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군정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 군정청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가자 지구, 시나이반도, 요르단강 서안 지구, 골란고원에서 실시한 군사 통치를 의미한다. 이스라엘은 제4 제네바 협약에 따라 군정을 실시한다고 주장했지만, 동예루살렘은 예외적으로 1967년 행정적으로 편입되었고, 1980년 이스라엘 법 적용을 통해 실질적으로 합병되었다. 군정은 1982년 시나이반도 반환으로 실질적으로 종료되었고,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 민정청으로 이관되었다. 서안 지구의 경우, 민정청은 이스라엘군의 통제 하에 운영되었으며,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과 관련하여 국제법 위반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이집트 - 카이로 타워
카이로 타워는 나움 셰빕이 연꽃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하고 1956년부터 1961년까지 건설되었으며, 회전 전망대와 레스토랑을 갖춘 그레이터 카이로의 랜드마크 건축물로서 건설 자금에 대한 논란이 있다. - 20세기 이집트 - 영국 치하 이집트의 역사
1882년 영국 점령부터 1952년 이집트 혁명까지, 영국 치하 이집트는 무함마드 알리의 근대화 개혁 이후 재정 위기로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으며 독립을 억압당하고 경제적 착취를 겪었으나, 2차 세계 대전 후 독립 요구와 나세르의 쿠데타,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통해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이스라엘 군정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용어 | 히브리어 (공식) 아랍어 |
정부 형태 | 군사 정부 |
지도 | |
역사 | |
존속 기간 | 1967년 - 1982년 |
시작 사건 | 제3차 중동 전쟁 종전 |
시작 날짜 | 1967년 6월 10일 |
종료 사건 |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이행 |
종료 날짜 | 1982년 |
이전 | 요르단의 서안 지구 합병 flag_p1: Flag of Jordan.svg 아랍 연합 공화국의 가자 지구 점령 flag_p2: Flag of the United Arab Republic (1958–1971).svg 샤말시나 주 flag_p3: Flag of the United Arab Republic (1958–1971).svg 자누브시나 주 flag_p4: Flag of the United Arab Republic (1958–1971).svg 쿠네이트라 주 flag_p5: Flag of Syria.svg |
이후 | 이스라엘 민정청 flag_s1: Flag of Israel.svg 북부구 flag_s2: Flag of Israel.svg 샤말시나 주 flag_s3: Flag of Egypt (1972–1984).svg 자누브시나 주 flag_s4: Flag of Egypt (1972–1984).svg |
통치 | |
사령관 | 군정청 사령관 |
기타 정보 | |
통화 | 이스라엘 리라 |
2. 설립 배경
1967년 6일 전쟁 직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이스라엘 공격,[14][15][16]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 및 시리아 공습,[17][18][19] 시리아의 이스라엘 정착촌 포격,[20] 이집트의 티란 해협 봉쇄 및 군대 배치[21][22][23] 등 일련의 사건들로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2. 1. 제3차 중동 전쟁 (6일 전쟁)
제3차 중동 전쟁은 1967년 6월 5일, 이집트군이 국경에 집결하자 이스라엘이 이집트 비행장을 기습하면서 시작되었다.[14][15][16] 전쟁 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사보타주와[2][3][4]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 습격,[5][6][17][18] 시리아와의 공중전,[7][19] 시리아의 이스라엘 정착촌 포격,[8][20] 이집트의 티란 해협 봉쇄[9][21] 등으로 양측의 긴장이 극도로 고조되었다.[10][11][22][23]이스라엘은 6일 만에 이집트로부터 가자 지구와 시나이반도를, 요르단으로부터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서안 지구를, 시리아로부터 골란고원을 점령하며 승리하였다. 전쟁 후 이스라엘의 영토는 약 3배 증가하였으며, 점령한 영토에 살고 있던 아랍 인구는 약 100만 명에 달했다. 이스라엘의 전략적 깊이는 남쪽으로 300km, 동쪽으로 60km, 북쪽으로 20km 증가하였는데, 특히 북쪽의 지형은 매우 울퉁불퉁해 6년 후 욤키푸르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3. 군정 통치 (1967년 ~ 1982년)
