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가와 마스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가와 마스미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수였다. 1940년 쇼치쿠 로빈스에 입단하여 1958년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으며, 1959년부터 1968년까지 한큐 브레이브스의 배터리 코치를 역임했다. 통산 1000경기 출장을 달성했으며, 올스타전에 2회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는 닛폰 통운 우라와 사회인 야구 선수에서 한큐 브레이브스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1984년 퍼시픽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20년 이상 코치,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모리 고타로
모리 고타로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한큐군, 도큐 플라이어스, 니시닛폰 파이레츠 등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41년 다승왕과 최고 승률을 석권하고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으며, 은퇴 후에는 사회인 야구팀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했다. - 와카야마현 출신 - 가타야마 데쓰
가타야마 데쓰는 도쿄제국대학 법학을 전공하고 사회민주당, 일본 사회당 창당에 참여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으며, 노동성 설립과 노동기준법 제정 등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 민사당에서 활동하며 정계에서 은퇴했다. - 와카야마현 출신 - 니카이 도시히로
니카이 도시히로는 와카야마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운수대신, 경제산업대신, 자민당 간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친중파로서 일중우호의원연맹 회장을 맡았고, 한국과의 관계에서는 우호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으나, 2024년 정치자금 스캔들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 일본 프로 야구 포수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포수 - 기시다 유키노리
기시다 유키노리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보덕학원고와 오사카 가스를 거쳐 2017년 입단 후 백업 포수로 활동하며 2루 송구 능력과 밝은 성격으로 팀에 기여하고 있다.
이세가와 마스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이세가와 마스미 |
일본어 표기 | 伊勢川 真澄 |
로마자 표기 | Masumi Isegawa |
출신지 |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 |
생년월일 | 1921년 6월 30일 |
사망일 | 1996년 7월 26일 |
신장 | 170 |
체중 | 70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포수 |
프로 입단 연도 | 1940년 |
첫 출장 | 1940년 |
마지막 경기 | 1957년 |
선수 경력 | |
고등학교 | 粉河町立粉河中学校(구제) |
프로 구단 | 라이온군 (1940 - 1942) 아사히군 (1940 - 1942) 퍼시픽 (1940 - 1942, 1946 - 1947) 타이요 로빈스 (1940 - 1942, 1946 - 1947) 긴세이 스타스 (1948 - 1952) 다이에이 스타스 (1948 - 1952) 한큐 브레이브스 (1953 - 1958) |
코치 경력 | |
코치 구단 | 한큐 브레이브스 (1959 - 1968) |
2. 선수 경력
와카야마 현립 고카와 중학교를 졸업하고 1940년 라이온군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948년에는 긴세이 스타스로 이적했고, 1950년에는 퍼시픽 리그 10위에 해당하는 타율 0.296을 기록했다.[2] 1953년에는 한큐 브레이브스로 이적하여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올스타전에도 출전했다.[2]
1958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1959년부터 1968년까지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배터리 코치를 역임했다.[2] 1996년 7월 26일, 향년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긴세이 스타스 이적 첫 해인 1948년에는 사와무라의 영향으로 투수들이 선호하는 등번호인[3] 14번을 달았으나, 다음 해부터 포수 등번호인[4] 22번으로 교체했다.
2. 1. 프로 입단 전
와카야마 현립 고카와 중학교를 졸업했다.[2]2. 2. 라이온군·아사히군·퍼시픽·타이요 로빈스 시절 (1940년 ~ 1947년)
1940년 라이온군(1941년부터 아사히군)에 입단했다. 신인이었지만 주전 포수 히로타 슈조의 백업으로 49경기에 출장했고, 1941년과 1942년에는 주전 포수를 맡았다. 전쟁 후 1946년에 옛 아사히 군 선수들이 독립하여 골드 스타를 창단할 때, 이세가와는 옛 아사히 군의 흐름을 잇는 퍼시픽에 참가하여 주전 포수로 활약했다. 1946년 타율 .230(리그 37위), 모리시타 시게요시(54타점)에 이어 51타점을 기록했고, 1947년에는 타율 .257(리그 19위)를 기록했다.2. 3. 긴세이 스타스·다이에이 스타스 시절 (1948년 ~ 1952년)
1948년 다이요 로빈스(퍼시픽에서 개명) 감독 후지모토 사다요시가 긴세이 스타스의 감독으로 옮겨가자, 빅토르 스타루힌과 함께 후지모토를 따라 긴세이로 이적했다.[2] 이 해에는 몬젠 마사토와 번갈아 마스크를 썼지만, 1949년에 몬젠이 오사카 타이거스로 복귀하면서 이후 이세가와는 주전 포수 자리를 지켰다. 이 기간 동안 1950년에는 퍼시픽 리그에서 10위를 기록하는 타율 0.296과 본인 유일의 두 자릿수 홈런인 13홈런을 기록했다.[1]한편, 스타스 이적 첫 해인 1948년에는 사와무라의 영향 탓인지 투수들이 선호하는 등번호인[3] 14번을 달았으나 다음 해부터 포수 등번호인[4] 22번으로 교체했다.
2. 4.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 (1953년 ~ 1958년)
1953년에 한큐 브레이브스로 이적하여 그 해에 주전 포수로 활약했고 올스타전에도 출전했다.[2] 1954년에 야마시타 겐에게 주전 포수를 넘겨주고 백업으로 물러나면서, 이후 점차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1958년에 출전 기회가 없어 이 해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3. 코치 경력
1958년 현역에서 은퇴한 이세가와 마스미는 이듬해인 1959년부터 한큐 브레이브스의 배터리 코치를 맡았다.[2]
3. 1. 한큐 브레이브스 배터리 코치 (1959년 ~ 1968년)
1959년부터 1968년까지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배터리 코치를 역임했다.[2]4. 개인 기록
이세가와 마스미는 올스타전에 출전했다.[2]
; 주요 기록
- 1000경기 출장: 1953년 8월 5일(역대 21번째)[2]
- 올스타전 출장: 1회(1953년)[2]
; 등번호
- '''22''' (1940년 ~ 1942년, 1946년 ~ 1947년, 1949년 ~ 1958년)
- '''14''' (1948년)
- '''62''' (1959년, 1962년 ~ 1968년)
- '''32''' (1960년 ~ 1961년)
4. 1. 통산 기록
- 통산 1000경기 출장 : 1953년 8월 5일 (역대 21번째)[2]
- 올스타전 출장 : 2회 (1952년, 1953년)[2]
4. 2. 연도별 타격 성적
도
속
기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타
점
루
루
자
생
번
생
플
넷
4
구
진
살
타
율
루
율
타
율
P
S
아사히
퍼시픽
다이요
다이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