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양역은 1930년 12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57년 6월 23일 역사를 준공했다. 1991년 소화물 및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1997년 12월 28일 역사를 신축했다. 2013년 10월 23일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으로, 경전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부산, 순천, 서광주 방면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건축물 - 능주역
능주역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능성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여객열차가 운행 중이다. - 화순군의 건축물 - 화순역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화순역은 1930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후 재건, 화물 취급 중심 운영, 남도해양열차 운행 재개를 거쳐 현재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화순군의 교통 - 능주역
능주역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능성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여객열차가 운행 중이다. - 화순군의 교통 - 화순역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화순역은 1930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후 재건, 화물 취급 중심 운영, 남도해양열차 운행 재개를 거쳐 현재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백양사역
백양사역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호남선 지상역으로, 1914년 사거리역으로 개업하여 1967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이양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梨陽駅 (이양역) |
로마자 표기 | Iyang |
한자 표기 | 梨陽驛 |
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이양로 134 |
소속 노선 | 경전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섬식 1면 2선 |
개업일 | 1930년 12월 25일 |
관리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역 정보 |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
노선 거리 | 삼랑진 기점 230.9 km |
역 번호 | 없음 |
이전 역 | 명봉 |
다음 역 | 능주 |
역 간 거리 (이전) | 12.8 km |
역 간 거리 (다음) | 12.2 km |
2. 역사
1930년 12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4][1] 1957년 6월 23일 역사를 준공하였다. 1991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5] 같은 해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2] 1997년 12월 28일 역사를 신축하였다.[3] 2004년 9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6] 2013년 10월 23일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승강장에는 경전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부산, 순천, 서광주 방면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3. 역 구조
3. 1. 승강장
이양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승강장에는 경전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부산, 순천, 서광주 방면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4. 역 주변