1967년부터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 가자 지구, 시나이반도, 골란고원에서 제4 제네바 협약에 따른 군정을 실시했다. 이 협약은 점령 지역에 대한 군사 통치를 규정하고 있다. 동예루살렘은 예외였는데, 1967년부터 행정상 예루살렘에 편입되었고, 1980년에는 이스라엘 법을 동예루살렘까지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합병되었다.[1]
1967년 6일 전쟁 직후, 이스라엘은 군정청에 "해당 지역 또는 그 주민과 관련된 정부, 입법, 임명 및 행정 권한"을 부여했다.[2] 1982년 이스라엘 군정청은 해산되고 이스라엘군의 이스라엘 민간 행정부로 대체되었다. 1981년 11월 군사 명령 947호에 따라 설치된 이 기구는 "지역[서안 지구]의 민사 행정을 수행하여... 주민의 복지와 이익을 도모하고 공공 서비스를 제공 및 운영하며, 지역의 적절한 행정과 공공 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했다.[3] 이 변화는 1982년 초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항의를 불러일으켰고, 진압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4] 1967년부터 2014년까지 이스라엘 행정부는 서안 지구에 대해 1,680개 이상의 군사 명령을 발행했다.[5]
오슬로 협정 당시 서안 지구 주민의 47%가 난민이었고, 전체 인구의 11%가 난민 캠프에 거주했다.[6] 아리엘 샤론의 전략에 따라, 민간 행정부는 1978년 헤브론 지역에 개발되었던 마을 연맹(''rawabit al-qura'')을 서안 지구 전체로 확대했다. 이는 직접적인 정치적 대표를 우회하기 위한 것이었다.[7] 1976년 지방 선거에서 민족주의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자, 이스라엘은 이들을 해임하고 추방했으며, 심지어 노조 간부 선거까지 금지했다.[8] 마을 연맹은 분쟁 해결과 농촌 개발을 촉진했지만, 조지 비샤라트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도시 중심지에 대한 농민들의 분노를 일으켰고, 이스라엘과 협력하는 퀴슬링으로 비판받았다. 이스라엘은 이들에게 민병대와 우지 기관단총을 제공하여 민간인을 위협하는 데 사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9][10]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 당국은 제한된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여러 분석가들은 이 협정이 해외 PLO 대표가 인티파다를 이끌었던 지역 팔레스타인 대표를 제압하고, 정착촌 종식 및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요구를 포기하게 하여, 그들의 귀환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주장한다.[11] 에드워드 사이드, 메론 벤베니스티, 노먼 핀켈스타인 등은 이 협정이 PLO에게 "이스라엘의 집행자" 역할을 위임하여 "원격 제어"로 점령을 계속하고, 이스라엘이 "분쟁 지역"에서 "권리"를 주장하는 데 정당성을 부여했다고 비판했다.[12][13]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이스라엘의 군사 통치 기간 동안 발생한 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을 면제하는 협약에 서명했다. 이스라엘이 유죄 판결을 받더라도 배상금은 팔레스타인 당국에 돌아가고 이스라엘에 상환해야 한다.[14]
2017년 이스라엘 싱크탱크 몰라드의 분석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에서 활동하는 이스라엘 방위군 병력의 50%에서 75%를 배치하여 정착촌을 방어하고 있으며, 이는 이스라엘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렸다.[15]
3. 1. 국제법 적용 논란
이스라엘은 1967년 6월 7일 하임 헤르초그 장군의 발표를 통해, 점령국으로서 이스라엘의 권리와 이스라엘군 및 공공질서 유지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존의 법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은 영국의 점령 관련 규정이 제4 제네바 협약 제64조와 일치한다고 주장했지만, 요르단은 해당 법령이 이미 수십 년 전에 폐지되었으므로 이스라엘이 이를 계승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1] 1970년 유엔 특별 위원회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1945년 긴급 방어 규정이 제네바 협약과 충돌하여 무효이므로 팔레스타인 영토에 적용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2][3]4. 군정 해체 및 민정청 이관
1982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에 따라 시나이반도를 포기함에 따라 군정은 실질적으로 사라졌다.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 따라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의 군정은 종료되고 민정청으로 변경되었다.[24] 같은 해 골란고원 서부는 이스라엘에 완전히 합병되어 군정 체계가 완전히 사라졌다.
