery
https://www.wag.ca/a[...]
[2]
웹사이트
Museum of Inuit Art
http://www.miagaller[...]
2020-01-25
[3]
뉴스
'Small but mighty' Canadian Museum of Inuit Art closing its doors
http://www.cbc.ca/ne[...]
[4]
서적
Symbols of Authenticity: Challenging the Static Imposition of Minority Identities through the Case Study of Contemporary Inuit Art
http://www.ruor.uott[...]
2015-02-25
[5]
문서
Hessel & Hessel 1998: 12–13
[6]
문서
Douglas D. Anderson. "Prehistory of North Alaska." In ''Handbook of the North American Indian'', vol. 5, pp. 88–90 (Smithsonian, 1984).
[7]
서적
Symbols of Authenticity: Challenging the Static Imposition of Minority Identities through the Case Study of Contemporary Inuit Art
University of Ottawa Press
[8]
문서
Rinehart, J.W. The Tyranny of Work: Canadian Social Problems Series, Academic Press Canada, 1975, p. 22. {{ISBN|0-7747-3029-3}}. See Also Charles A. Martijn, "Canadian Eskimo Carving in Historical Perspective", Anthropos, 59, 1964, pp. 546–596
[9]
서적
Oviloo Tunnillie: Life & Work
https://www.aci-iac.[...]
Art Canada Institute
[10]
뉴스
James A. Houston, Writer on Eskimo Life, Dies at 83
https://www.nytimes.[...]
2005-04-22
[11]
서적
The Way of Inuit Art: Aesthetics and History in and Beyond the Arctic
https://www.worldcat[...]
McFarland
[12]
웹사이트
The Power Family Program for Inuit Art: Tillirnanngittuq
https://umma.umich.e[...]
2020-08-28
[13]
웹사이트
The Power Family Program for Inuit Art: Tillirnanngittuq Opens March 16 at UMMA
https://umma.umich.e[...]
2020-08-28
[14]
문서
Blodgett, 1991 p.37
[15]
서적
Pitseolak Ashoona: Life & Work
https://www.aci-iac.[...]
Art Canada Institute
[16]
서적
Annie Pootoogook: Life & Work
https://www.aci-iac.[...]
Art Canada Institute
[17]
서적
Arctic Clothing
McGill-Queen's Press
2005
[18]
서적
Caribou Skin Clothing of the Igloolik Inuit
Inhabit Media
2012
[19]
웹사이트
Nunavut fashion and design come into their own
https://nunatsiaq.co[...]
2019-03-27
[20]
웹사이트
From Iqaluit to the Eiffel Tower
https://www.uphere.c[...]
2019-04
[21]
웹사이트
Inuit artist Becky Qilavvaq melds clothing and culture
https://bowdoinorien[...]
2017-04-21
[22]
뉴스
Winnipeg conference showcases Nunavut designers, businesses
https://nunatsiaq.co[...]
2017-02-09
[23]
뉴스
Reclaiming Inuit culture, one tattoo at a time
https://www.cnn.com/[...]
2019-10-23
[24]
서적
Oviloo Tunnillie: Life & Work
https://www.aci-iac.[...]
Art Canada Institute
[25]
서적
Oviloo Tunnillie: Life & Work
https://www.aci-iac.[...]
Art Canada Institute
[26]
웹사이트
About the Inuit Art Society – Inuit Art Society
https://www.inuitart[...]
2020-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