군정의 권한은 1981년 이스라엘 국방부에서 운영하는 이스라엘 민정청으로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의 군정을 개편하고, 1982년 시나이 반도를 포기하게 한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으로 사실상 폐지되었다. 1978년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서명한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는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민정청을 설치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2] 이 민정 기구의 성격은 1981년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군정이 발행한 군사 명령 제947호에 의해 정의되었다. 같은 해 골란 고원의 서쪽 부분은 이스라엘에 실질적으로 합병되어 군정 체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5. 서안 지구
1967년 6일 전쟁 직후, 이스라엘은 군정에 "지역 통치, 입법, 임명, 행정권"을 부여했다.[2] 하임 헤르초그 장군은 1967년 6월 7일, 기존 법률은 이스라엘의 점령권 및 이스라엘군과 공공의 안녕을 위협하지 않는 한 그대로 적용된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은 영국의 점령 관련 규정이 제4 제네바 협약 제64조와 일치한다고 주장했으나, 요르단은 해당 법령이 이미 폐지되었으므로 이스라엘이 이를 계승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1970년 유엔 특별 위원회는 영국의 1945년 긴급 방어 규정이 제4 제네바 협약과 충돌하며 영국 스스로 폐지했기에 팔레스타인 영토에 적용될 수 없다고 결론내렸다.[3]
1982년 이스라엘 군정청은 해체되고 이스라엘 민정청으로 대체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이스라엘군의 일부였다. 민정청은 1981년 11월 군령 제947호로 설립되었으며,[4] 초기 몇 달간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여, 진압 과정에서 발생한 사상자가 이후 15년간 발생한 사상자보다 많았다.[5] 1967년부터 2014년까지 이스라엘 행정부는 서안 지구에 약 1,680개의 군령을 발령했다.[1] 이스라엘 방위군은 중립을 지켜야 했지만, 점령지 통치와 정착촌 방어 과정에서 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10]
오슬로 협정 당시 서안 지구 주민의 47%는 난민이었고, 11%는 난민 수용소에 거주했다.[11] 아리엘 샤론은 직접적인 정치적 표현을 막기 위해, 헤브론 지역에 한정되었던 촌락 연맹을 서안 지구 전체로 확대했다.[12] 1976년 지방 선거에서 다수의 국가주의자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대부분 해고되거나 추방되었다.[13] 촌락 연맹은 분쟁 해결과 농촌 개발을 목표로 했지만, 도시민과 농민들의 반발을 샀고, 구성원들은 이스라엘 협력자로 비난받았다.[14]
5. 1. 이스라엘 정착촌 문제
이스라엘은 1967년 전쟁 이후 서안 지구에 정착촌을 건설하고 확장해 왔으며, 이는 국제법 위반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 이스라엘은 정착촌 방어를 위해 상당한 군사력을 투입하고 있는데, 2017년 이스라엘 싱크탱크 몰라드의 연구에 따르면 이스라엘 방위군 병력의 50%에서 75%가 서안 지구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중 80%는 정착촌 방어에, 20%만이 테러 방지에 투입된다.[6] 헤브론에서는 보병 사단 1개 규모의 군인 2,000명과 국경 경찰대 3개 중대가 500~800명의 이스라엘 정착민을 보호하기 위해 교대 근무를 하고 있다.[7]몰라드는 이러한 정착촌 방어가 이스라엘 전체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8] 이스라엘 국방 전문가들은 정착촌이 과거에는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되었을 수 있지만, 현재는 오히려 보안군의 임무를 방해하고 국방 예산을 소모하며 방어선을 길게 만들어 군의 부담을 가중시킨다고 지적한다.[9]
6. 비판 및 논란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은 국제법 위반, 인권 침해, 팔레스타인 주민 차별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과 확장은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방해하고 분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정착촌 문제가 안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Israeli Practices and Human Rights In Occupied Arab Territories
https://www.jstor.or[...]
[2]
서적
Israel, Army and Defense: A Dictionary
Zmora, Bitan, Modan
[3]
서적
Revolution Until Victory?: The Politics and History of the PL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잡지
Middle East: Incident at Samu
http://www.time.com/[...]
1966-11-25
[5]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6]
서적
Arab Politics, Palestinian Nationalism and the Six Day War: The Crystallization of Arab Strategy and Nasir's Descent to War, 1957–1967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7]
서적
Defending the Holy Land: A Critical Analysis of Israel'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8]
서적
Defending the Holy Land: A Critical Analysis of Israel'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5-13
[10]
서적
A Never-Ending Conflict: A Guide To Israeli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
서적
The 1967 Arab-Israeli War: Origins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Foundations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GRIN Verlag
[13]
논문
Israeli Practices and Human Rights In Occupied Arab Territories
https://www.jstor.or[...]
[14]
서적
Israel, Army and Defense: A Dictionary
Zmora, Bitan, Modan
[15]
서적
Revolution Until Victory?: The Politics and History of the PL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6]
잡지
Middle East: Incident at Samu
http://www.time.com/[...]
1966-11-25
[17]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8]
서적
Arab Politics, Palestinian Nationalism and the Six Day War: The Crystallization of Arab Strategy and Nasir's Descent to War, 1957–1967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19]
서적
Defending the Holy Land: A Critical Analysis of Israel'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
서적
Defending the Holy Land: A Critical Analysis of Israel'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5-13
[22]
서적
A Never-Ending Conflict: A Guide To Israeli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3]
서적
The 1967 Arab-Israeli War: Origins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Foundations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GRIN 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